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01:27:10

경민정

<colbgcolor=#ff7210><colcolor=#fff> 제7대 울주군의회 의원
경민정
慶珉情 | Kyeong Min Jeong
파일:경민정 프로필.jpg
출생 1979년 12월 23일 ([age(1979-12-23)]세)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학력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
현직 교육문화기획 경,이로운 대표
여의도너머TV 앵커
소속 정당
약력 UBC울산방송 공채방송인
제19대 대통령선거 문재인 대선후보 캠프[1] 언론특보(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선거 이재명 대선후보 캠프[2] 대변인(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이준석 대선후보 캠프[3] 대변인(개혁신당)
민선7기 울산광역시 울주군의회 의원[4]
제47대 국무총리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개혁신당 공천관리위원
개혁신당 대변인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유년기2.2. 방송인 활동2.3. 정계 입문2.4. 대변인 활동2.5. 휴식기 및 더불어민주당 탈당2.6. 개혁신당 입당
3. 선거 이력4. 수상 이력5. 소속 정당

1. 개요

대한민국ubc 울산방송 출신 정치인.

2. 생애

2.1. 유년기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서 태어났다. 현재는 ‘감천문화마을’로 알려진 이 지역은 6.25 전쟁 시기 피난민과 태극도 신도들이 전국 각지에서 모여들어 형성된 마을이다. 전쟁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과 태극도 신앙에 따라 재산과 교육을 포기한 이들이 산을 깎아 판잣집을 짓고 정착한 결과, 골목골목 복잡하게 얽힌 독특한 마을 구조가 형성되었다. 이 감천동의 생존 질서와 공동체 문화는 이후 본인의 삶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취업을 한시라도 빨리 해야했기에 당시 취업률이 높다는 상업고등학교에 진학했고, 1998년 IMF 직전에 있었던 삼성그룹 마지막 고졸 공채에서 부산 지역 유일 합격자로 조기 선발되었다. 그러나 평범한 직장인으로서의 삶은 본인의 성향과 맞지 않는다는 판단하에 안정된 생활을 뒤로하고 대학진학을 결심했다. 하지만 생계를 위해 주경야독을 선택해야만 했고 00학번으로 야간대학에 진학했다.

대학 교양 수업 중 200여명 앞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하게 되었는데 난생 처음 마이크에 담아본 자신의 목소리에 매력을 느껴 방송인을 꿈꾸게 되었고, KBS 출신 이정애 아나운서에게 직접 방송 지도를 받았다. 수개월간 주말마다 무궁화호를 타고 11시간씩 부산과 서울을 왕복하는 노력 끝에 방송 교육을 이수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지금의 안정된 발성과 발음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2.2. 방송인 활동

2005년 ubc울산방송 공채에 합격하며 본격적인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방송 부스에 ON AIR 불이 들어오는 순간 모든 잡념이 사라지고 방송에만 몰두하는 경험을 하며 몰입했다고 한다.
대표 프로그램으로는 ubc 그린FM 라디오 채널의 그린FM 923, 11시를 부탁해 등이 있다.
특히 11시를 부탁해 프로그램의 창립 멤버로서, 직접 프로그램명을 짓는 등 애정이 깊었다고 한다.
현재 시사정치채널 '여의도너머TV' 앵커로 활약하고 있다
이후 활동 반경을 넓히기 위해 프리랜서로 전향했고, 다양한 무대와 현장을 경험하며 청중과 소통하는 기술을 익혔다.

2.3. 정계 입문

울산 지역에서의 음악회와 축제 사회 등의 현장에서 활약하던 모습이 눈에 띄어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 관계자의 제안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울산광역시 울주군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울주군 의원으로 재직하며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조례 발의 및 복지 개선에 힘썼고, 특히 장애인 단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2.4. 대변인 활동

지방의원 신분으로는 이례적으로 대통령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으로 발탁되었다.
송영길 당대표 시절, 지역에 벌어진 수많은 선거 유세에서 활약한 것을 계기로 여러 중앙 정치인들의 주목을 받았는데, 그 중 이원욱 국회의원의 추천으로 20대 대선 후보 경선 당시 정세균 캠프 부대변인으로 발탁되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이재명 후보로 확정되었고, 20대 대선 당시 이재명 대선후보 캠프 대변인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2.5. 휴식기 및 더불어민주당 탈당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낙선한 후, 본인 역시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정치 활동을 전면 중단하는 휴지기를 선택했다. 공식적인 종교는 없으나, 정치적 공백기 동안 법륜스님의 강의를 들으며 내면을 정리했고, 초록식물 가꾸기 등 일상적인 활동을 통해 재충전의 시간을 가졌다. 적지 않은 기간동안 자발적 고립을 선택한 본인에게 어느날 첫째 딸이 다가와 “엄마, 밖에 햇살이 너무 좋아. 나와봐”라고 말한 순간, 오랜만에 햇빛을 온몸으로 느끼며 가족의 소중함을 다시금 깨달았다고 회고했다.

정치적 휴식기를 거친 후 2023년, 교육문화기획 브랜드 경,이로운을 설립했다. 스피치·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현장 교육 활성화에 힘쓰고 있으며, 강연·기업 연수·지역 리더 교육 등으로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제 하에서 소수 의견을 묵살하고 반대파를 일명 수박으로 지칭하며 숙청하는 정치 행태에 문제의식을 느꼈다.[5] 이에 대해 본인의 개인 SNS를 통해 소신 발언을 했고, 일부 강성 지지층(일명 개딸)의 공격을 받으며 곤욕을 치렀다.
2024년, 당내 소장파의 대표인사 격인 박용진 의원 등이 22대 총선을 앞둔 국면에서 사실상 비이재명계라는 이유로 공천에 탈락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며 정치에 회의를 느끼고 더불어민주당을 떠나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2.6. 개혁신당 입당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총선을 앞두고, 조응천 의원의 추천과 이준석 대표의 권유로 공관위에 합류하면서 개혁신당에 입당했다. 이후 김종인 위원장이 주도한 개혁신당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총선 공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2025년, 조기 대선 국면에서 개혁신당 선거대책본부 대변인에 임명되어 선거유세를 주도했고, 이준석 대통령후보와 함께 전국을 순회하며 유세를 했다.

3. 선거 이력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7210,#FF721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FF7210,#FF7210><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울주 비례대표
58,041 (52.75%) 당선 (1번) 초선


4. 수상 이력

2019년: 전국시군자치구의회 의장협의회 지방의정봉사상
2020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1급 포상
2021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표창
2021년: 울산광역시농아인협회 울주군지회장 감사패
2021년: 지방의원 매니페스토 약속대상 좋은 조례 분야 우수상
2022년: 대한적십자사 울산광역시지사 회장 감사패
2022년: 한국장애경제인협회장 표창
2022년: 울산광역시 울주군수 공로패

5.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기간 비고

2017 - 2024 정계입문


2024 탈당

2024 - 현재 입당

[1]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2] 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3] 개혁신당 선거대책본부[4] 후반기에는 행정복지위원장 역임[5] 앞에서 말한 이원욱 의원과의 친분이 복선으로 작용하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