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11 05:49:43

아문센-스콧 남극점 기지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의 기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개 이상의 기지를 소유한 국가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연방 미르니이 기지(1956) · 보스토크 기지(1957)
· 노볼라자레브스카야 기지(1961) · 몰로됴주나야 기지(1962)[s] ·
벨린스가우젠 기지(1968) · 레닌그라드스카야 기지(1971)[s]
· 루스카야 기지(1980) · 드루주나야 기지(1987)[s]
· 프로그레스 기지(1988)[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오르카다스 기지(1904) · 멜키오르 기지(1947)[s] · 데셉시온 기지(1948)[s]
· 브라운 남극 기지(1951)[s] · 산 마르틴 기지(1951)
· 페트렐 기지(1952)[s] · 카마라 기지(1953)[s] · 카를리니 기지(1953) · 에스페란사 기지(1953) · 마티엔소 기지(1961)[s]
· 마라비오 기지(1969) · 프리마베라 기지(1977)[s]
· 벨그라노 2세 기지(1979)
▼ 5개 기지를 소유한 국가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맥머도 기지(1956) · 아문센-스콧 남극점 기지(1957)
· 버드 기지(1957)[s] · 팔머 기지(1968) · WAIS 분할 기지(2005)[s]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캡틴 아르투로 프랏 기지(1947) ·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기지(1948)
· 곤살레스 비델라 남극 기지(1951)
·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 대통령과 비야 라스 에스트레야스 기지(1969)[s]
· 프로페소르 훌리오 에스쿠데로 기지(1994)
▼ 4개 기지를 소유한 국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쇼와 기지(1957) · 미즈호 기지(1970)[s]
· 아스카 기지(1985)[s] · 돔 후지 기지(1995)[s]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그레이트 월(만리장성) 기지(1985) · 중산 기지(1989)
· 쿤룬 기지(2009)[s] · 타이산 기지(2014)[s]
▼ 3개 기지를 소유한 국가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기지(1991)
· 코넨 기지(2001)[s] · 노이마이어 기지(2009)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시그니 연구 기지(1947)[s] · 헤일리 연구 기지(1956)
· 로데라 연구 기지(197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닥신 간고트리 기지(1983) · 마이트리 기지(1989) · 바라티 기지(2012)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모손 기지(1954) · 데이비스 기지(1957) · 케이시 기지(1957)
▼ 2개 기지를 소유한 국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트롤 기지(1990) · 토르 기지(1993)
<colbgcolor=#072b5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세종 과학기지(1988) · 장보고 과학기지(2014)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베아 연구 기지(1988)[s] · 와사 연구 기지(1989)[s]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1세 기지(1988)[s] · 가브리엘 데 카스티야 기지(1989)[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마리오 추켈리 기지(1986) · 콩코르디아 기지(2005)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뒤몽 위르빌 기지(1956) · 콩코르디아 기지(2005)
▼ 1개 기지를 소유한 국가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스콧 기지(195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공 국립 남극 탐험기지(1962)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몰로됴주나야 기지(1962)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헨릭 아크토프스키 폴란드 남극 기지(1977)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코만단치 페하스 남극 기지(1984)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아르티가스 기지(1984)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로우 라코비타 기지(1986)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베티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 기지(1988)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마추픽추 기지(1989)[s]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아보아 기지(1989)[s]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말도나도 기지(1990)[s]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진나 연구 기지(1991)[s]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베르나드스키 연구 기지(1994)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멘델 폴라 기지(2006)[s]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엘리자베스 공주 남극 기지(2007)
총 79개의 기지
† : 두 개 이상의 국가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기지
[s] : 하절기에만 개방·상주하는 기지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기지의 설립년도임
}}}}}}}}}
파일:external/www.nsf.gov/spstation_flags.jpg
파일:external/62e528761d0685343e1c-f3d1b99a743ffa4142d9d7f1978d9686.ssl.cf2.rackcdn.com/97mnx8j3-1326417997.jpg
기지 전경.

1. 개요2. 사건사고3. 기타

[clearfix]

1. 개요

아문센-스콧 남극점 기지(Amundsen-Scott South Pole Station)는 미국의 상설 남극 관측기지로 1956년 11월, 1957년 국제지구관측의 해를 기념하기 위해 남극점에서 1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다.[1] 이는 남극에 위치한 모든 기지 가운데 가장 남극점과 가깝다. 겨울에는 50명, 여름에는 300명 정도가 상주한다.

명칭은 남극점최초 도달하기 위해 노력했던 노르웨이의 로알 아문센과 영국의 로버트 스콧 두 사람에게 경의를 나타내기 위해서 아문센-스콧이라 명명되었다.[2]

3월 22일부터 9월 22일까지는 남극점의 밤이고 최저 영하 80도까지 떨어진다. 탐험가나 여행객들이 남극점을 방문하는 시기는 남극점이 가장 따뜻한 12월 1일이고 평균 영하 30도이다.

2. 사건사고

2000년 5월 12일에 호주 출신의 천체물리학자 로드니 마크스(R.D.Marks)라는 사람이 이곳에서 일하다가 갑자기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다. 뉴질랜드에서 진행된 부검 결과, 그가 평소 건강했으나 치사량의 메탄올을 부지불식간에 음독함으로써 사망에 이르렀다는 게 밝혀져서 충격을 주었다. 언론에서 연일 남극 최초의 살인 사건이라면서 보도를 이어 갔지만, 구체적으로 누가 어떤 동기로 그를 죽인 것인지, 살인이 아니라면 어쩌다가 그가 우연히 메탄올을 마시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아직도 미궁에 빠져 있는 미제 사건이 되었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19의 영향으로 기지의 인원 대부분이 철수하고 최소한의 인원만 남아 있으며, 모든 인원과 물자의 유입이 금지되었다.

3. 기타

빙하의 움직임으로 조금씩 극점의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형식상 남극점 폴대는 내버려두고, 실제의 남극점에 해마다 새로운 표식을 설치한다.

눈이 계속 쌓이지만, 수압으로 밀어올리는 특수한 장치를 통해 쌓이는 눈 위로 기지를 들어올리게 되어 있다.

기지 대원들의 생활상은 동영상을 참조.

300 클럽이라는, 지구상에서 오직 이곳에서만 가입할 수 있는 아주 특별한 클럽이 있다.

1년에 한번씩 겨울이 심해지는 때에 전통적으로(...) 영화 더 씽을 본다고 한다.[3]

남극점에 있으므로 모든 경도선이 만나게 되어 표준시를 정할 수 없기 때문에 표준시가 UTC+12:00, 즉 날짜변경선과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다. 이 시간대는 대한민국보다 3시간 빠르다. 현재 남극점 시각 맥머도 기지와 마찬가지로 보급선인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와 같은 시간대를 사용하도록 맞춰졌다.

남극에 다른 미국 과학기지로는 맥머도 기지가 있다.

맥머도 기지부터 남극점까지는 로스 빙붕을 가로질러 남극 횡단 산지를 넘는 길(South pole traverse)이 깃발로 표시되어 있다. 눈과 얼음으로 덮여 있으며 트랙터나 눈썰매를 통해 남극점 기지로 보급이 이루어진다. 지구상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도로로 보기도 한다.

문명 6 흥망성쇠에서는 불가사의로 등장한다.


[1] 남극점은 매년 아문센-스콧 기지 쪽을 향해 10피트(약 3m)씩 이동하고 있다. 지금은 약 70야드(약 73m)쯤 떨어져 있다고 한다.[2] 그런데 명칭에 대해 영국이 로비를 벌였다는 추측이 있다. 로버트 스콧 문서 참고.[3] 미국 남극기지를 배경으로 탐사대원들과 외계괴물간의 사투를 다루는 영화로, 작중 외계 괴물의 존재를 가장 먼저 알아차리는 인물이 노르웨이 탐사대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