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
| | | |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마르티니크 | |
| | | | |
멕시코 | 몬트세랫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
| | | | |
보네르 | 생마르탱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 | |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신트마르턴 | 아루바 | |
| | |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엘살바도르 | |
| | |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
| | | | |
케이맨 제도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
| | |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 | |
|
프랑스령 기아나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b4b99> | 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 | |
앵귈라 | 도미니카 공화국 | 푸에르토리코 | 앤티가 바부다 | 프랑스령 기아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아루바 | 그레나다 | |
| | | | | | | | |
세인트루시아 | 바하마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바베이도스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생마르탱 | 버뮤다 | |
| | | | | | | | |
보네르 | 아이티 | 신트마르턴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자메이카 | 수리남 | 케이맨 제도 | 마르티니크 | |
| | | | | |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쿠바 | 몬트세랫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도미니카 연방 | 퀴라소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colbgcolor=#18489d><colcolor=#ffffff> 아이티 축구 국가대표팀 | |||
Ekip foutbòl nasyonal Ayiti | |||
정식명칭 | kip foutbòl nasyonal Ayiti[1] Équipe Haïtienne de football[2] | ||
{{{-1 [[FIFA 코드|{{{#fff FIFA 코드 }}}]] }}} | HAI | ||
협회 | 아이티 축구 연맹 (FHF) |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
지역연맹 | 카리브 축구 연맹 (CFU) | ||
홈 구장 | 스타드 실비오 카토르 (Stade Sylvio Cator / 10,500석) | ||
별칭 | Les Grenadiers (정예병) Les Rouges est Bleus (빨강-파랑) | ||
감독 |
세바스티앵 미녜 (Sébastien Migné) | ||
주장 | C 조니 플라시드 (Johny Placide) | ||
FIFA 랭킹 | 87위 (2025년 9월 18일 기준 / #) | ||
Elo 랭킹 | 83위 (2025년 9월 15일 기준 / #) |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8489d><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 피에르 리샤르 브뤼니 (Pierre Richard Bruny) - 95경기 / 2골 | |
A매치 최다 득점 | 두켄스 나존 (Duckens Nazon) - 66경기 / 39골 | ||
월드컵 최다 득점 | 에마뉘엘 사농 (Emmanuel Sanon) - 2골 (1974) | ||
첫 국제경기 출전 | [[아이티|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 1925년 3월 22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아이티 vs [[신트마르턴|(아이티 포르토프랭스 / 2018년 9월 10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아이티| (멕시코 멕시코시티 / 1953년 7월 19일) | ||
[[아이티| (미국 시카고 / 1953년 8월 30일) | |||
[[아이티|
코스타리카 0:8 패(코스타리카 산호세 / 1961년 3월 19일)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8489d> 세계대회 | ||
월드컵 | [진출] 1회 [최고] 15위/조별리그[3] (1974) | ||
대륙대회 | |||
골드컵 | [진출] 16회 [최고] | ||
코파 아메리카 | [진출] 1회 [최고] 16위/조별리그 (2016) | ||
기타대회 | |||
카리브컵 | [진출] 11회 [최고] |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파랑 | 빨강 |
하의 | 빨강 | 파랑 |
양말 | 파랑 | 빨강 |
1. 개요
아이티의 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정예병(Les Grenadier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38위(2013년 1월 17일), 최저 순위는 155위(1996년 4월 24일)이다.
2. 상세
197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멕시코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하며 아이티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16강 조별리그 4조에서 3전 전패를 당했음에도 이탈리아와 아르헨티나 등의 강호들을 상대로 1골씩 기록하며 아프리카 지역 예선 1위로 본선에 오른 콩고민주공화국을 최종 순위에서 제치고 월드컵 15위를 기록했지만 이후 월드컵에선 현재까지도 아이티의 모습을 볼 수 없으며 다른 나라들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었다.당시 이탈리아와의 1차전 경기에서 아이티의 레전드 에마뉘엘 사농이 선제골을 넣으면서 그 유명한 디노 조프의 A매치 1143분 연속 무실점 기록을 깬 것이 백미이며 현재도 에마뉘엘 사농의 아이티 A매치 최다골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다.
혼란스러운 국내 사정과는 달리 중미 지역의 팀들 중에서는 비교적 괜찮은 전력을 구축하고 있는데 플레이오프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꺾고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16개국 본선에 진출했으며 카리브해 지역대회인 캐리비언 컵에서는 2007년 우승, 2012년과 2014년 3위를 기록하는 등 지역 내의 강자 포지션은 유지하고 있으며 주로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함께 카리브해의 강자로 꼽힌다.[4]
프랑스 리그 2, 샹피오나 나시오날,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불가리아 파르바 리가, 알바니아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리투아니아 A 리가, 미국 메이저 리그 사커, USL 챔피언십, 캐나다 프리미어 리그,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덴마크 퍼스트 디비전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는 해외파 선수들을 중심으로 대표팀을 꾸리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레베르톤 피에르, 카를렌 아르쿠스, 프란츠디 피에로, 리셰로 슈프랑거스가 있으며 2024년 11월 기준 FIFA 랭킹 86위로 북중미카리브 연맹 부문 9위를 기록했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78위<rowcolor=#fff>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미국의 군정기 | |||||||||
1930 우루과이 월드컵 | 불참 | ||||||||
※ 아이티 제2공화국 | |||||||||
1934 이탈리아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38 프랑스 월드컵 | 불참 | ||||||||
1950 브라질 월드컵 | 불참 | ||||||||
1954 스위스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 뒤발리에 정권 | |||||||||
1958 스웨덴 월드컵 | 불참 | ||||||||
1962 칠레 월드컵 | 불참 | ||||||||
1966 잉글랜드 월드컵 | 불참 | ||||||||
1970 멕시코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rowcolor=#373a3c> 1974 서독 월드컵 | 조별리그[8][9] | 15위 | 0 | 3 | 0 | 0 | 3 | 2 | 14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82 스페인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 아이티 제3공화국 | |||||||||
1986 멕시코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0 이탈리아 월드컵 | 불참 | ||||||||
1994 미국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8 프랑스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일 월드컵 | |||||||||
2006 독일 월드컵 | |||||||||
2010 남아공 월드컵 | |||||||||
2014 브라질 월드컵 | |||||||||
2018 러시아 월드컵 | |||||||||
2022 카타르 월드컵 | |||||||||
2026 월드컵 | 미정 | ||||||||
2030 월드컵 | 미정 | ||||||||
2034 사우디 월드컵 | 미정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0 | 3 | 0 | 0 | 3 | 2 | 14 |
3.2. 골드컵
<rowcolor=#373a3c>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뒤발리에 정권 | |||||||||
엘살바도르 1963 | 예선 탈락 | ||||||||
<rowcolor=#373a3c> 과테말라 1965 | 결선리그[15] | 6위 | 5 | 0 | 1 | 4 | 3 | 13 | |
<rowcolor=#373a3c> 온두라스 1967 | 결선리그[16] | 5위 | 5 | 1 | 0 | 4 | 5 | 9 | |
코스타리카 1969 | 실격 | ||||||||
<rowcolor=#373a3c>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결선리그[17] | 준우승 | 5 | 2 | 3 | 0 | 9 | 1 | |
<rowcolor=#373a3c> 아이티 1973 | 결선리그[18] | 우승 | 5 | 4 | 0 | 1 | 8 | 3 | |
<rowcolor=#373a3c> 멕시코 1977 | 결선리그[19] | 준우승 | 5 | 3 | 1 | 1 | 6 | 6 | |
<rowcolor=#373a3c> 온두라스 1981 | 결선리그[20] | 6위 | 5 | 0 | 2 | 3 | 2 | 9 | |
<rowcolor=#373a3c> 개최국 없음 1985 | 조별리그 | 9위 | 4 | 0 | 0 | 4 | 0 | 9 | |
※ 아이티 제3공화국 | |||||||||
개최국 없음 1989 | 불참 | ||||||||
미국 1991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1993 | 불참 | ||||||||
미국 1996 | 불참 | ||||||||
미국 1998 | 기권 | ||||||||
<rowcolor=#373a3c> 미국 2000 | 조별리그 | 11위 | 2 | 0 | 1 | 1 | 1 | 4 | |
<rowcolor=#373a3c> 미국 2002 | 8강 | 7위 | 3 | 1 | 0 | 2 | 3 | 4 | |
미국/멕시코 2003 | 예선 탈락 | ||||||||
미국 2005 | 예선 탈락 | ||||||||
<rowcolor=#373a3c> 미국 2007 | 조별리그 | 10위 | 3 | 0 | 2 | 1 | 2 | 4 | |
<rowcolor=#373a3c> 미국 2009 | 8강 | 8위 | 4 | 1 | 1 | 2 | 4 | 7 | |
미국 2011 | 예선 탈락 | ||||||||
<rowcolor=#373a3c> 미국 2013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2 | 3 | |
<rowcolor=#373a3c> 미국/캐나다 2015 | 8강 | 6위 | 4 | 1 | 1 | 2 | 2 | 3 | |
미국 2017 | 예선 탈락 | ||||||||
<rowcolor=#ff0> 미국/자메이카/코스타리카 2019 | 4강 | 3위 | 5 | 4 | 0 | 1 | 9 | 5 | |
<rowcolor=#373a3c> 미국 2021 | 조별리그 | 11위 | 3 | 1 | 0 | 2 | 3 | 6 | |
<rowcolor=#373a3c> 미국/캐나다 2023 | 조별리그 | 12위 | 3 | 1 | 0 | 2 | 4 | 6 | |
<rowcolor=#373a3c> 미국/캐나다 2025 | 조별리그 | 13위 | 3 | 0 | 1 | 2 | 2 | 4 | |
합계 | 본선진출 17회 / 우승 1회 | 67 | 20 | 13 | 34 | 65 | 96 |
3.3. 코파 아메리카
<rowcolor=#373a3c>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rowcolor=#373a3c> 2016 미국 | 조별리그[21] | 16위 | 3 | 0 | 0 | 3 | 1 | 12 |
합계 | 본선진출 1회 | 3 | 0 | 0 | 3 | 1 | 12 |
4. 국가별 전적
4.1. 대한민국과 전적
한국과의 전적은 1전 1패 열세이며, 2013년 9월, 인천에서 처음 맞대결을 펼쳤다. 이 경기에서 손흥민의 멀티골 및 구자철, 이근호의 골로 한국이 4:1로 승리했다. 이것이 현재까지 유일한 A매치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rowcolor=#fff> | | 장정 등 4명(1) | 2:0 승 (1984) | |||||
3 | 1 | 1 | 1 | 4 | 3 | +1 | ||
<rowcolor=#fff> | | 손흥민 등 3명(2) | 2:2 무 (2025) | |||||
15 | 4 | 3 | 8 | 20 | 31 | -11 | ||
<rowcolor=#fff> | | 조민국(2) | 2:0 승 (2025) | |||||
12 | 6 | 3 | 3 | 12 | 8 | +4 | ||
<rowcolor=#fff> | | 손흥민(2) | 4:1 승 (2013) | |||||
1 | 1 | 0 | 0 | 4 | 1 | +3 | ||
<rowcolor=#fff> | | 황의조(1) | 1:1 무 (2023) | |||||
1 | 0 | 1 | 0 | 1 | 1 | 0 | ||
<rowcolor=#fff> | | 문선민 등 9명(1) | 2:0 승 (2018) | |||||
3 | 3 | 0 | 0 | 9 | 0 | +9 | ||
<rowcolor=#fff> | | 이상윤, 김신욱(2) | 2:2 무 (2018) | |||||
4 | 2 | 2 | 0 | 7 | 3 | +4 | ||
<rowcolor=#fff> | | 이정협 등 5명(1) | 2:0 승 (2016) | |||||
5 | 2 | 1 | 2 | 5 | 4 | +1 | ||
<rowcolor=#fff> | | 이동국(2) | 2:2 무 (2022) | |||||
10 | 4 | 3 | 3 | 13 | 12 | +1 | ||
<rowcolor=#fff> | | 없음 | 0:0 무 (2002) | |||||
1 | 0 | 1 | 0 | 0 | 0 | 0 | ||
<rowcolor=#fff> | | 차두리(1) | 1:1 무 (2004) | |||||
1 | 0 | 1 | 0 | 1 | 1 | 0 | ||
<rowcolor=#fff> | | 박주호, 황인범(1) | 2:2 무 (2018) | |||||
1 | 0 | 1 | 0 | 2 | 2 | 0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1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0 승 | <nopad> 0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1 득점 (-3) | <nopad> | 4 득점 (1) |
<rowcolor=#fff> 케르벤스 벨포르트(1) | 최다득점자 | 손흥민(2)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2013) |
한국과의 최근 경기는 2019년 10월 28일 U-17 월드컵에서 2-1로 한국이 승리했다.
| <nopad> 2013-09-06 | | |||
<nopad> 4: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2013년 9월 6일 20:05[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손흥민 | 4:1 (1:1) | <colbgcolor=#fff><colcolor=#666> 빌트 도날드 게리어 케르벤스 벨포르트 | |||
구자철 이근호 손흥민 박주호 | 메샤크 제롬 이브 데스마레츠 제프 루이스 | ||||
감독: | 승 | 감독: | |||
|
[1] 크레올어[2] 프랑스어[3] 16강 조별리그[4]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과 비슷한 것이 나라 꼴이 최악임에도 불구하고 축구 성적은 나라 상황에 비해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라크가 아이티에 비하면 그나마 사정이 낫긴 하지만. 거기다가 32강 월드컵 본선은 무리였지만 48강 월드컵 본선은 충분히 도전해볼 만한 것도 동일하다. 아이티는 2026년 월드컵 2차예선 톱시드 6팀에 포함되었으며, 3장+대륙간 플레이오프 티켓 2장이 북중미에 배분된 것을 감안하면 대륙간 플레이오프까지는 갈 가능성이 꽤 높고, 운이 좋으면 본선 직행의 가능성도 적게나마 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8] 16강 조별리그[9] 1974월드컵 북중미 예선에서 무려 멕시코를 탈락시키고, 북중미 예선에서 우승하여 1974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했으며, 3패를 했지만, 이탈리아와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1골씩 기록하여, 아프리카 우승 진출 자이르를 최종순위에서 제치고 74월드컵 대회 15위를 기록하였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5]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16]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17]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18]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19]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20]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21] 16강 조별리그[🏟️] 중립 경기: 0
HAI 홈 경기: 0
KOR 홈 경기: 1[23]
1골, 케르벤스 벨포르트[24]
1호, 이브 데스마레츠(2013)[25]
2골, 손흥민
1골, 구자철, 이근호[UTC+9] [기성용] 기성용 도움[E.데스마레츠] 이브 데스마레츠 도움[29] 세레모니 도중 상의 노출로 인한 경고[이청용P] 이청용의 페널티킥 유도, 메샤크 제롬의 파울[이청용P.] 이청용의 페널티킥 유도, 케빈 라프랑스의 파울[이근호] 이근호 도움[2G] [34] 이명주에게 파울, 경고누적으로 퇴장[F1] [SBS] [F2] [SBS]
HAI 홈 경기: 0
KOR 홈 경기: 1[23]
1골, 케르벤스 벨포르트[24]
1호, 이브 데스마레츠(2013)[25]
2골, 손흥민
1골, 구자철, 이근호[UTC+9] [기성용] 기성용 도움[E.데스마레츠] 이브 데스마레츠 도움[29] 세레모니 도중 상의 노출로 인한 경고[이청용P] 이청용의 페널티킥 유도, 메샤크 제롬의 파울[이청용P.] 이청용의 페널티킥 유도, 케빈 라프랑스의 파울[이근호] 이근호 도움[2G] [34] 이명주에게 파울, 경고누적으로 퇴장[F1] [SBS] [F2]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