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PGA 투어 | |||
2002 KPGA 투어 1차 리그 | 리복배 KPGA 투어 2차 리그 | 펩시 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 리그 |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 | |
MSL | ||||
Stout MSL | TG삼보 MSL | 하나포스 센게임 MSL | Spris MSL | |
당신은 골프왕 MSL | 우주닷컴 MSL | CYON MSL | 프링글스 MSL 시즌1 | |
프링글스 MSL 시즌2 | 곰TV MSL 시즌1 | 곰TV MSL 시즌2 | 곰TV MSL 시즌3 | |
곰TV MSL 시즌4 | Arena MSL 2008 | Clubday Online MSL 2008 | 로스트사가 MSL 2009 | |
아발론 MSL 2009 | NATE MSL | 하나대투증권 MSL | 빅파일 MSL | |
피디팝 MSL | ABC마트 MSL | | ||
기타 대회 | ||||
2001 KPGA 8월 투어 | 2001 KPGA 9월 투어 | 2001 KPGA 10월 투어 | 2001 KPGA 11월 투어 | |
한빛소프트배 2001 KPGA 위너스 챔피언십 | 2003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 레이디스 MSL |
1. 개요
- 대회 기간: 2009년 1월 8일 ~ 2009년 3월 21일
- 스폰서: 아이오 엔터테인먼트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룩게임, 로스트사가
- 조 편성
A조 김택용, 마재윤, 박문기, 김명운B조 김구현, 박찬수, 신상문, 박재혁C조 허영무, 변형태, 박재영, 정명훈 D조 윤용태, 권오혁, 이경민, 한상봉 E조 박명수,신희승, 박영민, 조일장F조 이성은, 이영호, 진영수, 이제동G조 이윤열, 김동건, 민찬기, 고인규 H조 송병구, 박지수, 염보성, 김창희 - 우승: 없음[1], 준우승: 허영무, 공동 3위: 송병구, 김명운
- 결승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DOM 아트홀
- 리그 슬로건: THE LIVE
- 오프닝 BGM: Linkin Park - What I've Done[2] / My Chemical Romance - Famous Last Words[3]
- 결승전 오프닝 BGM: Red - Breathe into Me
- 특이사항
- 업계 최초로 오프닝에 고속카메라 도입.
- 해설진 티저 오프닝 시리즈 종결.
- 사상 첫 번째로 특수 사이즈(112×128)맵 도입(카르타고).
- 어린이 대공원 DOM 아트홀에서의 네 번째 결승전(단일 리그 결승 최다 유치기록 타이).[4]
- 테란, 두 대회 연속 MSL 4강 진출 실패.
- 이윤열의 마지막 MSL 8강 진출.
- 허영무 콩라인 가입.
박찬수, 생애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개인리그 우승.- 최초로 양대리그 동시 2연속 준우승을 기록한 시즌.[5]
- 프로토스가 결승전에 진출한 마지막 MSL이자 MSL, 양대리그 사상 마지막 저프전 결승전.
- 송병구의 마지막 MSL 4강 진출.
- 허영무의 마지막 MSL 결승 진출 및 준우승.
2008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오프닝 링크
로스트사가 MSL 조지명식 강민 오프닝 링크 - 방영 당시 폭풍간지를 선보여 호평이 자자했는데, 스동갤에서는 강민이 경기를 중단시키고 코를 풀었던 과거 전력에 빗대어 던지는 카드를 코 푼 휴지로 바꾼 동영상이 만들어졌다(...).
로스트사가 MSL 티저 오프닝 링크
로스트사가 MSL 오프닝 링크
로스트사가 MSL 목요일 브릿지 오프닝 링크
로스트사가 MSL 토요일 브릿지 오프닝 링크
로스트사가 MSL 결승전 오프닝 링크
자세한 대진표는 로스트사가 MSL 2009/대진표를 참고.
2. 사용 맵
| |||
| | | |
카르타고 | 비잔티움 ll | 신 청풍명월 | 데스티네이션 |
3. 리그 진행
3.1. 역대급 조지명식
조지명식에서 누구도 기대하지 않았던 박문기의 대분투로 온갖 화제가 만발했다. 문기신 하이라이트 조지명식 #1 #2 #3 역대 가장 재미있는 조지명식으로 첫 손에 꼽히는 조지명식이지만, 워낙 박문기가 도발적인 멘트를 꺼낸 만큼 이 조지명식은 평가가 극단적으로 갈린다. 특히 박문기가 전 대회에서 르네상스를 맞이한 프로토스 육룡[6]을 일방적으로 폄하했기 때문에, 나쁘게 평가하는 쪽, 특히 토스 팬은 '커리어도 없는 듣보잡이 나대서 겨우 만들어놓은 토스의 금자탑이 허물어졌다.'는 식으로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한다.3.2. 화려했던 오프닝
오프닝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동시기 스타리그 오프닝을 능가하는 평가를 들었다. 동시기였던 BATOO 스타리그 08~09는 스타리그 역사상 최악의 오프닝 중 하나로 꼽히는 영상이었던 데다가 늘 온게임넷보다 떨어지는 오프닝을 찍어내던 MSL이었으니...이 대회 오프닝은 보통 역대 MSL 오프닝 중 CYON MSL, 프링글스 MSL 시즌2, 곰TV MSL 시즌1, 곰TV MSL 시즌3, Arena MSL 2008, 하나대투증권 MSL 오프닝과 함께 가장 퀄리티가 좋았던 MSL 오프닝으로 평가받는다.
그래서 티저 오프닝도 역대급으로 2개나 뽑아냈는데 문제는 개막전 티저 오프닝의 메인이었던 김택용이 첫 날 광탈해버리는 사건이 터져버림으로써 전 대회 우승자라는 프리미엄을 가지고도 리그 내내 오프닝에서만 보이는(…) 뻘쭘한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본 오프닝에서도 김택용 못지 않게 단독으로 큰 비중과 멋있는 장면을 차지한 이제동도[7] 32강에서 진조작, 이영호에게 차례대로 패하며 광탈하면서 마찬가지로 리그 내내 오프닝에서만 보이는(…)[8] 뻘쭘한 사태가 발생하고 말았다.[9]
3.3. 그러나...
조지명식에서 화제거리가 많은 대회들이 대개 조별 리그 이후로 대진이 밋밋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 대회도 예외는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다시 리그사실 허영무, 송병구 쪽의 대진은 그냥 무난하게 올라오고 있었으나, 문제는
사실 쌍둥이 형제인
토스빠들을 등에 업긴 했지만 당시 허영무는 투명라인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프로리그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성적을 냈고, 또한 2연속 (MSL) 결승 진출을 할 만큼 이미 실력은 검증된 상태였으나, 실력과는 별개로 흥행력은 검증되진 않았던 선수였기에 4강에서 팀 동료 송병구를 셧아웃시키는 순간 토스빠들마저 '흥행 망했구나'라고 탄식했다.
결과적으로
사실 '리그 브레이커' 운운하는 위의 기술 태도는 전형적인 스갤러의 시각으로 지나치게 흥행 카드에만 초점이 집중되고 스포츠의 의외성을 부정하는 편협한 시각으로 보이나,
그나마 재평가를 할 건덕지가 있다면 동족전 결승은 아니었단 거고, 당시
3.4. 김택용과 마주작의 택마록
32강 듀얼 토너먼트 개막 전에 김택용은 조작범과의 3.3 혁명 결승 예고에서 한 우승 3번은 더 하고 오셔야...라는 멘트를 이야기했고 개막전에서 택마록이 벌어진 결과는 조작범의 엘리 관광. 그리고 혁명가는 이때 조가 또 3저그였고 김명운에게 패한 저그 박문기를 잡고 마주작에게 패한 김명운에게 김택용은 패배하고 또 광탈.[21]3.5. 천재의 마지막 불꽃
올드팬들 입장에서는 이윤열의 마지막 개인리그의 불꽃을 보는 데 만족해야 했다. 클럽데이 온라인 MSL에 이어 2연속 8강 진출한 후 당시 대 테란전 최강자이자 엠겜 승률 1위를 차지하고 있던 허영무를 만나 풀세트까지 끌고 갔지만 세트 스코어 2:3으로 아깝게 패배하였다.[22] 전 시즌에도 8강을 갔지만 윤용태에게 노레이즈 관광을 당하며 셧아웃당해서 기대를 거의 하지 않았지만[23] 풀세트까지 가는 의외의 모습을 보였다.특히 1세트에서 과거 토네이도 테란이라는 별명에 걸맞은 엄청난 물량전과 4세트에서 세트 스코어 1:2로 허영무에게 뒤지고 있던 상황에서 펼쳐진 데스티네이션에서의 경기에서 전진 2팩 후 공격 때 엄청난 컨트롤로 승리를 거둔 모습이 가장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아 있다.
경기 후 눈물을 보일 정도로 최선을 다해 도전했던 올드게이머 이윤열의 투혼이 인상적이었다.[24]
3.6. 그리고...
이 대회 이후 MBC GAME은 차기 리그부터 초대박 사고를 터트리게 된다.[1] 승부조작으로 인한 영구제명으로 기록 몰수[2] 티저 오프닝 BGM으로 32강 초반까지만 쓰고 브릿지 오프닝 BGM로 전환되었다.[3] 정식 오프닝 BGM으로 32강 중반부터 사용.[4] 기존 최다 기록은 장충체육관(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과 KINTEX(EVER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EVER 스타리그 2007)였다.[5] 스타리그는 정명훈이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바투 스타리그에서 준우승.[6] 다만 이들 중 도재욱은 일찌감치 예선에서 탈락했다. MSL에 진출하게 된 것은 2시즌 뒤인 NATE MSL부터.[7] 특히 이 오프닝에서 보여준 키보드 등짝 등장 장면은 역대 스타크래프트 리그 최고의 연출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8] 그래도 이제동은 패자전에서 평소에도 여러 차례 서로 경기적으로 악연을 가졌던 이성은을 상대로 테란 앞마당에서의 6해처리 마패관광을 제대로 보여주었지만, 이후 최종전에서 벌어진 리쌍록에서 이영호에게 패하면서 결국 32강 광탈을 하고 만다.[9] 그나마 이제동은 옆동네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0] 김명운은 김택용, 박명수, 마재윤을 떨궜고 박찬수는 김구현, 진영수, 신상문을 떨궜다.[11] 김명운은 연습실에서는 저저전에 강했으나, 이상하게 방송에서는 저막이 되는 것으로 유명했다. 스1 말기에 역대 최강의 저그인 이제동을 4강에서 3:1로 꺾는 것으로 탈출.[12] 참고로 김명운은 16강전에서 동생을 떨어뜨렸다.[13] 심지어 결승 상대인 허영무는 쌍둥이인 박명수를 전 시즌 8강에서 3:0으로 보내 버린 적도 있었다. 프로토스가 저그한테 먹인 단 5번의 셧아웃 승이다.[14] 다만 박찬수는 직전 WCG에서 송병구를 꺾고 금메달을 딴 경험이 있다.[15] 그래서인지 결승전 자막 내용 대부분이 마재윤과 홍진호를 까는 내용이었다(…).[16] 박성균의 경우 깜짝 우승(스틸 드래프트 지명순번 31번으로 최저순번인 32번 바로 윗번호.), 최연소 로얄로더와 테란의 MSL 3년만의 우승, 김택용의 본좌론을 종결시킨 업적이 있으며, 박지수의 경우 리그 정ㅋ벅ㅋ을 했다는 이유와 극악한 대진운을 뚫은 것으로 재평가가 되었다.[17] 그래도 조금이나마 참작을 해주자면, 박찬수의 스막화는 우승 이후에 이루어진 것이며 우승 이전에는 위너스 리그 저그 최초 올킬도 해보고 이영호도 3전제에서 이겨보는 등 우승 이전까지는 잘나가는 저그중 한 명이었다는 것이다.[18] 그나마 박찬수의 아내 폭행은 무혐의로 처리되었으며, 나중에 박찬수의 인터뷰의 내용에 따르면 아내 폭행 관련은 과장된 것이었다고 한다.[19] 두 사람 다 이 시점에는 프로리그 주전과 개인리그 4강 이상 진출 등 활약이 꽤 있던 A~A-급 선수였다. 물론 허영무는 이후 스타리그 2연속 우승이라는 대업을 달성하여 택뱅리쌍과 견줄 만한 S급으로 성장하지만...[20] 그나마 아발론 MSL은 변형태가 4강에 올라가서 4강 3저그 1테란 대진이었지만, 피디팝 MSL은 아예 4강 4저그 대진이었다.[21] 사실, 본인이 자처해서 만든 3저그 조였기 때문에 김택용 입장에서도 변명의 여지가 없었다.[22] 이 당시 허영무의 MSL 본선에서의 성적은 무려 8강 전승, 테란전 13승 3패를 기록 중이었다.[23] 8강에 진출할 때도 이윤열이 천적이었던 김동건을 잡고 올라가 천운이란 소리를 들었다.[24] 게다가 후일담에 의하면 이윤열은 주변 지인들에게 이 대회 기간 동안 꼭 우승하고야 말겠다고 다짐했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