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행정기관 소속 본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차관급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외교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행정안전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산업통상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과학기술혁신본부 | 외교전략정보본부 | 재난안전관리본부 | 통상교섭본부 | |||||||
| [[고용노동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산업안전보건본부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3865> 고공단 가급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통일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대한민국 법무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우정사업본부 | 남북회담본부 | 교정본부 |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 [[행정안전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농림축산식품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방위사업청|{{{#!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정부청사관리본부 | 농림축산검역본부 | 기반전력사업본부 | 미래전력사업본부 |
| [[우주항공청|{{{#!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우주항공임무본부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3865> 고공단 나급 ||
| [[국가데이터처|{{{#!wiki style="letter-spacing: -1px;"]] | [[국토교통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국가유산청|{{{#!wiki style="letter-spacing: -1px;"]] | [[산림청|{{{#!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국가데이터관리본부 | 항공교통본부 | 궁능유적본부 | 산림항공본부 |
||<-4><tablewidth=100%><bgcolor=#003865>
대장급 ||
| [[대한민국 국방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합동참모본부 | 육군본부 | 해군본부 | 공군본부 |
||<tablewidth=100%><bgcolor=#003865><width=50%>
중장급 ||<bgcolor=#003865><width=50%>
소장급 ||
| [[대한민국 국방부|{{{#!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국방정보본부 | 국방부조사본부 |
||<tablewidth=100%><bgcolor=#003865><width=50%>
치안정감급 ||<bgcolor=#003865><width=50%>
소방감급 ||
| [[대한민국 경찰청|{{{#!wiki style="letter-spacing: -1px;"]] | [[대한민국 소방청|{{{#!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국가수사본부 | 중앙119구조본부 |
||<bgcolor=#003764><tablewidth=100%> ※ 둘러보기 : 중앙행정기관 소속 본부장 ||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남북회담본부 南北會談本部 | Office of the Inter-Korean Dialogue | |
| | |
| 설립일 | 2006년 8월 24일 |
| 전신 | 남북회담사무국, 남북관계관리단 |
| 본부장 | 소봉석 |
| 주소 | |
| 남북회담본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공원길 20 | |
| 상급 기관 | 통일부 |
| 정원 | 74명 |
1. 개요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14조(직무)
남북회담본부는 남북회담 및 접촉ㆍ연락과 철도ㆍ도로를 이용한 남북한간 출입에 관한 다음 사무를 관장한다.
남북회담본부는 남북회담 및 접촉ㆍ연락과 철도ㆍ도로를 이용한 남북한간 출입에 관한 다음 사무를 관장한다.
대한민국 통일부의 소속기관. 남북회담 및 접촉, 그리고 남북연락에 관한 사무를 전문적으로 관장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관이다.
2. 역사
||<-2><bgcolor=#003764><tablebordercolor=#003764><tablealign=center> 남북회담본부의 변천사 ||
| 대한적십자사 남북적십자회담사무국 1971.9.1. | 중앙정보부 남북조절위원회사무국 1972.7. |
| ↓ | |
| 중앙정보부 남북조절위원회사무국 1973.5.1. | |
| ↓ | |
| 국토통일원 남북대화사무국 1980.8.20. | |
| ↓ | |
| 통일원 남북회담사무국 1992.10.30. | |
| ↓ | |
| 통일부 남북회담사무국 1998.2.28. | |
| ↓ | |
|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2006.8.20. | |
| ↓ | |
| 통일부 남북관계관리단 2023.9.8. | |
| ↓ | |
|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2025.11.4. | |
남북회담본부는 1971년 8월 20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적십자회담 파견원 제1차 접촉 이후, 1971년 9월 1일 대한적십자사의 남북적십자회담사무국이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듬해인 1972년에는 7.4 남북 공동 성명으로 남북조절위원회의 남측사무국이 중앙정보부에 설치되었고, 1973년 5월 1일에 대한적십자사의 남북적십자회담사무국을 중앙정보부 남북조절위사무국의 '협의조정국'으로 통합하여 중앙정보부 소속인 하나의 기관이 된다.
전두환 정부 시기인 1980년 8월 20일에는 명칭을 '남북대화사무국'으로 개칭하는 동시에 소속기관을 중앙정보부에서 당시의 국토통일원(현재의 통일부)으로 이관하여, 국토통일원 소속이 되었다. 이후, 노태우 정부 시절인 1992년 10월 30일에는 명칭을 '남북회담사무국'으로 개칭하였으며, 2006년 8월 24일 현재의 명칭인 '남북회담본부'로 다시한번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게 된다.
2023년 9월 8일, 남북관계관리단으로 격하되었다.
2025년 11월 4일, 다시 남북회담본부로 복원되었다.
3. 조직
문재인 정부 시절 있던 회담운영연락부는 윤석열 정부에서 남북회담본부 폐지와 함께 사라졌으나 이재명 정부에서 부활하지 않았다. 회담운영연락부는 회담운영과, 남북연락과[1]를 둔 고공단 나급 부서였다. 그 대신 회담운영연락과[2]와 출입관리과[3]가 생겼다.4. 본부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북회담본부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북회담본부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여담
- 남북회담본부가 남북관계의 핵심 부분을 차지하는만큼, 본부장직 자체가 매우 중요한 보직이다.
- 판문점 견학을 담당하는 곳이 이곳이다. 남북회담본부 남북연락과에서 판문점 견학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본부 건물 자체는 원래 이후락이 박정희 대통령 몰래 개인 별장으로 지으려다가 발각되자 "북한 손님들이 올 때 회의할 장소가 필요하다"고 둘러대면서 생겼다고 한다. 실제로 건물이 울창한 숲 안에 위치해있고 서울 시내가 한눈에 보이는 뷰를 자랑한다.#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df00> | }}} | ||
| {{{#!wiki style="color:#1d1d1b;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부서울청사 입주기관 | }}}}}}}}} | |||
7. 관련 문서
[1] 2023년 4월 11일에 페지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의 업무를 회담본부로 이관하면서 기존의 회담운영연락과를 남북연락과로 개편하게 되었다.[2]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의 업무는 그대로 수행한다[3] 2023년 9월 8일 폐지된 남북출입사무소의 업무를 이어받은 남북관계관리단 시설관리과의 후신이다. 남북회담본부는 부활했으나 같이 폐지된 남북출입사무소는 되살아나지 못했다.[가급]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일반직공무원.[나급] 고위공무원단 나등급 일반직공무원.[3~4급] 과장은 부이사관·과학기술서기관 또는 서기관으로 보한다.[3~4급] [3~4급] [3~4급] [3~4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