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간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bgcolor=#f7f2ca,#f7f2ca>
비스트 재단 ||
유니콘 건담 풀아머 유니콘 건담 실버 불릿 토로하치
- [ 론도 벨 · 에코즈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bgcolor=#5373b8,#5373b8>
론도 벨 ||
리젤 리젤 (대장기) 제간 D형 스타크 제간 프로토 스타크 제간 델타 플러스 EWAC 제간 리가지 제스타 제스타 캐논 89식 베이스 자바 94식 베이스 자바 크샤트리아 벳세룽 크샤트리아 리페어드 넬 아가마전함 라 카이람전함 에코즈
로토 제간 (에코즈 사양)
- [ 지구연방군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bgcolor=#006464,#006464>
지구연방군 ||
유니콘 건담 2호기 밴시 유니콘 건담 2호기 밴시 노른 짐 II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 짐 III 건탱크II 건캐논 디텍터 아쿠아 짐 네모 네모 III 바이아란 커스텀 안크샤 리젤 C형
(제너럴 레빌 배치기)제간 A2형
(제너럴 레빌 배치기)제타 플러스 구스타프 칼 제간 D형 (미채 사양) 본피쉬잠수함 가루다수송기 제너럴 레빌전함
- [ UC-MSV · 소설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bgcolor=#003366,#003366>
||
MSN-001 델타 건담 デルタガンダム │ Delta Gundam | |||
| | ||
<rowcolor=#fff> MS 형태 | 웨이브라이더 형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d553,#ffd553><colcolor=#464b68> 형식번호 | MSN-001 | |
분류 | 시작형 가변 모빌슈트 | ||
제작 |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 ||
소속 | 지구연방군 | ||
배치 | -[1] | ||
조종 | 상체 내 전천주위 모니터 및 리니어 시트형 콕핏에 1명 | ||
크기 | 두정고: 19.6m | ||
중량 | -[A] | ||
장갑재질 | 건다리움 합금 | ||
동력원 | 미노프스키 이오네스코형 열핵 반응로 | ||
제네레이터 출력 | -[A] | ||
스러스터 추력 | -[A] | ||
센서 유효반경 | -[A] | ||
특수장비 및 시스템 | 웨이브 라이더 가변 시스템 안티 빔 코팅 | ||
무장 | 60mm 발칸포x2[6] 빔 라이플 실드 빔 사벨x2[7] | ||
디자이너 | 카토키 하지메 | }}}}}}}}} |
1. 개요
우주세기 건담 시리즈에 등장하는 모빌슈트.Z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될 예정이었으나, 기술상의 한계 등등 이런저런 사정이 겹친 끝에 페이퍼 플랜으로만 남게 된 비운의 모빌슈트로 알려져 있다. 이는 기동전사 Z 건담에 등장하는 백식과 관련된 설정이지만, 명확한 설정은 Z건담 방영 당시가 아니라 기동전사 건담 UC에서 설정된 것이기 때문에 분류는 Z-MSV가 아닌 UC-MSV에 속한다. 때문에 HGUC 프라모델이나 게임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등에서도 UC-MSV로 분류하고 있다. 백식의 첫 등장이 1980년대[8]이니, 근 30년 가까이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셈이다.
2. 설정
델타 건담 설정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nopad> MS 형태 (비무장) | ||
| | |
<rowcolor=#fff> MS 형태 (무장) | 웨이브라이더 형태 |
기동전사 건담 UC에 이 기체의 양산 시작기인 델타 플러스가 등장하면서 공식 설정화가 등장했고, 백식에는 없었던 뿔이 달려 있어서 드디어 건담 헤드의 조건을 다 만족시켰다. 다만 뿔의 경우 블레이드형 안테나가 들어갈 예정이었던 슬롯이 계속 비어 있고 그 옆으로 꺾인 V자형 뿔이 있으며, 기존 백식의 아이덴티티를 살리면서 뿔을 집어넣은 대신에 뒤통수에 로드 안테나 한 개가 달렸다.
단행본 '기동전사 건담 UC 테스타먼트'에 수록된 단편 만화 '델타의 고동'에서는 백식이 완성되기 전인 U.C.0087년 당시 데이터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시행했으나, 시뮬레이션 결과 프레임이 가변기구의 작동 과정을 견디지 못한다는 점이 확인되어 실제 제작까지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백식으로 플랜을 바꾸어 완성된 것으로 묘사된다. 이론상의 설계를 당시 애너하임의 실제 기술력이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에 실물이 나올 수 없었던 것.
U.C.0094년에 금색의 웨이브 라이더가 목격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델타 건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다만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측에서 이에 대한 정확한 해명을 해주지 않았다. 게임 "기동전사 건담 UC"에서 금색으로 칠한 델타 플러스가 등장하지만 정확한 설정이 존재하지 않는 초회봉입에서 등장하는 기체이다. 파일럿 설정 같은건 없지만, 델타 플러스에 탑재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크와트로 바지나의 전투 데이터가 탑재된 델타 건담의 AI가 있었다.[9]
무장은 표준적인 것만을 탑재하고 있어 헤드 발칸, 빔 사벨, 빔 라이플이 전부이며 이외에는 변형 기구를 겸하는 실드를 장비한다. 빔 사벨은 실드에 내장되어 있으며 빔 건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빔 라이플은 건담 Mk-III와 동형의 것을 사용한다는 설정이며 실제로 프라모델에서 서로 동일한 형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등장한 것은 건담 Mk-III가 먼저이지만 작중 설정상으로는 델타 건담의 개발이 먼저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기체용으로 개발된 빔 라이플이 RX-178의 후계기에 채용되었다는 문장으로서 언급된다.
리디 마세나스의 탑승기로 등장한 델타 플러스는 실패했던 이 기체의 컨셉을 이후의 발전된 기술과 축적된 실전 데이터들을 반영하여 재설계해 완성해낸 기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델타플러스의 기술과 데이터로만 남아있던 델타 건담의 기술을 반영한 건담 델타 카이가 델타 계열 배리에이션의 최종 기체로서 완성된다.
3. 설정 정립
1987년에 모형잡지인 모델 그래픽스에서 출판한 '건담 워즈II 미션 ZZ(ガンダムウォーズII MISSION ΖΖ,)'라는 디오라마 화보 서적에서는 백식의 코드네임이 델타 건담이라는 설정이었다. 릭 디아스의 코드네임은 감마 건담이며, 그 다음으로 개발된 백식이 '감마(γ)' 다음인 '델타(δ)'를 따서 델타 건담이라는 코드 네임을 가지고 있다는 설정이었다.그 뒤에 "건담 MS 그래픽커(ガンダムMSグラフィカ)"라는 서적에서 '델타 건담'은 백식이 개발 당초의 계획대로 가변 모빌슈트로 완성된 모습을 지칭한 것으로, 단지 시뮬레이션 상의 존재이며 실기 생산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설정이다. 이 서적에서 변형시 프레임 강도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변형기구를 생략한 결과물이 백식이라는 설정이 처음 소개됐다.
그리고 UC-MSV를 거친 뒤, 《델타 건담은 당시의 기술적 한계로 만들어지지 못했으며, 그 과정에서 제작된 시험제작기가 백식》이라는 설정으로 정리되었다. 일각에선 백식이 델타 건담의 시험제작기라는 설정이 UC에서 나왔으며 델타 건담과 백식은 서로 관련이 없다는 주장을 펴기도 하지만 관련 설정 중 그런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당장 해당 설정이 나왔다는 UC-MSV에서는 기존처럼 백식의 재설계기로 실려있고 게임판 UC가 나왔을 때도 델타 건담을 《명기 백식의 진정한 모습》이라고 소개하였다. 공식 설정을 가져오는 건담 배틀 온라인2 사이트의 델타 건담 설정에도 여전히 설정은 백식의 재설계기로 기재되어있다.
즉 UC-MSV에서는 델타 건담이 백식의 진짜 모습이라는 기존의 설정을 변경한 적이 없으나, 일부 우주세기 팬들 중 UC에 격렬한 반감을 품고 있는 사람들에 의하여 '설정이 변경되었다' 라는 잘못된 정보가 퍼진 것이다.
4. 베리에이션
- MSN-001A1 델타 플러스
- MSN-001X 건담 델타 카이
- MSN-001Y 건담 델타 안스
기동전사 건담 U.C. 인게이지에서 설정된 델타 계열의 새로운 기체. 델타 계열의 최종형인 델타 카이는 자체적인 고성능과 '나이트로'를 통해 파일럿에게 뉴타입 능력을 부여하여 판넬 등 사이코뮤 병장의 사용을 가능하게 했으나 상세 정보가 극비에 붙여져 있었기 때문에 이를 의문시하는 의견이 많았다.[10] 이렇듯 델타 카이는 신뢰할 수 없는 부분이 있었기에 델타 플러스를 기반으로 새로 개발된 건담 델타 안스는 나이트로와 같은 사이코뮤 디바이스를 완전히 배제하고, 가변형 MS의 순수한 성능만을 고집해 탄생한 기체이다. 변형 구조는 기반이 된 델타 플러스와 동일하며, 등에 장비된 전개식 스러스터는 출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무장은 델타 카이의 기술 실증으로 고평가를 받았던 롱 메가 버스터를 장비했고, 실드에는 MS 상태에서 방어력을 보조해주는 I-필드 제너레이터가 탑재되었다.
- MSN-001-2 델타 건담 2호기
건담 프론트 도쿄의 유료 상영부스인 <DOME-G>에서 상영된 영상물인 'Competition of NEW GUNDAM -RED or WHITE-'에서 등장하는 델타 건담의 개수기. 다른 계열기들과는 달리 붉은색으로 칠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크와트로 전용기로 설계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상세는 불명이며, 영상 내에서는 에우고가 아닌 카라바측에 기체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며 "현재 조절에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여 즉시 납품하긴 힘들다"라는 대사가 나오기 때문에 카라바 납품용의 기체였던 것으로 추측되는지라[11] 더더욱 크와트로 전용기였을지는 의문시 되고 있다. 영상 내에선 카라바에 납품 예정인 듯 말하지만 실제론 기본설계 후 시뮬레이션 상에서의 테스트 단계였던 것으로 보이며 실제 기체가 만들어지진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대신 원본기와는 달리 릭 디아스, Z건담 등과의 부품 공용도를 높이고 경량화, 기동성 강화등의 개수가 행해져서 전투력이 높은 가변기임에도 정비성 등은 뛰어났을 것으로 보고 있다.
- MSN-001M 백만식(메가시키)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에 등장하는 HGUC 델타 건담의 개조 건프라. 모티브는 백식이지만 베이스 자체는 델타 건담이다. 자세한 것은 백만식 문서 참조.
- 엡시 건담(Ε/ε)
건다리움 엡실론의 개발 및 신형 핵펄스 추진 장치의 실험을 위해 제작된 시작형 모빌슈트이다. 원래는 Z건담 애니메이션 본편용으로 제출된 MS 디자인 중 채용되지 못한 것을 무크지 <미션 ZZ> 등에서 재설정한 기체[12]로 델타 건담의 설계가 백식 개발팀과는 다른 팀으로 넘어가 만들어질 예정이었던 기체라고 한다. 설정을 아까워한 잡지사 소속 작가들이 설정을 추가해 가며 만든 기체라 공식 설정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아마도 앞으로도 나올 일은 없겠지만 일단 Z계획의 기체들을 소개할 때 덤으로 끼어서 언급되는 경우는 의외로 많다.
5. 모형화
5.1. 건프라
5.1.1. HG
| ||
<colbgcolor=#ffd553><colcolor=#464b68> 브랜드 |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 |
스케일 | 1/144 | |
발매 | 2012년 3월 8일 | |
가격 | 5,200엔[13] | |
링크 | 제품 페이지 | |
리 뷰 | <colbgcolor=#ffd553>
|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
| #1 #2 |
HGUC 델타 플러스를 기반으로 신규 조형을 추가한 베리에이션 제품이다. 화려한 골드 멕기를 자랑하지만, 이 멕기 덕분에 무려 4,200엔이라는 MG급 가격으로 책정되었다. 비슷한 사례로 HG SEED 아카츠키가 있는데, 가격 차이는 제법 심하다. 아무래도 그동안 오른 물가 반영이 가장 큰 영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팬들 사이에서는 비싸다는 의견이 다수다. 다만, 원래 반다이는 코팅이 적용된 키트에 일반 사출된 키트 대비 2배 가량으로 책정하는 경우가 많기에 그냥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변형의 경우 델타 플러스와 마찬가지로 분해 후 재조립 방식이다. 델타 플러스와는 달리 날개를 아주 약간 움직일 수 있다. 그래도 윙 건담처럼 90도로 펼치지 못하는 건 매우 아쉽다.
여담으로 눈에 몰드가 없는 유일한 키트다.
5.1.1.1. HG 한정판
- 건담 프론트 도쿄 한정델타 건담 2호기 Ver.GFT 리미티드 컬러
붉은색 컬러링의 델타 건담 2호기가 발매되었다. 세트격인 RG Z 건담 3호기[14]에 맞춰서 RG급의 화려한 데칼이 동봉되어있다. 가격은 코팅이 없다보니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다만, 건담 프론트 도쿄의 영업 종료와 함께 매물이 점점 줄어들면서 프리미엄이 제법 높게 붙어있다. 2024년에 들어서 건프라 EXPO에 물량이 다시 풀렸다. 그리고 제일 먼저 품절 되었다.
- 건담 프론트 도쿄 한정델타 건담 2호기 Ver.GFT 리미티드 클리어 컬러
- 2016년 7월 발매, 가격 2,500엔(세금 포함).
- 리뷰: 해외#1
앞서 발매된 델타 건담 2호기의 유색 클리어 사출 제품이다. 관절부, 무장 등 회색 파츠는 일반 사출이다.
- 이벤트 한정델타 건담 2호기
- 일본 건담베이스 및 각종 행사(팝업스토어 등) 이벤트 한정판. 2024년 5월 3일 발매, 가격 2,700엔.[15]
- 리뷰:
앞서 GFT 한정으로 발매되었던 델타 건담 2호기의 재판이라고 할 수 있는 제품이다. 미묘한 사출색 변경을 제외하면 부속된 마킹 씰도 동일하다. GFT의 영업 종료로 구하기 어려웠던 제품이 아주 오랜만에 재판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프리미엄 반다이|델타 자인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파일:HGUC 델타 자인 박스아트.jpg - 2024년 11월 발매, 가격 7,000엔.
- 리뷰:
기동전사 건담: 은회의 환영 의 주역기로써 등장.코팅 때문에 7,000엔 이라는 비싼 가격에 책정되었다. 또한 델타 건담의 런너가 그대로 들어가 있어서 은색의 델타 건담을 만들어주는것도 가능하다.
5.2. 완성품
5.2.1. 식완
- FW 건담 STANDart: 제14탄 No.52 델타 건담: 2012년 7월 발매, 가격 600엔(1개입).
- FW 건담 컨버지 제10탄 No.59 델타 건담: 2013년 4월 발매, 가격 350엔(1개입).
6. 게임에서의 델타 건담
6.1. 기동전사 건담 UC(PS3)
초회특전으로 사용 가능하다.성능은 그럭저럭인데 웨이브 라이더로 변형한 뒤에는 무기가 없다는 것이 단점. 참고로 내수용 HG 델타 건담 초회판을 사면 크와트로 코드가 DLC로 들어가 있다.
6.2. SD건담 G제네레이션 OVER WORLD
SD건담 G제네레이션 OVER WORLD에서는 UC-MSV 묶음으로 등장한다.백식 레벨 5에서 개발 가능한데 무기가 빔 사벨, 빔 라이플 뿐이다. 그리고 델타 카이로 직접 개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델타 플러스를 거쳐야만 한다.
6.3. SD건담 G제네레이션 프론티어
R+, SR, UR 등급의 카드가 1종씩 존재한다. R+ 카드는 빔 라이플, SR은 빔 사벨, UR은 빔 사벨 이도류를 무장으로 사용.UR의 경우 2015년 7월 등장 당시로서는 표준적인 성능을 지니고 있었으며 FR 건담 델타 카이의 설계 재료로 사용되었다. 이후 2016년 초 비기너즈 액트 2~3에서 건담 델타 카이를 복각하면서 재료 기체로서 같이 복각되었으며, 기존의 레벨 60에서 75까지 초한계돌파가 가능해졌다.
여담으로 모든 카드에 MS형태라는 의미로 이름이 '델타 건담/MS'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정작 MA형태를 구현한 카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6.4.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델타 건담/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델타 건담/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5. 기렌의 야망 시리즈
기렌의 야망 액시즈의 위협V에서 지구연방, 에우고, 캐스발계 네오지온 세력, 템 레이군(아무로 레이의 아버지가 봉기한 세력)에서 사용가능한 MS로 등장한다.타세력에서도 첩보레벨을 S급으로 유지하고 적이 플랜을 보유 한 경우 렌덤하게 개발계획 입수가 가능성이 있다.
Z개발 계획1(MS기술16 / MA기술16 / 적성기술 15 / 자금 3,500 / 연구기간 6턴)을 통해 개발 가능하며, 백식, 메타스와 함께 Z 건담 개발의 토대가 된다.
성능은 1년전쟁 말기와 그리프스 전역 초기의 MS와 유사한 수준의 단기편성 사관기로 델타건담(MA형태)로의 특수변형이 가능하다. 전형적인 고기동 회피타입의 기체로 높은 명중률과 운동성(회피) 이동력을 지녔으나, 낮은 내구도로 인해 방패가 있음에도 생존률이 낮다. 따라서 스택을 쌓아 운용할 때 중렬이나 후열에 구성하여 운용하는게 낫다.
우주를 제외한 지형적성이 떨어지므로 지상에서 전투할때는 MA형태의 변형을 통해 거점점령이나 적의 분산에 목적을 두고 운용하게 된다. 단, MA형태에서는 이동력이 증가하나 운동성(회피)이 감소하고 방패를 사용할 수 없으며, 다수의 무장을 사용할 수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에 적 AI와 전투 시 이동력 차이로 인해 돌출된 MA형태의 델타건담이 있다면 적은 피해로 솎아낼 수 있다.
이 기체의 가장 큰 특징은 의외로 가변기능이 아닌 기체 한계치(파일럿의 능력 발휘 제한)가 작중 최고인 250%라는 점으로 크와트로나 카미유, 캐스발(네오지온) 등 에이스 NT파일럿이 아니면 그 성능을 끌어내기 어렵다. 일반적인 양산기의 한계치는 140%, 사관기는 190%을 전후의 성능이고 다수의 파일럿은 그정도의 한계치까지 능력이 닿지 않는다.
따라서 기대성능과 높은 생산비용을 고려할 때 다수를 양산할 필요는 없으며, 시작기만 활용하거나 소수의 파일럿에게 제공하다가 고성능의 기체가 도입되면 환승하는게 좋다.
Z계획과 델타건담-백식-백식 改-육전형 백식으로 이어지는 개발계보를 따라 후계기를 개발 할수록 누구나 조종 가능하도록 범용성과 내구성, 지형적성이 증가하고, 기체 한계치와 운동성이 감소한다. 특히 육전형 백식은 수중에서 가장 강한 기체 중 하나이며 지형적성이 높다.
델타건담의 라이벌은 양산기로 분류되는 메타스가 아닌 사관기 알렉스 건담 NT-1(기체 한계치 180% / MS기술 12 / 적성기술 11 / 자금 3,600 / 연구기간 4턴 / 특수 계획 NT 연구기관 설립 또는 루비콘 작전 실행 필요)로 다수의 중견/OT타입 파일럿은 델타건담과 알렉스 탑승시 비슷한 전투력을 기대 할 수 있다. 생산기간은 동일하게 2턴이 필요하다.
델타건담은 변형을 통한 전장에서의 유틸성과 에이스 탑승시의 잠재성능이 강점이고, 알렉스는 확장성(FA개조 가능, FA개조 시 파지 기능)이 강점이다. 알렉스의 경우 연방계열 함장태우기 개조 육성 꼼수로 활용된다.
Z계획1을 통해 델타건담을 개발 할 시, Z건담 필수조건인 백식과 메타스의 개발이 가능하고, 델타건담과 백식의 개발여부에 따라 메타스가 개발가능한 기술 레벨이(18lv > 16lv) 앞당겨지므로 페이퍼 플랜으로 존재했던 초기설정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지온의 계보 시절에는 델타건담 개발 플랜이 없었기에 백식의 개발 목적에 명시되었으나, 이는 그대로 델타건담으로 변경되었고, 백식의 개발 목적은 수정되었다.
총평하자면 애매한 등장시기와 플레이 세력의 제한, 성능을 이끌어줄 파일럿의 부재로 온전한 활약의 기회가 적은 비운의 기체다. 참전한 다수의 기체가 비슷한 이유로 활약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나마 위안. 일반적 플레이 시 크와트로 에우고 극 초반이나 베리 이지모드의 에우고 오버테크놀로지 기체로 활약이 가능하다.
[1] 아예 제작된 적이 없기 때문에 실전 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A] 제작된 적이 없기 때문에 실제 수치는 불분명하다. (때문에 HGUC 설명서나 설정집에서 직접적으로 델타 건담의 스펙치를 기재한 자료는 없다.) 일부 팬들은 스펙이랍시고 수치를 기재하기도 하지만, 그 출처는 이 기체가 아니라 동형기인 델타 건담 2호기의 수치다. 델타 건담 2호기의 경우, 일부 경량화가 가해지는 등, 겉으로 보기에 이 기체와 닮아있지만 실제로는 일부 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델타 건담 2호기의 수치를 델타 건담의 스펙치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류이다.[A] [A] [A] [6] 두부에 내장[7] 실드 안쪽에 수납[8] 기동전사 Z 건담 실제 방영일시 기준.[9] 기동전사 건담 UC-MSV 쿠사비 내용 / HGUC 델타 건담 메뉴얼 中[10] 나이트로 시스템은 태생 자체가 원래 과거 티탄즈에서 뉴타입(및 강화인간)의 탑승을 필요로 하는 사이코 건담의 운용을 더 유연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시초다. 헌데 초기형은 파일럿의 정신을 태워버리는 부작용이 있었기 때문에 개발이 중지되었지만, UC 계획의 시동으로 플래그 쉽인 유니콘 건담의 NT-D 시스템 발동에 필요로 하는 강화인간 파일럿의 보급을 위해 다시 개발이 시작되어, 그 시험판이 델타 카이에 탑재된 것. 하지만 델타 카이의 나이트로 역시 파일럿의 성격을 흉포하게 만드는 부작용이 있었기에 상세 내용을 극비리에 붙인 것이었다.[11] HGUC 프라모델에 동봉되는 씰은 제타건담 3호기와 비슷한 패턴이며, 윙바인더에 KARABA AIRFORCE 문구의 씰이 붙는데, 이 설정에서 따온 디자인으로 보인다.[12] 상당히 아까웠는지 이전에도 소설판 등 다양한 매체에서 이름이나마 꾸준히 등장을 하긴 했었다고 한다. 그런 물건이다 보니 추가 설정이 붙게 된 것.[13] 발매 당시부터 2025년 7-9월 재판 이전 가격은 4,200엔.#[14] 이전 한정발매된 '화이트 제타'와는 몇군데 색설정이 다르다.[15] 발매 당시부터 2025년 5월 9일 가격 인상(또는 2025년 7-9월 재판) 이전 가격은 2,500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