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12:06:09

스페인-오스트리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
파일:스페인 원형.pn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영국·스페인·지브롤터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유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다자관계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스페인 오스트리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중세2.3. 근세2.4. 20세기2.5. 21세기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스페인오스트리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공통점이 많은 편이고 현재에도 교류가 활발하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양국은 켈트족, 고대 로마 등의 역사를 공유한다. 로마 제국의 통치는 양국에 기독교 그리고 라틴어라는 유산을 남겼다. 스페인에는 라틴어가 보급되었고, 이는 이베리아 반도의 여러 언어들이 라틴어를 기반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1]

2.2. 중세

서기 4세기 이후 로마 제국이 동서 분할되고 서로마 제국이 몰락하는 과정에서 오늘날 오스트리아에 해당하는 노리쿰 속주는 방기되었으며, 로마 제국의 국경을 뚫고 수에비족과 알란족, 서고트족이 이베리아 반도에 정착하였다. 서고트족은 이베리아 반도 대부분 지역을 석권하였으나 이들은 현지 주민들에 비해 문명도가 낮았고 인구도 적었기 때문에 급속히 로마화되었다.

이베리아 반도의 서고트 왕국이 서기 8세기 초 우마이야 칼리파조의 아랍 무슬림들의 공격으로 멸망한 이후, 서기 9세기 프랑크 왕국이 판노니아 일대의 아바르 칸국 세력을 격퇴하고 바이에른의 변경 지역에 새로 오스틀란트(동쪽 변경구역)이라는 군사 구역을 설정하는데 이는 오늘날 오스트리아의 기원이 된다. 독일 왕국마자르족을 격퇴하고 오스트리아 변경백국을 세운 것을 계기로 오스트리아에는 게르만 문화가 보존되고 독일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

양국은 중세사 과정에서 큰 접점은 없었으나 대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일어난 레콩키스타(무슬림의 이베리아 반도에 대항하는 재정복 운동)는 근세 대항해시대 당시 양국이 긴밀하게 엮이는 계기가 되었다.

2.3. 근세

레콩키스타 과정에서 발흥한 아라곤 연합 왕국카스티야 연합 왕국은 동군연합을 이루었고, 해당 동군연합의 왕조가 단절되자,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스페인의 왕위를 계승하였다. 그 결과 양국은 카를 5세때에 한 나라를 이루기도 했다. 합스부르크 왕조신성 로마 제국스페인, 이탈리아의 국왕을 겸하기도 했다. 하지만 카를 5세의 사후, 합스부르크 왕조는 스페인의 압스부르고 왕조오스트리아 대공국에 기반한 합스부르크 제국으로 다시 나뉘었다. 스페인에서는 압스부르고 왕조라는 명칭보다는 오스트리아 왕조(카사 데 아우스트리아; Casa de Austria)라는 표현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압스부르고 왕조는 카를로스 2세까지 유지되었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과정에서 프랑스에 기반한 부르봉 왕조가 스페인의 왕위를 차지했다. 보르봉 왕조의 방계 보르본 왕조가 스페인 왕위를 차지한 것을 계기로 스페인과 오스트리아 사이의 교류는 상당부분 축소되기 이른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 카탈루냐 지방의 자치권이 박탈당하자 일부 카탈루냐인들이 오스트리아가 18세기 당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획득한 바나트 지역(오늘날 보이보디나 일대)로 망명해 정착하기도 했다.

2.4. 20세기

제2차 세계 대전기간에 오스트리아는 나치 독일에 의한 합병이 되고 스페인은 프랑코 정권이 세워졌다. 오스트리아는 나치 독일의 합병에서 벗어난 뒤에 중립국이 되었다. 스페인은 프랑코 정권이 70년대까지 이어지다가 프랑코 사후에 다시 입헌군주제국가가 되었다. 양국은 유럽연합에 가입했다.

2.5. 21세기

양국은 현재 유럽연합의 회원국이고 교류가 많은 편이다. 스페인이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기 때문에 오스트리아에서도 스페인으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스페인어는 관광 수요 때문에 오스트리아에서 배우는 사람이 많다. 또한,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다.

3. 관련 문서



[1] 한 편 중세 신성 로마 제국 주민들은 라틴어를 종교나 학술 용어로 사용하였으며,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에도 자신들이 게르만족이면서 로마인이라는 이중 정체성을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