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02:59:01

김동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가수}}}에 대한 내용은 [[김동렬(가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동렬(가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동렬(가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가수: }}}[[김동렬(가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동렬(가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동렬(가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金東烈
1958년 12월 7일[1] ~ ([age(1958-12-07)]세)
파일:KakaoTalk_20250823_220732852.jpg
출생 1958년 12월 7일 ([age(1958-12-07)]세)
대구광역시
현직 전국민화합위원회 상임위원장[2]
K뉴스통신 회장
뷰티박스 대표[3]
사단법인 국민통합위원회 고문
박근혜써포터즈 중앙회장
자유대한민국지키기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가족 배우자 김화연, 슬하 1남
학력 대구월배초등학교 (졸업)
달성중학교 (졸업)
경신고등학교 (졸업)
수성대학교 (보건복지경영학 / 학사)
신체 173cm, 65kg
경력 라이온스 봉사상 수상
국제라이온스협회 355-C 대구지부 부회장
달성중학교 동창회 주관기수회장
박근혜써포터즈 중앙회장
제18대 대통령 선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중앙유세단장
한국저널리스트 대학 학장
자유대한민국지키기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바르게살기 중앙협의회 자문위원
제19대 대통령선거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소통본부 자유대한민국위원회 중앙위원장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1급 포상 수상

1. 개요2. 생애
2.1. 진영의 벽을 깨다
3. 여담4. 선거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정당인 이다.
현재 언론사 K뉴스통신 회장이다.
전국민화합위원회 상임위원장, 박근혜써포터즈 중앙회장
자유대한민국지키기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을 맡고 있다.

2. 생애

1958년 12월 7일 경상북도 대구시(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대구월배초등학교, 달성중학교, 대구 경신고등학교, 수성대학교 보건복지경영과를 졸업했다.

이후 도매업 회사 뷰티박스의 대표, 박근혜써포터즈중앙회장직, 자유대한민국지키기국민운동본부장직을 맡았고, 그 밖에 시민사회운동가와 정당인으로 활동하며 여러 단체의 중책을 맡아 왔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중앙유세단장을 맡았다. 2014년에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자문위원을 맡고 새누리당의 중앙위원장을 맡았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는 탄핵 과정상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탄핵을 반대했다. 이 과정에서 태극기 집회를 여는데 돈이 부족하자 자신의 사재를 직접 털었다고 한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소통본부 자유대한민국위원회 중앙위원장을 맡았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우리공화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미래통합당 윤재옥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1. 진영의 벽을 깨다

그런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국민의힘 경선 때 홍준표 후보를 도왔으나 윤석열이 후보로 선출되자, 그해 2월 4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이 과정에서 오마이뉴스 유튜브 영상을 통해 약 250만 조회수를 기록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선거 역사 80년 동안 민간인 개인의 정치 행보로는 최대 관심을 불러일으킨 사례로 평가된다.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도 5월 19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약 200여 명의 동지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후보 지지를 재차 표명하였다. 당시 단상에는 선거법 규정에 따라 25명이 참여하였으며, 해당 기자회견은 종합편성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도되었다. 이 보도는 이후 사흘간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선거 국면에서 상당한 파급력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현장에는 자유대한민국 지키기 국민운동본부, 정치개혁연대 등 보수 성향 단체 회원들이 함께했으며, 국민의힘 경기도당 책임당원 협의회 일부도 참석하는 엄청난 이변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은 태극기를 흔들며 민주당사에서 이재명을 연호하는 이례적인 장면을 연출하였다. 이후 같은 날 민주당 선대위 전국민화합위원회 상임위원장에 임명됐다.

원래 김동렬은 대한민국 보수 진영에서 오랜 기간 활동해 온 인물로,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 단체인 ‘박근혜 서포터즈’ 중앙회장을 맡아왔다. 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근혜 후보의 중앙선대위 유세단장을 맡았으며, 20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주호영 후보 지지 선언을 했다. [4] 이후 19대 대선에서는 홍준표 후보를 지원했고 20대 대선 경선에서도 홍 후보를 지지했다. 최근 대선 경선에서는 김문수 후보를 물밑에서 도왔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일각에서 김동렬을 가짜 단체라고 비난하는데, 박근혜 서포터즈는 박근혜가 정치 입문 이후, 박근혜의 정치 활동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결코 아무나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사실 친박계 인사들이 이재명을 지지한 것이 별로 이상할 것도 없는 게, 친박계는 예전 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의 후보가 "맘에 안 든다."는 이유로, 서부경남 지역인 사천시에서 진보 정당인 민주노동당강기갑을 당선시켰던 전례도 있었다. 그러나 그는 2025년 8월 19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돌연 이재명 후보 지지를 공개적으로 선언하면서 정치권의 주목을 받았다.

김동렬이 보수 일색의 정치적 행보에서 벗어나 이재명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국민일보 인터뷰를 통해 직접 설명했다. 그는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선출된 후보를 새벽에 강제로 교체하려는 시도를 보고 환멸을 느꼈다고 밝혔다.[5] 특히 김문수 후보가 내부 권력 다툼의 희생양이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확인하면서, 차라리 국민의힘이 이번 대선에서 크게 패배해 전면 개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동렬은 보수와 진보의 대립이 아니라 대한민국 정치 전반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하며 이재명 지지를 선언했다.

그는 윤석열 정권의 비상계엄 사태와 이후의 경제 실패를 강하게 비판하며, “내란 세력이 나라를 망쳐놓고도 반성하는 자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배후가 민주당이 아니라 오히려 국민의힘 내부 세력이라고 지적하면서, “주군의 등에 칼을 꽂은 세력들을 고립시켜야 한다”는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6]. 과거 박 전 대통령 지지자였던 그는 당시 아무도 구출하려 하지 않았던 현실에 실망을 느꼈고, 이번 선택은 그 연장선상에서 나온 결정이라 언급하였다.

김동렬은 민주당 선대위로부터 전국민화합위원회 상임위원장 임명장을 받았으며, 인터뷰에서는 곧 민주당에 입당할 계획도 밝혔다.[7] 특히 대구 지역에서의 조직적 기반을 강조했는데, 박근혜 서포터즈 활동 당시 대구 9개 구·군에 본부와 지부를 설치하고 회원들을 관리해왔다는 점을 언급하며, 지지 선언 이후 대구 각계 인사들로부터 지지 연락이 쇄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를 근거로 “대구에서도 이재명 바람이 불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별도의 교류가 없었으며, “귀찮게 해드려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8]

결과적으로 김동렬의 이재명 지지는 단순한 개인적 변심이 아니라, 국민의힘 내부 권력 구조와 보수 진영의 한계에 대한 반발, 그리고 한국 정치 전반의 개혁을 염두에 둔 선택으로 해석된다. 보수 진영에서 활동한 경력으로 정치진영 화합을 위한 시민단체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9]

3. 여담

여담으로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 중남구 선거구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사표를 냈던 67년생 김동렬이나 1965년 경주 태생의 서프라이즈 출신 논객 김동렬과는 동명 이인이다.

4. 선거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달서 을

[[우리공화당(2020년)|
우리공화당
]]
1,180 (0.84%) 낙선


[1] 네이버에는 59년 1월 15일로 나오지만 선거홍보물에는 이 생년월일로 표기되어 있다[2] 기본적으로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바라면서 좌우통합과 국민화합을 원칙으로 하는 시민단체라고 한다. 좌우통합에 방점을 찍기에 박근혜써포터즈도 여전히 활동하고 있다.[3] 개인 사업체. 젊을때부터 꾸준히 운영했다고 한다.[4] 주호영은 새누리당 공천을 받아낸 이인선을 말그대로 발라버리면서 당선되었다. 그 당시 진박이라는 친박계 의원들의 주도로 주호영의 공천이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비박계인 주호영을 지지했다. 이는 어떻게 보면 신의 한 수로, 진박 마케팅을 벌이던 새누리당은 20대 총선에서 침몰해버렸다.[5] 사실, 이 사건이 21대 대선 결과를 너무 싱겁게 예측해버린 계기가 되었다. 20대 대선 당시, 에펨코리아에서 각 양당에서 선출된 후보인 이재명윤석열이 마음에 안 든다고 각 정당의 후보들이 쓴 선거비는 생각도 안 하고(당연히 경선도 엄연한 선거이기 때문에 선거비가 들어간다.), 여야의 후보교체 밈을 진지하게 민 적이 있었는데, 3년 뒤 21대 대선 국민의힘 경선이 끝나고 나서, 국민의힘이 지도부 차원에서 이걸 진짜로 저질러버린 것이다. 이로 인해, 국민의힘 지지율이 크게 떨어졌고, 그 유탄을 맞은 김문수 후보는 본선에 가서도, 우경화가 됐다는 서울은 물론이고, 본인이 도지사를 역임했던 경기도에서까지 참패하는 등으로 본인이 지지한 윤석열에게 끝까지 뒷통수 맞으며 멸망했다. 물론 이 사람도 친윤이기 때문에 자업자득이라는 평이 많다. 그리고, 20대 대선에서 후보교체를 진지하게 주장했던 에펨코리아는 다른 커뮤니티에서 왜 후보교체가 이뤄졌는데 한덕수를 지지하지 않았느냐며, 되로 주고 말로 되돌려받는 격으로 실컷 조롱당했다.[6] 21세기 전무후무한 비상계엄을 일으켰으니 그럴 만도 하다. 게다가 원조 친박계 입장에서 윤석열은 그냥 박근혜를 잡아넣은 악마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도 하고.[7] 다만, 아직 입당하진 않은 것으로 보아, 지방선거나 총선을 앞두고 인재영입 형식으로 입당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다.[8] 다만,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20대 대선과 큰 차이 없는 지지율을 보였다. 그나마 동구 혁신동, 달성군 유가읍 등, TK 지역에서 30%를 넘고, 고향인 예안면에서 40.7%를 기록하긴 했지만.[9] 박근혜 지지 세력은 이재명과 김문수 지지로 분열되어 세력이 쪼그라들었다. 때문에 구 친박계에서는 박근혜가 내심 이재명을 물밑에서 지원해주길 바란 모양이지만, 서문시장을 방문해 김문수 후보를 지원하자, 이에 실망한 나머지 정치적으로 공감대를 잃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민주당에 입당하게 되면, 구 친박계에 해당하는 친명계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