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통부차관 (1948~1994) | |||||||||||||||||||
| <nopad> 이승만 정부 | ||||||||||||||||||||
| 초대 강형섭 | 제2대 나기호 | 제3대 김석관 | 제4대 김석명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 제5대 이종림 | 제6대 김윤기 | 제7대 석상옥 | 제8대 송원영 | 제9대 안무경 |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0대(정무) 천세기 | 제10대(사무) 장덕용 | 제11대(정무) 천세기 | 제11대(사무) 정진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박정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 제12대 박정구 | 제13대 김병식 | 제14대 이창석 | 제15대 김태동 |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 제16대 이용 | 제17대 이경호 | 제18대 이재철 | 제19대 김완수 |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 제20대 문명린 | 제21대 이웅수 | 제22대 유흥수 | 제23대 김창갑 |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24대 조경식 | 제25대 이재창 | 제26대 장상현 | 제27대 구본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국토해양부 제2차관 (2008~2013) | ||||||||||||
| <nopad> 이명박 정부 | ||||||||||||||||||||
| 초대 이재균 | 제2대 최장현 | 제3대 김희국 | 제4대 주성호 | |||||||||||||||||
| 국토교통부 제2차관 (2013~현재) |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 초대 여형구 | 제2대 최정호 | 제3대 맹성규 | 제4대 김정렬 |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 제5대 김경욱 | 제6대 손명수 | 제7대 황성규 | 제8대 어명소 | |||||||||||||||||
| <nopad> 윤석열 정부 | <nopad> 이재명 정부 | |||||||||||||||||||
| 제9대 백원국 | 제10대 강희업 | |||||||||||||||||||
| 국토교통부장관 · 국토교통부 제1차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50><tablebordercolor=#fff> | 한국국토정보공사 역대 사장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지적공사 사장 (1977~2015) |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 초대 김성건 | 2대 이용택 | 3-5대 손승덕 | 6·7대 최병삼 |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 8대 전희찬 | 9대 박경석 | 10대 정태수 | 11대 최운지 | 12대 전춘우 |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 13대 김재영 | 14대 공민배 | 15대 이성열 | 16대 김영호 | 17대 김영표 | |
|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2015~현재) |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황교안 대행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 17대 김영표 | 18대 박명식 | 19대 최창학 | 20대 김정렬 | 21대 어명소 |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제20대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 |||
| 대한민국 제4대 국토교통부 제2차관 김정렬 金正烈 | Kim Jung-yeol | |||
| | |||
| 출생 | 1961년 | ||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 | |||
| 재임기간 | 제4대 국토교통부 제2차관 | ||
| 2018년 4월 2일 ~ 2019년 5월 23일 | |||
| 제20대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 |||
| 2020년 9월 8일 ~ 2023년 10월 4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 학사) 웨일스 대학교 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 / 석사) 가천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 / 박사) | |
| 병역 | 육군 일병 복무만료 (소집해제) | ||
| 약력 | 제32회 행정고시 합격 건설교통부 신도시기획단 기업도시과장 해양수산부 복합도시기획단 기업도시기획과장 건설교통부 예산총괄팀장 건설교통부 도시교통정책팀장 국토해양부 도시광역교통과장 국토해양부 도시환경과장 국토해양부 녹색도시과장 국토해양부 지역정책과장 국토해양부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기획국장 경기도청 도시주택실장 국토교통부 정책기획관 국토교통부 공공주택건설추진단장 국토교통부 도로국장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 제4대.국토교통부 제2차관 (문재인 정부) 제20대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문재인 정부) |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준정부기관인, 정무직 공무원. 문재인 정부의 두 번째 국토교통부 제2차관이다.퇴임 이후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을 지냈다.
2. 생애
1961년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서 태어났다.군산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아버지의 병환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농사일을 하며 대입 검정고시를 준비하였다. 이후에도 농사일과 공부를 병행하며 제32회 행정고시에 합격했고 1989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행정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공직을 시작했다. 그 후 명문대 학연 없이 능력으로 고위직에 올랐다.
문재인 정부의 국토교통부 고위급 공무원 중 국토교통부 내 유일한 흙수저 신화로 인정받고 있으며, 공무원 사회 내 학벌주의의 틀을 깨트린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2020년 9월 8일부로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에 취임했다. 김정렬 사장은 본사에서 가진 온라인 취임식을 통해 “LX가 그동안 이룩한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뉴딜의 싹을 틔우고 가꿔 국토정보 분야의 한국판 뉴딜을 직원들과 함께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2023년 10월 4일, 임기만료로 사장직에서 퇴임하였다. 후임은 같은 해 11월 13일, 윤석열 정부에서 국토교통부 제2차관을 지낸 어명소 전 차관이 임명되었다.
2025년 5월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한 168인의 민주정부(국민의 정부·참여정부·문재인 정부)의 전직 장차관급 인사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3. 공직 생활
국토교통부의 전신인 건설교통부에서 공직을 시작하여 주요 요직을 두루 거친 국토교통부 내 정통 전문가로 인정받았다.또한 남북 경협 및 한반도종단철도, 동해선 및 경의선 복구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남북 실무회담에 자주 참석했다. 실제로 철도 분과회의에 대표단으로 참가하는 등 남북경협의 준비에 만반을 다지는 계획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