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부천시 시내버스의 운행 차종을 정리한 문서다.2. 운용 차종
2.1. 현재 운용 차종
2.1.1. 현대자동차
- 뉴 카운티: 청우운수의 58번 계열 시내버스 혹은 서경운수와 은혜교통 마을버스로 운행중이다.
- e-에어로타운: 부흥운수의 주력 차종으로 운행중이다. 원종여객에도 많았으나 현재는 대수가 조금 줄었다. 과거엔 부일교통의 시내버스로도 운행하였다.
- 현대 카운티 일렉트릭: 청우운수에서 운행중이다.
- 그린시티: 시내버스 업체 중에선 부일교통 소사지점과 상동지점, 소신여객에서만 출고하였다. 디젤 테스트카였던 차량 1대를 제외하면 전 차량 가스차로 출고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대차되어 소신여객에서만 운행 중이다. 디젤 차량은 기린운수 마을버스로 운행하였으나 회사가 도산하였다.
- 그린시티 F/L: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소신여객, 성일운수, 부일교통 소사지점에서 가스차로 도입했고, 디젤 차량은 기린운수에 있었으나 회사가 도산하였다. 2021년부터는 전기버스 확대로 인해 도입이 끊겼다. 주황색 봉 차량은 소신여객에만 존재한다.
- 일렉시티 타운: 2022년 12월 30일에 부일교통 작동지점에서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작동지점의 첫 전기버스이기도 하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전 차량 가스 모델이며 2008년 ~ 2018년까지 도입되었다. 성광운수와 도원교통에서는 도입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부천버스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었던 차종이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는 2009년에 청우운수에서 도입한 2대를 제외하면 전 차량이 부천버스에서만 운행하였다.[1] 이후 유로6 기준이 적용되면서부터 이 차량이 급증하기 시작하였는데, 2014년에는 부일교통 상동지점[2], 2015년에는 부천버스와 부일교통 상동지점, 2017년에는 소신여객, 2018년에는 부천버스가 소신여객 취소분 차량 2대를 도입하였다. 부천버스는 좌석형 모델과 입석형 모델을 혼용하여 도입하였고 부일교통은 전량 좌석형, 소신여객은 전량 입석형으로 도입하였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전 차량 가스 모델이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도입하였다. 성광운수와 도원교통, 청우운수는 이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좌석형 차량이 많았던 1차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달리 소신여객에 있는 좌석 예비차량 1대를 제외하고 전 차량 입석형 모델이며 소신여객은 2018년 상품성 개선형 모델 출시 초기 도입분 5대를 제외하면 모두 자동변속기 옵션을 적용하여 도입하였다. 주황색 봉 차량은 소신여객에만 존재하며, 성일운수 차량은 로우백 시트지만 좌석형 배열을 하고 있다.
-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부천버스, 도원교통, 청우운수, 소신여객, 부일교통 상동지점에서 도입했다. 2009년 부천버스에서 최초로 출고하였고 2010년 끝물에 4대를 추가 도입하였다. 도원교통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도입하였고, 당시 계열사였던 청우운수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쭉 도입하였다. 소신여객은 본격적으로 현대차를 출고하기 시작하던 2017년에만 도입하였고, 부일교통은 2015년에 2대, 2017년에 딱 1대 도입하였다.
-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소신여객, 도원교통, 청우운수, 부일교통 상동지점에서 도입하였으며 2023년부터는 모든 업체가 전기버스 출고로 인해 추가 도입이 사실상 없는 상태다.
- 일렉시티 전기버스: 부천버스가 2020년 5월 경기도 최초로 도입했다. 현재 관내 모든 회사들이 보유중이며, 청우운수가 대구 영진교통에 이어 2번째로 좌석형을 도입했다. 후미등이 3구인 2021년 개선 이전 모델은 부천버스와 소신여객만 보유하고 있다.
-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소신여객에서 G8808번에 운행 중이다.
-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소신여객에서 G8808번에 운행 중이다.
2.1.2. 자일대우버스
- 레스타: 청우운수 시내버스 및 서경운수에서 운행 중이다.
- NEW BS090: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도입하였으며 가스차로 운행 중이고 마을버스로도 운행중이다. 디젤 차량은 전부 2012년식이었으며 시내버스 중에서는 소신여객에서만 운행하다 2023년에 모두 대차되었고, 기린운수에도 1대 존재하였다가 2022년에 VBUS-110B로 대차되어 화제를 이끌었으나 회사가 도산하였다. 2022년부터는 전기버스 확대, 2023년부터는 대우버스 단종으로 인해 해당 차종의 도입이 끊겼다.
- NEW BS106: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도원교통, 청우운수, 소신여객, 성광운수에서 도입하였으며 현재 청우운수 차량은 모두 대차되었고 도원교통, 소신여객, 성광운수에서만 운행 중이다.
- NEW BS110: 2014년 ~ 2022년 사이에 성광운수, 부일교통, 청우운수, 도원교통에서 도입하여 운행중이다. 2014년식은 성광운수에서만 출고하였으며 현재는 대차되었다. 청우운수 차량은 KD 운송그룹 취소분이며, 도원교통에서 운행 중인 2021년식 차량은 일부를 제외하면 서울 범일운수 취소분이다.
2.1.3. KGM커머셜
- C090 전기버스: 2024년 12월 상순 부흥운수에서 수도권 최초로 도입했다.
- NEW e-화이버드 전기버스: 2019년에 부천버스에서 도입하여 운행 중이다.
- 화이버드: 2017년에 청우운수에서 도입하여 1대만 예비차로 운행 중이며 나머지는 휴차 상태이다.
2.1.4. 우진산전
- 아폴로 1100 전기버스: 2024년 9월 소신여객에서 도입했다.
2.1.5. 하이거
- 하이거 하이퍼스 전기버스: 경기도 최초의 하이거 하이퍼스며 현재도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소신여객에서만 운행 중이다.
- 하이거 하이퍼스11L 전기버스: 경기도 최초의 하이거 하이퍼스 11L이며 현재도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소신여객에서 운행 중이다. 일부 차량은 관악교통 도입분이었으나 배터리 인증 이슈로 인해 반납되었던 차량이다.
- 하이거 하이퍼스1611 전기버스: 소신여객에서 운행 중이다.
- 하이거 하이퍼스1611P 전기버스: 2023년 12월 소신여객에서 출고하였다.
- 하이거 하이퍼스 HP 전기버스: 경기도 최초의 하이퍼스 HP이며, 2024년 9월 소신여객에서 도입했다.
2.1.6. BYD
- BYD eBus-12 전기버스: 소신여객에서 2023년 11월 말 첫 도입했다.
- BYD eBus11 전기버스: 소신여객에서 2024년 10월 말 첫 도입했으며, 동년 12월 중순에는 청우운수에서도 도입했다.
2.2. 과거 운용 차종
2.2.1. 현대자동차
- 카운티: 청우운수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로 운행했다.
- e-카운티 (F/L): 청우운수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로 운행했다.
- 에어로타운: 마을버스로 운행했다. 주로 부흥운수, 원종운수에서 운행하였다.
- 글로벌900: 2005년 ~ 2007년에 부일교통에서 가스차로 도입했다.
- 글로벌900 F/L: 2008년에 부일교통에서 가스차로 도입했다.
- R182: 1970년대 초 소신여객에서 도입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2000년대 이전에 부천시 관내 시내버스에서 볼 수 있던 유일한 현대자동차 차량으로 추정된다.
- FB485: 1980년대 초반 부평여객, 대한여객 등에서 도입하였으며 시외완행버스에서 볼 수 있었다.
- RB520: FB485를 대체하는 차량으로, 이 또한 1985년 ~ 1986년에 부평여객에서 도입하여 시외완행버스에서 볼 수 있었다. 1984년에 대한여객에서도 딱 1대 도입했으나 회사가 금방 없어지고 압류 당했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2005년 ~ 2006년에 부천버스만 가스차로 도입했다가 일부 부일교통과 소신여객, 성광운수로 넘어갔다. 그 외에도 2006년식 차량들은 2011년에 전 차량 매각되어 각지로 흩어졌다. 부일교통은 2013년 중순에 조기대차하였으며 소신여객은 2013년 말에 말소시켰다. 이후 2015년 여름에 부천버스마저 해당 차량을 대차시키면서 전멸하였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2006년에 도원교통에서만 도입하였다가 2015년에 대차되었다.
-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06년에 2대, 2007년에 2대씩 부천버스에서 도입했다. 전 차량 소신여객으로 넘어갔다가 2013년에 조기말소되었다.
- 에어로 600: 1989년부터 1990년에 부평여객에서 시외완행버스로 소수 도입하였다.
에어로 스페이스 LS: 1997년식 차량으로 승원여객 → 용일여객 → 성우운수를 거쳐 2002년 12월 부천버스에서 중고 도입하였다. 3548~3550호로 면허할당됐으나 이상하게도 면허가 등록된 당일에 곧바로 말소 등록되었다.-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넷버스여행사 출신 전세버스 차량으로 8808번에서 운행했다.
-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넷버스여행사 출신 전세버스 차량으로 8808번에서 운행했다.
-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넷버스여행사 출신 전세버스 차량으로 8808번에서 운행했다.
2.2.2. 자일대우버스
- 대우버스 BM090 로얄미디: 1997년 ~ 2001년에 걸쳐 경성여객, 성민버스, 소신여객에서 도입했고, 018번 마을버스로도 소수 운행했다. 소신여객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중고차로 도입되었고 또 그만큼 중고차로 팔려나간 수량이 상당하다. 굉장히 다양한 도색과 옵션의 차량들이 혼재하였다. 2011년 11월 소신여객에 다니던 차량이 대차되면서 관내 BM090은 전멸하였다.
-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2002년 ~ 2007년에 걸쳐 부천시 관내 시내버스 회사 전체가 도입하였다. 디젤 모델은 2002년 소신여객에서 최초로 도입하였다. 관내 회사 모두 디젤 모델을 도입한 이력이 있으나, 대부분 조기대차되었다. 가스 모델은 2002년 성민버스가 최초로 출고하였으며 소신여객, 성광운수에서는 자체 출고한 적이 없다.[3] 원종운수 마을버스로도 일부 운행했다. 부일교통에 2009년식 BS090을 도입하게 된 특이한 케이스가 존재했다. 출고 결함으로 인해 이렇게 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지역에서는 페이스리프트 이전 차량이 전멸한 지 꽤 지난 시점인 2019년까지도 잘 운행되었기 때문에 동호인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이끌다가 이후 휴차되었고 결국 2020년에 대차되었다.
- 대우버스 BS090 F/L 로얄미디: 성광운수, 부일교통에서 도입하였으나 주로 부일교통에서 흔히 볼 수 있었으며 기린운수 마을버스로도 운행하였다. 가스 모델은 부일교통에서만 도입하였다. 기린운수에서 마지막으로 운행하였다.
- 새한 BF101: 소신여객에서 1978년 ~ 1982년에 많이 도입했다. 80년대 중반까지 부천시 시내버스의 대부분이 이 차량이었다.
- 대우 BF101: 소신여객에서 1983년 ~ 1985년에 많이 도입했고, 폴딩중문형 대다수에 슬라이딩 중문형도 일부 있었다. 개체수가 많은 편이었으나 수도권에서 프론트엔진 버스를 빠르게 축소하는 추세였기 때문에 1993년에 일찌감치 전멸하였다.
- 대우 BF101Q: 역시 소신여객에서 1986년 ~ 1987년에 걸쳐 출고되었으며 폴딩중문형으로 도입했다. BS105 출시 시기와 겹쳐 많은 차량이 도입되지는 않았으며, 이 역시 프론트엔진 버스 축소 추세에 맞춰 1994년에 전멸하였다.[4]
- 대우 BS105: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던 BF101을 대체하는 차종으로 1987년 ~ 1991년에 소신여객에서 많이 도입하였으며, 극소수 시외완행버스로도 운행하였다.
- 대우 BS106 하이파워: 1991년 ~ 1997년에 소신여객에서 상당히 많이 도입하였고[5], 1996년 ~ 1997년에는 경성여객에서도 좌석형 모델을 대량 출고하면서 1990년대 부천시 시내버스의 주력 차종이 되었었다. 1995년부터는 갈색 창틀 + 냉방형 버스를 도입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하얀색과 하늘색 조합 도색이 아니라 다른 도색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는데, 이 도색이 흔히 소신여객 구도색이라고 부르는 청록색과 붉은색의 조합 도색이었다. 2006년 소신여객에서 마지막으로 운행하다 대차되었다.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소신여객, 부천버스, 도원교통, 청우운수에서 도입하였고 특히 소신여객에서 상당히 많이 도입하여 2000년대 부천시 시내버스 주력 차종이 되었다. 소신여객에 있던 1998년식 일부는 영풍운수 출신이었고, 2001년식 차량은 경향여객 출신에 저출력형 모델이었다. 또한 부천버스와 소신여객에서 운행했던 2007년식 좌석형 차량 중 일부는 김포운수 출신 차량이었다. 그 중 소신여객 차량은 좌석 배열이 개조되어 시트는 좌석형이지만 배열은 입석형이었다. 2018년 6월 소신여객을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
- 대우버스 BS106 F/L 로얄시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성광운수를 제외한 모든 업체에서 도입했으며[6], 역시 소신여객에서 굉장히 많이 출고하면서 2010년대 소신여객의 주력 차종으로 군림하였다. 마지막 또한 소신여객에서 2023년 연말까지 운행하다가 현재는 전 차량 대차되었다. 크롬시티라고 불리는 후기형 차량은 소신여객에서만 도입하였다. 디젤 모델 또한 소신여객에서만 도입하였다. 부천버스와 부일교통은 2010년에만 도입하였으며 좌석형 모델로 도입하였다.
- 대우버스 BS106L F/L 로얄시티: 소신여객에서만 2010년에 도입하였으며, 전 차량 안양 삼영운수의 취소분 차량이다. 2021년 2월에 일렉시티 혹은 하이거 하이퍼스로 대차되면서 전멸.
- 대우버스 BC211M 로얄하이시티: 2007년에 부천버스에서 좌석형 모델로 도입하였으나 2013년에 일부 차량이 제물포교통, 뉴시티로 매각되었다가 얼마 못 가 남은 차량도 모두 매각되었다.
- 대우버스 BS110CN: 2006년 ~ 2007년 각각 2대씩 소신여객에서 도입하였고, 2007년에는 도원교통에서도 2대 도입하였다. 도원교통은 2014년에 조기대차, 소신여객은 2017년까지 운행하다가 대차되었다.
- 대우버스 BS110CN F/L: 2007년 ~ 2011년에 부천버스, 소신여객에서 도입하였으며 부천버스 차량은 2010년에 4대 모두 소신여객으로 매각 및 말소되었다. 소신여객은 자체출고분 외에도 부천버스, 고양교통 출신 차량도 존재했다. 2011년식 차량이 2023년 12월까지 운행하면서 수도권 최후의 BS110CN F/L 차량이 되었었다. 소신여객 차량 중 2007년식 사양임에도 출고 결함으로 인해 2009년에 출고된 차량이 존재했다. 덕분에 2007년식에만 존재하던 흔치 않은 가로배열 시트와 수평 와이퍼 옵션이 적용된 차량을 2019년까지 볼 수 있었으나 결국 2020년 초에 말소되었다.
- 대우버스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1996년 ~ 1997년식으로 부천버스, 성민버스에서 운행하였으며 부천버스는 세풍운수로부터 905번을 인수하며 도입하였고, 성민버스는 김포교통으로부터 63-1번을 인수하며 도입하게 된 차량이다. 부천버스는 내구연한이 도래하는 2005년까지 운행하였으나 성민버스는 인수한 지 5개월 만에 김포운수로 노선과 차량을 모두 매각하였다.
- 대우버스 BH115E 로얄이코노미: 소신여객에서 도입한 첫 고급좌석 사양의 차량이었으며 700번 좌석버스를 개통하던 2004년에 일괄 도입하였다. 일반좌석버스 등급으로 전환되었음에도 직행좌석 도색을 유지한 것이 특징이었다.
- 대우버스 BH115E 로얄이코노미 II: 2007년 소신여객에서 도입하였으며 700번 좌석버스에서 2대 운행하였다.
- 대우버스 BH116 로얄럭셔리: 1999년 ~ 2000년식으로 부천버스에서 운행하였으며 BH115H와 마찬가지로 세풍운수로부터 905번을 인수하며 가지게 된 차량이다. 2005년에 선진시내버스로 매각되었다.
- 대우 BH120F 로얄크루저 II: 넷버스여행사 출신 전세버스 차량으로 8808번에서 운행했다.
2.2.3. 기아자동차
-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썬샤인: 넷버스여행사 출신 전세버스 차량으로 8808번에서 운행했다.
2.2.4. 아시아자동차
- AM805 콤비: 1990년대 초반까지 소신여객 15번, 1990년대 후반까지는 018번 마을버스에서 볼 수 있었다.
- AM825 하이콤비: 마을버스에서 운행하였다.
- AM818 코스모스: 소신여객, 부천버스, 도원교통에서 운행하였다. 소신여객을 제외하면 전 차량 타 업체 중고차였다.
- 기아 KM828 뉴 코스모스: 성광운수, 부천버스, 도원교통, 청우운수에서 운행하였으며 부흥운수, 원종운수, 역곡마을버스 등 마을버스에서도 많이 운행했다.
- AM907: 대한여객 시외완행버스에서 소수 운행하였다.
- AM927: 대한여객을 제외한 시외완행버스 업체들이 매우 선호하는 차량이었으며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상당히 많은 차량이 출고되어 시외완행버스 차량 비율 중 약 90% 가까이 차지하였으나 1993년과 1996년 시외완행버스 업체들의 연쇄 도산으로 그 많은 차가 모조리 압류되면서 볼 수 없게 되었다. 그 덕에 2017년 ~ 2018년이 되어서야 말소 처리가 되었다.[7]
- AM937E: AM927과 마찬가지로 시외완행버스에서 볼 수 있었으나 업체들의 경영난이 본격화되던 시기에 출시된 차량이라 현대교통에서만 1992년식 차량을 극소수 볼 수 있었으나, 그마저도 1996년에 도산하면서 압류되어 도입 4년 만에 자취를 감춰버렸다.
2.2.5. KGM커머셜
- 프리머스: 청우운수에서 2010년에 5대, 2011년에 1대 도입하였다. 2010년식 차량 중 1대는 2013년 봉오대로에서 화재 사고로 인해 조기대차된 이력이 있다.
3. 기타
부천시 시내버스는 아주 먼 옛날부터 부천시 최대 버스 업체로 자리잡았던 소신여객의 지독한 대우버스 사랑과 부천시 내에 위치한 대우버스 본사 덕분에 늘 전통적으로 대우버스가 초강세인 지역이었다. 그 덕에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대우버스가 절대다수였다. 그래도 1980년대 말 ~ 1990년대 초반까지는 아시아버스도 시외완행버스로 많이 볼 수 있었으나, 현대자동차의 버스는 이상하리만큼 부천시에서 힘을 쓰지 못하였다. 1970년대 초 소신여객에서 R182를 도입한 것과 80년대 초중반 부평여객 같은 시외완행버스 회사에서 소수 도입한 FB485, RB520, 그리고 에어로타운이나 카운티 같은 중소형 마을버스 정도의 경우를 빼면 거의 없었을 정도로 현대버스가 초약세였다.[8] 그러다가 2005년 갑작스러운 부천버스의 현대버스 도입을 필두로 2006년에 도원교통의 현대버스 도입, 그리고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현대 저상버스의 도입량이 급증하게 되었고 201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소신여객마저 현대버스를 선호하기 시작하면서 빠른 속도로 대우버스의 비중이 줄어들게 되었다. 거기에 대우버스의 베트남 이전 사태와 폐업, 부천시의 전기 버스 확대 정책에 의해 현재는 현대 일렉시티가 부천시의 주력 차종이 되었다. 다만 소신여객은 하이거 및 BYD 등 중국산 전기버스들을 비롯해 우진산전 아폴로 1100도 출고하는 등 다양한 차종들을 도입하고 있다.프론트엔진 버스가 상당히 빠르게 퇴역한 편이다. 프론트엔진 버스가 굴러다니던 당시에는 부천 관내 시내버스가 소신여객밖에 없었는데, 소신여객이 이 프론트엔진 버스들을 일찌감치 조기대차시키다가 결국 마지막 남은 1987년식 BF101Q조차 1994년에 완전히 다 퇴역시켰다. 소신여객을 제외하면 항상 부실경영으로 휘청거리던 시외완행버스 업체들밖에 없는데, 그 돈 없어서 허덕이던 시외완행버스들조차 리어엔진 버스인 AM927로 도배가 된 상태였다.
천연가스버스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던 2001년에는 대장공영차고에 충전소가 아직 마련되지 않아 출고하지 못 하다가 이후 충전소가 완공되자 소신여객에서 2002년 ~ 2003년에 걸쳐 20대 가량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후부터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들도 하나둘씩 천연가스버스를 출고하기 시작하였다.[9] 이 이후로 부천시 시내버스 출고 차량은 대부분 가스 차량으로만 출고되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부천시 최초 천연가스버스 출고 업체인 소신여객은 2012년까지 디젤 차량도 상당히 많이 출고했다.
GBUS 브랜드가 출범하기 이전에는 소신여객을 제외한 모든 회사들이 도색을 중구난방으로 하고 다녔다. 그 중 최고봉은 부천버스로, 어림 잡아 7개 이상의 도색이 한번에 존재했다. 도원교통도 성민버스 시절에 상당히 많은 도색이 존재했다. 오히려 마을버스 회사들은 소신여객과 똑같은 도색을 적용하여 통일시켰다.
소신여객을 제외한 업체들이 모두 과거에 중형버스 위주로 출고하던 시절이 있었다. 처음부터 시내버스 업체였던 부천버스나 도원교통도 2006년 이전에는 BS090이나 BM090을 주력으로 운행하였고, 마을버스 출신인 부일교통, 성광운수도 2016년까진 거의 대부분 중형버스인 BS090으로만 도입하였다. 과거 부일교통 작동지점이었던 뉴부일교통은 소사동 골목길이 협소하여 대형차량 투입이 어렵기 때문에 현재도 중형차량인 일렉시티 타운 차량을 출고하고 있다. 단, 예외적으로 과거 마을버스 업체 출신이었던 청우운수는 시내버스로 전환 이후 저상버스 도입을 굉장히 적극적으로 하여 2013년에 중형버스가 전멸했다.
저상버스는 2006년 4월 소신여객에서 BS110CN을 출고한 것이 최초이며 2000년대에는 소신여객이 주로 출고하였고, 2010년대에는 도원교통, 청우운수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그러다 2020년대 들어서부터는 부천시의 전기버스 보급 정책에 따라 모든 업체들이 공통적으로 전기버스, 저상버스 도입에 아주 적극적인 편으로 변하면서 2023년 이후부터는 전 차량 전기 저상버스로 도입되고 있다.[10]
현대 입석 고상버스 의자는 초기 글로벌900을 제외하면 2018년 초까지만 해도 전 차량 스펀지 시트로 출고하였으나 상품성 개선형 모델 출시 이후로는 그린시티까지 모두 로우백 시트를 적용하는 추세다. 부일교통은 2018년부터 로우백 시트로 출고하고 있고 소신여객은 2018년식 ZF 오토 차량부터 로우백 시트로 출고하고 있다. 다만 동시에 나온 2018년식 그린시티는 스펀지 시트이다.
반대로 대우버스를 출고할 때의 입석 시트는 2007년부터 모든 업체들이 플라스틱 시트로 출고하는 경향이 강했다가 2016년부터는 스펀지 시트로 출고하곤 했다. 부일교통[11]과 성광운수[12]만이 스펀지 시트로 출고하다가 2016년부터는 다시 스펀지 시트 위주로 출고하기 시작하였다.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들은 대체로 시내버스에 입석 모델을 강하게 선호하는 편이지만, 예외적으로 부천버스와 부일교통 상동지점은 좌석형 모델 도입에 적극적인 편이었다. 특히 부천버스에서는 도입하는 차종마다 좌석형 모델이 꼭 포함되었을 정도로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소신여객, 성광운수, 부일교통 작동지점 등에 존재했던 좌석형 차량들은 전부 다 부천버스 출신 차량이었다. 다만 2012년 ~ 2013년에는 입석형 모델만 출고하였고, 현재는 모두 일렉시티나 화이버드로 대차되면서 좌석형 차량은 1대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
에어컨 슈트락 옵션은 모든 회사가 덴소 슈트락을 선호하는 편이다. 또한 소신여객, 부천버스, 성광운수에서는 3팬 옵션으로 출고한 차량이 꽤 존재한다. 소신여객은 오래 전부터 항상 덴소풍성 3팬 옵션만을 고집하다가 2011년부터는 덴소풍성 5팬 옵션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출고하기 시작하였다. 일부 동환산업[13], 두원공조 슈트락[14]이 존재하긴 하나 그 외에는 전부 덴소로 출고하였다. 예외적으로 부천버스는 여러 제조사의 슈트락이 공존하고 있었는데, 중고차 도입이나 재고차 출고가 잦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덴소풍성이 가장 많았긴 하지만 두원공조, 동환산업 슈트락이 올라간 차량들의 비율도 제법 적지 않았다.
변속기는 도원교통을 제외하면 ZF제 변속기를 선호한다. 도원교통은 ZF제 변속기 차량이 존재하기는 하나 부천시 관내 업체 중 유일하게 앨리슨 자동변속기 옵션을 주력으로 선택하는 회사이다.
전기버스 도입 활성화로 기존의 내연기관 사용 차량들이 법정 내구연한이 충족되기 이전에 조기대차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부천버스의 경우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천연가스버스 2대가 2023년 5월 18일부로 일렉시티로 대차됨에 따라 전 차량이 전기버스인 업체가 되었다.
[1] 영풍운수 출신 차량도 일부 존재.[2] 1대만 출고되었으며 52번 화재차량 대차분으로 출고한 차량이다.[3] 단 두 업체 모두 2010년 부천버스 노선 인수 과정에서 BS090 가스 모델을 보유하게 되었다.[4] 경기도 지역에서 1980년대 말 이후로 일반도시형에 폴딩중문형으로 도입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다.[5] 경기교통, 영풍운수 출신 차량 일부 혼재.[6] 이 당시에는 성일운수가 없었으므로 논외.[7] 심지어 일부 차량은 여전히 면허가 살아있다.[8] 전국적으로 흔하디 흔했던 에어로시티와 슈퍼 에어로시티가 부천시 관내 시내버스에는 단 1대도 존재하지 않았단 의미다.[9] 다만 소신여객 사내 반응은 좋지 않았는지 2002년 ~ 2003년 동안 20대 뽑은 이후 2005년까지 쭉 디젤 모델만 출고한 것도 모자라 해당 차량들을 조기대차 혹은 말소해버렸다.[10] 단 저상버스 투입 불가 노선인 58번 계열 노선 제외.[11] 단, 글로벌900과 2007년식 BS090에는 플라스틱 옵션을 선택하였다.[12] 2012년 출고한 NEW BS106은 플라스틱 시트였다.[13] 하남시내버스 취소분 2011년식 BS106 일부와 2020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14] 2017년식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 한정이며, 해당 연식의 차량에 덴소 슈트락이 적용되지 않아서 두원 옵션이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