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9:46:57

노르망디-니에멘

<colbgcolor=#CC0000> 노르망디-니에멘 비행연대
Régiment de Chasse Normandie-Niémen[1]
Нормандия-Неман[2]
파일:노르망디-니에멘 엠블럼.svg
창설일 1942년
소속 프랑스 항공우주군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위치 몽 드 마르산 기지

1. 개요2. 역사
2.1. 프랑스는 모든 곳에서 싸운다2.2. 시리아 → 이란 → 러시아 전선2.3. 이국 땅에서의 실전2.4. 영광의 개선
3. 상징
3.1. 도색3.2. 유니폼
4. 전후
4.1. 프랑스4.2. 소련/러시아
5. 제2차 세계대전 참전 대원 목록6. 운용 기종7. 각종 기록8. 여담9.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파일:Normandy-Niemen.jpg
독소전쟁 당시 자유 프랑스 소속으로 소련 공군에 편입되어 독일 공군과 싸운 전투기 부대이다.

2. 역사

2.1. 프랑스는 모든 곳에서 싸운다

전쟁이 한창이던 1943년 중반에 편성된 이 부대는 제2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에서 소련 공군과 함께 공동 작전을 펼치며 여러 격전지에서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소속은 소련 공군이 아닌 자유 프랑스 공군의 전투 비행단이었으며, 후에 규모가 확충되었고 지휘 통제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소련 공군과 같은 편제인 전투비행연대로 재편성된다. 노르망디-니에멘은 영국 공군의 제151비행단(No.151 Wing)[3] 함께 2차 대전 동안 동부 전선에 참가한 서방 연합국 2개 부대 중의 하나로 유명하다. 그러나 영국 공군과는 달리 이들은 유럽에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소련군과 함께 싸운 유일한 항공부대였던 탓에 그 대접이 남다르다.

영국에 더부살이하고 있던 어려운 상황에서 굳이 이런 지원 부대를 편성하여 소련으로 파견한 것은 쉬운 결정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전과를 쌓아서 전후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선 결국 전선에서 싸우는 것이 우선시되어야했다. 자유 프랑스군의 지도자가 된 샤를 드골 장군이 프랑스 군인이 모든 전장에서 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력하게 주장하여 소련 원조를 위해 보내졌다. 자유 프랑스군은 1942년 3월에 나치 독일의 거센 공세를 힙겹게 막아내고 있던 소련 정부에 자유 프랑스군 소속 조종사와 정비병으로 구성된 비행부대를 파견하게 해줄 것을 제안했지만, 처음에는 거절했다고 한다. 그러나 곧 전황이 더욱 어려워져 비행기를 몰 수 있다고 한다면 조종사로 징집해서 최전선에 내보낼 지경이 되자, 파일럿들이라면 잡히는 대로 써야하던 소련은 드골의 요청을 떠올리고는 11월 25일에 협정을 조인하고 곧바로 부대 편성에 들어갔다.

2.2. 시리아 → 이란 → 러시아 전선

1차 파견 병력은 프랑스인 출신의 전투기 조종사는 14명 뿐이었고 정비사가 52명이어서 그리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었다. 초대 지휘관 장 튤란(Jean Tulasne : 1912~1943) 소령이 이끄는 자유 프랑스 공군의 제3전투비행단(Groupe de Chasse 3)으로 조직되어 1943년 3월 22일부터 1945년 5월 9일까지 소련 공군 소속으로 강력한 독일 공군을 비롯한 추축군 조종사들과 싸웠다.

이들은 추축군의 점령지를 피해서 머나먼 소련까지 가기 위해 시리아와 이란을 거쳐 11월 28일에야 모스크바 교외에 있는 이바노보 비행장에 도착했고 12월 4일에 부대 편성이 완료되었으나 소련이 제공한 야크 전투기 등의 숙달과 훈련을 위해 바로 전투에 나설 수는 없었다. 부대의 명칭은 노르망디 출신 부대원들이 많았던 탓에 승무원들의 뜻에 따라 ‘노르망디’ 부대로 명명되었다.

노르망디 부대 1기 조종사 14명
<colbgcolor=#fff,#191919> 이름 생몰일 비고
1 이브 비지앵 1920.11.30 - 1943.4.13 실종
2 레몽 데르비유 1914.2.27 - 1943.4.13 실종
3 앙드레 포즈난스키 1921.6.30 - 1943.4.13 전사
4 노엘 카스텔랭 1917. 5.30 - 1943.7.16 실종
5 알베르 리톨프 1911.10.31 - 1943.7.16 부지휘관
전사
6 장 튤란 1912.11.27 - 1943.7.17 지휘관
실종
7 알베르 프레지오시 1915.7.25 - 1943.7.28 실종
8 알베르 듀랑 1918.9.16 - 1943.9.1 실종
9 마르셀 르페브르 1918.3.17 - 1944.6.5 소비에트 연방 영웅[4]
10 디디에 베강 1918.12.14 - 1944.11.26
11 이브 마에 1919.11.21 - 1962.3.29 격추되어 포로로 잡힘
12 조제프 리소 1920.1.23 - 2005.11.24
13 마르셀 알베르 1917.11.25 - 2010.8.23 소비에트 연방 영웅
14 롤랑 드 라 푸아프 1920.7.28 - 2012.10.23 소비에트 연방 영웅

2.3. 이국 땅에서의 실전

야크 숙달을 마친 노르망디 부대는 마침내 1943년 3월 22일 제204폭격기사단 소속으로 전선에 배치되어 폭격기 호위 임무등을 하며 실전 연습을 가졌다.

이후 본격적인 전투 임무를 위해 1943년 4월 소련 제1항공군 제303전투기사단 제18근위연대에 소속되어 임무를 시작했고, 4월 5일에 영광스러운 첫 격추 기록을 세우지만 불과 8일 뒤인 4월 13일 조종사 3명이 한꺼번에 전사하면서 손실도 발생하기 시작했다.

1943년 7월에 2차 파견 병력이 도착해 인원이 늘어 노르망디는 7월 5일 제303전투기사단의 '노르망디 연대'로 독립하게 된다. 연대에는 노르망디의 주요 도시 이름을 딴 루앙, , 르아브르, 셰르부르라는 4개 비행대가 구성되었다.

동시에 7월부터 쿠르스크 전투가 시작됐고 제303전투기사단도 쿠르스크 전투에 참여해 밤낮없이 출격하게 된다. 독소전쟁의 흐름을 바꾼 격렬한 전투였던 만큼 공군도 쉴틈없이 싸웠고, 노르망디 연대도 4일동안 112회 출격 횟수를 기록할만큼 새벽 4시부터 밤 11시까지 끝도 없이 출격했다. 이게 어느정도였냐면 연료와 탄약이 떨어지면 돌아왔다가 보충되자마자 몇분만에 다시 출격하는 지옥의 뺑뺑이였다고 한다.

덕분에 빠르게 격추 전과도 쌓았지만 이 과정에서 7월 16일 1기 조종사 2명을 포함해 3명이 전사했다. 지휘관 튤란 소령은 복수심에 불타올라 다음날도 "제18근위연대 조종사들은 여섯 번씩 출격했다는데 우린 다섯 번? 뭣들 하는 거냐?"라며 전투기를 쉴새없이 출격시켰고 본인도 임무에 나갔다가 그대로 전사하고 만다. 튤란의 전사 소식을 들은 사단장 자하로프는 노르망디 연대를 방문해 속상함을 감추지 못하며 앞으로 노르망디 특유의 개별 전투는 그만두고 협동 공격을 하라고 다그쳤다.

노르망디 지휘관은 2차 파견 병력과 함께 왔었던 피에르 푸야드 소령이 이어받아 종전까지 노르망디 연대를 지휘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골치아프던 루프트바페를 상대로 괄목할 만한 무공을 세우고 있던 노르망디 연대의 전과에 기쁨을 감추지 못했으며, 특히 연대가 1944년 네만(Neman) 강 도하 작전에서 [5] 큰 전과를 올리자 이를 기념해 이 강을 지칭하는 네만(프랑스어로는 니에멘/Niémen)을 연대 이름 뒤에 붙이도록 했다. 그렇게 1944년 11월 28일 노르망디 연대는 노르망디-니에멘 연대로 개칭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프랑스 파일럿들이 소련군에 편입되어 동부전선에 참전했다는 소식을 듣고 화가 머리 끝까지 나서, 이들이 포로로 잡히면 전쟁포로로 인정하지 말고 즉시 처형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2.4. 영광의 개선

독소전쟁동안 총 96명의 프랑스 조종사들이 노르망디 연대에 소속됐고 이 중 거의 절반에 가까운 42명이 전사했다.

러시아땅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프랑스 파일럿들에게 스탈린은 감사의 표시로 이들이 전쟁내내 몰았던 Yak-3로 고국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이들은 러시아를 출발해 돌아가서 그대로 편제를 유지한 채 프랑스 공군으로 다시 편입되어 계속 부대의 전통을 이어갔다.

3. 상징

3.1. 도색

파일:Normandy-Niemen-paint.jpg
제303사단을 상징하는 꺾인 흰색 화살표와 프로펠러 쪽에 프랑스 국기의 청백적을 칠한 것이 노르망디 연대 상징 도색이었다.

파일:Normandy-Niemen-AndreJacques-yak3.jpg
도색 전 Yak-3.
타고 있는 파일럿은 소비에트 연방 영웅 자크 앙드레.
파일:Normandy-Niemen-paint-yak3.jpg
도색 후 Yak-3.
파일:Normandy-Niemen-RogerMarquis-yak3-1945.jpg
1945년 로베르 마르시와 소련 정비사들. Yak-3.
파일:Normandy-Niemen-LeBourget-yak3-1945.jpg
1945년 6월 프랑스로 돌아와 르부르제 공항에 주차된 Yak-3들.
파일:Normandy-Niemen-RolanddelaPoype-yak1b.jpg
1943년 롤랑 드 라 푸아프의 Yak-1b 도색.
창설 초기엔 미군을 따라 상어입 노즈 아트를 그리기도 했다고 한다.

3.2. 유니폼

파일:Normandy-Niemen-1943-06.jpg
Yak-1b와 노르망디 조종사들. 1943년 6월
파일:Normandy-Niemen-1944.jpg
Yak-3와 루앙 중대. 1944년
파일:Normandy-Niemen-2.jpg
Yak-3와 노르망디 조종사들. 동프로이센 1945년
노르망디 니에멘하면 또 유명한 것은 그들만의 특이한 유니폼이었는데 상반신은 프랑스 군복, 하반신은 소련 군복으로 구성한 반반 혼합 군복을 입었었다.

파일:Normandy-Niemen-liberation.png
영화 유럽의 해방에 묘사된 노르망디 니에멘.
왼쪽은 혼합 군복을, 오른쪽 피에르 푸야드 사령관은 온전한 프랑스 군복을 입고있다.

4. 전후

4.1. 프랑스

파일:pfm6ky6suadx.jpg
70주년 기념 도장을 한 라팔 전투기

귀국 후 노르망디-니에멘 연대는 그대로 유지하여 1949년에 베트남으로 이동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참전했다.

2005년부터 이 부대는 다쏘 미라주 F1 전투기를 장비한 1/30 비행단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행대는 2010년 6월에 일단 해체되었다가, 2011년 초에 재정비 되었다. 미라주 F1의 퇴역 이후에는 운용 기종을 라팔로 변경하여 지금에 이른다.

4.2. 소련/러시아

파일:612664395a40232133447d33247d383337373334343530.jpg
부대 상징이었던 꺾인 화살표 데칼을 사용한다.

종전 후 소련군에도 노르망디-니에멘 전투비행연대가 유지되었다. 전후 자유 프랑스군 파일럿들이 귀국하면서 해당 부대에서 더 이상 프랑스인이 복무하지는 않았지만, 그 공훈을 기리기 위해 부대 명칭과 편제가 유지된 것이다.

이후 형제 연대였던 제18근위연대가 노르망디의 이름을 이어받아 제18 근위 비텝스크 적기 수훈 항공연대 "노르망디-니에멘"[6]으로 바뀌면서 해당 부대는 극동 군구 예하 제11 항공군에 소속되어 우수리스크(Уссурийск) 인근 갈룐키 기지에 주둔하게 되었고 제트 전투기를 운용하는 현대적 전투비행단으로 개편된다. 개편 후 부대는 1951년에서 1953년까지 중국으로 잠시 주둔지를 옮겨 6.25 전쟁에 참전하여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수여받기도 하는 등 활동을 이어간다.

냉전 후반기에 해당 부대는 Su-25 공격기 위주로 편제가 변경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공군으로 전속돼 타지키스탄 내전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나, 2009년 11월, 아나톨리 세르듀코프 당시 국방장관의 군제개편의 일환으로 부대가 해산하였다. 해체되기 전까지 부대는 프랑스의 노르망디-니에멘 비행단과 교류를 유지하였다.

그러다 2013년, 러시아 연방군의 확대와 해당 부대의 상징성 등의 이유로 극동의 체르니홉카 기지에서 부대가 재창설되었고 이후 시리아 내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제2차 세계대전 참전 대원 목록


===# 조종사 #===
  • 장 튤란 (Jean Tulasne, 1912.11.27.~1943.07.17.)
    노르망디 전투비행대대 초대 지휘관. 자유 프랑스 공군 알자스 전투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대원들에게 튜튜(Tutu, 삼촌)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1943년 7월 17일 오룔 상공에서 실종되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알베르 리톨프 (Albert Littolff, 1911.10.23.~1943.07.16.)
    노르망디 초대 부지휘관. 자유 프랑스 공군 알자스 전투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쿠르스크 전투 중인 1943년 7월 16일에 크라스니코보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4기 격추.
  • 알베르 프레지오시 (Albert Préziosi, 1915.07.25.~1943.07.28.)
    자유 프랑스 공군 알자스 전투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쿠르스크 전투 중 오룔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레이몽 데르비유 (Raymond Derville, 1914.02.27.~1943.04.13.)
    자유 프랑스 공군 알자스 전투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격추되어 추락한 후 스파스-데미엔스크에서 독일군 포로로 잡혀 총살되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앙드레 포즈난스키 (André Poznanski, 1921.06.30.~1943.04.13.)
    자유 프랑스 공군 알자스 전투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파스-데미엔스크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디디에 베강 (Didier Béguin, 1918.12.14~1944.11.26.)
    영국 공군 제253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8기 격추.
  • 롤랑 드 라 푸아프 (Roland de la Poype, 1920.07.28.~2012.10.23.)
    영국 공군 제602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이름에서 보이듯 후작 가문 출신이다. 덕분에 알베르에게 '후작'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그리고 일본에서 모에선을 맞았다
    전쟁 중 총 15기 격추.
  • 이브 마에 (Yves Mahé, 1919.12.21.~1962.03.29.)
    영국 공군 제253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파스-데미엔스크에서 독일군 포로로 잡혔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이브 비지앵 (Yves Bizien, 1920.11.30.~1943.04.13.)
    영국 공군 제123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격추되어 추락한 후 스파스-데미엔스크에서 독일군 포로로 잡혀 총살되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마르셀 알베르 (Marcel Albert, 1917.12.25.~2010.08.23.)
    영국 공군 제340비행대대 '일드프랑스'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노르망디 대대가 연대로 개편된 후 제1대대 '루앙'의 지휘관을 맡았다.
    전쟁 중 총 23기 격추.
  • 마르셀 르페브르 (Marcel Lefèvre, 1918.03.17.~1944.06.05.)
    영국 공군 제81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항공기 결함 때문에 발생한 사고에서 심한 화상을 입고 후방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결국 사망했다. 노르망디 주 출신으로 노르망디에서 복무한 그의 사망 날짜는 공교롭게도 1944년 6월 5일.
    전쟁 중 총 11기 격추.
  • 알베르 듀랑 (Albert Durand, 1918.09.16~1943.09.01.)
    영국 공군 제340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옐냐 지역 상공에서 격추되었다.
    전쟁 중 총 10기 격추.
  • 조제프 리소 (Joseph Risso, 1920.11.23.~2005.11.24.)
    영국 공군 제253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노르망디 대대가 연대로 개편된 후 제1대대 '르아브르'의 지휘관을 맡았다. 이후 공군 장성까지 진급했다.
    전쟁 중 총 11기 격추.
  • 노엘 카스텔랭 (Noël Castelain, 1917.10.30.~1943.07.16.)
    자유 프랑스 공군 알자스 전투비행대대 출신으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노르망디 대대가 만들어지기 한참 전부터 알베르 리톨프의 윙메이트였다. 1943년 7월 16일, 쿠르스크 전투 중 크라스니코보 상공에서 리톨프와 함께 사라졌다.[7]
    전쟁 중 총 7기 격추.
  • 미셸 시크 (Michel Schick, 1918.05.24.~1995.09.26.)
    통역장교 및 연락장교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투기를 타고 싶었는데, 소련에 가서 통역 일을 하며 연락기를 몰고 있으면 나중에 전투기도 타게 해 주겠다는 말을 듣고 바로 러시아로 가기로 마음먹었다. 훗날 전투기도 조종하게 된다.
  • 장 드 팡주 (Jean de Pange, 1917.03.29.~1999.10.06.)
    연락장교로 1942년 11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서류 작업을 몹시 싫어한 튤란이 떠넘긴 부대 일지 작성 등의 업무도 도맡아야 했다.
  • 아드리앵 베르나봉 (Adrien Bernavon, 1912.12.11~1943.07.16.)
    1943년 5월 10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피에르 푸야드의 절친한 친구. 1943년 7월 16일에 오룔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모리스 봉 (Maurice Bon, 1920.02.10.~1943.10.13.)
    1943년 5월 1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몰렌스크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6기 격추.
  • 알렉상드르 로랑 (Alexandre Laurant, 1918.12.10.~1957.06.11.)
    1943년 5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료들에게 '사샤'라고 불렸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피에르 푸야드 (Pierre Pouyade, 1911.07.25.~1979.09.05.)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비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우여곡절 끝에 러시아의 노르망디 대원들과 합류했다. 튤란의 생시르 사관학교 동기였다. 도착 후 리톨프 대신 노르망디 부지휘관 역할을 맡았으며, 튤란과 리톨프가 모두 전사한 후 2대 노르망디 지휘관이 되었다. 대원들에게 페피토(Pépito)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전쟁 중 총 6기 격추.
  • 앙드레 발쿠 (André Balcou, 1920.03.11.~1943.09.20.)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옐냐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레오 바르비에 (Léo Barbier)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몰렌스크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앙리 부베 (Henri Boube)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 폴 드 포르주 (Paul de Forges)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부지휘관을 맡았다. 옐냐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제랄드 레옹 (Gérald Léon)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옐나 상공에서 포격으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자크 마티 (Jaques Mathis, 1914.12.28~1944.08.31.)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옐냐에서 심한 부상을 입고 1943년 9월 6일에 동부전선을 떠났다. 이후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가 1944년 8월 31일에 영국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장 드 테데스코 (Jean de Tedesco, 1920.03.28~1943.07.14.)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오룔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피르맹 베르멜 (Firmin Vermeil, 1914.09.24.~1943.07.17.)
    1943년 6월 9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오룔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앙드레 라르고 (André Largeau)
    1943년 7월 30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몰렌스크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루이 아스티에 (Louis Astier)
    1943년 8월 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3년 10월 19일에 중동으로 전출되었다.
  • 로제 드니 (Roger Denis, 1917.12.06.~1943.10.13.)
    1943년 8월 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몰렌스크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이브 포루 (Yves Fauroux)
    1943년 8월 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앙리 푸코 (Henri Foucaud, 1908.12.17.~1944.04.21.)
    1943년 8월 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툴라에서 비행 사고로 사망했다.
    전쟁 중 총 8기 격추.
  • 장 레 (Jean Rey)
    1943년 8월 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옐냐 상공에서 대공포에 맞고 전사했다.
  • 장 드 시부르 (Jean de Sibour)
    1943년 8월 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옐냐 상공에서 전사했다.
  • 피에르 자넬 (Pierre Jeannel)
    1943년 8월 1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몰렌스크 상공에서 부상을 입었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자크 드 생팔 (Jaques de Saint-Phalle, 1917.06.30.~2010.06.15.)
    1943년 8월 1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이브 모리에 (Yves Mourier, 1912.09.30.~1948.04.01.)
    1943년 8월 14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4년 12월 12일에 중동으로 전출되었다.
    전쟁 중 총 9기 격추.
  • 쥘 주아르 (Jules Joire, 1914.08.29~1944.03.18.)
    1943년 10월 12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툴라에서 항공기 충돌 사고로 사망했다.
    전쟁 중 총 6기 격추.
  • 모리스 아마르제 (Maurice Amarger)
    1943년 12월 22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4년 12월 20일에 전출되었다.
    전쟁 중 총 8기 격추.
  • 자크 앙드레 (Jaques André, 1919.02.25~1988.04.02.)
    1943년 12월 22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6기 격추.
  • 장 베르트랑 (Jean Bertrand)
    1943년 12월 22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자크 카사뉘 (Jaques Casaneuye)
    1943년 12월 22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레옹 퀴포 (Léon Cuffaut, 1911.01.20.~2022.09.18.)
    1943년 12월 22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4년 12월 20일에 중동으로 전출되었다.
    전쟁 중 총 13기 격추.
  • 콘스탄틴 펠드제 (Constantin Feldzer, 1909.10.12~1988.12.29.)
    1943년 12월 22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4년 8월 1일에 동프로이센에서 포로로 잡혔으나 탈출에 성공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이브 카르봉 (Yves Carbon)
    1943년 12월 30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9기 격추.
  • 피에르 드샤네 (Pierre Dechanet)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7기 격추.
  • 로베르 들랭 (Robert Delin)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피에르 두아르 (Pierre Douarre)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브뤼노 드 팔탕 (Bruno de Faletans)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스몰렌스크 상공에서 전사했다.
  • 프랑수아 드 조프르 (François de Geoffre, 1917.08.08.~1970.07.17.)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7기 격추.
  • 로베르 마르시 (Robert Marchi, 1919.07.26.~1946.07.17.)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곡예비행 실력이 뛰어났으며, 종전 직후 노르망디 대원들을 환영하는 행사에서 곡예 비행을 선보이기도 했다. 결국 곡예비행을 하다 사고로 사망했다.
    전쟁 중 총 13기 격추.
  • 르네 마르탱 (René Martin)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9기 격추.
  • 가브리엘 메르지센 (Gabriel Mertzisen)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8기 격추.
  • 로제 펜베르느 (Roger Penverne, 1918.03.31.~1945.02.05.)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료들에게 팡팡(Pan-pan)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동프로이센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가스통 드 생마르소 (Gaston de Saint-Marceaux)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장 소바주 (Jean Sauvage)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5기 격추.
  • 로제 소바주 (Roger Sauvage, 1917.03.26.~1977.09.26.)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6기 격추.
  • 모리스 드 센 (Maurice de Seynes, 1914.08.07.~1944.07.15.)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마크 베르디에 (Marc Verdier, 1916.08.24.~1944.09.22.)
    1944년 1월 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에마누엘 브리에 (Emmanuel Brihaye)
    1944년 1월 2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페르낭 피에로 (Fernand Pierrot)
    1944년 1월 2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자크 바녜르 (Jaques Bagnère)
    1944년 2월 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 모리스 부르디유 (Maurice Bourdieu)
    1944년 2월 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툴라에서 비행기 충돌 사고로 사망했다.
  • 로베르 이리바른 (Robert Iribarne)
    1944년 2월 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 상공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7기 격추.
  • 알베르 르브라 (Albert Lebras)
    1944년 2월 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장 르 마르텔로 (Jean le Martelot)
    1944년 2월 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앙드레 무아네 (André Moynet, 1921.07.19.~1993.05.02.)
    1944년 2월 6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4년 12월 12일에 전출되었다.
    전쟁 중 총 8기 격추.
  • 로베르 카스탱 (Robert Castin)
    1944년 2월 24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0기 격추.
  • 마크 샤라 (Marc Charras)
    1944년 2월 24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7기 격추.
  • 샤를 모니에 (Charles Monier, 1920.01.03.~1953.03.03.)
    1944년 2월 24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조제프 쇤도르프 (Joseph Schoendorff)
    1944년 2월 24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2기 격추.
  • 루이 델피노 (Louis Delfino, 1912.10.05.~1968.06.11.)
    1944년 2월 2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튤란, 푸야드와 생시르 사관학교 동기였다. 1944년 12월 12일부터 푸야드의 뒤를 이어 노르망디 3대 지휘관이 되었다. 비시 프랑스에서 복무했으며, 영국군과 교전 끝에 영국기를 격추한 적도 있었던 탓에 몇몇 노르망디 대원은 그를 매우 싫어했다. 푸야드가 파리로 가게 되는 바람에 델피노가 지휘관이 되자 그 밑에서 복무할 수 없다고 하는 대원들도 있었을 정도. 알베르는 델피노가 기체에 그려 놓은 철십자 모양 킬마크를 보고 '우리 삼색기도 한두 개 들어 있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빈정거린 적도 있었다. 전후 장성까지 진급했다.
    전쟁 중 총 16기 격추.
  • 모리스 샬 (Maurice Challe)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0기 격추.
  • 르네 샬 (René Challe)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8기 격추.
  • 장 에모네 (Jean Émonet)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 자크 가스통 (Jaques Gaston)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오르샤 상공에서 전사했다.
  • 피에르 제네 (Pierre Génès)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조르주 르마르 (Georges Lemare)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3기 격추.
  • 장 망소 (Jean Manceau)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리투아니아에서 지뢰를 밟고 사망했다.
    전쟁 중 총 6기 격추.
  • 리오넬 므뉘 (Lionel Menut)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샤를 미켈 (Charles Miquel, 1920.12.04.~1945.01.16.)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7기 격추.
  • 마르셀 페린 (Marcel Perrin)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13기 격추.
  • 로제 피농 (Roger Pinon)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포로로 잡혀 사살되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루이 케른 (Louis Querne)
    1944년 3월 1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전쟁 중 총 1기 격추.
  • 가엘 타뷔레 (Gaël Taburet)
    1944년 4월 3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5기 격추.
  • 장 베사드 (Jean Bayssade)
    1944년 5월 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4년 7월 30일에 포로로 잡혔으나 탈출에 성공했다.
  • 샤를 드 라 살 (Charles de la Salle)
    1944년 5월 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피에르 로릴롱 (Pierre Lorillon, 1918.05.13.~2013.02.17.)
    1944년 5월 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8기 격추.
  • 피에르 마트라 (Pierre Matras)
    1944년 5월 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9기 격추.
  • 로제 베르시니 (Roger Versini)

    • 1944년 5월 8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3기 격추.
  • 피에르 블레통 (Pierre Bleton)
    1944년 10월 1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포로로 잡혔다.
    전쟁 중 총 7기 격추.
  • 모리스 기도 (Maurice Guido)
    1944년 10월 1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4기 격추.
  • 조르주 앙리 (Georges Henri)
    1944년 10월 1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포격에 맞고 사망했다.
    전쟁 중 총 5기 격추.
  • 모리스 몽제 (Maurice Monge)
    1944년 10월 1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 레옹 우글로프 (Léon Ougloff)
    1944년 10월 1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전쟁 중 총 5기 격추.
  • 장 피케노 (Jean Piquenot)
    1944년 10월 1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동프로이센에서 전사했다.
  • 샤를 르베르숑 (Charles Reverchon)
    1944년 10월 17일부터 노르망디에서 복무했다. 1945년 1월 18일 동프로이센에서 대공포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

===# 행정 및 정비 인원 #===

6. 운용 기종

* 야코블레프 UT-2 : 1942년 12월 1일부터 18일까지 짧은 기간만 기종 적응 훈련에 사용된 복좌 훈련기.
  • 야코블레프 Yak-7V : 1942년 12월부터 1943년 1월 25일까지 전투비행과 사격 훈련 용도로 운용.
  • 야코블레프 Yak-1b : 1943년 1월 19일부터 3월 22일까지 고등 훈련과 공중전 훈련에 사용되다가 그 후로는 전투기로 운용. 노르망디-니에멘은 처음에 6대의 Yak-1을 인수했고 1943년 3월에는 8대, 그리고 4대가 4월 말경에 추가되었다. 6월부터는 새로 전입온 신참 조종사 훈련에 사용된 이 기체는 부대가 소련을 떠나기 전까지 남아있었다.
  • 야코블레프 Yak-9D : 1944년 6월부터 7월 말까지 툴라 기지에서 훈련에 사용된 전투기. 동시에 수령한 공격기 형식인 Yak-9T와 함께 2대의 Yak-9D가 9월 10일까지 남아 있었다.
  • 야코블레프 Yak-3 : 1944년 7월부터 1945년 5월까지 사용된 노르망디-니에멘의 주력 전투기이자 상징이다. 37대의 Yak-3가 부대가 본국으로 돌아갈 때 우정의 증표로 프랑스 공군에 인도되고 이 기체들은 1945년 6월부터 1947년 4월까지 일선기로 이용되었다.
  • 야코블레프 Yak-6 : 노르망디-니멘 부대의 전선 수송기.

7. 각종 기록

마르셀 알베르(Marcel Albert : 1917~2010 / 23대 격추)와 마르셀 르페브르(Marcel Lefèvre : 1918~1944 / 14대 격추), 자크 앙드레(Jacques André : 1919~1988 / 17대 격추), 롤랑 드 라 푸아프(Roland de la Poype : 1920~2012 / 18대 격추) 4명의 에이스 파일럿들은 전투에서 보여준 용맹과 혁혁한 무공으로 프랑스인 최초로 소비에트 연방 영웅이 되었다. 이 부대는 브랸스크, 오룔, 엘리니야, 스몰렌스크, 쾨니히스베르크와 같은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격전지에서 종군하면서 전투 명예훈장과 적기 훈장이 여럿 수여되었다. 프랑스로부터는 레종 도뇌르 훈장, 끌로드 라 리베라시옹 훈장을 비롯한 6개의 훈장을 서훈받았다.

노르망디-니에멘은 종전을 맞이할 때까지 확인 격추 273대 / 미확인 격추 37대의 빛나는 전과를 거두었지만 87대의 기체를 잃고 42명의 조종사가 전사했다. 합계 출격 횟수는 5,240회로 그중에서 869회의 공중전을 치르었으며 30명이 에이스 칭호를 얻었으나 그중에서도 전사자는 있었다. 이들은 공중전에서 거둔 전과 외에도 27량의 열차, 22량의 기관차, 2척의 고속정, 132대의 트럭, 24대의 장갑 차량을 격파했다.

이들이 본국에 돌아올 때 우정의 증표로 주어진 Yak-3 전투기는 프랑스 공군에서 10개월간 더 현역으로 쓰이다가 모두 퇴역했다. 그중에 오직 1대가 현재 르부르제 항공우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8. 여담

  • 유명한 감동 실화가 있다. 노르망디 니에멘은 프랑스 조종사들과 소련 정비사들로 구성되었는데,[8] 쾌활한 파리 출신 귀족 모리스 드 세인의 정비사로 과묵한 우크라이나 시골 출신 블라디미르 벨로줍이 배정되었다. 상극같아 보이는 둘은 함께 전쟁을 겪으며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1944년 7월 15일 연대는 비행장을 이사하게 됐고 조종사들은 각자의 정비사를 같이 태우고 날아가게 됐다. 그렇게 공중전을 피하기 위해 저고도로 이동하다 운나쁘게도 지상에서 발사된 독일군의 총알들이 모리스의 연료탱크와 엔진을 맞춰버렸고, 설상가상으로 조종석에 연료가 새면서 모리스의 시야까지 가리게 됐다. 모리스에겐 낙하산이 있었지만 같이 탄 블라디미르에게는 낙하산이 없었고, 탈출하라는 명령에도 모리스는 끝까지 전투기를 착륙시키려 노력하다 결국 블라디미르와 함께 추락하여 사망했다. 둘은 함께 묻혔고 이들의 이야기는 아름다운 미담으로 소련 전역에 널리 퍼져나갔다.
    돌아가면 제 프랑스 친구 모리스 드 세인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그는 파시스트를 아주 용맹하게 물리쳐요. 여가시간에 우리는 서로의 언어를 가르쳐줘요. 그는 저에게 프랑스어를 알려주고, 저는 그에게 러시아어를 알려줘요⋯

    블라디미르가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 中
    엄마, 전 그를 철학자라고 불러요. 그도 엄마만큼이나 항상 내가 무사히 귀환하기를 기다려요. 심지어 꿈에서도 엄마보다 그를 향해 귀환하곤 한다니까요. 제가 꿈속에서 엄마와 클로드를 만나고 있을 때 그는 잠도 안자고 제가 안전히 돌아올 수 있도록 항상 최선을 다해 일해요. 엄마, 그는 정말 멋지고 대단한 사람이에요! 엄마도 언젠가 그를 만날 수 있을 거예요⋯

    모리스가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 中
  • 모리스와 블라디미르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프랑스 조종사와 소련 정비사들이 깊은 우정을 맺었다. 자신의 조종사가 출격했다가 돌아오지 못하면 남은 정비사들은 홀로 남아 슬픔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 비극적인 사건도 있었다. 1944년 6월 8일, 노르망디 연대의 모리스 샬이 같은 사단 소속 제18근위연대[9]La-5를 독일군으로 오인하고 격추시키는 사건이 벌어졌다. 해당 La-5에 타고 있던 바실리 아르히포프 중위는 자신을 공격하고 있는 게 노르망디 소속 전투기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날개를 흔들며 신호를 보냈지만 모리스 샬은 끝까지 눈치채지 못했고 결국 아르히포프 중위는 아군 오인사격으로 격추되어 전사하고 만다. 소련 조종사였다면 얄짤없이 형벌 부대 행이었지만 논의 끝에 모리스 샬은 처벌없이 그대로 노르망디에 남아 죄를 속죄할 수 있는 기회를 받았다. 모리스 샬은 사고 이후 웃음을 잃고 마치 '죽음을 찾는 것 처럼' 강박적으로 위험한 임무들에 빠짐없이 출격하며 10기 격추 기록을 세우고 적기훈장까지 받으며 죄를 속죄했지만 끝내 죄책감을 떨쳐내지 못했고, 종전 직전 1945년 3월 27일 출격을 나갔다 돌아오지 않아 사망처리 되었다.
  • 창설 초 몇몇 프랑스 정비사들이 소련에 처음 도착한 후 서류를 받기도 전에 관광을 떠났고 수상한 외국인들을 발견한 NKVD에 의해 이틀 동안 구금당한적 있었다.[10]
  • 소련 병영식에 불만이 많았다. 특히 러시아식 메밀죽을 '새 모이'라고 부르며 극혐했지만 소련 정비사들과 공군기지 직원들의 식사를 보고는 자신들의 식사가 잘 나오는 편이라는 걸 깨닫고 더이상 불평하지 않았다고 한다.
  • 봄이 되면 민들레를 채집하고 먹었는데 흔한 들꽃을 뜯어먹는 프랑스인들을 본 러시아인들은 그들이 미친줄알고 서둘러 의사를 불러냈다. 의사는 웃으면서 "프랑스에선 민들레를 식용으로 먹는다."라며 오해를 바로잡았다.
  • 고향 요리가 그리워진 프랑스 정비사들은 어느날 숲속에서 토끼를 잡아 뵈프 부르기뇽을 만들었다. 그리고 소련 동료들에게도 나눠주면서 사실 이 요리는 주방에 자주 드나들던 고양이 '괴벨스'로 만든 것이라며 구라를 쳤다. 충격받은 러시아인들은 프랑스인들에게 주먹질을 해댔고 프랑스 정비사들은 끝까지 "나치 장관의 가죽을 벗긴것뿐이야!"라며 농담을 해댔다. 난장판 속에서 고양이 괴벨스는 평소와 같이 주방에 나타나 짬 처리를 하고 갔다.
  • 누군가가 전사하거나 실종되어 돌아오지 못하면 남은 전우들이 유족들에게 전해주지 않아도 될법한 사소한 유품(면도기, 양말 등등)들을 나눠가지는 전통이 있었다. 가끔씩 실종됐던 조종사가 살아돌아와 전우들에게 강탈당한 물건들을 다시 되찾아오기도 했다.
  • 노르망디의 명성이 높아지자 바실리 스탈린이 높은 급여를 제시하며 자신의 휘하에 들어올 것을 제안했지만 바로 거절당했다.
  • 자신들이 소속한 제303전투기사단의 사령관 게오르기 자하로프를 "형님"이나 "아버지"라고 부르며 잘 따랐다.
  • 러시아 혁명 및 내전 때 프랑스로 망명한 러시아계 프랑스인 조종사들도 12명이나 노르망디에 소속됐었다. 정치적인 얘기는 일절 하지 않는다는 상호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별다른 일은 없었다.

9. 대중매체

1960년에 소련 프랑스 합작으로 영화가 만들어졌다. 실제 노르망디 니에멘이자 소비에트 연방 영웅을 수훈받은 롤랑 드 라 푸아프는 이 영화를 보고 인물의 성격이 과장된 것 빼면 생활상과 전투임무들을 정확하게 묘사했다고 호평했다.

유럽의 해방 바그라티온 작전편에서 소련의 공세에 참가한다.

스틸 디비전 2의 소련군에 야크 노르망디 부대로 등장한다.

워 썬더 프랑스 공군 프리미엄 기체에 노르망디-니에멘 부대 소속 Yak-3과 Yak-9T가 등장한다.

비행고등학교에서 라팔이 한번 언급한다.


[1] 레지멍 드 샤스 노흐멍디-니에멍[2] 나르만디야 녜만[3] 허리케인을 장비한 부대. 이 부대도 소련 파견 부대이며, 노르망디 니에멘처럼 파견 기간 동안 이 병력들의 소속은 소련군으로 전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영국 공군의 'Wing'은 당시 미 육군 항공대의 Group(비행단)에 해당한다.[4] 사후 추서.[5] 독일어로는 메멜(Memel)이라고 한다.[6] 18-й гвардейский Витебский дважды Краснознаменный ордена Суворова второй степени истребительный полк ВВС России "Нормандия – Неман"[7] 이틀 전인 7월 14일에 카스텔랭이 처음으로 교전 중 리톨프를 놓치는 사태가 벌어졌다. 적기를 하나 격추하기는 했지만 연료가 떨어져 비행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에서 다행히 소련군의 도움을 받아 그날 밤에야 돌아갈 수 있었다. 리톨프는 돌아온 카스텔랭에게 선임을 놓쳤으니 8일간 영창이라고 혼을 냈다. 독일기도 하나 격추하고 온 사람한테 너무 심하지 않냐는 레비딘스키의 말에, 카스텔랭은 '우리 대위님 말씀은 항상 옳다'고 답했다. 그리고 다시는 리톨프를 놓치지 않았다.[8] 처음엔 같이 파견된 프랑스 정비사들이 정비를 담당했으나 혹독한 러시아 환경과 프랑스어 매뉴얼 부족, 조종사들과의 배급 차별에 지쳐 1943년 8월에 대부분이 중동으로 떠나 소련 정비사들로 대체됐다. 조종사들은 거의 최고급의 대접과 배급을 받았지만 정비사들은 최악에 가까운 배급을 받아 굶주림에 길고양이를 잡아먹을 정도였다고. 프랑스에선 조종사와 정비사의 대우가 비슷했기 때문에 심적으로 더 힘들었을 것이라고 한다.[9] 처음 14명만 왔을 때 노르망디가 이 연대 소속이었다. 덕분에 교류도 제일 많이 하던 형제같은 부대였다.[10] 지휘관이었던 쟝 튤란이 엄청나게 화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