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0 20:00:52

대현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2271, #2531a2 20%, #2531a2 80%, #192271);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고왕 무왕 문왕 폐왕 성왕
<rowcolor=#fbe673>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강왕 정왕 희왕 간왕 선왕
<rowcolor=#fbe673>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말대
대이진 대건황 대현석 대위해 대인선
왕태자 · 건국 이전 지도자 · 발해부흥운동 군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2D5B, #4A2D5B 20%, #4A2D5B 80%, #)"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 신라 · 탐라 · 후고구려 · 후백제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일신라 신라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진성여왕 효공왕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후백제
초대 제2대
견훤 견신검
[[고려(동음이의어)#s-1.6|{{{#fbe673 고려}}}]] [[마진#s-3|{{{#fbe673 마진}}}]] [[태봉|{{{#670000 태봉}}}]] [[고려|{{{#670000 고려}}}]]
궁예 왕건
발해
제13대 제14대 제15대?
대현석 대위해 대인선
탐라국
제43대 제44대 제45대
경직왕 민왕 자견왕
}}}}}}}}}
<colbgcolor=#2531a2>발해 13대 국왕
大玄錫 | 대현석
시호불명
성씨대(大)
현석(玄錫)
생몰연도?[1] ~ 882년 또는 894년
재위기간871년 ~ 882년 또는 894년(11년 혹은 23년)

1. 소개2. 생애3. 관련 기록4. 연표

[clearfix]

1. 소개

발해의 제13대 가독부. 대건황의 아들.

시호는 알려지지 않았다. 시호가 경왕(景王)이라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신라 효소왕 때 발해가 건국됐고, (신라) 경애왕 때 (발해가) 거란에게 공격당해 망했다.’라는 《동국사략》의 구절을 한국사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부족했던 일본 학자들이 ‘(발해가) 경왕과 애왕 때 거란에 공격당해 망했다.’라고 잘못 해석해서 같은 시기 신라 왕이었던 경애왕과 혼동해서 생긴 사건이다. 정확히는 신라 ‘경애(景哀)왕’에서 앞의 ‘경(景)’을 대현석, 뒤의 ‘애(哀)’를 대인선에 대입한 것이다. 한때는 교과서에도 이 오류가 들어있다가 현대에는 빠졌고 이유립도 여기 낚여서 《환단고기》의 <발해 왕 계보>에서 대현석을 경황제(景皇帝)라고 써버림으로써 자폭하고 말았다. 대현석과 대인선 사이에 빠진 왕인 대위해는 당시 유일하게 《당회요》(唐會要)라는 책에만 기록된 인물이어서 왕인지도 몰랐던 것이다. 《환단고기》에서는 대현석이 천복(天福)이라는 연호를 썼다고 기록했지만 신빙성 없는 기록이다.

2. 생애

선왕, 대이진, 대건황의 약 60여 년간 잠잠했던 귀족들의 권력 투쟁이 이 때부터 다시 심화되었다.[2] 대현석 재위 후기 신라와 발해 사이에 보로국흑수국이 있었고, 이들이 헌강왕 대의 신라와 교섭을 하려고 했다는 기록이 나오는 것을 보면 발해가 혼란에 빠지면서 함경도연해주 일대에 주거하던 말갈족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며 영토의 상당수를 상실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현석 시기를 기점으로 융성하던 발해가 쇠퇴하기 시작한다.

사후 아들 혹은 친척인 대위해가 왕위를 승계하였는데 《신당서》의 서술 범위가 906년까지인데도 불구하고 대현석 이후의 발해 국왕이 기록되지 않았다는 점과 882년을 기점으로 발해의 주류 세력이 정당성의 양씨에서 문적원의 배씨로 교체된다는 점에 근거하여 대현석이 정변에 의해 시해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주류 세력 교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대위해 문서에 자세히 적혀 있다.

대현석부터는 군주의 즉위년도와 생몰년도가 정확하지 않다. 《일본서기》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871년~882년 동안에는 정당성의 양씨가 하정사를 맡았으나 882년부터 발해 멸망 때까지 문적원의 배씨가 하정사 지위를 독점하기 때문에 882년에 비정상적으로 왕계가 넘어가고 대위해-대인선 계열 군주가 즉위한 것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3. 관련 기록

877년, 양중원(揚中遠)을 비롯한 105인으로 된 사절단을 일본에 보냈다. 내치, 외치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남아있는 기록으론
虔晃子也, 懿宗咸通中, 三遣使朝唐.(건황자야, 의종함통중, 삼견사조당)
건황의 아들이다. 의종 함통 연간(860년 ~ 874년)에 세 번 사신을 보내 당에 조공하였다.
《발해고》

이진이 죽고 동생 건황이 즉위했다. (건황이) 죽고 현석(玄錫)이 즉위하였다. 함통(咸通) 연간(860년 ~ 873년)에 3번 조공하였다.
彝震死, 弟虔晃立. 死, 玄錫立. 咸通時, 三朝獻.
《신당서》
이게 전부. 이후에 나오는 기록은 대현석의 이야기가 아니라 통론에 해당하는 이야기이다.

4. 연표

  • 871년 겨울, 정당성 좌윤 상진장군 양성규 등 105명을 일본에 사신으로 보냈다.
  • 872년, 오소도가 당의 빈공과에서 수석으로 합격하였다.
  • 876년 겨울, 공목관 양중원 등 105명을 일본에 사신으로 보냈다.
  • 882년 겨울, 문적원소감 배정 등 105명을 일본에 사신으로 보내다.
  • 886년, 남부 국경의 보로국과 흑수국이 신라에 화친을 요청하였다.
  • 894년, 대현석이 죽고 대위해가 즉위하였다.


[1] 아버지인 대건황이 790년대 이후로 추정되므로 대현석은 많이 잡으면 820년대 전후로 추측이 가능하다.[2] 다만 대이진-대건황의 승계도 형제간의 승계라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