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3:36:01

김준호(2002)

김준호(축구선수)에서 넘어옴

2 이현식 · 5 김강산
VC
· 6 김경준 · 7 김승섭
C
· 8 이승원 · 11 이동준 · 13 오인표
14 이동경 · 15 김찬 · 16 김준호 · 18 원기종 · 19 박상혁 · 20 박찬용
VC
· 21 김태훈 · 22 최예훈
23 이주현 · 27 추상훈 · 28 맹성웅 · 31 백종범 · 33 박대원 · 34 박철우 · 35 이정택
36 김태환 · 37 김주찬 · 38 이찬욱 · 39 이건희 · 40 전병관 · 41 문현호 · 42 고재현 · 43 박세진 · 44 이수빈
45 김이석 파일:부상 아이콘.svg · 46 김민규 · 47 김인균 · 48 김현우 · 49 민경현 파일:부상 아이콘.svg · 50 박진성 · 51 박태준 · 52 임덕근 · 77 유선
파일:2022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svg 정정용{{{#!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6hIAZr.png
김천 상무 FC No. 16
김준호
金俊鎬 | Kim Jun-ho
<colbgcolor=#b52427><colcolor=#fff> 출생 2002년 12월 11일 ([age(2002-12-11)]세)
경기도 부천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2cm / 체중 74kg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학력 포항제철동초등학교 (졸업)
포항제철중학교 (졸업)
포항제철고등학교 (졸업)
소속 <colbgcolor=#b52427><colcolor=#fff> 유스 포항 스틸러스 (2009~2020)
선수 포항 스틸러스 (2021~ )
김천 상무 FC (2024~ / 군 복무)
등번호 포항 스틸러스 - 66번
가족 아버지 김기동, 어머니 조현경(1976년생)[1]
누나 김하늘(1999년생)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기록
5.1. 대회 기록
6. 둘러보기

1. 개요

김천 상무 FC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포항 스틸러스

김기동의 부천에서 마지막 시즌인 2002년 말 태어났다. 이후 김기동은 2003년부터 남은 선수 시절을 포항에서만 보냈기 때문에 김준호는 포항에서 유년기 전부를 보내며 자연스럽게 포항 유스 포철동초 - 포철중 - 포철고를 차례로 졸업했다.

포철고 3학년 시절 김륜성, 오재혁, 윤석주, 최민서, 홍윤상과 함께 K리그 주니어 챔피언십, MBC 전국 고교축구대회, 고교 왕중왕전 등 3관왕을 차지하며 고교 최고 미드필더로 거듭났다.

포철고 졸업 후 2021 시즌을 앞두고 신인 우선지명을 통해 포항에 입단했다.

2.1.1. 2021 시즌

37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에서 선발 출전하면서 프로 데뷔전을 가졌다. 경기 내내 위협적인 슈팅, 상대 수비진 압박을 보여주면서 포항 팬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알렸다. 후반 13분 이호재하고 교체 아웃되어 피치를 빠져나갔고 팀은 무승부를 거두었다.

38라운드 FC 서울과의 홈경기 후반전 89분 신진호와의 교체로 출전했다. 시간이 부족해 활약을 못 보여 주었고 팀은 1 : 2 역전패하였다.

2021 시즌 리그에서 최종 기록은 2경기 0득점 0도움.

2.1.2. 2022 시즌

전반기에는 주로 R리그에서만 출전하여 4경기 1골 2도움을 기록하다가 5월부터 1군 명단에 들기 시작했는데, 사실 고교 동기인 김륜성이 입대했기 때문에 대신 U-22 자원으로 중용될 전망으로 보였다.

16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 후반 추가 시간 임상협과 교체 투입되며 시즌 첫 경기를 치렀다.

28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3:0으로 대패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반 중반에 투입되며 시즌 2번째 경기를 치렀다.

30라운드 수원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드디어 K리그1 첫 선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다. 전반전에 센터백 가운데 사이에서 상대팀의 압박을 이겨내고 안정적인 빌드업과 볼배급을 착실하게 수행하였고 후반전 시작전에 교체아웃 되었다. 하지만 팀은 아쉽게 1 : 0으로 패배하였다.

2022 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7경기에 출전해 0골 0도움을 기록.

2.1.3. 2023 시즌

2022 시즌 주전 미드필더 신진호가 2023년 1월 인천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면서 교체출전이나 로테이션으로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이된다.

14라운드 강원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시즌 첫 선발 출장을 했다. 최악의 잔디 상황인데도 안정적인 패스를 보여주었다. 후반전 시작이전 교체로 아웃되었고 팀은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15라운드 전북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73분 고영준과 교체로 투입됐다. 80분사이 위협적인 중거리 슈팅을 보여 주었지만 김정훈 골키퍼의 선방으로 아쉽게 득점이 무산되었다. 팀은 1:0 승리하였다.

17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장했다. 제주의 압박에 살짝 불안감이 있었지만 무난한 활약을 펼쳤고 후반전 56분 이승모하고 교체아웃 되었다. 팀은 후반전 박승욱의 극장골로 2:1 승리하였다.

19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선발로 출장했다. 전반전 45분 전방으로 뿌리는 롱패스 등으로 무난한 활약을 보여 주었다. 후반전 시작 이전 한찬희와 교체로 아웃되었고 팀은 제카의 결승골로 1:0 승리하였다.

21라운드 동해안 더비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전반전 23분 설영우에게 드리블 돌파를 허용이후 크로스를 내주면서 주민규의 결승골을 내주었다. 이후 중거리 슛이나 위협적인 프리킥을 보여 주었지만 조현우가 막았고 후반전 60분대 한찬희와 교체아웃 되었다. 팀은 1:0 패배하였다.

2023 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33경기 출전 0골 0도움.

2.1.4. 2024 시즌

아버지와 함께 맞이하지 않는 첫 번째 시즌이다.

2월 전북과의 2023-24 AFC 챔피언스 리그 16강 2연전 모두 출전했고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포항의 탈락을 막지 못했다.

리그 개막전 동해안 더비 원정에서 선발 출전해 54분을 소화했지만 팀의 0:1 패배를 막지 못했고 이후 경기 엔트리에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이 경기에서 조르지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하나 했지만 조르지의 위치가 영 좋지 않았기 때문에 공격 포인트는 날아가게 되었다.

팀 동료 박찬용과 함께 군 복무를 위해 김천 상무에 지원했다는 루머가 나오는 중이다. 만약 통과 된다면 4월 말부터 군 복무를 위해 잠시 포항을 떠나게 된다.

2.1.5. 김천 상무 FC (군 복무)

2024년 3월 28일, 김천 상무 FC 최종 합격이 발표되었고 4월 29일 박찬용과 함께 입대했다.
2.1.5.1. 2024 시즌
입대 후 아예 출전하지 못하다가 2024 시즌 파이널 라운드 막판 세 경기 연속 교체로 기회를 받았다.
김준호의 2024 시즌 K리그1 성적[2]
출전 시간 경기(선발) 득점 도움 슈팅(유효) 키패스 경고(퇴장)
27 3(0) 0 0 2(0) 0 1(0)
2.1.5.2. 2025 시즌

2.2. 통산 클럽 기록

2024년 4월 01일 기준
시즌 소속리그 클럽 리그 FA컵 대륙대회 합계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2021 K리그1 포항 스틸러스 2 0 0 - - 2 0 0
2022 7 0 0 0 0 0 - 7 0 0
2023 25 0 0 2 0 0 8 0 0 35 0 0
2024 1 0 0 - - 1 0 0
김천 상무 FC 0 0 0 - - - - 0 0 0
합계 35 0 0 2 0 0 8 0 0 45 0 0

3. 플레이 스타일

킥 정확도가 높으며 활동량 또한 왕성하다. 올해 K리그 유스 챔피언십과 부산MBC 전국고교축구대회 두 차례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큰 경기에 강한 모습을 보여줬다. 아버지 김기동을 닮아서인지 파워풀한 중거리슛을 잘 때린다.

4. 여담

  • 현재 FC 서울 감독인 김기동 감독의 아들로 유명하다. 한마디로 부자가 대를 이어서 포항에서 뛰고 있는 것.[3] 등번호인 66번 또한 아버지의 현역 시절 등번호였던 6번을 의식한 번호로 보인다.[4]
  • MBTIISTJ라고 밝혔다. 참고로 아버지의 MBTI는 INTJ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6. 둘러보기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 20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5a77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
<rowcolor=#ffffff> 등번호 국적 포지션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입대일 전역일 원 소속 구단 비고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현식 Lee Hyeonsik 1996.03.21 175cm, 64kg 2024.04.29 2025.10.26 대전 하나 시티즌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강산 Kim Gangsan 1998.09.15 184cm, 78kg 2024.04.29 2025.10.26 대구 FC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경준 Kim Kyungjun 1996.10.01 178cm, 75kg 2024.04.29 2025.10.26 김포 FC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승섭 Kim Seungsub 1996.11.01 177cm, 65kg 2024.04.29 2025.10.26 제주 SK FC 주장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승원 Lee Seungwon 2003.03.06 174cm, 73kg 2024.04.29 2025.10.26 강원 FC U-22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동준 Lee Dongjun 1997.02.01 173cm, 65kg 2024.04.29 2025.10.26 전북 현대 모터스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오인표 Oh Inpyo 1997.03.18 177cm, 63kg 2024.04.29 2025.10.26 서울 이랜드 FC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동경 Lee Donggyeong 1997.09.20 175cm, 72kg 2024.04.29 2025.10.26 울산 HD FC
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찬 Kim Chan 2000.04.25 189cm, 83kg 2024.04.29 2025.10.26 부산 아이파크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준호 Kim Junho 2002.12.11 182cm, 74kg 2024.04.29 2025.10.26 포항 스틸러스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원기종 Won Kijong 1996.01.16 178cm, 75kg 2024.04.29 2025.10.26 경남 FC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박상혁 Park Sanghyeok 2002.06.13 187cm, 76kg 2024.04.29 2025.10.26 강원 FC
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박찬용 Park Changyong 1996.01.27 186cm, 81kg 2024.04.29 2025.10.26 포항 스틸러스
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김태훈 Kim Taehoon 1997.04.24 189cm, 82kg 2024.04.29 2025.10.26 FC 안양
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최예훈 Choi Yehoon 2003.08.19 180cm, 73kg 2024.04.29 2025.10.26 부산 아이파크 U-22
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이주현 Lee Juhyun 1998.12.06 188cm, 78kg 2024.04.29 2025.10.26 부천 FC 1995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추상훈 Chu Sanghun 2000.02.03 170cm, 70kg 2024.04.29 2025.10.26 전남 드래곤즈
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맹성웅 Maeng Seongung 1998.02.04 180cm, 72kg 2024.04.29 2025.10.26 전북 현대 모터스
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백종범 Baek Jongbum 2001.01.21 190cm, 85kg 2025.04.07 2026.10.06 FC 서울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박대원 Park Daewon 1998.02.25 178cm, 76kg 2024.04.29 2025.10.26 수원 삼성 블루윙즈
3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박철우 Park Cheolwoo 1997.10.21 176cm, 68kg 2025.04.07 2026.10.06 수원 FC
3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정택 Lee Jungtaek 1998.05.23 183cm, 75kg 2025.04.07 2026.10.06 대전 하나 시티즌
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태환 Kim Taehwan 2000.03.25 179cm, 73kg 2025.04.07 2026.10.06 제주 SK FC
3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주찬 Kim Juchan 2004.03.29 177cm, 72kg 2025.04.07 2026.10.06 수원 삼성 블루윙즈 U-22
3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찬욱 Lee Chanouk 2003.02.03 186cm, 79kg 2025.04.07 2026.10.06 경남 FC U-22
3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건희 Lee Kunhee 1998.02.17 187cm, 79kg 2025.04.07 2026.10.06 제주 SK FC
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전병관 Jeon Byungkwan 2002.11.10 178cm, 72kg 2025.04.07 2026.10.06 전북 현대 모터스
4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문현호 Moon Hyunho 2003.05.13 196cm, 88kg 2025.04.07 2026.10.06 울산 HD FC
4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고재현 Go Jaehyeon 1999.03.05 177cm, 77kg 2025.04.07 2026.10.06 대구 FC
4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박세진 Park Sejin 2004.03.19 171cm, 67kg 2025.04.07 2026.10.06 대구 FC U-22
4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수빈 Lee Soobin 2000.05.07 180cm, 70kg 2025.04.07 2026.10.06 전북 현대 모터스
4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이석 Kim Yiseok 1998.06.19 180cm, 74kg 2025.04.07 2026.10.06 강원 FC
4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민규 Kim MinKyu 1998.04.01 188cm, 77kg 2025.06.02 2026.12.01 서울 이랜드 FC
4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인균 Kim Ingyun 1998.07.23 174cm, 66kg 2025.06.02 2026.12.01 대전 하나 시티즌
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현우 Kim HyunWoo 1999.03.07 183cm, 70kg 2025.06.02 2026.12.01 대전 하나 시티즌
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민경현 Min Gyeonghyeon 2001.12.16 174cm, 66kg 2025.06.02 2026.12.01 인천 유나이티드
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박진성 Park Jinsung 2001.05.15 178cm, 76kg 2025.06.02 2026.12.01 대전 하나 시티즌
5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박태준 Park TaeJoon 1999.01.19 176cm, 75kg 2025.06.02 2026.12.01 광주 FC
5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임덕근 Lim Dukkeun 2000.02.25 183cm, 77kg 2025.06.02 2026.12.01 대전 하나 시티즌
7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유선 Yu Sun 2004.07.24 188cm, 75kg 2024.04.29 2025.10.26 성남 FC U-22
구단 정보
대표이사: 이재하 / 감독: 정정용 / 홈구장: 김천종합운동장
}}}}}}}}}}}} ||
[1] 기사[2] 후반기 김천 상무 FC에서의 기록[3] 덕분에 포항 팬들에게는 '도련님'이라고 불리고 있다.[4] 실제로 스틸야드에서의 선수 소개 멘트가 6번이 낳은 66번이다.[5] 2018년 대전 시티즌의 경우 이기범 2군 감독과 아들 이지호가 같이 팀에 소속되면서 팬들로부터 큰 반발을 산 바 있다. 애초에 이기범, 이지호 사례의 경우 이기범 감독이 이전부터 여러 차례 자신의 아들을 자신이 맡은 팀의 선수로 영입한 과거가 있고 이외에도 김호 대표이사, 고종수 1군 감독과 함께 숱한 사건 사고와 논란 등에 연루되며 구단의 상황이 뒤숭숭했던 상황이었으며 특히 결과론적으로 이지호는 리그에서 단 한 경기도 치르지 못한 채 반 년 만에 팀을 떠나면서 논란이 안 되는 게 이상했고 김준호의 경우는 아버지가 K리그 최고의 명장 중 하나로 꼽히고 있고 선수 본인은 축구를 동 나이대에서 가장 잘 해야 갈 수 있는 프로 유스팀을, 그것도 현 소속팀 포항의 지정 학교에서 모두 나온 실력 있는 선수다. 서로가 능력이 있어 같은 팀에서 뛰는 것이지 논란이 될 경우가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