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3 21:33:24

독일군 vs 프랑스군


VS놀이 | 가상 군사 대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인민군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세계연합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UN기.svg
세계연합군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 [[미군 vs 베네수엘라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군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러시아군 vs 우크라이나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 [[NATO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NATO 깃발.svg
NATO
]] | [[폴란드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소련군|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군]]'''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중국인민해방군|
파일:중국 국기.svg

인민해방군]]'''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중국군 vs 인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중국군 vs 베트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 [[중국군 vs 필리핀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 | [[Quad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EwVHvtgUcAMO2IH.jpg
Quad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군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
[[사우디아라비아군 vs 이란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
]] | [[이란군 vs 이스라엘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 [[미군 vs 이란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다자간
한미연합군 vs 북중연합군
기타 영국군 vs 프랑스군 | 인도군 vs 파키스탄군 | 독일군 vs 폴란드군 | 태국군 vs 캄보디아군 }}}}}}}}}


1. 개요2. 군사력 비교
2.1. 육군력2.2. 해군력2.3. 공군력
3. 결과

1. 개요

독일연방군프랑스군의 대결을 다룬 문서.

영국군 vs 프랑스군, 영국군 vs 독일군처럼 독일프랑스유럽의 대표적인 강대국임과 동시에 과거부터 상당한 앙숙관계였다. 보불전쟁 당시 프랑스는 프로이센에게 파리를 내준 적이 있고 양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두 번씩이나 독일의 침공을 경험한 쓰라린 역사가 있다. 프랑스보다 뒤늦은 산업화로 식민지 경쟁에 늘 밀리기만 하던 독일이였고 두 세계대전 모두 프랑스의 승리로 끝났지만 나치 독일에 의해 조국을 빼앗기고 괴뢰 정부가 들어선 역사 때문에 양국의 감정은 현재에도 마냥 좋지 않다.

2. 군사력 비교

2.1. 육군력

육군력의 경우 양적으로는 독일이 좀 더 우세하다. 독일 육군은 우수한 기갑전력과 포병전력을 보유 중이며 레오파르트 2PzH2000을 운용하고 있다. 프랑스 육군르클레르 전차CAESAR를 운용 중이다.

독일의 레오파르트 전차는 방호력, 화력, 기동성을 모두 갖춘 뛰어난 성능으로 NATO의 표준 전차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PzH2000은 뛰어난 자동화로 연사력이 빠르고 방호력도 자주포 중에서도 뛰어나 자주곡사포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프랑스의 르클레르 전차는 최초의 3.5세대 전차로 자동 장전 장치를 탑재해 연사력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 방호력은 레오파르트 2보다 밀릴지언정 무게가 더 가벼워 기동성에서는 좀 더 우세하며 최첨단 사격통제장치를 장착하였다. 세자르는 차륜형으로 무게가 가벼워 기동성이 뛰어나지만 방어력이 빈약하고 승무원실이 없어 포병들의 은폐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없다.

2.2. 해군력

해군력에서는 프랑스의 확실한 우위다. 프랑스 해군영국 해군과 더불어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원자력 잠수함항공모함까지 갖춘 대양해군이다. 운용 중인 항모로는 샤를 드골급 항공모함이 있으며 전략원잠인 르 트리옹팡급 잠수함과 공격원잠인 쉬프랑급 잠수함, 루비급 잠수함이 있다. 이렇게 해군력에 신경을 쓴 이유는

반면의 독일 해군은 확실한 열세에 놓여 있다. 독일은 좁은 영해 때문에 작센급 호위함니더작센급 호위함, 브란덴부르크급 호위함호위함 위주 편제로 항공모함이나 원잠같은 전략적 자산은 보유하고 있지 않다. 잠수함212급 잠수함같은 재래식 무기이다.

2.3. 공군력

공군력에서는 전술기 전력은 큰 차이가 없으나 지원기 전력에서는 프랑스가 더 우세하다. 프랑스는 세계 3위의 항공우주 기술을 보유 중이며 자국 공군의 군용기들을 모두 독자개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나라이다. 엔진, 레이더, 항법장치 등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는 부품도 스스로 만들 수 있는 방산 강국이다. 독일도 전투기를 만들 수 있지만 대부분 컨소시움으로 타국과 공동개발 위주로 군용기를 제작한다.

독일 공군유로파이터 타이푼을 운용 중이다. 유럽을 대표하는 공중우세기로 뛰어난 기동성과 가속력, 고고도의 성능에서 강점이 특징이다. 또 다른 전투기로는 파나비아 토네이도가 있는데 공대지 임무에 특화된 전폭기이다.

프랑스 공군다쏘 라팔미라주 2000을 운용하고 있다. 모두 프랑스 혼자 자체개발한 기체들로 라팔은 다목적 전투기로 범용성이 높은게 특징이다. 공대공, 공대지 임무 모두 투입 가능하며 해군용 함재기로도 쓰이고 있다. 미라주 2000은 소련의 공군기들을 요격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모의 공중전에서도 많은 기종들을 격추시킨 우수한 공중 요격기이다.

양측 전투기 모두 세계적인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어느 누가 더 우세한 전술기를 보유했는지 가릴 수는 없다. 대신 프랑스 자국 기술로 만든 라팔이나 미라주와 달리 유로파이터는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4개국 합작으로 만든 전투기라서 부품 수급에서는 프랑스가 더 신속할 가능성이 있다. 공중급유기의 댓수도 프랑스가 더 많아서 공중 작전 능력과 체공 시간은 프랑스 공군이 우세할 가능성이 높다.

3. 결과

지상전에서는 장기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해상전에서는 프랑스가 압도적인 우위를 가져갈 가능성이 매우 크다. 원잠과 항모를 앞장세워 독일의 영해를 봉쇄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며 독일의 대서양 진출을 원천 봉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독일은 해상 보급이 막히게 되는데 이러면 육로 보급에만 의존하게 될 것이다.

현실의 독일과 프랑스는 유럽연합 회원국이자 NATO 동맹국으로 유럽을 양분하고 있는 강대국이자 선진국이다. 양국이 군사적 충돌을 하게 되면 이는 EU와 나토의 분열로 이어질 것이고 유럽에 정세에도 틀림없는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