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18:35:21

남대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BNK FEARX 로고.svgBNK FEARX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BE400> 감독 [[유상욱|유상욱
Ryu
]]
코치 [[조재읍|조재읍
Joker
]]
로스터
파일:TOP_icon_DIG.png
TOP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현민(프로게이머)|송현민
Clear
]]
파일:JGL_icon_DI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어진|전어진
Raptor
]]
파일:MID_icon_DI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대광|이대광
VicLa
]]
파일:BOT_icon_DI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남대근|남대근
Diable
]]
파일:SPT_icon_DI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형규(프로게이머)|김형규
Kellin
]]
2군 로스터
LCK 참가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남대근_25_옐로우.png남대근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BE400> 소속 구단 파일:BNK FearX 로고.svg파일:BNK FearX 로고.svg BNK FearX Youth
2023 · 2024
파일:BNK FEARX 로고.svg파일:BNK FEARX 로고.svg BNK FEARX
2025 · 2026
기타 여담
}}}}}}}}} ||
파일:BFX_Diable.png
BNK FEARX
Diable
[1][2]
남대근 (南大根 | Nam Dae-geun)
출생 2007년 10월 17일 ([age(2007-10-17)]세)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부모님, 누나 2명
학력 녹동초등학교 (78회 / 졸업)[3]
녹동중학교 (전학)
구일중학교 (31회 / 졸업)[4]
MBTI ESTP[5]
ID ad1top #CN1 #
적수가없는사람 #KR1 #
LSB Diable #KR1 #
포지션 바텀
소속 LSB Academy
(2022.01.20 ~ 2022.12.05)
BNK FearX Youth[6]
(2022.12.05 ~ 2024.11.20)
BNK FEARX[7]
(2024.11.20 ~ 2026.11.16예정)
에이전시 쉐도우코퍼레이션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대회 경력4. 주요 경력5. 선수 경력
5.1. 2023 시즌5.2. 2024 시즌5.3. 2025 시즌
5.3.1. 2024 LoL KeSPA Cup5.3.2. 2025 LoL Champions Korea Cup5.3.3. 2025 LoL Champions Korea
5.3.3.1. 1라운드5.3.3.2. 2라운드5.3.3.3. 3라운드5.3.3.4. 4라운드5.3.3.5. 5라운드5.3.3.6. 플레이-인5.3.3.7. 플레이오프
5.3.4. 2025 League of Legends Asia Invitational
5.3.4.1. 그룹 스테이지5.3.4.2. 녹아웃 스테이지
6. 별명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BNK FEARX 소속 바텀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

1인 군단 칭호가 엄청난 포스의 상징인데 그만큼 자신감 있는 게 돋보입니다.
이현우 해설위원
보고 있으면 정말 게임을 하고 싶게 만드는 선수예요. 경기 보면서 상대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해봤습니다.
데프트 #

매우 극단적으로 공격적인 포지셔닝을 통해 높은 딜 기대치를 갖는 원딜러이다. 교전에서 오래 살아남아 딜 기댓값을 높이는 형태라기보다는 공격적인 포지션을 잡고 본인의 메카닉을 활용하여 적의 공격을 흘려내고는 폭발적인 순간 화력으로 상대를 녹여버리는 형태의 원딜러이다. 높은 딜링 기대치로 흔히 '원딜의 로망'이라 불리는 데프트의 초창기 시절을 연상시켜 이에 비견되고는 하지만, 좀 더 닮아있는 유형은 쌍둥이 팀 원딜러였던 임프 구승빈과 미스틱, 태윤, 리브등 짐승형 원딜 선수와 비슷한 유형을 갖는다.

본인도 다른 원딜들은 선을 정해놓고 안 넘으려고 노력하는데 본인은 선을 가끔 넘는 경우가 있어 호전적인 리브, 미스틱, 태윤와 비슷한 플레이스타일이라고 직접 언급[8]하기도 했다. 따라서 잘 풀렸을 때의 화력 자체는 상당한 수준이고 한타에서도 이 공격성이 두드러져 상대가 본인을 집중 마크하는 상황에서도 점멸이나 이동기로 앞으로 위치를 잡고 적 딜러를 잡아내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플레이를 자주 시도한다.

걸출한 베테랑 원거리 딜러들이 즐비한 LCK[9]에서 페이즈, 지우 다음으로 등장한 주목할만한 신성.

첫 데뷔 시즌인 LCK컵에서는 초반 상체의 부진으로 인해 원딜 캐리롤을 자주 맡았는데, 정규 시즌 후반기에선 상체의 힘이 올라오자 진 같은 챔피언으로 캐리롤이 아닌 고스트롤 또한 수행 가능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격적인 스타일에 날개를 달아주는 게 바로 서포터와의 호흡,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라인전 수행 능력. 1군에 데뷔하자마자 원딜 케어에 일가견이 있는 켈린과 함께 호흡을 맞추게 되었는데, 켈린과의 호흡은 물론이고 굉장히 공격적인 위치 선정과 스킬 활용으로 주도적으로 라인전 단계를 풀어나가며 신인답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원거리 딜러 출신 고수진 LCK 해설은 신인 원딜이 상대방에게 끊임없는 심리전을 걸고 스킬 하나하나가 아닌 전반적인 구도를 신경쓴다며 칭찬하기도.[10] 실제로 2025 LCK 1~2라운드에서 피어엑스가 동부권에 위치해 있음에도 바텀 듀오킬은 디아블-켈린 듀오가 1위에 올랐다.

단점은 과도한 공격성이다. 상술한 내용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때의 내용이라면, 이와 반대로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경우 불필요할 정도로 딜각에 집착하다가 물려서 터지거나, 정화 대신 다른 스펠을 고집하다 정화가 없어서 터지는 장면이 나오며 이러한 과도한 공격성이 쓰로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선타기 포지셔닝이 생존기가 없는 뚜벅이 챔피언을 픽할 때도 발동된다거나 생존기가 있어도 게임이 잘 풀리지 않을 경우 상대의 이니시에 매번 당해주며 끝도 없이 말려 패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상술한 데프트도 ‘레고 섭취’라는 말로 지적되던 단점이었고, 데프트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짐승형 원딜 스타일인 LPL 하이퍼 캐리형 원거리 딜러들은 어지간하면 전부 겪었거나 끝내 극복하지 못한 단점. 그렇지만 월드 클래스로 꼽혔던 선수들은 성장이 말렸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포지셔닝과 스킬샷으로 어떻게든 딜을 욱여넣거나 꾸역꾸역 성장세를 따라가면서 중후반 이후에는 존재감이 돌아온다. 반면 디아블은 아직 경험이 부족해서 한 번 넘어지면 성장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그대로 존재감이 지워지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이는 흔히 해설진들이 ‘신인의 패기’로 언급하며, 이러한 부분은 점차 경험치가 쌓이고 선수 본인의 자체적 체급이 올라가면 어느 정도 가릴 수 있는 단점이지만 정상급 원딜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극복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시그니처급 챔피언으로는 카이사가 자주 꼽힌다. 한타에서 과감한 궁 진입과 포지션으로 상대 딜러들을 집중 포화하여 터트리는 모습이 자주 보이며, 이즈리얼 또한 라인전에서 우위를 점한 이후 대치 상황에서 상대 미드와 원딜을 쉴 새 없이 두들겨 패는 뛰어난 퍼포먼스을 보여준다. 칼리스타도 패시브를 활용한 극한의 외줄타기 플레이로 상대 딜러들을 쏙쏙 찢어 죽이고 자기는 살아나가거나, 자신에게 들어오는 탑,정글을 극한의 카이팅으로 역관광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 밖에도 바루스, 제리 또한 나오기만 하면 강력한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3. 대회 경력

4. 주요 경력

우승 기록
2025 League of Legends Asia Invitational 우승
대회 출범 BNK FEARX 미정
수상 경력
2025 LoL Champions Korea Rookie of the Year
최용혁
(Dplus KIA)
남대근
(BNK FEARX)
미정
2025 League of Legends Asia Invitational 결승 MVP
대회 출범 남대근
(BNK FEARX)
미정

5. 선수 경력

5.1. 2023 시즌

2022년 12월 5일 리브 샌드박스 2군으로 콜업되었고 LCK CL에서 가장 어린 나이로 후보선수 없이 풀타임 주전을 맡게 되었으며 기존 3군 맴버들과 함께 합을 맞추게 되었다.

스플릿 초반에는 적응을 못한 것인지 상당히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점점 갈수록 경기력이 눈에 띄게 올라왔고 팀원들이 심각한 기복을 보여주는 상황 속에서 본인은 어린 나이에서 나오는 뛰어난 메카닉과 과감한 포지셔닝 그리고 상대에게 딜을 우겨넣는 무호흡 딜링으로 상당한 캐리력을 보여주면서 팀의 에이스 역할을 맡고 있다. 스프링 서머 두 시즌 모두 성적은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팀 최다 MVP와 데미지 비중 쪽에서는 상위권 원딜러에게도 밀리지 않는 지표를 보여주었다.

5.2. 2024 시즌

확실히 작년보다 발전된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으며, 듀로와 함께 챌린저스 리그 바텀듀오 TOP3에 든다고 평가받고 있다.

5.3. 2025 시즌

11월 20일 2년 재계약을 맺고 1군으로 콜업되었다.

현재 LCK 원딜 풀이 기존 선수풀도 역대급이었는데 하이프의 재계약 후 브리온 임대, LPL에선 룰러덕담의 복귀, LCS에선 버서커의 복귀로 인해 그야말로 피터지는 환경이 되었는지라 디아블의 콜업은 비록 챌린저스 상위권의 포텐을 가졌다고 해도 걱정거리가 조금 더 많은 모양새이다.

5.3.1. 2024 LoL KeSPA Cup

2군 원딜인 엔비와 함께 로스터에 등록되었고, 디아블은 TPE전 때만 교체 출전하여 패배를 기록하며 2승 3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5.3.2.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그러나 이런 우려를 완벽히 비웃듯이 GEN전에서 라인전부터 그 룰러를 찍어누르고 최대 3레벨 차이까지 벌리는 등 경기는 비록 패배했지만 자신의 존재감을 모든 LCK 팬들에게 확실히 각인시켰으며, 이후 DK전에서도 에이밍에게 전혀 꿇리지 않는 모습으로, LCK컵 초반부부터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이어가면서 대형 신인의 등장이라는 극찬이 쏟아지고 있다.

DRX 전에서 혼자서 엄청나게 분전하였으나 정작 경력이 더 풍부한 상체 3인방이 끔찍하게 부진하면서 신인이면서 통나무를 들게 되었다. 테디 지우에 이은 또다른 소년 가장 원딜의 탄생[11] 이후 농심전도 상체의 부담에 휩쓸려 완패하면서 팀은 유일하게 플레이인도 가지 못하고 탈락하는 아픔을 맛봐야 했다.

원거리 딜러 케어 면에서는 일가견이 있는 켈린이 파트너다 보니 확실히 팀적인 케어만 들어가면 제몫을 해내는 모습을 보이며, 신인답지 않은 화력을 뽐내는 중.

5.3.3. 2025 LoL Champions Korea

5.3.3.1. 1라운드
팀적으로 디아블의 후반 캐리력을 신뢰하여 랩터도 바텀 위주의 동선으로 신경을 써주고 원거리 딜러 케어에 강점이 있는 켈린이 제대로 보좌하는 모습. 잠재력이 점점 터지고 있는 모양새.

개막전인 DK전에서는 켈린과 함께 팀원들 중 가장 준수한 기량을 보여주었으며, 직전 시즌 대권주자 바로 밑 급의 팀이던 그 DK를 상대로 한 세트를 뜯어오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2세트에서 칼리스타를 잡고 중반 용 둥지 팀파이트에서 밀고 들어오는 DK 선수들을 다른 팀원들이 모두 죽거나 빈사 상태로 후퇴하는 상황에서 홀로 드리블을 하여 역으로 전부 잡아내는 인생경기급 명장면을 보여주었다.

브리온전에서는 1세트는 미드차이로 패배했으나, 2세트에서 자야를 들고 적 바텀을 완전히 박살내고 3세트에서는 카이사로 과감한 메이킹을 만들어내며 LCK 1군 데뷔전 첫 승리를 해내는데 성공했다.

DRX전에서는 1세트 자야를 들고 리치의 사이온에게 탑에서 솔킬을 따이는 해프닝이 있었으나 한타 때는 궁극기를 활용한 핑퐁으로 승리하고, 2세트에서는 이즈리얼을 들고 가히 데프트가 생각날 엄청난 피지컬을 보여주며 승리했다.

KT전에서는 1세트 자야를 들고 적 바텀을 라인전에서 압승했으나 미드차이가 너무 나는 바람에 패배하고 2세트에서는 또 다시 이즈리얼을 들고 1인 군단급 경기력을 보여주며 세트승을 따내었으나, 3세트에서는 미스포츈을 들고 초반 라인전을 밀리더니, 중반 쯤에서 애쉬에게 솔킬을 시도했으나, 역으로 따였다. 결국 3세트에 드러난 디아블의 저점과 압도적인 미드차이로 인해 패배했다.

젠지전에는 1세트 바루스를 들고 적절한 타이밍의 딜각과 쵸비에게 죽어도 딜량을 다 해놓고 가며 승리했으나, 남은 세트에선 압도적인 미드차이로 인해 패배했다. 그래도 2세트에서 룰러의 애쉬를 자야를 들고 솔킬을 따는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T1전에서는 원거리 딜러 주전 경쟁으로 홍역을 겪고 있는 T1을 상대로, 2세트는 퍼스트 킬을 먹은 스매쉬의 애쉬를 라인전 단계에서 찍어누르고, 3세트에서는 구마유시의 징크스와 케리아의 룰루를 상대로 제리-알리스타로 라인전을 이겨내는 등, 두 원거리 딜러를 사이좋게 서열정리해버리며 디플러스 기아의 시우와 함께 신인왕 후보 경쟁에 불을 붙였다.

농심전에선 바루스와 이즈리얼을 픽해 최대한 한타에서 활약하며 불리한 게임을 뒤집으려 노력했으나 기드온,칼릭스의 폼이 뛰어났고, 반대로 빅라의 절망적인 저점으로 인해 패배했다.

DNF전에서는 신인 이슈가 터졌다. 그런데 그것이 저열한 폼이나 운영 미숙이 아닌 오만방자함에서 나오는, 프로 플레이어로서의 워크 에식이 의심될 수준의 플레이였기 때문에 비판을 받게 되었다. 1세트 때 이즈리얼을 픽하고 좋은 모습으로 상대를 몰아붙였으나, 쌍둥이 포탑만 남은 상황에 바론과 장로가 모두 살아있고, 미니언 웨이브는 다소 멀어 게임을 끝내기 어려운 상황에 리스폰되어 나온 풍연의 탈리야를 잡아보겠다고 무리하게 전진 포지션을 잡았다가 오히려 탈리야의 지각변동을 맞고 빨려들어가며 폭사하며 쌍둥이 포탑을 밀지 못하고 DNF에게 반격 기회를 허용하였고, 이를 놓치지 않은 DNF가 바론과 장로를 모두 잡아내고 최후의 팀파이트까지 승리하며, 8천 골드 차이를 리드하다가 역전패를 허용하는 만악의 근원이 되었다. 그나마 나머지 세트에서는 정신을 차리고 정상적인 플레이를 하여 3꽉 끝에 매치 승리를 따내어 피어엑스의 새터데이 쇼다운 전승 타이틀 디펜딩은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날 경기 내용 자체가 너무나도 부정적인 의미에서 충격적이었고, 그 중심에는 유리한 상황만을 믿고 무리한 플레이를 한 디아블에 대한 비판과 우려가 있었다. 특히 유상욱 감독이 디아블의 첫 정규시즌 승리 인터뷰에서 ‘자신감도 게임 보는 눈도 있지만 그것이 과하지 않으면 좋겠다’는 코멘트를 남긴 적이 있었고, 오늘 경기에서 유상욱 감독이 우려한 부분이 제대로 터지는 바람에 반드시 이 부분을 피드백하여 게임 상황에 대한 객관화와 자신의 실력과 판단을 과시하는 부분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5.3.3.2. 2라운드
DRX전에서는 DNF전에서의 터진 문제점을 개선하고 굉장히 좋은 기량을 보여주며 레이지필의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승리 기반을 착실히 닦았으나, 상체 3인방, 특히 빅라가 -1인분을 넘어 1대9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역캐리를 시전하면서 매치는 패배하였다.

BRO전에서는 3꽉 동안 이즈리얼, 자야, 징크스를 뽑아 하이프를 상대로 원딜차이를 내는 것은 물론이고 3세트 징크스는 LCK 커리어 사상 최초 펜타킬을 달성 및 첫 정규시즌 POM까지 수상하며 신인상 경쟁에 제대로 불을 지피는 데 성공했다.[12]

하지만 브리온전 이후 상체 3인방, 특히 빅라의 저점이 나날이 갱신되며 팀은 3연패에 빠져 디아블의 폼이 무색하게 8위까지 떨어지며 1군 데뷔시즌인 디아블이 켈린과 함께 통나무롤을 수행하는 지경에 이르렀으며, 결국 KT전에서 분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체에서 플레이를 지원받지 못하고 완패하며 RtM 진출에 실패, 라이즈 그룹을 확정지으며 아쉽게 1, 2라운드 정규시즌 경쟁을 마무리했다. 이제 남은 것은 라이즈 그룹 내에서의 시드 순위 결정을 위한 승점관리.

9주차 첫 경기인 DNF전은 전반적으로 무난한 플레이를 보여주었으나, 2세트에서는 디아블이 평소 선호하던 하이퍼캐리 픽이 아닌 진을 선택하여 상체에 힘을 실어주는 메이킹 픽을 시도했다. 하지만 클리어와 빅라의 부진으로 2군에 있던 소보로, 데이스타가 각각 콜업된 시점에서 상체의 체급 차이로 인해 그나마 고점의 편린이 남아 있던 DN의 선수들에게 말려버리며 무색무취하게 패배하며 시리즈 스윕에는 실패했다.[13] 그나마 3세트에서 바루스를 픽해 다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매치승은 가져올 수 있었다. 현재 피어엑스의 팀 스타일 상 상체를 중심으로 하는 캐리 전략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이기에 급격한 메타 변화가 없거나 선수층의 스텝업 혹은 개편이 없다면 당분간 디아블의 유틸형 원거리 딜러는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5.3.3.3. 3라운드
피어엑스가 정규 1, 2라운드에서 7위를 기록하였기에, 하위권 그룹인 라이즈 그룹에서 후반기 라운드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폼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과도한 공격성이다. 매 경기 불필요할 정도로 딜각에 집착하다가 물려서 터지거나, 정화 대신 다른 스펠을 고집하다 정화가 없어서 터지는 장면이 계속 나오고 있다. 2라운드까진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공격성이 이젠 쓰로잉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해설인 클템까지 점멸은 1개뿐이라며 지적할 정도이다. 원딜의 양대 덕목은 캐리력과 안정감인데, 디아블은 캐리력에 매몰되어 안정감을 저버린 나머지 캐리력도 올라오지 못하고 있다.
5.3.3.4. 4라운드
그러나 클리어,빅라가 기억을 되찾고 폼이 올라오자, 디아블 또한 켈린과 함께 1~2라운드에 보여준 강력한 라인전과 캐리력, 그리고 안정감이 돌아왔다.

브리온전에서는 진-바드 같은 원딜 캐리롤이 아닌 고스트롤을 수행하는 모습도 보여주면서, 꼭 캐리력에 매몰된 원딜이 아니라는 모습 또한 보여주고 있다.[14]

DK전에선 에이밍의 유나라를 상대로 카이사를 들고 한타에서 대활약하면서, 23년 스프링 1라운드 이후로 BNK 피어엑스가 한번도 이기지 못한 디플러스 기아에게서 승리를 거두며 플레이-인 진출에 큰 역할을 해주고 있다.

그러나 DRX전에선 본인이 패배의 제 1원흉이 되었다. 3라운드에서부터 지적받았던 과도한 공격성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분명히 체급은 있으나 본인의 체급을 과신하여 오만한 플레이를 지속적으로 시도하다 잘리는 양상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어 반드시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꼽히고 있다. 일각에서는 과도한 공격성이 일종의 ‘쿠세’로 다른 팀에게 분석이 되어 더 이상 디아블의 극단적인 공격 포지셔닝이 유효한 전략으로 먹히지 않는 것이라는 해석까지 나오게 되면서 이를 보완해야 하는 숙제가 생겼다.[15]
5.3.3.5. 5라운드
BRO전에서 3세트에 그동안 너프당해 1티어 자리에서 물러난 칼리스타를 꺼내들었다.[16] 예전만큼의 위상을 잃었던 칼리스타로 하이프를 완벽하게 서열정리를 하고 포지션 미스로 2번 짤리는 위기가 있었지만 3용 시간에 C자 부쉬에서 엄청난 줄타기를 선보이며 게임을 터트리는데 성공했다.

이후 DK에서는 나름대로 분전을 했지만, 상체의 폼 차이로 인해 아쉬운 패배를 당했다. 그러나 DNF전에서는 버서커를 상대로 서열정리를 해서 승리하고, 마지막 DRX전에서는 2세트 자야를 픽해 상대 노림수를 피하며 딜링을 하고, 3세트에선 성명절기이자 정규시즌 전승픽 칼리스타를 꺼내 빅라의 요네,랩터의 사일러스와 함께 한타에서 대활약하며 DRX전 연패를 끊었다.

중간중간 신인 이슈로 인한 아쉬운 모습도 분명 있었지만, 신인왕 경쟁권에 있던 선수들 중 가장 인상적이고 높은 고점을 보여주는 플레이를 많이 보여준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5 LCK 신인왕을 수상했다.[17]

올프로 서드에서 3표를 받으며 덕담과 공동 4위를 달성했다.
5.3.3.6. 플레이-인
그리고 신인왕을 받은 당일, 1세트 때는 아쉬웠지만 이후 세트들에서는 좋은 활약을 보여주어 DK를 격침하는데 공을 세웠다. 3세트에선 본인의 시그니쳐픽 칼리스타-레나타를 가져간 에이밍을 완전히 압살하였고, 5세트에선 이즈리얼로 마지막에 본진에서 저항하는 진을 죽이며 게임을 굳히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후 플레이오프 진출전인 NS전에서 말 그대로 지우를 압살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 확정을 지었다.

1세트 코르키로 농심의 오리아나-녹턴 콤보를 역으로 빨아서 녹턴을 역관광[18]하고 그 뒤에 과성장을 해서 그나마 잘 큰 갈리오를 E-R로 반피 삭제 시키고 폭사시켰으며, 2세트에선 제리로 시종일관 지우를 압박하고 자르반이 궁으로 가두어도 금방 탈출해 한타를 쓸어버렸고, 패배했던 3세트에서도 5킬에 크라켄을 뽑은 카이사에게 루시안으로 풀콤보를 때려박아 솔킬을 따버리는 엄청난 실력을 보어주었다. 이후 4세트에선 이즈리얼로 세나를 픽한 대가를 치르게 하는 등, 시리즈 내내 상대 바텀을 숨도 못 쉬게 만들었다.

신인왕 경쟁 상대이던 칼릭스가 빅라에게 판정패를 당하는 동안 지우를 상대로 4세트 내내 원딜차이를 벌리면서 본인이 당당한 2025년 최고의 신인임을 증명했다.
5.3.3.7. 플레이오프
승자조 KT전 1세트에는 좋은 의미로 충격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엄청난 과감함과 생존력을 보여주며 압승을 거두었지만, 이후 세트에서는 팀 차이로 인해 제대로 보호받지 못했고 KT의 각 챔피언들에게 갖가지 방식으로 억까당하며 1:3 패배했다.

패자조 디플러스 기아와의 경기에서도 팀 단위의 장점인 과한 공격성 때문에 디플러스의 미끼에 번번히 낚아면서 1:3 패배했다.

결과적으로 6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서 가장 먼저 탈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잠재력을 확실히 보여준 만큼, 데프트가 그러했듯 정교함과 침착함을 장착하며 스텝업을 이뤄낸다면 다음 대회, 다음 시즌에는 훨씬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충분하다.

5.3.4. 2025 League of Legends Asia Invitational

2025 시즌 각 지역 리그 플레이오프와 월즈 사이에 신설된 번외 국제전에 처음 출전하게 되었다.
5.3.4.1. 그룹 스테이지
B조에 배치되어 대회를 시작했다.

첫 상대는 같은 리그이자 플레이-인에서 제대로 서열정리한 농심으로, 1세트는 그동안 쉰 영향 탓인지 듀오킬을 당하며 그 이후로 쭉 밀려서 패배했다. 그러나 2세트부터 정신차리기 시작하면서 3세트까지 이기는데 성공했다. 특히 3세트의 유나라로 바론 교전에서 브라움의 방패를 점멸로 넘어서 딜을 넣는 장면은 하이라이트 1순위였다.

2차전 상대는 성향이 비슷하다고 평가받는 리브와 19년도 롤드컵 우승자 도인비가 있는 NIP으로, 여기서는 그야말로 대활약을 했다. 1세트부터 리브를 제대로 제압하더니, 2세트에 멜 원딜을 뽑은 리브를 상대로 다이브 하다가 사고가 나긴 했지만, 그 이후 교전에서 리브를 먼저 제압하고 한타 때마다 활약을 했다. 4용 교전에서 잭스에게 제대로 카운터 당했지만 상대가 4용 후 무리하게 바론을 치던 것을 제대로 물어 에이스를 내고 한번에 게임을 끝내는데 성공했다.

3차전 상대는 LCP 중위권 수준의 팀인 MVKE로, 이 경기는 앞선 두 번의 경기와 달리 메이킹형 원거리 딜러인 진과 미스 포츈으로 활약하며 팀의 2:0 승리를 견인하였다. 이 날 2세트 POG로 선정되며 승리한 6세트 중 5개 세트 POG로 선정되는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면서 녹아웃 스테이지로 진출하였다.
5.3.4.2. 녹아웃 스테이지
녹아웃 스테이지 승자조 첫 경기에는 디플러스 기아를 상대하게 되면서 시즌 통산 9번째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두 세트 모두 분전했으나 이 날 디플러스 기아의 선수들이 굉장한 고점을 보여주면서 압도해버린 탓에 패자조로 떨어지게 되었다.

패자조 첫 경기에서는 웨이보를 상대하였다. 켈린과 함께 칼리스타-레나타 주도권 콤비네이션으로 바텀을 압박하며 탑과 미드에서 강력한 운영을 할 수 있게 만들면서 세트를 선취하였고, 2세트에서는 제리를 들고 14/3/8 47.6k라는 폭력적인 KDA와 딜량으로 웨이보 선수들을 쓸어버리며 유일한 LPL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팀이던 웨이보를 2:0 격파하였다.

결승진출전에서는 농심을 만나게 되었다. 1세트에서는 유나라, 2세트에서는 제리로 두 세트 모두 하이퍼캐리형 원거리 딜러를 선택했고, 1세트에서는 초반부터 2데스를 적립하며 불안하게 출발했지만 뒤이은 용 앞 팀파이트에서 4:0 교환에 성공하며 성장세를 복구하였고, 이 힘을 그대로 밀어붙여 세트 선취에 성공했다. 2세트도 1세트와 마찬가지로 농심의 초반 운영에 다소 밀리는 듯한 모습을 보였으나 강력한 교전력으로 또 뒤집는 데 성공하며 결승전 진출에 성공했다.

대망의 결승전에서 펜타킬 성공과 동시에 파이널 MVP 선정되는 2025년 최고의 신인이라는 증명과 함께 우승을 달성한다.

1세트에서 유나라를 픽하고 중반에 선을 넘은 것을 응징 당한 바람에 이후로 쭉밀려서 패배했으나, 2세트에서 아리-바이와 연계가 쉬운 카이사를 픽해 케틀-니코를 픽한 상대 바텀에게서 버티고 중반한타에서 대활약을 하며 이겼고, 3세트는 팀 전체가 별로 스타일이 맞지 않는 챔피언들과 조합을 짜더니, 리신-르블랑을 굴리지 못해 이즈리얼로 활약할 기회가 오지 않아 패배

4세트에선 제리를 픽하고 랩터의 키아나와 켈린의 노틸이 밥상을 차린 것을 아주 맛있게 먹었으며, 막판에 베릴의 크랙 플레이로 미드와 정글이 짤린 상황에서 몰려오는 상대를 역으로 펜타킬을 내면서 그대로 넥서스를 밀며 승리했다.

마지막 5세트에선 진을 픽해 야이애나라는 극단적인 조합을 꺼낸 딮기를 상대로 줄 타기에 성공하며 끝끝내 우승에 성공하고 파이널 MVP에 선정되었다.

대회 자체가 디아블 쇼케이스였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각 리그의 쟁쟁한 중위권 팀들 상대로 그야말로 슈퍼 캐리를 밥 먹듯이 선보이며 정규 시즌 이상의 임팩트를 전 세계에 보여주었다. LPL에 눈도장을 톡톡이 찍으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여 이번 대회 최고의 수혜자로 손꼽힌다.

6. 별명

  • 대남근: 본명인 남대근을 변형시킨 별명. 같은 의미로 남거근, 대거근, 자큰지 등이 있다. 실수를 저지르거나 부진할 경우 소남근으로 불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름의 한자 '대근'은 정말 클 대(大)에 뿌리 근(根)자를 써서 성씨만 제외하면 한자까지 딱 맞는다.[19]
  • 남大근: 위의 별명과 비슷한 상황에 쓰이는 별명.
  • 1인 군단: 데프트와 비슷한 플레이 스타일과 줄 타기로 해설진들의 극찬을 불러일으키며 얻은 별명이다.
  • Deft의 재림:<New:Blood> 디아블 편에서 사용된 공식 별명
  • 아기 알파카: 데프트와 얼굴이 약간 닮아서 불리는 별명. 특유의 순한 얼굴과 길쭉한 턱이 포인트이다.
  • 프린스의 후계자: 2022년 서머 모래폭풍의 주역이던 프린스가 생각날 만큼의 퍼포먼스로 인해 얻은 별명이다. 프린스는 피어엑스 팬들에게 가장 좋은 기억으로 남은 원딜러이니, 그만큼 디아블이 활약이 뛰어나다는 뜻이다. 프린스 본인도 디아블을 매우 높게 평가하며 자신의 후계자라고 말할 정도다.
  • D의 의지, 디프트: 위의 별명들과 마찬가지로 데프트가 연상되는 플레이가 나올때마다 앞글자가 똑같은 걸 이용한 별명
  • LCK의 Uzi :중국 롤팬들이 디아블의 공격적인 플레이를 보고 전성기의 우지를 보는 것 같다며 붙여준 별명.
  • 괴물 신(神)인: 지우-페이즈와 마찬가지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신인이라 받은 별명
  • 벌꿀오소리: 강퀴가 디아블의 겁이 없는 듯한 공격성에 감명 받아 지어준 별명.
  • 임프급 공격성: 디아블을 CL에서부터 봐온 롤팬들 사이에서 나온 말로, 그 듀로조차[20] 조련하지 못하는 공격성이라며, 과거 사령관형 서포터로 이름을 날렸던 마타도 목줄을 못 채웠던 임프가 생각 날 만큼의 공격성을 가져서 얻은 별명이다. 마침 둘 다 비슷한 닉네임이라[21] 더 잘 맞아보인다.

7. 여담

Diable - Unstoppable Diable Ep.7
(8월 26일 업로드)
Deft의 재림, 25 LCK 신인왕 Diable Ep.8
(9월 5일 업로드)
  • 디아블의 개인사와 활약이 담긴 LCK 공식 다큐멘터리.
  • 리브 샌드박스 아카데미에서 몸을 담았던 좁쌀 현수환은 자신이 얜 성공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 S급 유망주 3명으로 시우, 야누스와 디아블을 뽑았는데 2023년 테디가 영입되기 전 대타로 1군 스크림을 뛴 적이 있었는데 의외로 폼도 준수했고 승률도 꽤 좋았던 편이었다고 회상했다. 보통 이렇게 2군을 스크림에 투입하면 그 투입한 라인부터 처참하게 폭발하는 경우가 많아 바로 서렌을 치거나 상대 팀이 어차피 망할 거 아는데 왜 하냐고 스크림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디아블의 경우 그렇지는 않아서 체급이 약한 선수는 아니었다며 챌린저스가 연습생 체제로 바뀌면서 어중이떠중이 신인들도 많지만 그래도 존재하는 의의는 시우, 야누스, 디아블같은 확실하게 성공할 수 있는 유망주들이 1군에서 데뷔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호평을 내릴 정도로 고평가를 내렸다.
  • 도인비가 2025 LCK 개막 전에 방송에서 "우리 피어엑스 바텀에게 개털려서 10분만에 서렌 침." 이라는 썰을 푼 적이 있는데, 당시만 해도 NIP의 실력이 처참한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로 들려졌으나 정작 시즌이 시작되자 NIP가 기대를 뛰어넘는 성과를 내고 디아블도 훌륭한 활약을 펼치면서 계속해서 재평가되고 있다. 게다가 NIP의 바텀 라이너 리브는 현재 NIP의 에이스로 등봉조에서도 돋보이는 활약을 하는 중인데, 그런 선수가 디아블에게 무너졌다는 소리다.
  • BNK FEARX의 세 번째 성골 유스이며[22], 1군 데뷔 후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피어엑스 팬들에게 엄청난 사랑을 받고 있다. 오죽하면 다른 선수들은 다 뺏겨도 디아블은 절대 뺏기지 말아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될 정도. 공교롭게도 같은 원딜러인 아이스는 BDS에서 아버지 소리를 들으며 고통받는 에이스가 되었다.
  • 2025 LCK 1라운드 T1전 승리 이후 인터뷰에서 신인왕 타이틀 보단 퍼스트 원딜에 들고 싶다고 말하였다. 지금 기세만 보면 올프로 입성을 노려볼 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3]
  • 1군 콜업 이후 한국에선 데프트, 중국에선 우지 소리를 들으며 신인 원딜로선 들을 수 있는 최고의 극찬을 받고 있다. 다만, 디아블은 롤모델 인터뷰를 받았을 때 데프트에 대해서 자세히는 모른다고 언급했다.[24]
  • 2025 시즌의 바텀 파트너 켈린을 스토브 리그 당시 본인이 사무국에 요청해서 팀에 영입했다는 게 인터뷰에서 밝혀졌다. 다만 정규 시즌 전 LCK컵에선 전패 성적을 받으며 본인이 잘못 생각했나 했다고. # 사실 그땐 상체가 너무 못한 탓이 컸다.
  • 같은 시기에 1군에 콜업되어 주전 선수가 된 07년생 선수들인 디플러스 기아의 시우, 농심 레드포스의 칼릭스와 함께 LCK를 이끌어 갈 차세대 유망주 트리오로 커뮤니티 등지에서 자주 묶인다.
  • 켈린에게 반말을 하는 밈이 생겼지만, 밈과는 달리 실제로는 꼬박꼬박 형규 형이라고 존댓말 한다. 그리고 켈린이 너구리에게 의뢰해[25] 군대 간 데프트의 영혼을 디아블의 육체에 이식했다는 식의 밈도 생겼다.
  • LSB 유스 시절이던 2023년에는 박나나의 방송에 출현한 적 있다. 당시 같은 팀이었던 순당무의 인연으로 샌드박스에서 박나나팀 vs LSB 유스의 요정 왕국 스킨 홍보 매치를 결성해줬다. 결과는 당연히 2대0 압살. # # 풀영상
  • 초등학교 4학년, 당시 솔랭을 돌렸을 때 첫 배치고사를 0승 10패를 했다고 한다.
  • 빅라에 의하면 피부 관리하느라 방에서 불이 안꺼진다고 할 만큼 피부 관리에 진심인 듯하다. 켈린이 적은 디아블 인상 보고서에도 올리브 영을 좋아한다고 하는 것을 보면 피부 미용 쪽에 굉장한 노력을 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 같은 팀 정글러 랩터를 괴롭히는 것을 즐긴다고 한다. -역시 닉네임 처럼 악마답다.-

8. 둘러보기

남대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927ff,#7927ff><tablebgcolor=#7927ff,#7927ff> 파일:League of Legends Asia Invitational 아이콘 화이트.svgAsia Invitational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Sub_white.png
SUB
파일:Coach_white.png
COACH
<colbgcolor=#7927ff,#7927ff> 2025 파일:BNK FEARX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le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pt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cL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iab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llin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oker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927ff,#7927ff><tablebgcolor=#7927ff,#7927ff> 파일:League of Legends Asia Invitational 아이콘 화이트.svgAsia Invitational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시즌 이름 (ID) 국적 포지션 소속
2025 남대근
(Diable)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FX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927ff,#7927ff><tablebgcolor=#7927ff,#7927ff> 파일:League of Legends Asia Invitational 아이콘 화이트.svgAsia Invitational
펜타킬 달성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순서 이름(ID) 당시 소속팀 포지션 챔피언 상대팀 일자 경기 비고
<colbgcolor=#7927ff,#7927ff><colcolor=#fff,#fff> 1 정지우
(Jiwoo)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corki_portrait.png 파일:NIP_심볼_Black.svg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 2025.10.09 2025 그룹 스테이지 12경기 1세트
[ 정보 ]
진 - 라이즈 - 암베사 - 키아나 - 바드 순서로 킬.
ASI 최초 겸 LCK 팀 최초 펜타킬.
2 남대근
(Diable)
파일:BNK FEARX 로고.svg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zeri_portrait.pn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2025.10.12 2025 결승전 4세트
[ 정보 ]
알리스타 - 조이 - 시비르 - 그라가스 - 트런들 순서로 킬.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Rookie of the Year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Young Player
2020 스프링 2020 서머
Keria
류민석

DRX | SUP
ShowMaker
허수

DWG | MID
Rookie of the Year
2021 2022 2023 2024
Croco
김동범

LSB | JGL
VicLa
이대광

KT | MID
Peyz
김수환

GEN | BOT
Lucid
최용혁

DK | JGL
2025 2026 2027 2028
Diable
남대근

BFX | BOT
미정 미정 미정
2020 시즌에는 Young Player 라는 상으로 시상했다.
2021년부터 시상 방식이 시즌 연 1회로 바뀌었다.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펜타킬 달성 선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c192b,#1c192b><colcolor=#fff> 2012 시즌 Hiro 이우석 1호 · Locodoco 최윤섭 2호 · Hermes 김강환 3호 · Imp 구승빈 4호
2013 시즌 Ambition 강찬용 5호 · Riris 백승민 6호 · PraY 김종인 7호
2014 시즌 Imp 구승빈 8호 · Emperor 김진현 9호 · Bang 배준식 10호
2015 시즌 Faker 이상혁 11호 · Rain 박단원 12호 · Smeb 송경호 13호 · Arrow 노동현 14·16호☆ · Nagne 김상문 15호 · Bang 배준식 17호 · Pilot 나우형 18호 · Ssumday 김찬호 19호
2016 시즌 Stitch 이승주 20호 · Pilot 나우형 21호 · Crown 이민호 22호 · Bang 배준식 23호 · Sangyoon 권상윤 24호
2017 시즌 Tempt 강명구 25호 · Kramer 하종훈 26호 · ikssu 전익수 27호 · Crown 이민호 28호
2018 시즌 Lava 김태훈 29호 · Khan 김동하 30호 · Teddy 박진성 31·33호☆ · Pilot 나우형 32호 · Ruler 박재혁 34호
2019 시즌 Viper 박도현 35호 · SSUN 김태양 36호 · ShowMaker 허수 37호
2020 시즌 Mystic 진성준 38·46호☆ · Ruler 박재혁 39·40·50호★ · Aiming 김하람 41호·49호☆ · HyBriD 이우진 42·43·45호★ · SoHwan 김준영 44호 · ShowMaker 허수 47호 · Canyon 김건부 48호
2021 시즌 Gumayusi 이민형 51호 · Ghost 장용준 52·53호☆ · Ruler 박재혁 54호 · Pyosik 홍창현 55호 · Lava 김태훈 56호 · Chovy 정지훈 57호
2022 시즌 deokdam 서대길 58호 · Ghost 장용준 59호 · Aiming 김하람 60호 · Bdd 곽보성 61호 · Gumayusi 이민형 62호 · Ruler 박재혁 63호 · Prince 이채환 64호
2023 시즌 Taeyoon 김태윤 65호 · Gumayusi 이민형 66호 · Peyz 김수환 67호·70호·71호★ · Viper 박도현 68호 · ShowMaker 허수 69호
2024 시즌 Aiming 김하람 72호·81호☆ · ShowMaker 허수 73호·76호☆ · Peyz 김수환 74호·78호☆ · Deft 김혁규 75호 · Pyosik 홍창현 77호 · Leaper 최기명 79호 · BuLLDoG 이태영 80호 · Bdd 곽보성 82호 · FATE 유수혁 83호 · Zeus 최우제 84호
2025 시즌 Siwoo 전시우 85·96호☆ · Zeka 김건우 86호 · Hype 변정현 87호 · Diable 남대근 88호 · Faker 이상혁 89호 · GIDEON 김민성 90호 · Lucid 최용혁 91호 · Aiming 김하람 92호 · Chovy 정지훈 93호 · Ruler 박재혁 94호·97호☆ · Viper 박도현 95호 · Oner 문현준 98호
※ 국내 대회이나 LCK가 아닌 대회는 제외 (LoL 마스터즈, 예선, 프리시즌, 챌린저스, 승강전, 케스파컵 등)
☆ - 한 해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해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WOORI BANK
Gold King of the Week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4 스프링 1주 2024 스프링 2주 2024 스프링 3주 2024 스프링 4주 2024 스프링 5주
Aiming
김하람

DK | BOT
BuLLDoG
이태영

KDF | MID
Bdd
곽보성

KT | MID
DuDu
이동주

KDF | TOP
Zeka
김건우

HLE | MID
2024 스프링 6주 2024 스프링 7주 2024 스프링 8주 2024 스프링 9주 2024 스프링 PO
Aiming
김하람

DK | BOT
Clear
송현민

FOX | TOP
Jiwoo
정지우

NS | BOT
Chovy
정지훈

GEN | MID
2024 서머 1주 2024 서머 2주 2024 서머 3주 2024 서머 4주 2024 서머 5주
Aiming
김하람

DK | BOT
Clozer
이주현

FOX | MID
Viper
박도현

HLE | BOT
Aiming
김하람

DK | BOT
2024 서머 6주 2024 서머 7주 2024 서머 8주 2024 서머 9주 2024 서머 PO
Aiming
김하람

DK | BOT
Chovy
정지훈

GEN | MID
Aiming
김하람

DK | BOT
Peyz
김수환

GEN | BOT
2025 컵 1주 2025 컵 2주 2025 컵 3주 2025 컵 PI&PO 2025 1주
Jiwoo
정지우

NS | BOT
Hype
변정현

BRO | BOT
Smash
신금재

T1 | BOT
Jiwoo
정지우

NS | BOT
2025 2주 2025 3주 2025 4주 2025 5주 2025 6주
Zeka
김건우

HLE | MID
Aiming
김하람

DK | BOT
Diable
남대근

BFX | BOT
Viper
박도현

HLE | BOT
2025 7주 2025 8주 2025 9주 2025 10주차 2025 11주차
Aiming
김하람

DK | BOT
Ruler
박재혁

GEN | BOT
LazyFeel
쩐바오민

DRX | BOT
Viper
박도현

HLE | BOT
Aiming
김하람

DK | BOT
2025 12주차 2025 13주차 2025 14주차 2025 15주차
Viper
박도현

HLE | BOT
Gumayusi
이민형

T1 | BOT
Teddy
박진성

DRX | BOT
Ruler
박재혁

GEN | BOT
}}}}}}}}} ||

[1] 前 Daegeun, ad1top, Carrot[2] 프랑스어로 '악마'를 가리키는 말로, 디아블로디아볼로와도 어원이 통한다.[3] #[4] 고흥 녹동중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 때 전학을 갔다. 원래 2학년 10월에 샌드박스 아카데미에 합격 통보를 받고 바로 서울로 전학을 가려 했으나 2학기 학사일정이 이미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라 전학이 불가능하다는 교육지원청의 이야기를 듣고 12월까지 고흥에서 학사일정을 마치고 연말에 상경하여 숙소 생활을 시작했다고 한다.[5] 검사할 때마다 ESTP와 ISTP가 번갈아 나오지만, 보통은 ESTP로 나온다고 한다.[6] 팀명 변경: Liiv SANDBOX Youth → FearX Youth, 2023년 12월 15일 → BNK FearX Youth, 2024년 5월 24일[7] 팀명 변경: BNK FearX → BNK FEARX, 2024년 12월 12일[8] #[9] 디아블이 1군에 데뷔한 2025 시즌 기준, 월즈 우승자가 3명(룰러, 바이퍼, 구마유시)에 메이저 지역 리그 All-Pro 팀 퍼스트 수상자가 7명(LCK: 룰러, 구마유시, 덕담, 에이밍, 테디 / LPL: 바이퍼, 룰러 / LCS: 버서커)으로 신인들에게는 벅찬 경쟁이 펼쳐질 수밖에 없다.[10] #[11] 정작 이번 시즌 들어 테디는 리치-스폰지-유칼의 상체가 각성하고, 지우는 킹겐-리헨즈라는 베테랑이 든든히 받쳐주고 피셔-기드온까지 알을 깨면서 둘 다 원장롤을 탈출하게 되었다.[12] 여담으로 해당 펜타킬은 차연소 펜타킬 달성 기록이 되었는데, 같은 07년생이지만 디아블보다 생일이 한 달 가량 늦은 시우가 3주차 DNF전 2세트에서 럼블로 이미 최연소 펜타킬 달성 기록을 갈아치워버렸기 때문.[13] 다만 DNF전 2세트는 디아블의 캐리력, 상체의 부진 등을 패배 요인으로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단지 순위가 높고 해볼만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강팀에서 약팀을 상대할때도 신중하게 고민하는 밴픽 실험실을 개장하여 상대팀에게 밴픽을 무상복지 수준으로 퍼주는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참작할 여지가 남아있다.[14] 사실 1~2라운드 내내 캐리롤을 맡은 이유가 상체의 극심한 부진 때문이였으니, 2군에서도 진을 많이한 만큼 다재다능한 원딜로 성장가능성을 보여준 샘이다.[15] 공격적인 플레이를 연신 성공시키며 무력 면에서 고평가받은 신인 선수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플레이 스타일을 간파당하며 공격적인 모습을 잃어버리고 평범한 선수로 전락하는 패턴은 수 없이 많이 있었다. 당장 같은 CL 출신 성골 유망주로 기대받던 시우가 라이즈 그룹으로 내려온 뒤 이전의 공격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무너져내리고 있다.[16] 2025 MSI 패귀픽이였고, LCK 3라운드에 들어서도 픽은 물론 밴조차 되지 않던 챔피언이였다. 4라운드에 농심의 지우가 한화전에서 꺼내들었지만, 약한 체급 탓에 바이퍼에게 서열정리 당했다.[17] 시즌 초 신인왕 유력 후보로 꼽혔던 시우는 2라운드부터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하더니 후반기로 넘어간 3라운드부터는 아예 팀의 아픈 손가락이 되어버렸고, 칼릭스는 1라운드를 온전히 치르지 않았다는 점과 레전드 그룹 소속팀이었다고 한들 팀 매치 전패라는 점이 감점 요소로 작용된 듯 하다. 하이프의 경우 2023년 딱 한 세트를 출전했기 때문에 규정에 따라 후보에서 제외되었다.[18] 미드 포탑 근처에서 일부로 적 시야에 노출되면서 오리아나-녹턴 콤보를 유도했다. "나 여차하면 물릴 생각할 께."라고 말하면서 돌진하는 녹턴을 상대로 발키리-점멸 2단 대쉬로 미드 포탑에 빨아서 그대로 킬.[19] 성씨의 한자는 남녘 남() 인데, 한국의 남씨는 南밖에 없어서 어찌 보면 당연한 일.[20] 듀로가 젠지에 가서도 선수단을 휘어잡고 대대적인 콜을 하는 것을 보면 조련 실력이 뛰어난 편인데, 디아블은 그런 듀로도 목줄을 채우지 못했다고 한다.[21] 디아블은 프랑스어로 악마고 임프는 소악마라는 뜻이 있다.[22] 첫 번째는 하울링, 두 번째는 아이스다. 듀로는 리브샌드박스 챌린저스에서 한화 챌린저스로 이적 후 다시 BNK 피어엑스 유스로 돌아왔다.[23] 팀 성적이 완전히 서부에 정착하지도 못했고, 룰러, 바이퍼가 공고한 폼을 보여주고 있어 본인의 소원인 퍼스트 원딜 등극은 아직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24] 디아블이 롤을 시작한 것은 초등학교 3학년(=2016년)으로 알려져 있었고, 처음에는 페이커가 롤모델이라고 했다가 이후에는 테디, 룰러, 바이퍼라고 언급했던 것을 보면 시기상 각각 테디는 T1, 룰러는 징동 이적 이전의 젠지, 바이퍼는 EDG에서 한화생명으로 복귀한 시절에 알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기에 데프트의 최전성기 시절(2015년~2018년)에는 롤 선수들에 대해서 깊게 알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25] 켈린과 너구리는 2022 서머~월즈에서 같은 팀으로 뛴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