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4:23:30

로베르토 1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b003, #fcd116 20%, #fcd116 80%, #d8b003); color: #0072c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72c6> 파르네세 왕조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오타비오 파르네세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라누초 1세 오도아르도 파르네세
<rowcolor=#0072c6> 파르네세 왕조 부르봉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라누초 2세 프란체스코 파르네세 안토니오 파르네세 카를로 1세 카를로 프란체스코
<rowcolor=#0072c6> 합스부르크 왕조 부르봉파르마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부르봉파르마 왕조
마리아 테레자 필리포 1세 페르디난도 1세 마리아 루이사 카를로 2세
<rowcolor=#0072c6> 부르봉파르마 왕조
카를로 3세 로베르토 1세 }}}}}}}}}
<colbgcolor=#fcd116><colcolor=#0072c6>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Roberto I, Duca di Parma
파일:1848_Robert-05.jpg
이름 로베르토 카를로 루이지 마리아
(Roberto Carlo Luigi Maria)
출생 1848년 7월 9일
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
사망 1907년 11월 16일 (향년 59세)
이탈리아 왕국 비아레조
재위기간 파르마 공작
1854년 3월 27일 ~ 1859년 6월 9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cd116><colcolor=#0072c6> 부모 아버지 카를로 3세
어머니 루이즈 다르투아
배우자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 공주
(1869년 결혼 / 1882년 사망)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 공주 (1884년 결혼)
자녀 마리아 루이사, 페르디난도, 루이사 마리아, 엔리코, 마리아 임마콜라타, 주세페, 마리아 테레사, 마리아 피아, 베아트리체, 엘리아, 마리아 아나스타시아, 아우구스토, 마리아 아델라이데, 시스토, 사베리오, 프란체스카 주세피나, 치타, 펠릭스, 레나토, 마리아 안토니아, 이사벨라 마리아, 루이지, 엔리케타 안나, 가에타노
형제자매 마르게리타, 알리체, 엔리코
가문 부르봉파르마 가문
종교 로마 가톨릭 }}}}}}}}}
1. 개요2. 생애3. 가족
3.1. 자녀

[clearfix]

1. 개요

로베르토 1세는 부르봉파르마 가문 출신으로 파르마 공국의 마지막 공작이다.

2. 생애

토스카나 대공국의 수도 피렌체에서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와 루이즈 다르투아(Louise d'Artois 1819~1864)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부친이 산책 나간 사이에 암살당하면서 불과 6세의 나이로 파르마 공작이 되었다. 그러나 11세에 이탈리아 통일 전쟁으로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군대가 입성하면서 파르마 공국을 잃고 폐위당했다. 파르마 공국은 토스카나 대공국, 모데나 레조 공국, 교황청 볼로냐 일대와 연합하여 중부 이탈리아 연합주(Province Unite del Centro Italia)를 형성해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으로 합병되었고,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은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을 선포했다.

비록 파르마 공국을 잃었으나 로베르토 1세의 가족은 오스트리아 제국 근처 슈바르차우 암 슈타인펠트(Schwarzau am Steinfeld)에 있는 성에서 여생을 보냈고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샹보르 성에 이르는 12채의 성을 소유하면서 잘먹고 잘 살았다.

1869년 4월, 로마에 망명중이던 양시칠리아 왕국 국왕 페르디난도 2세의 딸 마리아 피아(Maria Pia di Borbone-Due Sicilie 1849~1882)와 결혼했다. 둘은 같은 보르본 왕조 출신으로 가까운 친척 사이였고[1] 12명의 자녀를 얻었으나 대부분 일찍 죽거나 지적 장애를 앓았다. 맏딸 마리아 루이사는 불가리아 왕국의 초대 차르 페르디난트 1세와 결혼해 보리스 3세를 비롯한 2남 2녀를 두었다.

마리아 피아가 1882년 출산 중 사망하자 1884년 10월, 전 포르투갈 왕국 국왕 미겔 1세의 딸 마리아 안토니아(Maria Antónia de Bragança 1862~1959)와 결혼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 카를 1세와 결혼한 부르봉파르마의 지타 공녀가 바로 로베르토 1세와 마리아 안토니아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며, 펠릭스룩셈부르크 대공녀 샤를로트와 결혼해 장 대공[2]을 얻었다.

3. 가족

3.1.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자녀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 공주[3]
(Princess Maria Pia of Bourbon-Two Sicilies)
1녀 불가리아 공비 마리아 루이사
(Maria Luisa, Princess of Bulgaria)
1870년 1월 17일 1899년 1월 31일 페르디난트 1세
슬하 2남 2녀[4]
1남 페르디난도 공자
(Prince Ferdinando of Parma)
1871년 3월 5일 1871년 4월 14일
2녀 루이사 마리아 공녀
(Princess Luisa Maria of Parma)
1872년 3월 24일 1943년 6월 22일
2남 파르마 공작 엔리코
(Enrico, Duke of Parma)
1873년 6월 13일 1939년 11월 16일
3녀 마리아 임마콜라타 공녀
(Princess Maria Immacolata of Parma)
1874년 7월 21일 1914년 5월 16일
3남 파르마 공작 주세페
(Giuseppe, Duke of Parma)
1875년 6월 30일 1950년 1월 7일
4녀 마리아 테레사 공녀
(Princess Maria Teresa of Parma)
1876년 10월 15일 1959년 1월 25일
5녀 마리아 피아 공녀
(Princess Maria Pia of Parma)
1877년 10월 9일 1915년 1월 29일
6녀 베아트리체 공녀
(Princess Beatrice of Parma)
1879년 1월 9일 1946년 3월 11일 피에트로 루케시팔리 백작
슬하 3남
4남 파르마 공작 엘리아
(Elia, Duke of Parma)
1880년 7월 23일 1959년 6월 27일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여대공[5]
슬하 3남 5녀
7녀 마리아 아나스타시아 공녀
(Princess Maria Anastasia of Parma)
1881년 8월 25일 1881년 9월 7일
5남 아우구스토 공자
(Prince Augusto of Parma)
1882년 9월 22일 1882년 9월 22일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 공주[6]
(Infanta Maria Antónia of Portugal)
8녀 마리아 아델라이데 공녀
(Princess Maria Adelaide of Bourbon-Parma)
1885년 8월 5일 1959년 2월 6일
6남 시스토 공자
(Prince Sixtus of Bourbon-Parma)
1886년 8월 1일 1934년 3월 14일 헤드위지 드 라 로슈푸코
슬하 1녀
7남 파르마 공작 사베리오
(Xavier, Duke of Parma)
1889년 5월 25일 1977년 5월 7일 부르봉부세의 마들렌
슬하 2남 4녀
9녀 프란체스카 주세피나 공녀
(Princess Francesca Giuseppa of Bourbon-Parma)
1890년 4월 22일 1978년 10월 7일
10녀 오스트리아의 황후이자 헝가리의 왕비 치타
(Zita, Empress of Austria and Queen of Hungary)
1892년 5월 9일 1989년 3월 14일 카를 1세
슬하 5남 3녀[7]
8남 룩셈부르크의 국서 펠릭스
(Félix, Prince consort of Luxembourg)
1893년 10월 28일 1970년 4월 8일 룩셈부르크의 여대공 샤를로트
슬하 2남 4녀[8]
9남 레나토 공자
(Prince René of Bourbon-Parma)
1894년 10월 17일 1962년 7월 30일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공주[9]
슬하 3남 1녀[10]
11녀 마리아 안토니아 공녀
(Princess Maria Antonia of Bourbon-Parma)
1895년 11월 7일 1977년 10월 19일
12녀 이사벨라 마리아 공녀
(Princess Isabella Maria of Bourbon-Parma)
1898년 6월 14일 1984년 7월 28일
10남 루이지 공자
(Prince Louis of Bourbon-Parma)
1899년 12월 5일 1967년 12월 4일 사보이아의 마리아 프란체스카 공주[11]
슬하 3남 1녀
13녀 엔리케타 안나 공녀
(Princess Henrietta Anna of Bourbon-Parma)
1903년 3월 8일 1987년 6월 13일
11남 가에타노 공자
(Prince Gaetano of Bourbon-Parma)
1905년 6월 11일 1958년 3월 9일 투른운트탁시스의 마르가레테 공녀
슬하 1녀

[1] 가장 가까운 공통조상은 양시칠리아 국왕 프란체스코 1세로, 프란체스코 1세 기준으로 하면 5촌간이다. 로베르토 1세의 외할머니 마리아 카롤리나가 마리아 피아의 아버지 페르디난도 2세의 이복누나다. 카를로스 4세 기준으로는 7촌으로, 로베르토 1세의 증조할머니 마리아 루이사가 마리아 피아의 할머니인 마리아 이사벨의 언니다.[2] 다만 장 대공은 아들들의 결혼을 귀천상혼이라고 이의제기한 부르봉파르마 가문과 싸우고 관계를 끊어버리면서 어머니의 성씨인 나사우바일부르크를 계속 쓰기로 했다. 나중에 화해하긴 했지만 어쨌든 룩셈부르크 대공가는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을 뿌리로 여기고 있다.[3] 페르디난도 2세의 3녀.[4] 보리스 3세[5] 테셴 공작 카를 대공의 손녀.[6] 미겔 1세의 6녀.[7] 오토 폰 합스부르크[8] 장 대공[9] 덴마크의 발데마르 왕자의 고명딸.[10] 루마니아의 왕비 아나(미하이 1세의 아내) 등[11]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몬테네그로의 옐레나 공주의 막내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