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06:50:17

김헌식(1868)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1868년 5월 27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내성면 송내리
(현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해저1리 바래미마을[1] 591번지)[2]
사망 1934년 7월 4일[3] (향년 66세)
경상북도 봉화군
초명 김정림(金正林)
태시(太始)
운당(雲塘)
가족 배우자 최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322호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양자 김창신 또한 독립유공자이다.

2. 생애

1868년 5월 27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내성면 송내리(현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해저1리 바래미마을 591번지)에서 아버지 강재(剛齋) 김덕영(金悳永, 1848 ~ 1907.11.24.)[4]과 어머니 진성 이씨 이중룡(李中龍, 1846 ~ 1892.12.21.)[5] 사이에서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김덕영은 1891년(고종 28) 증광 생원시에 3등 40위로 입격하였고, 조부 좌해(左海) 김매수(金邁銖, 1809 ~ 1856.6.7.)[6] 또한 1843년(헌종 9) 식년 생원시에 2등 8위로 입격하였다. 증조부 나헌(懦軒) 김재공(金在恭, 1782 ~ 1837.9.11.)[7] 또한 1822년(순조 22) 식년 생원시에 3등 8위로 입격하여 훈련원 주부(訓鍊院主簿)에까지 올랐다. 고조부 갈천(葛川) 김희주(金熙周, 1760 ~ 1830.11.26.)[8]는 1789(정조 13) 식년 생원시에 3등 58위로 입격하고 1795년(정조 19) 식년 문과에 을과 6위로 급제한 뒤 순조 때 사간원 대사간에까지 올랐다. 5대조 김시동(金始東, 1731 ~ 1811.3.9.)[9]은 순조 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까지 올랐다. 또한 외조부 신암(新巖) 이만기(李晩耆, 1825 ~ 1888.6.29.)는 이황의 11대손으로, 1852년(철종 3) 식년 문과에 병과 13위로 급제하여 고종 때 사간원 대사간 및 승정원 우승지에까지 올랐다.

일찍이 서산(西山) 김흥락의 문하에서 한학을 수학했다. 1901년(광무 5) 주차미국공사관 서기생(駐箚美國公使館書記生)[10], 1902년(광무 6) 혜민원 주사(主事)[11], 1906년(광무 10) 효창원 참봉[12], 1910년(융희 4) 예산군 주사[13] 등 대한제국기에 관료로 재직하였다. 이후 경상북도 대구부 봉산정[14] 52번지로 이주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던 김창숙러허특별구(熱河特別區) 또는 차하얼특별구(察哈爾特別區)의 미개간지 및 황무지 20만 정보를 매입하여 둔병식(屯兵式) 독립군 기지를 건설한 뒤 간도 지역에 체류하는 조선인들을 집결하여 개간사업에 종사하게 하고, 그 수익금으로 무관학교를 설립하여 군대를 양성하는 등 10년간의 실력양성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독립을 달성한다는 원대한 포부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군자금 20만 엔을 경상북도 일원에서 모금할 생각이었다.

이에 1925년 8월 17일 김창숙이 중화민국에서 경기도 경성부밀입국한 뒤 경기도 경성부 관훈동[15] 곽종석의 문집인 『면우문집(俛宇文集)』의 간행소를 거점으로 확보하였고, 이곳에서 1923년 2월에 미리 귀국한 정수기·손후익영남지방 유림을 만나 군자금 모집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1925년 8월 말 직접 경상북도 대구부로 내려가 김화식(金華植)에게 스스로 작성한 취지문을 제시하고 계획에 협력할 것을 요청하는 한편, 경성부 왜성대정[16] 남산공원에서 군자금 마련을 위하여 손후익·이재락(李在洛)·이동흠(李棟欽)·김동진(金東鎭) 등과 수 차례 만났다.

그러던 1925년 12월, 김창숙의 지시를 받아 경상북도 지역 담당자로 파견된 정수기를 만나 김창숙의 군자금 모집 계획을 들었고, 이에 뜻을 같이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같은 달 말에 김창숙을 만나 활동 목표와 지침을 들었다. 1926년 1월에는 봉화군의 부호 권상경에게서 군자금 1,000엔을 모집하였다. 그러나 1926년 4월 2일 김화식이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되면서 관련자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가 시작되었고, 같은 해 5월 중순까지 대부분의 관련자가 잡힐 때 함께 체포되었다.

이후 9개월간 복역한 뒤 1926년 12월 1일 이른바 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혐의에 대해 구류취소 및 출감 처분을 받았고[17],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의 예심에서[18] 이른바 다이쇼 8년 제령 제7호 위반 및 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 위반, 치안유지법 위반, 총포화약류취체령 위반, 강도죄 등의 혐의에 대해 면소 판결을 받아[19] 곧 출옥하였다.

1934년 7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사망했다. 200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2006년 10월 12일 배우자 전주 최씨 최기(1870 ~ ?)[20]의 유해와 함께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이장되었다.

[1] 의성 김씨 개암공파(開巖公派)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김뇌식·김덕기·김중문·김창신도 이 마을 출신이다.[2]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기준.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 판결문에는 691번지로 기재되어 있다. 1910년대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당시 해저리 691번지는 김헌식 본인의 소유였다.[3] 음력 5월 23일[4] 초년기에는 한자이름을 金永으로 썼다.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에는 김진영(金眞永)으로 적혀 있다. 자는 중일(重一).[5] 이황의 12대손으로, 신암(新巖) 이만기(李晩耆, 1825 ~ 1888.6.29.)의 딸이다.[6] 자는 진오(進吾).[7] 초명은 김진원(金振遠), 자는 대긍(大兢).[8] 자는 성사(聖思), 공목(公穆).[9] 자는 계원(啓源).[10] #[11] #[12] #[13] #[14]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15]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16]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17] 1926년 12월 1일 대구지방법원 집행원부[18]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 형사사건부[19]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 판결문[20] 1882년(고종 19) 증광 생원시에 3등 60위로 입격한 동려(東黎) 최병섭(崔炳燮, 1852.10.11. ~ 1930.6.6.)의 장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