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군북초등학교 | 금산동초등학교 | 금산중앙초등학교 | 금산초등학교 | 금성초등학교 |
금성초등학교금계분교장 | 남이초등학교 | 남일초등학교 | 복수초등학교 | 부리초등학교 | |
상곡초등학교 | 성대초등학교 | 신대초등학교 | 용문초등학교 | 제원초등학교 | |
진산초등학교 | 추부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FFB300><colcolor=#fff> 남일초등학교 南一初等學校 Namil Elementary School | |
개교 | 1929년 5월 1일 |
성별 | 남녀 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김종규 |
교감 | 이종석 |
교훈 | 참된 사람이 되자 |
교화 | 장미 |
교목 | 느티나무 |
학생 수 | 49명[기준] |
교직원 수 | 12명[기준] |
관할청 |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 |
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봉황로 83 (초현리 253-2)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위치한 초등학교.2. 학교 연혁
- 1929년 5월 1일: 남일공립보통학교(4년제) 개교
- 1950년 5월 1일: 남일국민학교로 개청
- 1980년 5월 20일: 병설유치원 개원
- 1995년 3월 1일: 농어촌 진흥지역 학교로 지정
- 1996년 3월 1일: 남일초등학교로 개칭
- 1998년 3월 1일: 금일분교장 통합
- 2001년 3월 1일: 충청남도교육청 지정 농어촌 거점학교 및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2년)
- 2006년 4월 1일: 충청남도교육청 지정 학교혁신 시범학교 운영
- 2007년 3월 1일: 충청남도교육청 지정 학교혁신 시범학교 운영(2년)
- 2011년 2월 19일: 금산교육지원청 지정 유·초 연계 시범학교 운영
- 2011년 3월 1일: 금산교육지원청 지정 학력증진 시범학교 운영
- 2013년 3월 1일: 농산어촌 ICT 시범학교 운영(2년)
- 2014년 3월 1일: 스마트교육기반 디지털교과서 선도학교 운영
- 2015년 3월 1일: 다문화 중점학교 운영(2년)
- 2016년 3월 1일: 농산어촌 예술문화체험주말학교 운영(2년)
- 2017년 3월 1일: 학생자치활동 중심학교, 어깨동무학교, 농어촌체험학습 및 텃밭가꾸기 운영
- 2017년 3월 1일: 다문화 중점학교, 예술문화체험주말학교 운영
- 2019년 3월 1일: 충청남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 운영(4년간)
- 2022년 2월 11일: 제91회 졸업(5377명)
- 2022년 12월 31일: 학부모 교육참여 체험사례 우수학교
- 2023년 2월 10일: 제92회 졸업(5388명)
- 2023년 3월 1일: 충남교육청 자율학교 재 지정(2023.03.01~2027.02.28)
- 2024년 2월 8일: 제93회 졸업(5400명)
- 2025년 2월 13일: 제94회 졸업(5406명)
3. 학교 상징
- 출처: 남일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육목표
4. 학교 특징
4.1. 복장
(교복, 명찰, 체육복 등을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입학식: 2023년 3월 2일
봄체험학습: 2023년 4월 13일
다문화급식체험: 2023년 4월 19일
부엉이도서관: 2023년 4월 20일
개교기념일(학교장재량휴업일): 2023년 5월 1일
봄 운동회(어린이날 기념)[3]: 2023년 5월 4일
학교장재량휴업일[4]: 2023년 6월 5일
비단골체험학습[5]: 2023년 6월 12일
생존수영체험: 2023년 6월 19일 ~ 6월 23일
안전체험관 체험: 2023년 6월 26일[6], 6월 30일 [7], 7월 4일 [8]
안전체험학습: 2023년 7월 12일
수영체험학습: 2023년 7월 14일
여름방학식: 2023년 7월 19일
여름방학 해피캠프 2023년 7월 20일 ~ 7월 26일
2023년 2학기
개학식: 2023년 8월 17일
진로체험학습[9]: 2023년 8월 25일
충무교육원체험학습[10]: 2023년 8월 31일
생태탐사[11]: 2023년 9월 26일
학교장 재량휴업일: 2023년 10월 2일
수학여행[12]: 2023년 10월 11일 ~ 10월 13일 [13]
책여행(서점체험학습)[14]
방과후발표회: 2023년 12월 1일
스케이트체험[전교생]: 2023년 12월 22일
겨울방학식: 2023년 12월 29일
겨울방학 해피캠프: 2023년 1월 2일 ~ 1월 8일
개학식: 2024년 2월 5일
종업식 및 졸업식[16]: 2024년 2월 8일
2024년 1학기
입학식 및 시업식[17]: 2024년 3월 4일
학지자치주간임원선거[18]: 2024년 3월 4일 ~ 3월 8일
학자특체험학습 [19][20][21]: 2024년 4월 24일 ~ 4월 26일 [22]
개교기념일: 2024년 5월 1일
어린이날 기념 체육대회 [23]: 2024년 5월 2일
생존수영체험: 2024년 6월 18일 ~ 6월 19일
전교생 물놀이 체험학습: 2024년 7월 17일
여름방학식: 2024년 7월 22일
2024년 2학기
개학식: 2024년 8월 26일
학급자치주간임원선거: 2024년 8월 26일 ~ 8월 30일
진로체험학습: 2024년 8월 27일
동아리활동의날[24]: 2024년 9월 24일
학자특 역사문화체험 주간: 2024년 10월 7일 ~ 10월 11일 [25]
방과후 발표회[26]: 2024년 12월 6일
겨울방학식: 2025년 1월 3일
개학식: 2025년 2월 4일
졸업식 및 종업식[27]: 2025년 2월 13일 [28] [29]
2025년 1학기
시업식 및 입학식[30]: 2025년 3월 4일
학급임원선거: 2025년 3월 10일 ~ 3월 14일[31]
영어 일일캠프 [32]: 2025년 4월 24일
한꿈이 놀이마당 [33]: 2025년 4월 30일
개교기념일: 2025년 5월 1일
학교장 재량휴업일: 2025년 5월 2일 [34]
봄 체험학습 [35]: 2025년 5월 14일
용담댐 체험학습 [36]: 2025년 5월 14일 ~ 5월 15일
안전체험관 [37]: 2025년 6월 3일[38], 6월 5일 [39]
전교생 물놀이 체험학습: 2025년 6월 19일
비단골 체험학습[40]: 2025년 6월 20일
여름방학식: 2025년 7월 24일
6.2. 학교 일과
6.3. 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30 | 등교 | |||||||
09:00 ~ 09:40 | 1교시 | |||||||
09:50 ~ 10:30 | 2교시 | |||||||
10:40 ~ 11:20 | 3교시 | |||||||
11:30 ~ 12:10 | 4교시 | |||||||
12:10 ~ 13:05 | 점심시간 | |||||||
13:10 ~ 13:50 | 5교시[41] | |||||||
14:00 ~ 14:40 | 6교시 | 6교시 | ||||||
14:50 ~ 15:30 | 7교시 | 7교시 | ||||||
15:40 ~ 16:20 | 8교시 | 8교시 |
1, 2학년은 4교시까지만 하고 나머지 교시는 방과후 활동을 한다.
3, 4학년은 금요일 제외 5교시까지만 하고 나머지 교시는 방과후 활동을 한다.
5, 6학년은 수요일 제외 6교시까지만 하고 나머지 교시는 방과후 활동을 한다.
남일초에서는 거의 모든 학생들이 8교시까지 방과후를 하는데 원하지 않는다면 안해도 된다.[42]
7.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43] |
남일초는 매년 전교생을 대상으로 스쿨버스를 운행 중이다.
8.2. 철도
9.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10. 기타
학생들은 우스갯소리로 학교 화단(운동장 사이)에 있는 책 읽는 소녀상의 소녀가 책을 다 읽으면 학교가 무너진다고 한다.[44]11. 둘러보기
[기준] 2025년 3월 1일[기준] 2025년 3월 1일[3] 실제 학교 누리집에 이렇게 표시되어 있다.[4] -왜 학교장재량휴업일이 두 번이나 있는지는 의문이다.-[5] 5~6학년 대상.[6] 2~3학년 대상.[7] 유치원~1학년 대상.[8] 6학년 대상.[9] 5~6학년 대상.[10] 4~6학년 대상.[11] 3~6학년 대상.[12] 5~6학년 대상.[13] 무려 제주도로 2박 3일이나 갔다.[14] 대전에 있는 계룡문고와 더불어, 에슐리에서 점심식사를했다.[전교생] 대상.[16] 이 날 담임 선생님 뿐만 아니라, 모든 여학생들이 아쉬움에 눈물을 쏟았다.[17] 유치원에 들어 올 인원이 없어서, 폐지 되었다.[18] 반장, 부반장을 뽑는 기간이다. -한 학년 당 한 반 뿐이라 사실상 학년 회장, 부회장을 뽑는 셈이다.-[19] 5~6학년 대상.[20] 남이면에 위치한 남이초등학교(충남)와 연합해서 갔다.[21] 흔히 학생들은 수학여행이라고 칭한다.[22] 첫 날에 국립과천과학관에서 5시간 동안 있느라 학생들은 너무 힘들었다고 한다.[23] 실제 학교 누리집에 이렇게 표시되어 있다.[24] 3~6학년 대상.[25] 10월 7, 8일은 일명 두 번째 수학여행이라고 불리는 5, 6학년의 공주로 가는 체험학습이 있었다. [45][26] 오케스트라, 합창 등 다양한 공연을 보여주었다.[27] 작년 졸업식과 달리 이 날 운 사람은 6학년 담임선생님 뿐이셨다고 한다.[28] 학교 누리집에는 12일로 나와있지만, 이는 당시 -6학년 인원이 6명 뿐이었는데,- 6학년 인원 중 절반이 해외 어학연수를 가게 되어서 행사가 하루 늦춰졌다. [46][29] 원래 일정 상 12일에는 6학년 담임 선생님의 생신이셨다.[30] 다행히도 유치원에 두 명의 어린이가 들어 와 다시 유치원이 활성화 됐다.[31] 작년에 선출되었던 전교부회장이 이민을 가게 되었다.[32] 5~6학년 대상.[33] 체육대회.[34] 이날로 인해 학생들은 무려 6일을 연속으로 쉬었다.[35] 1~4학년 대상.[36] 5~6학년 대상.[37] 추부중으로 이동[38] 6학년 대상.[39] 4학년 대상[40] 5~6학년 대상.[41] 수요일 5교시는 동아리 시간이거나 전교생 다모임을 한다.[42] 단, 스쿨버스는 타지 못한다.[43] 나무위키 내 해당 정류소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문서와 연결. 예를 들어 대구서부고등학교 앞에는 524를 추가하듯 각 지자체 버스 노선에 맞게 버스 노선 문서의 링크를 거시면 됩니다.[44] 하루에 한 자음(or 모음)씩 읽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안녕이 있으면 첫 째날엔 ㅇ, 둘 째날엔 ㅏ, 셋 째날엔 ㄴ 이런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