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1 22:46:37

아조프 소함대

파일:러시아 제국 국장.svg파일:투명.pn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파일:Imperial_Russian_Aviation_Roundel.svg.png
러시아 제국 근위대
러시아 제국 육군
러시아 제국 해군 러시아 제국 공군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비에트 군대
Советская армия
소비에트 함대
Советская флота
파일:붉은 군대 깃발.svg 파일:소련 공군기.svg 파일:소련 방공군 깃발.svg 파일:소련 방공군 휘장.png 파일:소련 해군기.svg
[[소련 육군|소비에트 지상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소련 공군|소비에트 공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소련 방공군|소비에트 방공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소련 전략로켓군|소비에트 전략로켓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소련 해군|소비에트 해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

아조프 소함대
Азовская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
Azov Flotilla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파일:소련 해군기.svg
아조프 소함대기
국가 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러시아 정부

[[소련|]][[틀:국기|]][[틀:국기|]]
소속 러시아 제국군
남러시아 정부
러시아 SFSR
소비에트 연방
주임무 아조프 해 해상전, 영해보호
군종 파일:Arcadian_Anchor.png해군
상부 파일:흑해함대 엠블럼.svg흑해함대
수호자 성 니콜라우스
참전 러시아-튀르크 전쟁
러시아 혁명
러시아 내전
후신 다뉴브 소함대

1. 개요2. 역사
2.1. 기원2.2. 러시아-튀르크 전쟁2.3. 흑해함대2.4. 러시아 내전2.5. 제2차 세계 대전
3. 사령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아조프 소함대(Азовская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는 러시아 남부 연해에 위치한 흑해부근 위에 위치한 아조프해에서 작전이 가능하도록 조직되어 창설과 해체를 반복하였다.

2. 역사

2.1. 기원

이전 루스 차르국 시기 표트르 대제의 치하 1694년 네덜란드로 부터 갤리[1] 1척를 주문하였고 아르한겔스크로 인도되어 볼가강로 이전되어 배치되었다. 1년 뒤 제3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승리하여 아조프 요새를 점령하였다. 당시 전쟁으로 표트르 대제는 포병과 해군의 중요성을 알게되었고, 17세기 말에 표트르 대제는 오스만 제국을 대항하기 위해선 러시아 정규해군을 창설의 필요성[2]을 거듭강조하였다. 프레오브라젠스코에 마을이 조선조로 변경되어 1696년 말까지 22척의 갤리와 4척의 소방선이 건조하였고, 외국인목수와 더불어 많은 목수외 마을사람들도 이곳에서 일하며 후에 일어날 아조프 군사작전에 사용될 스트루그를 여러 척 건조되어 아조프 소함대에 배치 하였다.

2.2. 러시아-튀르크 전쟁

정식 정규해군이 창설되고 프루트 조약에 따라 뿌리격인 옛 아조프 소함대는 어이없이 해체되었고, 러시아 제국이 크림반도 정복과 흑해함대 및 타소함대에 창설로 인해 아조프 소함대의 위치가 애매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다시 재조직과 재해체를 반복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이 발발하면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조직이었다. 제5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아조프 소함대가 표트르 페트로비치 브레달(Пётр Петрович Бредаль) 중장에 의해 재조직되어, 아조프 공성전보로네시(Воро́неж) 주변에 요새건설과 브랸스크(Брянск)에 조선소를 건설하였다. 또한 주변 군대에 보급임무도 완벽하게 수행하였다.

제6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일어나 차리나 예카테리나 2세알렉세이 세냐빈(Алексей Наумович Сенявин) 제독에게 돈 원정군을 이끌고 아조프 해에서 오스만 제국 해군과 싸우기 위한 군함 건조를 명령하였고, 이날이 아조프 소함대의 정규창설일 1768년 11월 9일이 되었다. 세냐빈 제독은 건조 임무를 성공적으로 하여 크고작은 100여 선박과 2,400의 수병이 있으며, 러시아 제국의 본격적인 크림반도 점령작전에서 아조프 소함대는 적극적인 작전을 수행하였다. 1771년 8월 말부터 9월까지 흑해[3]를 탐험하는 횡단 항해 또한 이루었다.

1773년 오스만 제국은 크림반도에 군대 상륙을 계획하였는데 아조프 소함대는 크림 반도를 방어하기 위해서 케르치 해협과 수심이 낮은 곳에서 방어를 준비하였다. 당해 소함대의 전력은 40척으로 32문 프리깃함이 기함이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타만 반도에 상륙하여 전초기지를 삼으려고 하였지만 5월 29일 밤에 키질타쉬키 하구(Кизилташский лиман)에서 야코프 필리포비치 수코틴(Яков Филиппович Сухотин)대위[4]가 지휘하는 편대(6척)에 의해 좌절된다.

6월 23일 발라클라바 해전에서 얀 헨드릭 판 킨스베르헌(Jan Hendrik van Kinsbergen)중령이 지휘하는 부대가 오스만 제국 해군 제벡함 4척을 발견하였지만 오스만 해군이 우세하여 공격하였고, 5시간에 걸친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이 오스만 해군을 격퇴하여 큰 손실을 입히고 후퇴하였다.

8월 17일 세냐빈 제독은 상륙군이 탑승한 오스만 해군이 수주크케일을 통해서 크림반도로 향한다는 정보를 입수하였고 8월 23일 수주크케일 해전은 러시아 해군이 유리한 위치에 점유하였고 2시간의 전투로 오스만 해군은 후퇴하였고 러시아 해군이 추격하였지만 속력이 느려 추적실패하였다.

제6차 러시아-튀르크전쟁이 거이 끝나가는 말쯤 4월 바실리 야코블레비치 치차고프(Василий Яковлевич Чичагов) 소장이 지휘하는 소함대는 오스만 해군의 다시 나타나길 기다리며 크림 반도-타만 반도해안을 순항하였다. 6월 9일에 하지 아지 파샤가 지휘하는 오스만 해군 모습을 들어냈고 케르치 해협에서 마지막 해전이 벌어졌는데 치차고프 소장은 편대을 해협의 가장 깊숙하고 좁은 곳에 배치하였다 첫번째 오스만 해군의 해전에서 양측은 효과없는 공격으로 대립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오스만 해군과 러시아 해군은 지원군이 있었고, 지원군이 도착한 오스만 해군은 바로 7월 16일 케르치 해협을 떠나 7월 17일 얄타지역에 상륙했지만 발렌틴 플로토노비치 무신푸쉬킨(Валентин Платонович Мусин-Пушкин) 대령에 의해 실패한다.

1777년 4월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무롬체프(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Муромцев)는 대령으로 진급하였고. 아조프 소함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783년 함대가 만들어지자 아조프 소함대는 러시아 제국 흑해 함대[5]라는 명칭이 변경되었다.

2.3. 흑해함대

러시아 제국 흑해함대

2.4. 러시아 내전

러시아 내전으로 백군과 독일군을 맞서기 위해 적군이 만들었으나 1918년 6월 붉은상륙작전에 참여했다. 그러나 1920년 초까지는 흑해와 아조프해는 백군과 백군함대가 지배하고있었다. 아조프 해 재해권이 넘어가는 시점이 1920년이기에 적군에게는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점이다.

1920년에 흑해와 아조프해는 백군과 적군의 가장 많은 군사작전[6]지이다. 그러던 말쯤 9월 15일 오비토치나야 침 해전에서 소함대간에 해전에서 백군 패배하면서 아조프 해 재해권이 완전히 적군에게 넘어갔다.

2.5. 제2차 세계 대전

독소전쟁이라고 불리고 러시아에서는 대조국전쟁이라고 불리는 시기에 소비에트 연방은 아조프 소함대를 1차 편제 2차 편제로 창설했다.

아조프 소함대 제1차 편제군은 1941년 국방위원회 제216호 결의안 "아조프 해군 함대 구성의 대하여"를 기초로 하여 1941년 7월에 창설되어 해안지역 방어지원과 전방부대에 보급업무을 수행했다. 마리우폴을 기항되었고 조직상 흑해함대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소함대의 형성이 거론된 시점은 나치독일군이 침공하자마자가 아니라 드네프르강을 넘고 아조프해에 도달했을 때부터 거론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은 돈바스-로스토프 전략방어작전 중에 나치독일군의 빠른 진격으로 인해 실패하였고, 1941년 10월 8일 군함을 프리모르스코-아흐타르스크(Приморско-Ахтарск)와 예이스크(Ейск)로 이전하였다.

소함대의 일부 군함을 나눠 분리대를 편성하여 여러전선으로 나눠서 지원을 하였다. 전선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아조프 소함대가 분리대로 나눠 지속적으로 나눠졌다. 1942년 아조프 소함대의 45여 척, 항공포병사단, 해병대대, 장갑열차를 보유했고 이들은 분리대와 더불어 육군 제9군, 제47군, 제51군, 제56군을 지원하였고, 상륙작전과, 케르치 반도의 남은 소비에트 군후퇴 대피, 제56군과 해병대대는 타만반도에서 상륙을 저지하였다.

1942년 나치독일군은 소함대가 이동한 곳으로 대규모 상륙을 계획했고 6,000명의 해군과 많은 상륙정을 동원하여 마리우폴로 이동해 로스토프와 타만반도를 방어하는 소비에트군의 후미를 공격할계획이었지만 흑해함대와 아조프 소함대에 의해 실패하였다. 하지만 악화되는 전선상황과 아조프해 연안의 기지 손실로 인해 1942년 9월 8일 흑해 함대 사령관은 아조프 소함대를 해체하고 소함대의 전력을 다시 흑해함대에 부족한 곳에 재배치하였다.

1943년 2월 3일 해군 인민위원 니콜라이 게라시모비치 쿠즈네초프는 아조프 소함대의 2차편성을 명령하였고, 군항으로 예이스크, 프리모르스코-아흐타르스크를 사용했으며, 소함대 구성군이 전쟁 중에 주기적으로 재편성되었다.

세베르 프리아조비에(Северное Приазовье, Північне Приазов'я)에서 소함대는 다양한 전투활동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해상전투, 통신대공격, 전술상륙을 효과적으로 이루었고, 최고사령관의 명령으로 마리우폴을 점령하는 동안 고르시코프 소장이 이끄는 소함대의 수병에게 특별히 격려하였고, 10월 9일 타만반도의 해방을 명령하였고 소함대는 템류크 상륙작전을 [7] 수행하였다. 또한 나치독일군도 아직 함락시키지 못한 항구 공격 외에 아조프해 곳곳에서 낮과 밤가리지 않고 격전이 자주있었다.

소비에트군은 크림반도에 대해 대공세를 시작했고, 특히나 소함대가 참여한 케르치-엘티겐 상륙작전외 전술상륙에는 타르칸 곷 상륙작전, 케르치 항구 상륙작전을 수행했고 특히나 소비에트 연방에서 대조국전쟁당시 가장 큰 규모 상륙작전에 해당하는 케르치-엘티겐 상륙작전으로 케르치해협을 건너기 위해 야전군 1개(56군)와 사단 1개(318사단)가 상륙해야 했다. 소함대는 56군의 일부병력을 케르치 북쪽으로 상륙시켰고, 이외의 모든 상륙방향은 흑해함대가 수행하였다. 소함대는 이후 프리모르스키군(Приморская армия)외 56군 등 부대에 보급임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했다.

이후 아조프 소함대를 기반으로 1944년 4월 다뉴브 소함대(Дунайская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가 창설 되어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사령관

아조프 함대 사령관
Командующие Азовский флот
성명 임기 계급 이후
상징 표트르 대제 1695년 ~ 1711년 - -
OO대 닐스 올슨 크로이츠
Niels Olsen Creutz[8]
OOOO년 ~ 1702년 중장 대북방전쟁 참전
발트 함대 사령관 역임
1721년 10월 22일 대장진급
1721년 6월 3일 암스테르담에 매장[9]
적군 아조프 소함대 사령관
Командующие Азовской флотилией красных
성명 임기 계급 이후
제1대 이오시프 야코블레비치 게르슈타인
Иосиф Яковлевич Герштейн
1918년 4월 ~ 6월 대령 노르웨이 무역사절단 직원
소비에트 연방 대외무역부 수출분야 부국장
일본 제국 주재 소비에트 연방 무역대표부 부대표
크라스노야르스크 교육학 교수
1938년 2월 26일 처형
제2대 스테판 에피모비치 마르켈로프
Степан Ефимович Маркелов
1920년 3월 ~ 7월 9일 대령 오데사-오차코프 지역 해군방위 사령관
1930년 소련공산당 입당
1968년 사망
제3대 예브게니 세르게예비치 게르넷
Евгений Сергеевич Гернет[10]
1920년 5월 ~ 8월 대령 흑해국방분야 책임관
프리모르스키 군사위원회
북부항로수로국 직원
1943년 8월 8월 카자흐스탄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제4대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흐비츠키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Хвицкий
1920년 9월 ~ 11월 대령 -
제5대 보리스 리보비치 단드레
Борис Львович Дандре
1920년 12월 ~ 1921년 4월 중령? 1921년 흑해함대 본부 작전부장
1922년 흑해함대 감시통신책임관
1926년 5월 24일 체포[11]
10월 솔로베츠키 특수수용소 수감
1929년 출소후 기상관측소 근무
1964년 12월 사망
제6대 이반 니키티치 카다츠키-루드네프
Иван Никитич Кадацкий-Руднев
1921년 4월 - 1921년 6월 대령? 1922년 ~ 1926년 해군사관학생
1930년 전함 세바스토폴 함장역임
1933년 아무르 소함대 사령관
1931년 소련공산당 가입
1935년 플란그만 1등 란크(중장대응) 진급
1938년 3월 13일 기차에서 체포
1938년 7월 28일 박혁명테러 가담으로 총살
백군 아조프 소함대 사령관
Командующие Азовской флотилией белых
성명 임기 계급 이후
제1대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마슈코프
Николай Николаевич Машуков
1918년 ~ 1920년 중령 1920년 10월 소장 진급
비제르테 프랑스 해군기지 근무
파리 과학 기술 연구소 교수 재직
1968년 사망[12]
제2대 미하일 안드레예비치 베렌스[13]
Михаил Андреевич Беренс
1920년 9월 ~ 12월 대령? 소장 진급
비제르테 프랑스 해군기지 근무
러시아 함대 사령관역임
1943년 사망 튀니지 메그린 공동묘지 매장
2001년 보르젤 묘지로 이장
아조프 소함대 사령관(제1편제)
Азовская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 (1-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성명 임기 계급 이후
제1대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알렉산드로프
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Александров
1941년 7월 ~ 10월 대령 1941년 10월 군사규율 위반으로 해임 해군본부소환
1941년 11월 체포[14]
1942년 1월 무죄 석방 해군참모 제2부장 역임
1942년 7월 ~ 12월 레닌그라드해군기지 참모장 역임
1942년 12월 ~ 1944년 2월 라도가 소함대 참모장 역임
1944년 7월 소장 진급
1944년 12월 핀란드 연합군 통제위원회 보좌관
1945년 4월 발트함대 참모장
1946년 베를린출장중 탈린인근 비행기 추락사
제2대 세르게이 게오르기예비치 고르시코프
Серге́й Гео́ргиевич Горшко́в
1941년 10월 15일 ~ 1942년 8월 19일 소장 자차로 이동중 지뢰에 의해 척추부상으로 병원 입원
아조프 소함대 사령관(제2편제)
Азовская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 (2-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성명 임기 계급 이후
제1대 세르게이 게오르기예비치 고르시코프
Серге́й Гео́ргиевич Горшко́в
1943년 2월 ~ 1944년 1월
1944년 2월 ~ 4월
소장 1944년 12월 흑해함대 편대 사령관역임
얄타 회담참가
1948년 11월 흑해함대 참모장
1951년 흑해함대 사령관1955년 소련해군 제1부사령관
1956년~1958년 해군총사령관 과 국방부차관역임
1985년 소련 국방부 감찰단 소속근무
1942년 소련공산당가입
1961년 소령공산당중앙위원회 위원
1988년 사망
제2대 게오르기 니키티치 콜로스티야코프
Гео́ргий Ники́тич Холостяко́в
1943년 12월 ~ 1944년 3월 소장 다뉴브 소함대 사령관 역임
1945년 5월 24일 중장진급
1950년 카스피해 소함대 사령관역임
제7해군 사령관 역임
1983년 7월 18일 자택에서 살해됨

4. 관련 문서



[1] 제원: 전장 38.1m, 2개의 돛대, 32개의 노[2] 러시아 왕국말 제국초 해군의 밑거름을 만들어준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또한 각 함대의 전성기를 만들어준 인물도 존재한다.[3] 주변환경은 온화하지만 바다에서의 환경은 전혀다르다. 1700년도의 목조함에 전열함수준도 아닌프리깃보다는 낮고 코르벳보다는 높은 수준의 군함이 횡단한다는 것이다. 또 당시 새로만들어진 선박이 아조프해에서는 뛰어난 성능을 나타냈지만 흑해와 같은 큰 바다에서는 아니었다. 다만 해협, 만과 같은 곳에도 항해조건이 맞았다. 왜냐하면 바닥이 평평한 평저선이었고 흘수선도 낮았다.[4] 이후에 흑해함대 제2대 사령관을 역임한다.[5] 前소비에트연방 흑해함대와 現러시아 연방의 흑해함대 전신이다.[6] 항구공격, 근해도시폭격, 기뢰부설, 상륙 등.[7] 템류크 상륙작전이 승리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지 못했다. 작전으로 소비에트군 외 나치독일군, 루마니아군의 손실도 높았다, 결론적으로 나치독일군과 루마니아군의 철군 촉진에만 영향을 끼쳤다.[8] 노르웨이출신이며, 러시아에서는 코르넬리우스 크루이스(Корнелиус Крюйс)이다.[9] 상트페트르부르크에서 사망하였다.[10] 극지탐험과 북극기지에서 지낸경험이 있다. 또한 게르넷(Гернет)은 오래된 러시아의 귀족가문이다.[11] 6월 25일 직위해제[12] 프랑스 생트 주느비에브 데 부아 러시아 묘지 매장.[13] 형 예브게니는 적군편이었으며 러일전쟁중 제물포 해전에 참전하였다.[14] 해군복무인원에서 제외됨.[15] 당시건축한 목조 건물을 완전히 없으며, 현재는 개인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작은 조선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