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6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6c> | }}} | |
{{{#!wiki style="color: #06c,#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6c> 고속화도로 | <colbgcolor=#ffffff,#191919> 강남순환로 | |
대로 | 과천대로 · 시흥대로 | ||
로 | 관악로 · 관천로 · 낙성대로 · 난곡로 · 남부순환로 · 문성로 · 보라매로 · 봉천로 · 상도로 · 성현로 · 솔밭로 · 신림로 · 신사로 · 신원로 · 쑥고개로 · 양녕로 · 은천로 · 조원로 · 조원중앙로 · 호암로 | ||
길 | 광신길 · 구암길 · 국회단지길 · 낙성대역길 · 난향길 · 남현길 · 당곡길 · 대학길 · 미성길 · 밤골길 · 방천길 · 복은길 · 서림길 · 서원길 · 성림길 · 승방길 · 신림동길 · 신우길 · 약수암길 · 양산길 · 원신길 · 인헌길 · 장군봉길 · 참숯길 · 청룡길 · 청룡중앙길 · 행운길 | ||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신림로 新林路 | Sillim-ro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관악로 (동) | 보라매로 (북) → | }}} | ||
노선 번호 | |||||
2105번 서울특별시도(관리용)[1] | |||||
도로명 번호 | |||||
3120005 | |||||
기점 |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입구교차로 | |||||
종점 |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당곡사거리 | |||||
연장 | |||||
4.09㎞ | |||||
관리 | |||||
서울특별시 남부도로사업소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당곡사거리 - 미림여고입구교차로 | ||||
6차로 | 미림여고입구교차로 - 서울대입구교차로 | ||||
주요 경유지 | |||||
서울대학교 ↔ 서울대벤처타운역 ↔ 신림역 ↔ 당곡사거리 |
1. 개요
|
신림로의 경로와 인접 행정동 |
2. 구간
색이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다 색이 ■인 화살표는 입체화 되어 있다. |
보라매로 직결 (신대방삼거리역, 보라매공원 방면) | ||||
봉천로 대림동, 구로디지털단지, 신대방역 방면 | ← | <colbgcolor=#c8c8c8,#6c6c6c> 당곡사거리 | → | 봉천로 서울대입구역, 보라매동주민센터 방면 |
신림동길[일방통행] 별빛거리 방면 | ← | (명칭 없음) 비보호 좌회전 | → | 신림로70길 방면 |
김포공항, 구로동, 시흥IC 방면 | ← | 신림역사거리 | → | 예술의전당, 사당동, 봉천역 방면 |
신원로 신원동, 신림교 방면 | ← | (명칭 없음) 연결 도로 간 직진 불가 | → | 신림로58길 방면 |
도로 분리 구간 기종점 | ||||
관천로[일방통행] 신대방역, 신원동주민센터 방면 | → | (명칭 없음) 승리교 신호 없음, 좌회전 불가 | ||
문성로 난곡동, 난곡터널, 신림초교 방면 | ← | 신림1교교차로 신림1교 당곡 방면 진입 불가 | ||
서원길 서원동 방면 | ← | (명칭 없음)[4] 문화교 당곡 방면 진출 불가 | ||
신림2교교차로 신림2교 | → | 쑥고개로 관악구청, 청룡동 방면 | ||
신림로31길 서원동 방면 | ← | (명칭 없음) 신화교 | ||
신림로29길 서림동주민센터, 신림현대아파트 방면 | ← | (명칭 없음) 충무교 | ||
양산길 삼성동 방면 | ← | (명칭 없음) 양산교 | ||
양지길·원신길 서림동 방면 | ← | (명칭 없음) 양지교 당곡 방면 진입 불가 | ||
호암로 안양, 110 삼막IC, 난향동, 미림여고 방면 | ← | 미림여고입구교차로[5] 동방1교 좌회전 제한[6] | ||
신림로23길 대학동, 고시촌 방면 | ← | (명칭 없음) 동방2교 당곡 방면 진입 불가 | ||
신림로17길 대학동, 고시촌 방면 | ← | (명칭 없음) 신성1교 당곡 방면 진출 불가 | ||
대학길 대학동, 박종철센터 방면 | ← | (명칭 없음) 신성교 당곡 방면 진입 불가 | ||
신림로11길 녹두거리 방면 | ← | (명칭 없음)[7] 화랑교 당곡 방면 좌회전 진출 불가 서울대 방면 좌회전 진입 불가 | → | (신림로8길)[간접] 서림동 방면 |
(신림로7나길)[간접] 신림동우체국, 대학동차고지 방면 | ← | (명칭 없음) 신성교 당곡 방면 진입 불가 | ||
신림로7길 삼성초·중교 방면 | ← | (명칭 없음) 신성1교 당곡 방면 진출 불가 | ||
15 17 소하JC, 금천 방면 | ↙↗ ↘↖ | 관악IC[10] | ↘↖ ↙↗ | 양재대로, 1 양재IC, 사당 방면 |
서울대 관악캠퍼스 방면 | ← | 서울대입구교차로 | ||
관악로 직결 (서울대입구역, 관악구청, 서울관악경찰서 방면) |
3. 특징
본래 신대방삼거리역에서 서울대학교 정문에 이어지는 도로였으나, 관할 자치구를 기준으로 구간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보라매로와 신림로로 분리되었다. 2011년 당곡사거리를 기준으로 북향 구간은 보라매로로, 남향 구간은 신림로로 지정되었다.링크신림역 이남으로 지나 승리교부터는 도림천을 사이에 두고 서울대 방향과 당곡사거리 방향을 편도로 평행하게 달리는 형태이다.[11] 군데군데 설치된 교각으로 도림천을 건너 유턴을 할 수 있으며, 좌측으로 횡단하여 진입이 필요한 경우엔 역시 교각을 통해 도림천을 건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로 수요가 많은 삼성동 인근과 녹두거리 인근의 경우 이러한 형태의 일방통행형 횡단 좌회전 / 유턴 교각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이 도로 지하를 관통한다.
3.1. 교통량
신림동에서 남부순환로와 함께 유일한 간선급 도로라고 해도 무방하다. 때문에 이 도로 인근에 있는 모든 주택들과 시설들에서 신림역을 비롯하여 신림동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백이면 백 이 도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어서 교통량이 적지 않은 편. 그래도 대부분의 시설이 일반 주택이고 이 주택의 거주민들 대부분이 이 도로를 이용하는 대중교통(버스 노선)을 이용하므로[12] 비교적 승용차 대수가 많지 않아서 정체 정도는 서울 시내 여타 구간과 비교해 보면 비슷하지만 못 참을 정도로 심하지는 않다.다만 지나치게 많은 신호등 때문에 교통 흐름이 끊기는 것은 문제. 충분히 비보호 좌회전이나 신호 없이 설계할 수 있을 것 같은 곳에도 죄다 신호등이 있다. 아울러 주간선도로 치고는 도로 너비도 좁은 편인데 도로변에 이런저런 공업사, 소상공업체가 많이 위치해 있어 관련 조업차량의 차선 점유도 심하다. 게다가 도림천을 기반으로 조성된 도로다 보니 도로 선형도 도림천의 구불구불한 흐름을 따라 이리저리 꺾여 있다. 이러다 보니 RH 시간의 최대 정체는 생각보다 버틸만 한데 오히려 NH 시간대에도 차가 제 속도를 못 내서 운전자들의 속을 터뜨린다. 심한 경우에는 사람이 아무도 안 건너고 유턴도 아무도 안 하는데 신호가 걸려 있는 뒷목 잡을 상황이 나오기도. 택시 요금도 이러한 정체와 선형으로 실제 간 거리에 비해 많이 나온다.
그렇다고 마땅히 쓸 우회도로도 없어서 이러나저러나 신림로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 현실. 그나마 신림역~당곡사거리 구간은 남부순환로191길을 사용할 수 있는데, 문제는 좌회전이 심하게 제한돼있어서 유턴을 여러번 해줘야 한다.
구간 별로 보면 퇴근시간대 이후 신림역 인근의 정체가 가장 심하다. 남부순환로와 연계되는 교통의 주요 결절점이라 안그래도 통행량이 많은데, 신림역 인근 상권을 이용하는 버스 수요도 겹쳐서 헬게이트가 열린다. 그나마 출근 시간대에야 RH 시간대가 지나면 정체가 풀리는데 밤 시간대에는 답이 없다. 가장 큰 문제는 선술한 좁은 도로폭인데, 그렇다고 이미 형성된 상권을 어떻게 할 수도 없는 노릇.
신림역 인근을 제외하면 미림여고입구교차로의 정체가 가장 심한데, 제한적인 통행 방법 때문이다. 호암로를 이용하여 내려온 차량들이 이 교차로에 도달했을 때 신림역 방향으로의 좌회전이 금지돼 있어서[13] 우회전 후 유턴을 해야하는데, 다음 유턴이 가능한 신성1교까지의 거리가 단 250m 정도로 짧은 탓에 동선이 엉킨다. 다시금 언급하자면 이 일대에서 신림역으로 갈 수 있는 간선도로는 신림로가 유일해서 다른 도로로 우회한다는 선택지도 없다.
4. 지선
(막힘)은 실제로는 본선과 연결되지 않는 지선이다.4.1. 대학동 (~23, 홀수)
대학동 문서에서 다룬 대로 길이 좁아 곳곳이 일방통행으로 지정되어 있다.- 신림로3길 (23번)
관악문화관 서쪽 길. 실질적으로 대학동 시가지의 동쪽 한계선으로, 이 동쪽으로는 서울대학교가 나타난다. - 신림로3가길 (3길 23) - 대학7길 (서울삼성초등학교)
삼성고등학교(신림로 41) 남쪽 길. 이 길과 대학7길을 통해서 서울대학교에서 녹두거리로 바로 통한다. 대학7가길로 이어지는 즈음에 삼성초등학교(대학7길 52)가 소재해있다. - 신림로7길 (71번)
서울산업정보학교(신림로 67) 서쪽 길. 3길이 시가지의 동쪽 끝이라면 7길은 실질적으로 거주구역의 동쪽 끝으로, 이 동쪽은 학교가 많다. 마침 건너편 서림동에서도 신림로7길이 시작하는 즈음에서부터 마을이 시작된다. - 신림로7가길 (7길 13)
서울산업정보학교와 삼성고등학교의 남쪽길. 삼성고등학교의 경우 뒷문으로 출입할 수 있으나, 산업정보학교는 이 길로는 진입할 수 없다. - 신림로7나길 (7길 12) - 대학5길
한남운수 대학동 차고지(신림로7나길 20)의 남쪽길. 7나길 7 / 7가길 21에서 보조번호를 형성한다. - (신림로 87-O)
한남운수 대학동 차고지 진입로. 골목 주변이 대부분 버스 차고지여서 그런지 지선으로 붙지는 않았다. 이 골목으로 들어가는 길목 앞 팻말에서 기다리고 있으면 서울 버스 501를 탈 수 있다. - 신림로11길 (95번) (~151)
녹두거리에 서술되어있듯이 바로 그 녹두리아가 있는 녹두의 메인 스트리트이다. 1.5km에 이르는 장장의 골목으로, 100m 서쪽에 있는 대학길만큼이나 길다. - 신림로11가길 (11길 70)
- (대학길) (103번)
- 신림로15길 (107번) (막힘)
남쪽 방향 일방통행이다. - 신림로17길 (111번) (~113)
대학동 주민센터 서쪽 길. 북쪽 방향 일방통행이지만 일단 한 블록까지는 남쪽으로 진입할 수 있다. - 신림로19길 (117번) (막힘)
남쪽 방향 일방통행이다. - 신림로21길 (123번) (막힘)
북쪽 방향 일방통행이다. - 신림로23길 (127번) (~100)
대학동의 서쪽 마지막 길이며, 관악 청소년회관의 진입로이다. 진입하자마자 있는 골목에 2013년 경에 대형 오피스텔인 일성트루엘오피스텔이 건설되었다.
대학동의 신림로 지선 가운데 가장 넓다. 심지어 시내버스가 지나가는 대학길보다도 넓다. 대학길에서는 인도도 없어서 버스를 피해서 지나가야 하는데 이 길에는 인도도 따로 설치되어 있을 정도. 이 때문에 1차 도로명주소 사업 때에는 '동방길'이라는 개별 이름이 붙기도 했다. 관악 청소년회관 2009년 사진을 보면 '동방길 9' 주소가 붙어있는 걸 확인 가능. - (호암로26가길) (135번) (막힘)
호암로에 한 블록 동쪽에 있는 길이다. 사실 호암로랑 가까워서 호암로의 지선으로 처리된 것이지 신림로19길, 21길처럼 신림로랑 이어지지 않은 지선으로 처리해도 별 상관은 없었을 것이다. 대로에 바로 면한 지선답게 상업 시설이 어느 정도 분포해있다.
4.2. 삼성동 (지선 없음)
동 북쪽으로 신림로가 지나가지만 방천길, 양산길, 원신길, 양지길 등의 개별 도로명이 부여되어 있어서 신림로 지선으로 이름이 붙은 길은 존재하지 않는다.- (원신길) (145번)
신림3교에서 남쪽으로 뻗는 길로, 300번대까지 뻗어 삼성동을 완전히 가로지르는 삼성동의 간선이다. 삼성동시장이 이 길변에 위치해있다. - (양지길) (145번)
원신길과 비슷한 즈음에서 시작되나 서남쪽으로 뻗는 골목 도로이다. - (방천길) (145번)
원신길과 비슷한 즈음에서 시작되나 서북쪽으로 뻗는 골목 도로이다. - (양산길) (169번)
4.3. 서림동 (~39)
도림천 변에 위치한 신림로가 C자의 형태로 서림동의 절반을 감싸지만 언덕 지대로 구불구불한 골목이 많은 지역 특성상 대로인 신림로의 지선이 쭉 뻗지 않는 곳이 많으며 이 지역 마을 도로인 서림길/복은길의 지선들로 주소가 부여된 곳이 많다.4.3.1. 도림천 동쪽 (짝수)
- (서림3길) (68번)
차도는 아니고 계단으로 이어져있다. 서림동은 청룡산 꽤 높은 자락까지 마을이 올라가있어서 계단을 상당히 많이 올라가야 한다. 이 일대 사람들은 그 계단을 '서림동 108계단'이라고 부른다.# - (서림길) (80번)
서울 버스 5519가 지나는 서림동의 첫길로 개별 이름이 붙어있다. 경사가 심하다. 참고로 미림여고 삼거리로 돌지 않고 바로 쑥고개 삼거리와 통하는 지름길로도 쓰인다. - 신림로8길 (82번)
- 신림로12길 (100번)
- 신림로14길
- 신림로18길
- 신림로18가길
도림천과 평행하게 C자로 휘어지는 1블록 안쪽 길이다. 대로 바로 안쪽 길답게 여러 식당들이 분포해있다.
2023년 11월 4일 이 인근에서 서림다복길 마을 행사가 있어 이 도로의 통행이 통제되었다.# - 신림로22길 - 신림로30길
이 일대에서 도림천이 C자로 휘어지는 관계로 약 400m 간격으로 분기한 두 지선이 바로 쭉 이어진다. 이어지는 지점에서 아래 신림로26길도 서쪽으로 뻗는다.
대학동에서 서림동 너머 북쪽 서원동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본로인 신림로는 도림천을 따라 휘어져가기 때문이다. - 신림로26길
- 신림로28길
- 신림로32길
- 신림로36길
- 신림로38길
4.3.2. 도림천 서쪽 (홀수)
대체로 서림동은 도림천 동쪽이고 이 일대는 대부분의 면적이 신림현대 아파트이다. 서림동 주민센터는 이 일대에 있다(신림로29길 6).- 신림로29길
충무교(185번)에서 바로 북쪽으로 뻗는 길이다. 바로 앞에 신림스카이 아파트가 있어 입구를 확연히 알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신림현대 아파트의 입구 역할을 하기 때문에[14] 다른 지선에 비해 4차선으로 넓은 면적을 보이며 횡단보도/신호등도 설치되어있다. 사실 신림로 지선 중 이런 길은 거의 없다.
길 자체가 짧고 그나마도 아파트 부지라서 이 지선으로 주소가 붙은 건물은 많지 않다. 개별 건물은 3, 5, 6으로 3채뿐이고 8은 신림현대 아파트 단지 전체이다.
특이하게도 신림로29길 3에서 뻗은 길이 더 길고 신림로29길 3-○ 식의 주소가 더 많다. - 신림로31길 - 신림로41길
신화교(200번)에서 바로 서쪽으로 뻗는 길이다.
신림로22길 - 신림로30길과 유사하게 도림천이 이 일대에서는 ⊃로 휘어지기 때문에 약 50m(10번) 차이로 분기한 지선이 서로 합쳐진다. 완전히 직선으로 이어지진 않고 조금 꺾여서 이어지며, 보기에 따라 서원7길로 이어진다고 판단할 여지도 있다. 22길-30길과는 달리 이 지역은 상당한 경사가 있어 거리상으로는 지름길인데 지나가는 게 더 편하거나 하진 않다. - 신림로31가길
- 신림로39길
4.4. 신원동
신림로와 관천로가 갈라지는 부근이기 때문에 지선은 53길과 53가길뿐이다.- 신림로53길
- 신림로53가길 (53길 1)
4.5. 서원동 (~59)
4.5.1. 도림천 북쪽 (주로 짝수)
- 신림로44길
250번에서 북쪽으로 뻗는 서원동의 첫 지선이다. 사실 서원동은 신림로 220번 일대에서 시작되지만, 이 지역의 도로는 북쪽으로 길게 뻗지 않고 1블록 가서 동서로 뻗는 식이 많아 신림로 지선은 30번(150m) 더 진행한 지점에서 시작된다. 아래 가/나/다길은 44길에서 동쪽으로 뻗어가는 길이며, 44길도 29번 즈음에서 동쪽으로 꺾어진다.
신림로46길과 매우 가까워 건물 하나만을 사이에 두고 있다. 남쪽 기점이 서원역, 서원동 성당과 바로 붙어있다. - 신림로44가길
- 신림로44나길
- 신림로44다길
- 신림로46길
- 신림로48길
- 신림로48가길
- 신림로48나길
- 신림로50길
- 신림로54길
- 신림로54가길
- 신림로56길
- 신림로58길
- 신림로58가길
- 신림로59길
홀수번이지만 이 즈음에서 도림천과 신림로의 경로가 달라지기 때문에 도림천 북쪽에 속한다.
4.5.2. 도림천 남쪽 (홀수)
- 신림로41길 - 신림로31길
상술한 대로 서림동의 신림로31길과 이어진다. - 신림로43길
- (서원길) (255번)
43길 바로 다음 서쪽 골목이다. 서원역 앞 문화교와 직결되는 길로 개별 이름이 붙어있다.
서원길 서쪽으로도 서원동이 좀 더 이어지지만 신림로 265번부터 서쪽으로 문성로가 새로 뻗기 때문에 다음 서쪽 골목부터는 문성로로 지선이 붙는다.
4.6. 신림동(행정동) (~73)
- 신림로63길
- 신림로64길
- 신림로65길
- 신림로66길
- 신림로67길
- 신림로68길
- 신림로70길
- 신림로71길
- 신림로73길
5. 대중교통
5.1. 버스
(굵은 글씨는 보라매로 구간을 포함한 전 구간 완주 노선)- 152
- 461
- 500
- 501
- 504
- 506
- 651
- 5511
- 5515
- 5516
- 5517
- 5519
- 5522A
- 5522B
- 5523
- 5525
- 5528
- 5535
- 6512
- 6514
- 6515
- 관악03
- 관악05
- 관악08
- 3500
- 8507
- 8541
- 8561
- N15
- N75
5.2. 도시철도
오랜 기간 동안 궤도교통이 없었으나,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2022년 5월 28일 개통되었다. 신림로 전 구간을 지하로 지나간다.
[1] 신림1교교차로~신림2교교차로[일방통행] [일방통행] [4] 교차로 밑으로 서원역이 위치해 있다.[5] 교차로 지하로 서울대벤처타운역이 위치해 있다.[6] 평상시에는 노선 버스 외에 좌회전으로 진출할 수 없으며, 오전 1~5시에 한해 일반 차량도 좌회전이 가능하다.[7] 진입 차량에 한해 신호 없이 비보호로 진입해야 한다.[간접] 간접연결[간접] [10] 강남순환로 양재 방향으로 연결되는 램프는 관악로에서 바로 연결된다. 그래서 서울대에서 나온 차량들이 강남순환로 양재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서울대입구교차로에서 바로 좌회전에서 신림로로 들어가지 말고 우회전해 관악로로 갔다가 유턴해야 한다.[11] 참고로 승리교 이전에도 도림천 서쪽을 따라가는 길이 있다. 도로명은 관천로.[12] 청년 1인가구가 많아 인구수에 비해 승용차 운행대수가 대체로 적다.[13] 노선버스만 좌회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오전 1~5시에만 일반 차량도 좌회전이 가능하다.[14] 양산교(170번)에서 뻗는 양산길로도 단지 내 진입은 가능하나 단차가 있어 계단으로만 입구가 나있다.[15] 2호선 신림역의 경우 도로명주소는 남부순환로이나 신림로를 동서로 교차해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