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5 19:15:16

업라이트 로우

웨이트 트레이닝
Weight Traini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근육 분류 맨몸 도구 머신
<colbgcolor=#eee,#333> 전신 <colbgcolor=#eee,#333> 전신 버피테스트 데빌프레스
(버피테스트 + 푸시 프레스)
상반신 팔굽혀펴기 / 턱걸이 프레스
하반신 스쿼트 스쿼트 / 데드리프트 스쿼트
대근육 가슴 <colbgcolor=#eee,#333> 큰가슴근 팔굽혀펴기 / 딥스 벤치 프레스 / 풀오버 / 플라이 체스트 프레스 / 펙덱 플라이
버터 플라이 / 케이블 크로스 오버
등세모근 슈러그 / 업라이트 로우 시티드 케이블 로우
넓은등근 턱걸이 / 인버티드 로우 로우(운동) / 풀오버 랫 풀 다운 / 시티드 케이블 로우
스트레이트 암 풀 다운
허벅지 대퇴사두근 스쿼트 / 런지 스쿼트 / 런지 스쿼트 / 런지
레그 프레스 / 레그 익스텐션
햄스트링 하이퍼 익스텐션 데드리프트 / 굿모닝 레그 컬
소근육 어깨 등세모근 슈러그 / 업라이트 로우
어깨세모근 래터럴 레이즈 / 프레스 / 업라이트 로우 페이스풀
이두근 컬(무산소 운동) / 바벨 컬
덤벨 컬 / 케이블 컬
바이셉스 컬
삼두근 딥스 라잉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오버헤드 익스텐션 / JM 프레스
오버헤드 익스텐션
트라이셉스 푸시 다운
아래팔근 리스트 컬
코어 복근 싯업 / 크런치 / 바이시클 메뉴버
드래곤 플래그 / AB 롤아웃
덤벨 사이드 벤드 업도미널 머신
기립근 플랭크 / 굿모닝 굿모닝
대둔근 스쿼트 / 런지 / 브리지 스쿼트 / 런지
힙 쓰러스트 / 굿모닝
스쿼트 / 런지
힙 쓰러스트 / 하이퍼 익스텐션
종아리 카프 레이즈 카프 레이즈 카프 레이즈
무산소 운동/오해와 진실
}}} }}} }}} ||

파일:external/fitnesslavie.files.wordpress.com/uprightrow.png
1. 개요2. 설명3. 내회전 동작으로 인한 어깨부상의 위험4. 관련 항목

1. 개요

업라이트 로우(Upright Row)는 등세모근어깨세모근을 주로 사용하는 운동이다.

바벨이나 덤벨, 케이블, 스미스 머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동작에 변형을 줘서 주로 자극되는 근육 부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2. 설명

일반적인 업라이트 로우는 위의 사진처럼 좁은 그립을 사용해 기구를 목 밑까지 들어올리는 동작이다.
파일:external/bodybuilding-wizard.com/dumbbell-upright-row-1-8.jpg
대신 양손의 간격을 골반보다 살짝 넓거나 어깨 넓이로 벌린뒤 운동 반경을 젖꼭지 높이로 제한하면 등세모근의 자극은 덜해지지만 어깨에 가는 무리를 줄이면서 여전히 효과적으로 측면 어깨세모근을 키울 수 운동이기도 하다. 측면 어깨세모근 운동들 중에서 래터럴 레이즈에 비해 고중량을 사용할 수 있는 운동이기 때문에 적절히 사용되면 넓은 어깨를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3. 내회전 동작으로 인한 어깨부상의 위험

한때 AthleanX를 중심으로 업라이트 로우의 위험성을 설파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유는 어깨의 내회전이 어깨 조직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이론이였는데, 현 시점에서는 수도 없이 반박된 사장되고 철지난 사상이다.

업라이트 로우는 나쁘지 않다.

업라이트 로우로 인한 shoulder impingement라는 현상이 특이하다고 볼 수도 없다. 애초에 모든 측면 어깨 운동들은 메커니즘 자체가 비슷하기에 shoulder impingement는 래터럴 레이즈를 하든 숄더 프레스를 하든 비슷하게 나타난다. 또, shoulder impingement 자체가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이 입증된 적이 없다 [1]. 이런 이유로 AthleanX의 주장은 현재 fear mongering이라고 단축되어 지는 상태이다. 그러니 걱정하지 말고 업라이트 로우를 루틴에 넣어도 된다.

굳이 기피해야할 경우는 업라이트 로우를 수행할 시 어깨가 아픈 경우다. 이는 동작 자체가 몸에 맞지 않는다는 뜻으로, 가벼운 무게로 천천히 과부화 시키거나, 루 레이즈같은 동작으로 먼저 시작하거나, 아니면 루틴에서 아예 빼면 된다. 이는 모든 무산소 운동 동작들도 마찬가지로, 업라이트 로우만의 단점은 아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스쿼트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로 스쿼트가 나쁜 운동이 아닌 것처럼, 업라이트 로우 자체의 문제는 아니다.

업라이트 로우를 피해야 할 또 다른 이유로는 팔꿈치 굽힘근들의 피로도가 있다. 만약 등 근육들을 위해 당기기 운동을 많이 하거나 아니면 컬 계열의 운동을 많이 하면 업라이트 로우 역시 팔굽힘을 동반하므로 팔꿈치 굽힘근들에 추가적인 피로를 주고 다른 운동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4. 관련 항목


[1] Lewis, J. S. (2011).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a musculoskeletal condition or a clinical illusion?. Physical Therapy Reviews, 16(5), 388-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