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FF> 🂠 | 화투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A0000><colcolor=#FFF> 화투 게임 |
고스톱 | 고스톱(맞고) · 민화투 · 삼봉 · 코이코이 |
섰다 | 가보잡기 · 도리짓고 땡 · 불붙이기 · 섰다 |
재수 | 갑오떼기 · 삼각산 · 월떼기 |
기타 | 나이롱뽕 · 돼지잡기 · 메모리[범용] · 월남뽕 |
화투 용어 | ||
목록 | 갑오 · 고(쓰리고 · 포고) · 고도리 · 나가리 · 낙장불입 · 박(고박 · 광박 · 독박 · 피박) · 밤일낮장 · 비풍초똥팔삼 · 뻑(자뻑) · 이노시카쵸 · 일타쌍피 · 장땡 · 쪽 · 총통 · 패 | |
화투 패 구성 | ||
광 | 학(1) · 만막(3) · 만월(8) · 봉황(11) · 오노노 도후(12, 비광) | |
열끗 | 고도리 휘파람새(2) · 두견새(4) · 기러기(8) | |
이노시카쵸 나비(6) · 멧돼지(7) · 사슴(10) | ||
기타 열끗 야츠하시(5) · 사카즈키(9, 쌍피 전환 가능) · 제비(12) | ||
띠 | 홍단(1, 2, 3) · 초단(4, 5, 7, 12?) · 청단(6, 9, 10) | |
피 | 일반 피 22장 | |
쌍피 사카즈키(9, 열끗 전환 가능) · 오동(11, 열끗인 경우 존재) · 지옥문(12) · 보너스 패(0 ~ 6장, 2 ~ 3점) | ||
기타 화투 관련 문서 | ||
관련 인물 | 디자이너 우장춘 | |
기타 | ||
관련 기업 | 닌텐도 | |
관련 작품 | 타짜(만화) · 타짜(영화) · 타짜: 신의 손 | |
[범용] 다른 게임 카드 사용 사례가 있다. | }}}}}}}}} |
<colbgcolor=#BA0000><colcolor=#FFF> 도리짓고 땡 | |
🃑🃓🃖🃚🃚 | |
기원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디자이너 | 불명 |
인원 | 2~4명 |
플레이 | 10분 |
시스템 | 섰다 계열 |
언어별 명칭 | (한국어) 도리짓고 땡, 짓고 땡 |
[clearfix]
1. 개요
화투로 하는 카드 게임의 하나. 줄여서 '짓고땡'이라고도 부른다.5장의 화투패를 받아, 그중 3장의 합으로 10의 배수인 10,20,30 중에 한 가지를 만들고, 나머지 두 장으로 승패를 가른다. 비와 똥을 빼고 1월~10월까지만 사용하는데, 보통 피만 쓰거나 피만 빼는 등 20장만을 사용한다. 나머지도 포함하여 40장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2. 역사
원래는 일본에서 화투가 들어오기 전 조선시대부터 투전판에서 하던 노름의 한 종류인 돌려대기를 계승하였다. 투전패의 개수가 10개인 관계로 화투패와는 개수가 맞지 않아 화투패에서는 11, 12월을 빼고 한다.[1] 피망에서 짓고땡 게임을 서비스했던 적이 있었고, 현재는 한게임에서 서비스하고 있다.3. 경기 룰
1970년대에 도리짓고 땡이 보급되기 이전에는 가보잡기를 하였으나, 가보잡기는 밸런스가 많이 깨지고 룰이 복잡해서, 21세기에 들어와서부터는 대부분 도리짓고 땡을 하게 되었다. 물론 이것은 가보잡기 자체의 인기가 예전보다 많이 하락한 요인도 크다. 실제로도 섰다보다 조건이 까다로워서 패가 잘 안뜬다. 20장으로 하거나 40장으로 치므로 이론상 8인까지 가능하지만, 8명이나 되는 인원으로 하면 한 번 하는 데 카드 분배가 너무 길어져서 도리짓고 땡은 잘 안하고 보통은 섰다를 한다. 흔히 하는 인터넷 포커와 마찬가지로 5명 정도가 딱 좋다.5장의 카드를 5장 전부 안 보이게 하는 방식이나, 몇장의 카드를 5카드 드로우처럼 바꿀수 있는 드로우 방식, 몇장의 카드를 볼 수 있는 스터드 방식, 모든 플레이어들과 몇장의 카드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방식, 심지어는 머리가 뛰어나다면 텍사스 홀덤이나 오마하 홀덤 룰 등으로 즐길 수 있다. 손패에 2장[2] 받고 베팅(비포 플랍)→ 필드에 3장 공개(플랍) 후 베팅→ 4번째 장 공개(턴) 후 베팅→ 5번째 장 공개(리버) 후 베팅→ 손패+공유 7장 중 최종 5장 선택하여[3] 승패를 가린다. 공유카드가 많은 관계로 도리가 달라도 같은 땡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3.1. 베팅
선부터 베팅을 시작하며, 선은 금액을 베팅하지 않고 차례를 넘기는 '체크'를 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차례대로 금액을 베팅하는 '베트·레이즈'[4]를 하거나, 상대의 선언을 받는 '콜'을 하거나, 게임을 포기하는 '폴드'를 할지를 정한다. 이후 모든 사람이 베팅이 끝나면 패를 공개한 뒤 승패를 확인하여 황을 제외하고 가장 강한 카드 조합을 가지고 있는 참가자가 승리하여 베팅된 판돈을 모두 차지한다.- 앤티(Ante): 게임을 시작하면서 의무적으로 베팅하는 기본금으로, 일종의 게임 참가비라고도 볼 수 있다.
- 체크(Check): 판돈을 추가하지 않고 차례를 넘기겠다는 선언. 카드가 돌아가고 처음으로 베팅하는 사람이 쓸 수 있다. 단, 이후 다른 사람이 체크를 받아들이지 않고 판돈을 올렸다면 체크를 한 사람도 콜을 하든 레이즈를 하든 받아야 한다.
- 베트(Bet): 한 베팅 라운드에서 최초로 판돈을 올리겠다는 선언. 만약 아무도 베트를 선언하지 않으면 참가자 전원이 이번 라운드에선 모두 판돈을 올릴 의사가 없다고 간주되어 추가베팅 없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베트를 선언한 사람은 그만큼의 베팅액을 올려야 하며, 다른 참가자들은 콜 혹은 레이즈를 선언해야만 계속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 콜(Call): 앞의 플레이어가 '체크'를 하거나 또는 판돈을 올린 것(베트·레이즈)을 받아들인다는 의미.
- 레이즈(Raise): 앞의 플레이어가 판돈을 올린 것을 받아들이고, 거기에 추가적으로 더 베팅을 하는 것. 레이즈는 한 베팅 라운드에 최대 3번까지만 나올 수 있고, 한번에 걸 수 있는 최대 금액 역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폴드(Fold): 경기를 포기하는 것. 포기하기 전까지 베팅한 판돈은 잃게 된다. 게임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될 시, 포기할 건 포기하고 추가적인 손실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다이(Die)'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 올인(All in): 상대의 콜을 받기엔 현재 가지고 있는 돈이 부족해 '일반적인 콜'을 할 수 없을 경우에, 대신 자신이 지금 보유한 전 재산을 걸어 콜을 받는 행위. 다만 올인을 하고 게임에서 이길 경우에는 각각의 플레이어들에게서 자신이 베팅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받을 수 없다. 언제 선언하든 올인한 사람은 카드 오픈까지 추가베팅 없이 게임할 수 있다.
A : 8 8 2 3 5 → 2 3 5 짓고 8땡
B : 1 2 3 4 8 → 황 (짓지 못함)
C : 10 10 10 9 9 → 10 10 10 짓고 9땡
D : 4 4 2 5 4 → 4 4 2 짓고 갑오(아홉끗)
네 사람이 모두 베팅을 완료했다면, C가 이긴다. 물론 패를 보여주지 않고 돈을 걸게 되므로, 잘 지르면 못 짓고도 장땡을 밟을 수도 있다.
4. 카드 조합의 경우
4.1. 짓기
숫자별 경우의 수 | |
10 | 1-1-8 · 1-2-7 · 1-3-6 · 1-4-5 · 2-2-6 2-3-5 · 2-4-4 · 3-3-4 |
20 | 1-9-10 · 2-8-10 · 2-9-9 · 3-7-10 · 3-8-9 4-6-10 · 4-7-9 · 4-8-8 · 5-5-10 · 5-6-9 5-7-8 · 6-6-8 · 6-7-7 |
30[A] | 10-10-10 |
외우는 방법(낮은 패에서 높은 패 순서) |
만약 5장 중 어느 조합으로도 짓는 것이 실패하면 '황'이라고 부르며,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무조건 진다.
참고로, 수학적으로 랜덤하게 5장을 고른다고 할 때, 20장 게임에서 지을 확률은 약 71.5%, 못지을 확률은 28.5% 이다. 그리고, 땡으로 지을 확룰은 약 5.2% 이다. 40장 게임에서 지을 확률은 약 67.7%, 못지을 확률은 32.3% 이다. 그리고, 땡으로 지을 확률은 약 6.8% 이다. 타짜 만화에서는 "쌍장을 들면 잘 못 짓는다"라는 말이 있는데, 실제로 장을 정확히 2장 들었다면 20장 게임에서 지을 확률은 41.4%로 급락한다. 40장 게임은 47.9%로 약간 낫다.
[clearfix]
4.2. 승패 겨루기
일단 짓는데 성공하면 승패는 짓고 남은 나머지 2장으로 겨룬다. 원래는 땡과 끗 이외에 다른 족보들은 없었다. 그러나 섰다의 영향으로 섰다의 족보가 역수입되어서 많이들 섰다의 배팅과 족보를 사용한다.4.2.1. 오리지널 룰
- 짓는 것에 실패하면 '황'이라고 부르며,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무조건 진다. 단, 모든 사람이 황이면 선이 이긴다.[11]
- 짓고 남은 두 장의 숫자가 서로 다르면 두 수를 더한 후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끗'이라고 부른다. 끗 중에서는 가장 높은 것이 9이며, 이를 '갑오'라고 부른다. 가장 낮은 것은 0이며, 이는 '망통'이라고 부른다.
- 만약, 2장이 서로 같은 숫자일 경우는 '땡'이라고 부르며, 땡은 무조건 끗보다 높다. 땡중에서 가장 높은 것은 10-10으로 '장땡'이라 부른다. 다른 족보는 없기에 장땡은 무조건 승리하는 최강의 패이다. 다만, 40장을 쓰는 경기에서는 장땡끼리 비기는 경우가 나올 수는 있다.
4.2.2. 섰다 룰
자세한 내용은 섰다 문서 참고하십시오.섰다의 족보를 채용하면서 다음 족보를 인정하게 되었다.
- 광땡이 장땡보다 높다.
- 섰다의 중간족보들인 알리, 독사, 구삥, 장삥, 장사, 세륙을 인정하는 규칙이다.
- 섰다의 특수 족보인 구사, 멍텅구리 구사, 땡잡이, 암행어사도 대부분 인정된다.
4.2.3. 춘추땡 룰
2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짓는 것이 가능한 조합이 존재한다. 이 경우 짓는 방법에 따라 끗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1, 3, 6, 7, 7은 776 짓고 4끗(1+3) 혹은 136 짓고 7땡이 될 수도 있다. 당연히 높은 쪽을 택하면 된다.그런데, 그중에서도 특히 짓는 방법이 두 가지인데, 두 가지 모두 땡인 경우도 있다. 이 경우를 특별히 춘추땡이라고 부르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장땡보다 높은 족보로 인정하기도 한다. 다음과 같은 5가지 경우가 있다.
- 1,1,8,6,6 : 118 짓고 6땡 + 668 짓고 1땡
- 2,2,6,7,7 : 226 짓고 7땡 + 776 짓고 2땡
- 3,3,4,8,8 : 334 짓고 8땡 + 884 짓고 3땡
- 4,4,2,9,9 : 442 짓고 9땡 + 992 짓고 4땡
- 5,5,10,10,10[A] : 5,5,10 짓고 장땡 + 10,10,10 짓고 5땡
광땡까지 인정하면 다음과 같은 2가지 춘추땡이 더 추가된다. 참고로 13광땡만 가능하며, 38광땡, 18광땡은 춘추땡이 성립될 수 없다.[13]
- 1광,3광,6,2,2 : 136 짓고 2땡 + 226 짓고 13광땡
- 1광,3광,6,7,7 : 136 짓고 7땡 + 776 짓고 13광땡
40장의 경우에는 같은 숫자가 3장이나 4장이 모이면서 1-1-1-8-8, 1-1-1-1-8과 같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짓는 방법을 엄밀히 계산하면 6가지[14]가 존재하지만, 어떻게 짓더라도 그 결과는 1땡으로 같기 때문에 별도로 취급하진 않는다.
5. 매체
영화 타짜에서 섰다와 함께 등장한 몇 안 되는 화투 게임이다.[15] #[1] 이는 섰다도 마찬가지로, 11월과 12월 패를 뺀다.[2] 오마하 일경우는 4장[3] 오마하 일 경우는 반드시 손패에서 2장, 공유 3장[4] 최초로 판돈을 올리는 것은 베트, 아니라면 레이즈이다.[A] 40장으로 할 때만 성립한다.[6] 또는 빽새오[7] 또는 당구장.[8] 또는 심심새.[9] 또는 오리발.[10] 이 게임을 오래하면 이걸 외워서 암산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설도 있다.[11] 무승부로 처리하는 규정을 사용하는 곳도 있다.[A] [13] 38광땡은 3과 8을 포함해서 지으려면 9가 필요한데 9를 포함해서 지을 수 있는 경우는 1-10, 2-9, 3-8, 4-7, 5-6 뿐이므로 38광땡 부분으로 지었을 때 땡이 나올 수 없다. 18광땡은 1과 8을 포함해서 지으려면 1이 필요한데 1을 포함해서 지을 수 있는 경우는 1-8(40장 한정), 2-7, 3-6, 4-5 뿐이므로 18광땡 부분으로 지었을 때 마찬가지로 땡이 나올 수 없다.[14] 4개의 1 중 2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 4C2[15] 딱 한 번 등장했지만 곽철용이 고니를 주시하는 계기가 됨으로써 오히려 작중에서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