| Earth Science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3458,#2d2f34><colcolor=#fff,#e0e0e0>대기과학 Metorology | 기상학 · 기단 · 기압(고기압, 저기압, 기압계, 기압골) · 기후학 · 나비 효과 · 날씨 · 대기권(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 · 대기 대순환(편서풍) · 열대성 저기압(태풍, 허리케인) · 제트기류 · 토네이도 · 용오름 · 푄 현상 · 쾨펜의 기후 구분((A)열대 기후, (B)건조 기후, (C)온대 기후, (D)냉대 기후, (E)한대 기후 · 고산 기후) |
| 지질학 Geology | 지질학자 · 고생물학 · 광물학 · 지구의 내부 구조(지각, 맨틀, 외핵, 내핵) · 대륙이동설 · 암석학 · 층서학 · 지사학 · 지구물리학 · (지진, 지진파) · 판 구조론 · (화산, 마그마, 용암) · 행성과학ㆍ지질학 관련 정보 | |
| 해양학 Oceanography | 균형조석론 · 기조력 · 바다 · 음향 측심법 · 조석 · 파도 · 해류(난류, 한류) · 해일 및 쓰나미 · 세부 분과(물리해양, 화학해양, 생물해양, 지질해양, 외계해양) | |
| 지구과학 연구 | 지구환경과학과(대기과학과, 지질학과, 해양학과) · 한국지구과학연합회(한국기상학회, 한국우주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질과학협의회, 한국천문학회, 한국해양학회) · 기상청(대한민국 기상청, 북한 기상수문국, 미국 연방해양대기청, 일본 기상청, 중국기상국, 대만 중앙기상서, 홍콩 천문대, 필리핀 기상청, 노르웨이 기상청)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 |
| 기타 | 지구를 연구하는 타 학문(자연지리학 · 생태학 · 환경과학) |
| '''자연지리학 Physical Geography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6600><colcolor=#fff> 지형학 | 지형(둘러보기틀), 하천 지형, 해안 지형, 화산 지형, 카르스트 지형, 빙하 지형, 풍화, 단층, 습곡, 분지, 암석권, 침강, 융기, 조륙운동, 조산운동 | |||
| 기후학 | 기후, 기온, 강우, 강우량, 다우지, 소우지, 바람, 기단, 기압, 지상풍, 전선, 계절, 계절풍, ITCZ, 편서풍, 대기 대순환, 전향력, 온대저기압, 열대저기압, 기상학, 기후 관련 정보 | ||||
| 고기후학, 빙하기, 간빙기, 소빙하기, 제4기학, 홀로세, 프록시(기후) | |||||
| 열섬 현상, 푄 현상, 기후변화, 지구 온난화, 사막화, 엘리뇨, 라니냐, 남방진동 | |||||
| 쾨펜의 기후 구분, 열대기후, 건조기후, 온대기후, 냉대기후, 한대기후, 고산기후, 스텝(지리), 고위도, 중위도, 저위도 | |||||
| 생물지리학 | 생태학, 생물군계, 생태계, 식생, 월리스선, 초지, 침수초원, 열대우림 | ||||
| 수문학 | 육수학, 강, 호수, 습지, 지하수, 지하수학, 하상계수, 지류(지리) , 감조구간, 감조하천 | ||||
| 토양지리학 | 흙, 토양, 틀:토양, 틀:흙(자갈, 마사토, 모래, 실트, 점토) | ||||
| 기타분야 | 환경지리학 | 고지리학 | |||
| 관련문서 | 지리학, 지리학과, 지리교육학, 틀:인문지리학, 틀:지리정보과학 | }}}}}}}}} | |||
1. 개요
대기 대순환(大氣大循環, Atmospheric circulation)은 행성의 대기에서 발생하는 열 전달 운동이다.2. 형태
| 대기 대순환 (북반구 기준) | ||||||||||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radial-gradient(circle at 50% 100%, #0275d8 65%, transparent 30%)" 극고압 (위도 90°) {{{#!wiki style="margin: -13px -10px" | ↙↙↙극동풍↙↙↙ | ↺극 순환 | }}}고위도 저압대 (한대 전선대, 위도 60°) {{{#!wiki style="margin: -13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width=80%> ↗↗↗편서풍↗↗↗ | }}}아열대 고압대 (중위도 고압대, 위도 30°) {{{#!wiki style="margin: -13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width=80%> ↙↙↙무역풍↙↙↙ | }}}적도 저압대 (적도 무풍대, 위도 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남반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radial-gradient(circle at 50% 0%, #0275d8 65%, transparent 30%)" 적도 저압대 (적도 무풍대, 위도 0°) {{{#!wiki style="margin: -13px -10px" | <tablebgcolor=transparent> ↖↖↖무역풍↖↖↖ | }}}아열대 고압대 (중위도 고압대, 위도 30°) {{{#!wiki style="margin: -13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width=80%> ↘↘↘편서풍↘↘↘ | }}}고위도 저압대 (한대 전선대, 위도 60°) {{{#!wiki style="margin: -13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width=80%> ↖↖↖극동풍↖↖↖ | ↺극 순환 | }}}극고압 (위도 90°) }}} |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 상태라고 가정하자. 전 지구적 열적순환과정에서 적도지방의 공기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받고 상승해 주변으로 퍼져나가는데, 이 퍼져 나가는 공기의 흐름은 고위도 지방을 향해간다. 고위도로 가면서 열을 주변에 빼앗기게 되고, 극지방에 도달하면 냉각되어 하강해 저위도 지방으로 간다. 다시 적도지방으로 온 공기는 열받아서 상승하고, 상승한게 극지방으로가고, 냉각돼서 하강하고, 다시 적도로.... 이런식으로 무한히 순환하게 되고, 이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은 북반구에 하나, 남반구에 하나씩 존재하게 될것이다. (이때 각각의 순환을 세포(cell)라고 한다.)
그런데 지구는 자전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동시에 자전하고 있는 거대한 구인 지구는 필연적으로 적도 지역과 극지방에서 자전 속도에 차이가 날 수밖에 없고, 이 속도의 차이로 전향력이라는 가상의 힘이 작용한다. 공기의 흐름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 전향력 때문에 공기의 흐름(바람)의 운동에도 변화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원래라면 하나의 커다란 순환 세포여야 할 것이 3개의 자잘한 순환 세포로 나뉘어 지게 된다. 그러므로 지구의 대기는 위도0°,30°,60°기준으로 크게 3개의 연직순환과 3개의 항상풍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남반구와 북반구는 대칭적인 형태를 띠게 된다.
대기 대순환은 세계의 기후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2.1. 연직 순환
- 위도 0°~30° - 해들리 순환(Hadley Cell): 적도에서 상승했다가, 중위도지역에서 다시 하강하는 순환.
지구의 어떤 위도대 보다도 상대적으로 태양 복사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 부근에서는 가열이 쉽게 일어나 대류 활동이 활발해진다. 이로 인해 가열, 상승된 공기는 위로 올라가서 고위도 지역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적도 지역은 자연스럽게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저기압이 형성되고, 공기가 모이게 된다. 이를 적도 저압대 또는 적도 수렴대라고 한다. 영어로는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이라고 하는데, 약어로 ITCZ라고 많이 사용한다.
위로 올라간 공기는 북반구든 남반구든 상관없이 고위도를 향해 진격하다 점점 차가워지는데, 찬 공기는 자연히 내려가게 된다. 이것이 위도 30도 부근이다. 즉, 위도 30도 부근에서 하강 기류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생기는 고기압대를 아열대 고기압이라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막들 중에 끝없이 펼쳐진 모래가 있는 사막이 바로 이 아열대 고압대가 만든 사막들이다.
- 위도 30°~60° - 페렐 순환 (Ferrel Cell): 중위도 지역에서의 순환, 간접순환이다.
중위도 지역 중 위도 20°~35°의 하강 기류가 일어나는 지역을 아열대 고압대 또는 말위도라고 한다. 말위도는 영어로 horse latitudes 라고 쓴다. 건조한 지역이라 육상에서는 사막이 나타나기도 하며, 해상에서는 무풍지대가 형성되기도 한다. 말위도라는 명칭은 스페인 선원들이 대서양의 이 지역을 항해할 때 종종 장기간의 무풍으로 항해가 길어져 말을 더 이상 먹일 수 없어 바다에 버려야 했던 상황에서 유래되었다.
- 위도 60°~90° - 극 순환(Polar Cell): 극지방에서 하강, 고위도지역에서 다시 상승하는 순환.
고위도 지역 중 위도 60° 지역을 한대전선대라고 한다. 영어로는 polar front라고 한다. 여기서는 적도 지역과 비슷하게 저기압이 형성되는데 이를 한대저기압이라고 한다.
2.2. 항상풍
- 무역풍(위도 0°~30°): 중위도 고압대(위도 30°)→적도 수렴대(위도 0°) 방향의 바람. 전향력으로 인해 바람 방향이 꺾이게 되어 북반구에서는 북동무역풍이, 남반구에서는 남동무역풍이 분다.
- 편서풍(위도 30°~60°): 중위도 고압대(위도 30°)→한대 전선대(위도 60°) 방향의 지상풍(地上風)이다.
- 극동풍(위도 60°~90°): 극 고압대(위도 90°)→한대 전선대(위도 60°) 방향의 항상풍이다
이외에 열대성 저기압 폭풍인 태풍, 허리케인과 고기압성 폭풍인 반싸이클론이 해당된다. 이 쪽은 적도 지역의 엄청난 에너지를 중위도 지역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