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壹夏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발해의 왕족이자 무장. 대무예와 대문예의 종형이다.
726년에 아무르강 하류 일대에서 살아가던 흑수말갈이 당나라의 흑수주가 되고 그곳에 장사(長史)를 두어 발해를 견제하려 하자, 앞뒤 양면에서 위협을 받게 되는 것을 우려한 무왕이 아우인 대문예, 장인(혹은 외숙)인 임아로 하여금 흑수말갈을 치게 하였다. 그러나 대문예는 처음부터 당나라를 두려워한 탓에 이에 찬동하지 않았고, 진군 후에도 흑수말갈과의 경계지역에서 표를 올려 무모한 공격을 중단할 것을 간했다. 이에 노한 무왕이 대일하를 대문예와 교체하여 진격하게 하였다. 대일하가 실제로 흑수말갈로 진격하였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 다만 대일하가 온다고 하자 대문예가 바로 내뺀 점을 보면 대무예의 최측근이었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순 있다.
2. 누구의 아들인가?
대일하는 무왕 대무예의 사촌형이므로, 대일하의 아버지는 고왕 대조영의 형제였다. 그런데 역사에 기록된 대조영의 형제는 대야발뿐이므로, 대일하는 대야발의 아들로 추정된다.그러나 기록이 없는 대조영의 형제의 아들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발해고에서 대야발보다 대일하가 먼저 기록되어 있으므로 대일하는 대야발보다 서열이 앞서고, 따라서 대조영의 형의 아들이었으리라고 보는 것이다. 또 대야발의 4세손(=증손자)이 선왕 대인수인데, 대인수의 할아버지거나 종조부라는 기록이 없다는 점으로도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대일하가 발해고에서 등장한 것은 단순히 대문예의 이야기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단 한 번만 언급된 것에 불과하므로, 단순히 이 점을 근거로 대일하의 서열이 대야발보다 앞섰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대문예·대일하·마문궤·총물아 편의 바로 뒤에 배치된 대야발·대굉림·대신덕 편에서는 대야발이 고왕의 아우였다고 언급된다.
3. 기타
등주에 대한 반격 이후 당은 유주의 군대를 동원하여 육로로 발해를 공격해서 마도산 전투에서 승리했다는 것까지만 나와 있지만 이후에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사실 당 현종 말년 안사의 난으로 하북 일대가 전란에 빠졌음에도 발해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의구심이 든다. 발해의 수도는 지도상으로 약간 동쪽에 위치하는데, 과거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게 발전된 지역들이 아니다. 동모산은 당나라의 추격을 격퇴하고 국가 수립을 한 곳이라는 측면에서 예외이며, 평양은 후기 고조선과 고구려의 수도였다지만 신라와 국경이니까 예외다.발해가 세운 나라의 특성상 고대부터 번성한 압록강이나 송화강 또는 더욱더 서쪽인 요하 지역으로 팽창하여야 함에도 지금의 연변 자치주 일대에 머무르고 있다. 위의 내용과 연계해 보면 당의 2차 공세로 인해 초기 발해[2]가 더욱 동쪽으로 피했다가 당의 내란을 기회로 국력을 키웠다는 설명이 된다. 다만 사서史書들은 羅唐 연합이 폭설로 인해서 실패했다고만 나오기에 자세한 진위 여부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