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중 | 남 갑 | 남 을 | |
| 박성민 | 김상욱 | 김기현 | ||
| 동 | 북 | 울주 | ||
| 김태선 | 윤종오 | 서범수 | ||
| 선거 결과 | ||||
◀ 제21대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남구 갑 (울산) 신정동, 삼호동, 무거동, 옥동 南區 甲 Nam A | }}} | |||
| <nopad>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인구 | 161,977명[1] | |||||
| 상위 행정구역 | 울산광역시 | |||||
| 관할 구역 |
| |||||
| 신설년도 | 2004년 | |||||
| 이전 선거구 | 남구 | |||||
| 국회의원 | | 김상욱 | ||||
1. 개요
울산광역시 남구의 서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출신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초선 김상욱 의원이다.2. 상세
남구는 울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인지라 울산광역시에 있는 자치구 가운데 유일하게 두개의 선거구를 가지고 있다. 대체로 서부 지역에 속하는 곳이며 시청이 있는 지역구인지라 '울산 정치 1번지'라고 불리기도 한다.을 지역구에 비해 보수세가 강한 편이다. 다만 옥동, 신정동과 달리 무거동의 경우는 3040 세대의 비율이 다소 높은지라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조금 약한 편이다.
보수 정당 측에서도 이 점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지 을 지역보단 상대적으로 중량감이 떨어지는 후보가 나오는 편이라 단순히 보수정당의 득표율만 놓고 보면 상대적으로 낮다.
다만 이는 민주당계 정당 및 진보 정당 측도 마찬가지라 아무래도 사람들의 이목도도 전반적으로 을 구에 비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2] 현재 국회의원인 김상욱은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되었지만 그조차도 당선 당시에는 국민의힘이었고, 당선 당시 정당은 모두 보수 정당밖에 없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
|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17대 | 최병국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 19대 | 이채익 |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 21대 | [[미래통합당| 미래통합당 ]]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
| 22대 | 김상욱 | | 2024년 5월 30일 ~ 현재 |
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갑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무거1동, 무거2동, 옥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최병국(崔炳國) | 38,956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8.83% | 당선 | |
| 3 | 정병문(鄭柄文) | 26,402 | 2위 |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33.09% | 낙선 | |
| 4 | 이복(李복) | 2,389 | 4위 |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 2.99% | 낙선 | |
| 5 | 윤인섭(尹仁燮) | 12,028 | 3위 |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15.08%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31,953 | 투표율 60.96% |
| 투표 수 | 80,426 | ||
| 무효표 수 | 651 | ||
3.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갑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삼호동, 무거동, 옥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2 | 최병국(崔炳國) | 35,754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0.84% | 당선 | |
| 4 | 이영순(李永順) | 21,610 | 2위 |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36.77% | 낙선 | |
| | | 사퇴 | |
| | |||
| 7 | 박덕원(朴德元) | 1,402 | 3위 |
|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 ]] | 2.38%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34,533 | 투표율 44.62% |
| 투표 수 | 60,031 | ||
| 무효표 수 | 555 | ||
3.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갑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삼호동, 무거동, 옥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이채익(李埰益) | 40,687 | 1위 |
| | 52.54% | 당선 | |
| 2 | 심규명(沈揆明) | 27,913 | 2위 |
|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 36.04% | 낙선 | |
| 6 | 김헌득(金憲得) | 8,832 | 3위 |
| | 11.40%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39,847 | 투표율 55.77% |
| 투표 수 | 77,987 | ||
| 무효표 수 | 555 | ||
| 울산 남구 갑 출구조사 결과 |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이채익 | 심규명 | 격차 |
| 전체 | 52.5% | 39.1% | 13.4%p |
3.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갑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삼호동, 무거동, 옥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이채익(李埰益) | 36,468 | 1위 |
| | 42.19% | 당선 | |
| 2 | 심규명(沈揆明) | 34,416 | 2위 |
| | 39.81% | 낙선 | |
| 5 | 박기준(朴基俊) | 15,551 | 3위 |
| | 17.99%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50,440 | 투표율 58.31% |
| 투표 수 | 87,732 | ||
| 무효표 수 | 1,297 | ||
||<-6><tablealign=center><bgcolor=#c9252b,#c9252b><tablebordercolor=#CA252B><tablebgcolor=#fff,#1c1d1f> 20대 총선 울산 남구 갑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채익 | 심규명 | 박기준 | ||
| 득표수 (득표율) | 36,468 (42.19%) | 34,416 (39.81%) | 15,551 (17.99%) | +2,052 (△2.38) | 87,732 (58.31%) |
| 신정1동[A] | 53.03% | 31.46% | 23.20% | △21.57 | 52.14 |
| 신정2동 | 42.69% | 38.43% | 18.88% | △4.26 | 57.62 |
| 신정3동 | 45.18% | 37.34% | 17.48% | △7.84 | 52.75 |
| 신정4동 | 43.08% | 39.83% | 17.09% | △3.25 | 56.99 |
| 신정5동 | 48.42% | 33.18% | 18.40% | △15.24 | 48.30 |
| 삼호동[B] | 42.93% | 40.41% | 16.65% | △2.52 | 52.74 |
| 무거동[C] | 37.94% | 44.15% | 17.91% | ▼6.21 | 59.22 |
| 옥동[D] | 40.65% | 41.33% | 18.01% | ▼0.68 | 62.10 |
| 후보 | 이채익 | 심규명 | 박기준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3.32% | 40.07% | 16.61% | △3.25 | |
| 관외사전투표 | 36.54% | 47.24% | 16.21% | ▼10.70 | |
| 국외부재자투표 | 27.01% | 62.04% | 10.95% | ▼35.03 | |
| 울산 남구 갑 출구조사 결과 |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이채익 | 심규명 | 박기준 | 격차[7] |
| 전체 | 42.0% | 41.7% | 16.3% | 0.3%p경합 |
3.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갑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삼호동, 무거동, 옥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심규명(沈揆明) | 44,773 | 2위 |
| | 43.27% | 낙선 | |
| 2 | 이채익(李埰益) | 55,252 | 1위 |
| [[미래통합당| 미래통합당 ]] | 53.40% | 당선 | |
| 3 | 강석구(姜錫求) | 2,315 | 3위 |
| | 2.23% | 낙선 | |
| 7 | 이수복(李受馥) | 1,111 | 4위 |
| [[국가혁명배당금당| 국가혁명배당금당 ]] | 1.07%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47,996 | 투표율 70.71% |
| 투표 수 | 104,653 | ||
| 무효표 수 | 1,202 | ||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ef426f><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ef426f,#ef426f> 21대 총선 울산 남구 갑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심규명 | 이채익 | ||
| 득표수 (득표율) | 44,773 (43.27%) | 55,252 (53.40%) | -10,479 (▼10.13) | 104,653 (70.71%) |
| 신정1동[A] | 34.49% | 62.47% | ▼27.97 | 64.08 |
| 신정2동 | 40.34% | 56.41% | ▼16.06 | 70.77 |
| 신정3동 | 39.32% | 57.60% | ▼18.29 | 65.63 |
| 신정4동 | 43.84% | 52.97% | ▼9.12 | 66.92 |
| 신정5동 | 37.73% | 58.60% | ▼20.88 | 62.31 |
| 삼호동[B] | 42.30% | 54.13% | ▼11.83 | 66.75 |
| 무거동[C] | 46.92% | 49.24% | ▼2.32 | 70.69 |
| 옥동[D] | 46.01% | 51.52% | ▼5.51 | 75.73 |
| 후보 | 심규명 | 이채익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4.62% | 46.28% | ▼1.66 | |
| 관외사전투표 | 52.03% | 44.08% | △7.95 | |
| 재외투표 | 68.47% | 28.26% | △40.21 | |
| 울산 남구 갑 출구조사 결과 |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심규명 | 이채익 | 격차 |
| 전체 | 40.6% | 56.4% | 15.8%p |
| 선거 벽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 | }}}}}}}}} |
세부적으로 보면 심규명 후보는 관외사전투표만 이겼다. 반면, 이채익 후보는 나머지 동에서 다 이긴 건 물론, 4년 전과 달리 이번엔 무난히 3선에 성공하였다.[12] 그나마 무거동에서 418표 차, 옥동에서 856표 차로 접전이 일어났다.
3.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갑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삼호동, 무거동, 옥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전은수(全恩秀) | 39,687 | 2위 |
| | 42.69% | 낙선[13] | |
| 2 | 김상욱(金相旭) | 50,066 | 1위 |
| | 53.86% | 당선[14] | |
| 6 | 이미영(李美永) | 2,880 | 3위 |
| | 3.09% | 낙선 | |
| 7 | 오호정(吳鎬玎) | 322 | 4위 |
| [[우리공화당(2020년)| 우리공화당 ]] | 0.34% | 낙선 | |
| | | 사퇴[15] | |
| | |||
| 계 | 선거인 수 | 139,853 | 투표율 67.98% |
| 투표 수 | 95,078 | ||
| 무효표 수 | 2,123 |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e61e2b><bgcolor=#e61e2b,#e61e2b><tablebgcolor=#fff,#1c1d1f> 22대 총선 울산 남구 갑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전은수 | 김상욱 | ||
| 득표수 (득표율) | 39,687 (42.69%) | 50,066 (53.86%) | -10,379 (▼11.17) | 95,078 (67.98%) |
| 신정1동[A] | 34.91% | 62.30% | ▼27.39 | 62.83 |
| 신정2동 | 39.95% | 57.20% | ▼17.25 | 65.77 |
| 신정3동 | 39.23% | 57.49% | ▼18.26 | 63.15 |
| 신정4동 | 44.54% | 52.79% | ▼8.25 | 64.42 |
| 신정5동 | 39.12% | 58.09% | ▼18.97 | 59.33 |
| 삼호동[B] | 40.75% | 54.44% | ▼13.69 | 65.49 |
| 무거동[C] | 44.73% | 50.62% | ▼5.89 | 65.80 |
| 옥동[D] | 44.73% | 52.24% | ▼7.51 | 71.80 |
| 후보 | 전은수 | 김상욱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3.59% | 60.31% | ▼26.72 | |
| 관외사전투표 | 51.91% | 45.05% | △6.86 | |
| 국외부재자투표 | 73.74% | 25.14% | △48.60 | |
| 울산 남구 갑 출구조사 결과 |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전은수 | 김상욱 | 격차 |
| 전체 | 41.1% | 55.9% | 14.8%p |
| 선거 벽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
| | | }}}}}}}}} |
국민의힘에서는 현역 이채익 의원이 출마를 준비했으나 당에서 남구 갑을 국민추천제 지역으로 지정하면서 컷오프되었다.[21] 이에 이채익 의원은 반발해 무소속 출마를 시사했지만, 결국 얼마 후 당의 결정을 수용하면서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후 기존 예비후보 중 한 명인 김상욱 변호사가 공천되었다.
새로운미래에서는 이미영 전 울산광역시의회 부의장이 출마를 선언하였다.[22]
우리공화당에서는 오호정 울산광역시 남구 갑 당협위원장이 출마하였다.
무소속으로는 허언욱 전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이 국민의힘 남구 갑 공천 탈락에 반발하며 출마를 선언했으나 사퇴하였다.
현역 3선 중진이 불출마한 상태라 청년, 여성, 신인 등의 키워드로 이뤄진 후보 구성에, 범진보와 범보수 진영 모두 표 분열 가능성도 있어, 이번 총선에서 울산 지역구 중 가장 치열하고 결과 예측이 어려운 곳이 되었다.
실제로 4월 1일 여론조사꽃에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은수 39.6%, 김상욱 39.8%로 불과 0.2%p 차이가 났다는 것이 이를 보여주었다. 참고로 두 사람 모두 부산대 로스쿨 출신으로 동문 간 매치이다.
이후 사전투표 첫날인 4월 5일에 무소속 허언욱 후보가 사퇴를 선언함과 동시에 국민의힘 김상욱 후보 지지선언을 했다.[23]
개표 결과 보수층 결집과 허언욱 후보의 사퇴로 인해 전 행정동에서 승리는 물론 11.17%p 격차로 김상욱 후보가 낙승했다.[24]
김상욱 의원은 12.3 비상계엄 이후로 여당 의원이었음에도 강경 소신파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초선임에도 불구하고 이름이 오르내렸고, 탄핵 이후로도 당심이 계속 민의와 반대되는 행보를 보이자 결국 당선 1년 만에 탈당하여 5월 19일에 더불어민주당에 공식 입당하였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이선호, 전은수 등 울산지역 민주당 정치인들이 대통령실에 입각하면서 어찌저찌 지역위원회 교통정리도 이루어진 모양새.
[1] 2025년 9월 기준[2] 민주당에서 심규명 변호사가 19~21대 후보로 계속 나오면서 30% 후반~40% 초반의 득표율을 올리며 분전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당선권을 노리기에는 힘에 부치는 면이 있다.[A] 울산광역시청이 있는 동네[B] 법정동 무거동(남부순환도로 동쪽)[C] 법정동 무거동(남부순환도로 서쪽). 울산대학교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옥동 · 두왕동. 울산지방법원과울산지방검찰청, 제127보병여단이 있는 동네[7] 출구조사 결과 1위(이채익), 2위(심규명)간의 격차이다.[A] [B] [C] [D] [12] 특히 신정1동에선 무려 63% 정도가 이채익 후보에게 갔다. 이 정도면 강남구에서 재건축 중인 개포1,2동과 맞먹는 정도다. 실제로 신정1,2동은 울산에서 비교적 부촌이라고 불리는 곳이다.[13]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녹색정의당, 노동당, 민주노총 단일 후보[14] 국민의힘, 무소속 허언욱 단일 후보[15] 국민의힘 김상욱 후보 지지.[A] [B] [C] [D] [20] 그러나 경선에서 탈락해 출마하지 못하게 됐다.[21] 이걸 시행한 지역구 5곳은 강남구 갑, 강남구 을, 대구 북구 갑, 동구·군위군 갑, 울산 남구 갑이다.[22] 2022년 지방선거에 민주당 남구청장 후보로 출마했다.[23] 이미 투표 용지에 사퇴라고 적히는 시한은 지난 상태였지만, 투표소 안에 사퇴 공고문을 붙여놓긴 했다.[24] 심지어 국민의힘이 굴욕의 패배였던 작년 보궐선거 당시에 남구 나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던 신정4동마저 김상욱 후보가 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