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18:36:30

드라고 블러드비스트

파일:drago bludvist.png
드라고 블러드비스트
Drago Bludvist
신장 208cm
드래곤 검은 비윌더비스트
썬더클로우
럼블혼
담당 성우
자이먼 혼수[1] / 정승욱

1. 개요2. 설정3. 작중 행적4. 평가5. 기타

1. 개요

파일:attachment/드라고 블러드비스트/Bludvist.jpg

드래곤 길들이기 2메인 빌런 & 최종 보스다.

2. 설정

드래곤의 습격 때문에 가족들을 잃고 팔 하나를 잃어 의수를 달게 되었다. 왼팔 전체가 의수이며 갑옷과 연결되어 있다. 즉 갑옷을 떼어내면 팔 전부가 떨어진다. 그래서인지 의수인 왼팔은 움직이거나 사용하는 모습이 아예 안 나오며 싸울 때도 온전한 오른팔로만 싸운다. [2] 그 때문에 드래곤에 대한 증오가 크다.[3] 마찬가지로 레드 데스와의 전투에서 한쪽 다리를 잃었음에도 드래곤들과의 평화를 원하는 히컵과는 대조되는 모습.[4]

드래곤과 교감하여 길들이는 대신 공포를 주어 압도하고 지배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자신이 가진 드래곤에 대한 증오 때문으로, 드래곤을 통해 드래곤을 지배하고 결과적으론 자신이 세계의 지배자가 되겠다는 야심의 일환. 드래곤을 통해 드래곤을 지배하여 지배자가 되려는 그의 이런 행동은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의 가족을 죽이고 자신의 한쪽 팔을 먹은 드래곤들의 행동과 다를 바가 없다. 결국 드라고는 야욕에 찬 폭군에 지나지 않으며, 히컵이 이 점을 정확히 알아보고 지적하자 부인하지 않는 투로 말한다. 드래곤을 증오하면서도 그 강력한 힘만큼은 경외했던 모양이다.

드래곤의 가죽을 망토처럼 두르고 있다. 드래곤의 가죽은 불에 면역이 있기에 사로잡힌 훅팽이 자신에게 불을 뿜자 이 가죽으로 불을 막고 멀쩡히 다가오는 위엄을 보여주기도 했다.

드래곤을 부리거나 제압할 때 괴성을 지르면서 무기를 빙빙 돌리는 동작이 인상적이다.[5] # 담당 성우 자이먼 혼수가 목소리 연기를 위해 목을 풀려고 소리를 지르는 일이 많았는데, 딘 데블로이스 감독은 그의 비명이 마음에 들어서 드라고가 소리를 질러 드래곤을 불러낸다는 설정을 넣었다고 한다.

3.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과거

"You've seen firsthand the damage dragons can do when under the control of the most evil men."
"자네는 드래곤이 가장 사악한 자의 조종 아래 들어갔을 때 끼치는 해악을 가장 먼저 목격하지 않았나."
세상 끝으로 가자 60화, 고버스토이크에게 드라고를 회상시키며
"No one fails me twice. Bring me my maps! I'll find another King of Dragons myself."
"그 누구도 내게 두 번의 실패를 안겨줄 순 없다. 지도를 가져와라! 내가 직접 다른 드래곤의 왕을 찾겠다."
세상 끝으로 가자 78화, 크로간을 처형한 직후 모습을 드러내며

버크의 바이킹들과 드래곤들이 서로 싸우던 시절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스토이크와 다른 부족의 족장들이 드래곤의 위협을 물리칠 방법에 대해 회의하는 자리에 갑자기 나타나서 자신이 드래곤들을 물리쳐줄 테니 자신에게 복종하라고 말한다. 족장들이 모두 그를 비웃자 갑옷을 두른 드래곤들을 풀어 그 자리를 싸그리 태워버린다. 다른 족장들은 모두 사망하고 스토이크만 탈출에 성공한듯 하다. 끝을 향한 경주 60화에 따르면 이 때 드라고의 부하로 크로간이라는 자가 같이 있었다.[6]

드래곤 헌터들의 원래 대장이었던 비고 그림본 역시 그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의 심복이 크로간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끝을 향한 경주의 최종 보스가 비고에게 그에 대해 알려주지 않은 것은 그가 자신과 크로간의 통수를 치고 직접 거래를 하려고 시도할까봐 한 이유라고.[7]

끝을 향한 경주 78화 말미에 크로간의 상관으로서 등장한다. 크로간이 드래곤의 왕을 얻어오는 걸 실패하자 크로간을 문책하고 죽이라고 명령한 뒤, 자기가 직접 드래곤의 왕을 찾겠다고 나선다.[8]

3.2. 드래곤 길들이기 2

드림웍스 메인 빌런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개미
(1998)
치킨 런
(2000)
슈렉
(2001)
슈렉 2
(2004)
샤크
(2004)
맨더블 장군미세스 트위디파콰드 영주요정 대모돈 리노
<rowcolor=#fff> 마다가스카
(2005)
월레스와 그로밋: 거대 토끼의 저주
(2005)
헷지
(2006)
플러쉬
(2006)
슈렉 3
(2007)
포사들로드 빅터 쿼터메인드웨인 라 폰톤트토드챠밍 왕자
<rowcolor=#fff> 꿀벌 대소동
(2007)
쿵푸팬더
(2008)
마다가스카 2
(2008)
몬스터 vs 에일리언
(2009)
드래곤 길들이기
(2010)
몽고메리 변호사타이렁마쿵가갤럭사레드 데스
<rowcolor=#fff> 슈렉 포에버
(2010)
메가마인드
(2010)
쿵푸팬더 2
(2011)
장화신은 고양이
(2011)
마다가스카 3
(2012)
럼플타잇탄험티 "알렉산더" 덤티캡틴 듀브아
<rowcolor=#fff> 가디언즈
(2012)
터보
(2013)
천재강아지 미스터 피바디
(2014)
드래곤 길들이기 2
(2014)
마다가스카의 펭귄
(2014)
피치 블랙기 가니에그루니온드라고 블러드비스트Dr.옥타비우스 브라인
<rowcolor=#fff>
(2015)
쿵푸팬더 3
(2016)
트롤
(2016)
보스 베이비
(2017)
드래곤 길들이기 3
(2019)
캡틴 스메크카이체프 & 크릭프란시스 E. 프란시스그림멜
<rowcolor=#fff> 보스 베이비 2
(2021)
배드 가이즈
(2022)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2)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2023)
쿵푸팬더 4
(2024)
닥터 암스트롱루퍼트 마멀레이드 4세빅 잭 호너첼시 밴더지/네리사카멜레온
<rowcolor=#fff> 와일드 로봇
(2024)
배드 가이즈 2
(2025)

()

()

()
본트라키티 캣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ce2208><table bgcolor=#ce2208> 파일:드래곤 길들이기 로고(블랙).png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최종 보스
}}}
영화
드래곤 길들이기
(2010년)
드래곤 길들이기 2
(2014년)
드래곤 길들이기 3
(2019년)
레드 데스 드라고 블러드비스트 그림멜
스핀오프
버크의 라이더
(2012–2013년 TVA)
버크의 수호자
(2013–2014년 TVA)
세상 끝으로 가자
(2015–2018년 TVA)
위험한 앨빈 혼돈의 데걸 상인 요한

파일:external/imoovi.ru/1411060266_3.jpg
"Drago Bludvist is a madman, without conscience or mercy! And if he's built a dragon army... Gods help us all."
"드라고 블러드비스트는 양심도 자비도 없는 미치광이야! 만약 그가 드래곤 군대를 만들었다면... 신들이여, 우릴 보살피소서."
스토이크
"Stop all preparations! We must attack the Dragon Riders' nest at once! We will take down their Alpha. Then we will take Berk!"
"준비는 이제 그만! 당장 드래곤 라이더들의 소굴을 공격한다! 그들의 알파를 쓰러뜨리고, 버크를 차지하자!"

초반에 드래곤 사냥꾼 에렛이 그를 처음 언급한다. 드래곤들을 한 마리도 못 잡아왔다고 에렛을 고문한 듯. 그가 드래곤 군단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히컵에게 그의 이름을 전해들은 스토이크는 마을 전체를 전투 태세로 들어가게 할 만큼 두려워하며 치를 떠는 모습을 보여준다. 드라고를 설득하겠답시고 혼자 떠난 히컵에게 스토이크는 자신이 드라고와 얽힌 과거를 이야기하지만 히컵은 듣지 않고, 나머지 드래곤 라이더들은 히컵을 구하기 위해 에렛을 납치하여 드라고의 기지로 가게 된다.

전쟁 준비에 돌입하던 도중 에렛이 아스트리드를 포함한 드래곤 라이더들을 잡아오며 자신만만해 하는데 아스트리드의 도발로 드래곤 라이더들이 버크에 바글바글하며 그들이 자신을 공격해 올 것이란 것을 알자 분노하며 이제 준비는 마치고 가서 알파를 쓰러뜨리고 버크를 장악하겠다며 출병하고 에렛은 죽이라고 명령한다. 그리고 모든 드래곤의 지배자인 '알파'를 쓰러트리기 위해[9] 발카와 함께 있는 비윌더비스트와는 또 다른 비윌더비스트를 데려와 '알파'에 대해 도전하게 되었다.

발카의 비윌더비스트를 죽이고[10] 자신의 비윌더비스트에게 지시해 투슬리스를 조종해 히컵을 위협하고 스토이크를 죽이는 원인을 제공했다. 이 뒤 버크의 드래곤들도 차지하기 위해 버크로 쳐들어갔다가 막으러 버크로 되돌아온 히컵 일행과 유대감으로 알파의 지시에서 벗어난 투슬리스의 공격으로 자신의 비윌더비스트가 도망치면서 바다에 잠긴다.[11]

드라고가 비윌더비스트를 조종할 수 있는 이유는 그가 어린 시절부터 주워서 키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

3.3. 드래곤 길들이기 3

딘 데블로이스의 인터뷰에 따르면 드라고 블러드비스트는 원래 후속작인 드래곤 길들이기 3의 악역으로 등장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이후 드길 3 관련 인터뷰에서 딘 데블로이스는 아래와 같이 인터뷰하여, 드라고가 3편에서 재등장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You have to wait until the third film to actually see where Drago’s character goes. He’s a lot more complex than he’s presented in this second installment.”
"여러분들은 드라고의 캐릭터가 어떻게 변하는지 볼 걸 기대해야 할 겁니다. 그는 두 번째 작품에서 등장한 것보다 더 복잡한 모습을 보이죠."
인터뷰

딘 데블로이드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드라고가 살아남았던 초안의 설정을 볼 수 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미 드래곤이 점령하고 있던 무인도에 해변으로 밀려왔었으며 그는 그 섬에서 살아남으려다가 자신이 자신의 함대 안에서 대체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 자신의 위치를 되찾기로 결심했었다. 그러나 그 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드래곤과 친구가 되어야 할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결국 그는 궁극적으로 자신의 생명을 구하는 드래곤에 대한 일종의 존경과 애정을 키워가게 되었고, 최후의 결전에 나타나서 드래곤 라이더들을 위해 싸우러 등장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즉 아버지의 원수이지만 아군이 된 적이라는 복잡한 포지션을 가진 것이다.

하지만 차후 완성된 버전에서는 삭제. 인터뷰에 따르면 등장하는 기획안이 있었지만 영화가 산만해질 것을 감안해 포기한 듯. 러닝타임이 너무 길어지고 히컵과 투슬리스의 주요 서사를 해친다는 이유로 삭제되었다.[12] 작중에서 그림멜에 의해 그의 존재가 단 한 번 언급되고 그의 검은색 비윌더비스트가 그의 지배에서 벗어나 히든 월드에서 살고 있는 장면이 나오는 것으로 끝이다.

외전작에서도 출연이나 언급이 없는걸로 봐선 사실상 2편 마지막에 바다에 빠져 익사한 것으로 사망 확정된 듯.

드래곤 길들이기 3의 후속작이자 1300년 후의 시간대인 9개의 왕국에서도 그에 대한 언급은 일절 없는 걸로 보아 드래곤을 이용해 군대를 꾸렸던 드라고는 드래곤을 존중하며 그들과 교감했던 히컵과는 달리 그대로 잊혀진 걸로 보인다.[13]

3.4. 실사판

4. 평가

시리즈의 역대 악역들 중 최강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전무후무한 스케일을 자랑하는 강력한 빌런이다. 막강한 군벌 세력과 더불어 어머어머한 숫자의 드래곤 군단을 부리고 있고, 무엇보다도 몇 없는 알파종이자 최강의 드래곤들 중 하나인 비윌더비스트가 그에게 절대 복종한다는 점에서[14] 다른 악역들이 스케일로는 비빌 수가 없다.[15] 실제로 그의 목표는 다른 악역들과는 달리 말 그대로 세계정복.

더불어 이 비윌더비스트를 이용해 모든 드래곤들을 제패하는 것으로 독보적인 스케일을 자랑했다. 투슬리스의 각성이 아니었으면 거의 성공할 뻔했다. 거기다가 체급에 걸맞게 개인적인 무력까지 출중해서 왼팔이 없음에도 발카는 거의 일방적으로 발라버렸고 스토이크와 거의 호각으로 싸우며 일기토 실력을 보였을 정도.[16] 만약 자신의 수하였던 크로간끝을 향한 경주 마지막에 실패를 이유로 숙청하지 않았다면, 영화 2편에서는 나오지 않았던 드래곤 플라이어들이 드라고의 정복 사업에 동원되었을 것이고, 이에 맞서야 하는 라이더들의 싸움은 훨씬 더 어려웠을 것이다.[17][18] 다른 악역들도 나름대로 차별화되는 강점이 하나씩 있긴 하지만, 세계관 전체적으로 보면 드라고만큼 위협적인 악역은 없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특별한 사상은 없고 캐릭터성도 독특하다고는 할 수 없는 평면적인 빌런에 가깝지만, 단순하면서도 확실하게 모두를 지배할 힘을 원하는 그의 야망도 나름 동정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를 과거사를 잊고 불변치 않을 절대 악역이란 포스를 뽐내어 미화나 위기감 저하 등으로 극중 몰입감을 조금도 저하시키지 않게 도왔다.

이후 후속작그림멜이 냉혈한 지능캐치고는 부족한 면으로 혹평을 받으면서 드라고의 강력한 세력과 포스, 광기가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5. 기타

  • 작중 시대가 바이킹 시대인만큼 드라고 역시 바이킹인 게르만계 혹은 노르드인 쪽으로 추정되는데, 다른 캐릭터들과 비교하면 꽤 짙은 피부색과 특유의 흑발 레게머리 덕분에 묘하게 흑인스러운 특성이 드러나는 캐릭터다.[19] 성우인 자이먼 혼수가 흑인인 것을 감안한 점일 수도 있다.[20]
  • 말할 때의 입모양이 상당히 독특한데, 입술 근육 전체가 움직인다기보단 반쪽만 움직인다는 느낌이 강하다. 웃을 때도 입꼬리가 한쪽은 그대로 있고 움직이는 다른 한쪽만 씨익 올라가서 여러모로 썩소 느낌을 거하게 풍긴다.[21]

[1] 세상 끝으로 가자 시즌 5에 나온 회상 장면에서는 크로간 역의 하킴 캐 카짐이 맡았다.[2] 그냥 드래곤에 대한 복수심과 증오를 상기하기 위함 + 신체균형 유지용인 듯.[3] 히컵과의 대화에서 드래곤에 대한 증오를 보여주기 위해 스스로 의수를 분리해서 보여주기도 했다.[4] 더 크게 보면 비슷하게 드래곤에 의해 왼손과 오른다리를 잃었으나 히컵 덕분에 마음을 바꾼 고버와도 대조되는 안티테제라고 볼 수 있다.[5] 작중 인물들에게는 이게 꽤나 위압적으로 보이는지, 드라고가 이걸 훅팽 앞에서 시전하며 기선제압을 하자 훅팽이 그대로 쫄아버렸다.[6] 크로간은 끝을 향한 경주 38화에서 처음 등장하고, 이후 시즌 5에서 본격적으로 암약한다.[7] 비고는 히컵에게 이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이 그의 짐작대로 당연히 그랬을 것이라고 말한다.[8] 크로간이 발견하고 빼앗으려 했던 알을 낳은 비윌더비스트는 많은 드래곤을 거느린 개체가 아니었고 영화에서처럼 드라고 본인이 길들인 개체와 세력다툼을 일으켜 승리하고 세력을 흡수하지 못하기에 알을 빼앗고 길러서 전력에 더하는 것이 최선인데 그러지 못했으니 크로간을 숙청하고 알을 낳은 개체는 표적으로 삼지 않으며 발카의 비윌더비스트를 찾아서 노린 것으로 추측된다.[9] 발카의 비월더비스트를 보고 알파인 것을 알아보고 전쟁이라며 또 다른 비월더비스트가 있는 것을 암시했다.[10] 쓰러트리기 전에 스토이크와 드라고의 싸움에서 스토이크가 밀리는 장면과 발카의 비월더비스트가 밀리는 장면이 겹쳐서 나온다. 이후 발카의 비윌더비스트는 드라고의 비윌더비스트에 의해 뿔에 배가 뚫려 잔혹하게 죽고 만다. 현실적으로 보자면 굉장히 높은 수위의 죽음이지만 전체이용가 영화인 만큼 찌르는 장면도 딱 찌르는 순간만 보여주며, 유혈묘사도 없고 시신도 아주 짧게 화면에 잡히는데다 제대로 보여주지도 않고 끝난다.[11] 생사는 불명이나, 비월더비스트가 멋대로 깊게 잠수해버린 뒤 3편에서 야생화된데다 한쪽 팔이 없는 상태에선 깊은 곳에서 수면 위로 헤엄쳐 올라올 가능성은 0에 수렴하니 익사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12] 더군다나 드라고는 히컵의 아버지를 간접적으로 죽이기까지 했는데 이런 악역을 갱생시켰으면 미화 논란으로 3편의 평가는 엄청 떨어졌을 것이다.[13] 단순히 역사의 파도에 떠밀려 잊혀졌다고 보기엔 애매한게, 정작 드라고보다 위상이 낮았던 아스트리드, 드래곤 라이더들, 데걸은 그대로 기록으로 남았다.[14] 다만 말이 절대복종이지 실상은 어렸을 때부터 주인의 무자비한 학대로 인해 생긴 두려움 때문에 어쩔수 없이 복종하는 것일 뿐이다.[15] 1편의 레드 데스는 드래곤들을 노예로 부리는 괴수지만 비월더비스트처럼 절대적이진 않고 부리는 드래곤들의 수도 비월더비스트에 비하면 훨씬 적으며, 3편의 그림멜은 뛰어난 드래곤 헌터이지만 드라고만큼의 강력한 세력은 없다.[16] 다만 똑같이 무기로 싸울 때는 호각이였지만 한쪽 팔이 없다는 리스크가 큰데다 나머지 한 손으로는 초근접전에 불리한 창을 들고 있어서인지 스토이크가 양 주먹으로 팰 때는 맥을 못 추고 맞는 모습을 보여줬다. 게다가 스토이크는 훅팽을 맨손으로 때려잡아 가둔 괴력까지 있으므로 더욱 버티기 어려울 것이다.[17] 끝을 향한 경주 전반에 걸쳐 상대하는 드래곤 헌터들 가운데 드래곤 플라이어들은 유일하게 라이더들의 기지였던 드래곤 엣지를 (빈집털이 없이) 정면 싸움으로 함락시킨 무지막지한 저력을 갖고 있다. 발카의 둥지를 공략할 때 이 녀석들이 동원되었다면 라이더즈, 발카, 스토이크, 고버 도합 9명의 라이더와 8마리 드래곤으론 어림도 없었을 것이다.[18] 다만 끝을 향한 경주 결말부에서 알을 빼앗길 위기에 비윌더비스트가 부른 수많은 드래곤들에게 다굴을 당해서 전력이 거의 분쇄되었기에 크로간을 숙청하지 않았더라도 1~2년 정도 후인 2편에서 유의미하게 전력을 복구하고 참전하긴 어려웠을 것이다.[19] 다만 신체적 특성 일부가 흑인과 유사하다 뿐이지, 드라고는 엄연히 바이킹에다 뚜렷한 매부리코로 백인의 신체적 특성이 확연히 드러나기 때문에 흑인은 아니다. 대신 부하인 크로간은 외모가 아프리카계인과 유사하기 때문에 실제로 그쪽 피가 섞였을 가능성이 높다.[20] 실사화에선 버크 부족의 설정 자체가 전 세계에서 모인 연합 부족이란 설정으로 변경되어 흑인, 동양인 등의 다양한 인종이 등장하게 되었기에 실사화에서 드라고가 정말로 흑인종으로 등장할 지도 모른다.[21] 아마도 얼굴의 흉터 때문에 그렇게 된 걸수도 있다. 흉터가 생기는 과정에서 입도 망가졌다고 치면 전혀 이상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로도 입을 못쓰는 쪽에 깊게 베인 듯한 커다란 흉터가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