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2:28:23

미나미산리쿠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파일:JRE_Wlogo.svg
JR 동일본
우등열차
}}}
{{{#!wiki style="color: #0089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신칸센 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코마치 · 츠바사 · 토키 · 타니가와 ·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 · 시오사이 · 사자나미 · 와카시오 · 오도리코 · 쿠사츠·시마 · 아카기 · 히타치 · 토키와 · 시라유키 · 아즈사 · 카이지 · 후지카이유 · 이나호 · 츠가루 · 닛코 · 쇼난 · 키누가와 · 시나노 · 신슈
쾌속 시모키타 · 미스즈 · 하마유리 · 아이즈 · 리아스 · 베니바나 · 모가미카와 · AIZU 마운트 익스프레스 · 카루이자와 리조트 · 로쿠몬 · 시나노 선라이즈 · 시나노 선셋 · 어반 · 래빗 · 홀리데이 쾌속 오쿠타마
관광 트란 스위트 시키시마 · THE ROYAL EXPRESS
임시특급 카마쿠라 · 아시카가 오후지마츠리호 · 미나카미 · 타니가와다케 야마비라키 · 알프스 · 하쿠바 · 이브닝웨이
임시쾌속 후루티아 후쿠시마 · 리조트 시라카미 · TOHOKU EMOTION · HIGH RAIL 1375 · 오이콧토 · 카이리 · SL 무라카미 히나카이도호 · SL 반에츠 모노가타리 · 히나비 · B.B.BASE }}}}}}}}}
{{{#!wiki style="color: #0089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폐지된 열차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신칸센 아사히 · 아오바
침대특급 사쿠라 · 카시오페이아 · 호쿠토세이 ·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 니혼카이 · 아케보노 · 하야부사 · 호쿠리쿠
침대급행 하마나스
특급 호쿠에츠 · 도카이 · 아사마 · 하츠카리 · 아야메 · 카가야키 · 타자와 · 아키타 릴레이 · 카모시카 · 하쿠쵸(1대) · 하쿠쵸(2대) · 츠바사 · 하쿠타카 · 하치오지 · 오메
급행 치쿠마 · 노토
초쾌속 스노우 래빗
쾌속 신에츠 · 홀리데이 쾌속 아키가와 · 아테루이 · 카사마 de 오산포호 · 문라이트 신슈 · 쿠비키노 · SL 긴가 · 문라이트 나가라 · 미나미산리쿠 · 리아스 시 라이너 · 센다이 시티 래빗 · 액티 · 센잔 · 페어웨이 · 후카우라 · 리조트 미노리 · 아가노 · 잇손이치야마 · 에어포트 조반 · 에어포트 나리타 · SL 아이즈타다미호 · 슈퍼 드래곤 · 하치만타이 · 마린 블루 쿠지라나미
보통 묘코 }}}}}}}}}

南三陸
Minamisanriku / 미나미산리쿠

'''
운행종료
'''
파일:Southsanriku.jpg
키하 110계 동차
열차 정보
운행 지역 미야기현
열차 종류 쾌속열차
기점 센다이
종점 케센누마
정차역 수 최대 15역
운행개시일 1988년 3월 13일
운행종료일 2011년 3월 11일
운영자 JR 동일본
사용 차량 키하 110계 동차
노선 제원
운행거리 128.8km
궤간 1067mm
전력 공급 비전화
최고 속도 110km/h
전 구간 전면 주행 영상
1. 개요2. 역사3. 정차역

1. 개요

JR 동일본이 운영했던 쾌속열차로, 센다이와 케센누마를 이었다.

2. 역사

이 열차의 전신은 1986년 11월 1일 설정된 센다이 ~ 케센누마 간 무애칭 쾌속열차였다. 이후 이 열차가 1988년에 미나미산리쿠라는 애칭을 얻게 되었다.

1990년에는 1왕복이 케센누마에서 오후나토선을 경유하여 사카리까지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1993년에는 이 열차들에 지정석도 설정되었다. 다만 이 운행계통은 2001년 폐지되었다.

이후에도 잘 운행하다가 2010년부터는 일부 열차의 편성을 최대 5량까지 늘리는 등 안정적으로 수요를 확보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1년동일본 대지진이 터져버렸고, 그날부로 케센누마선의 여객영업이 중단되면서 그대로 운행중단되었다. 이후 케센누마선의 피해 구간이 케센누마선 BRT로 대체되고, 2020년 4월에는 이 구간의 여객영업도 공식적으로 폐지되면서 이 열차는 완전히 운행이 종료되었다.

3. 정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