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e6e6fa,#e6e6fa><colcolor=#0099ff> イヌイヌの実 モデル [ruby(大口真神, ruby=オオクチノマカミ)] Dog-Dog Fruit Model Okuchi-no-Makami | |
| |
분류 | 동물계 환수종 |
능력자 | 야마토 |
[clearfix]
1. 개요
원피스에 등장하는 동물계 악마의 열매. 개개 열매의 환수종 모델이다. 현 능력자는 야마토.카이도가 힘들게 손에 넣은 열매로 원래는 딸에게 먹일 생각이 없었지만, 배가 고팠던 야마토가 감처럼 생긴 이 열매를 진짜 감인 줄 알고 별 생각 없이 먹어 버렸다.[1] 야마토 입장에서는 평범한 감이라 생각하고 먹었다가 바다에 나가고 싶어 했는데 맥주병이 되고 환수종 능력이 생겨 버린 것.
2. 능력
|
그건 '와노쿠니'의 수호신. 스스로를 '오뎅'이라 자처하는 녀석이 먹게 되다니 불찰이 따로 없군!!
카이도
먹으면 신격화된 고대의 하얀 늑대 오오쿠치노마카미의 힘을 얻는 열매. 오오쿠치노마카미의 힘으로 냉기를 조종할 수 있다. 현 능력자인 야마토는 이 냉기 조종 능력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데, 기본적인 공격 방식으로는 체내에서 극저온의 냉기를 내뱉어 발사할 수 있다.[2] 냉기를 뿜어 얼음을 만들거나 생물이나 사물을 얼릴 수도 있고, 몸 주변에 얇은 얼음막을 쳐 전투 시에 외부의 충격을 방어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애니에서는 얼음얼음열매처럼 얼음을 생성해 공격하는 모습까지 보여줬다.카이도
|
2.1. 비교
- 얼음얼음 열매
쿠잔이 근접하여 적을 얼리는 방식으로 싸운다면[3] 야마토는 자신에게 냉기를 둘러 보호하고 원거리 공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싸운다. 즉 엄밀히 따지면 얼음얼음 열매는 얼음, 개개 열매 환수종 모델 오오쿠치노마카미는 냉기 쪽에 특화된 능력으로 볼 수 있다. 계열상으로는 얼음얼음 열매는 자연계이기에 물리 공격을 무시할 수 있고,[4] 이 열매는 동물계이기에 특출난 체력과 회복력을 가진다. 서로 공격을 받아낼 수 있지만 그 방법에서 차이가 있고, 한계 역시 존재하는 게 공통점. 일단 야마토도 대상을 얼리는 능력을 보여 주었고 쿠잔도 냉기를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니 서로의 능력을 대부분 따라할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눈눈 열매
사실상 개개 열매 환수종 모델 오오쿠치노마카미의 능력을 활용하는 방식과 비슷한 건 이쪽이라 볼 수 있다. 다만 눈눈 열매는 상대를 순식간에 얼리는 것이 아니라 동상을 일으키는 것에서 그쳤기 때문에 냉기의 온도 자체는 오오쿠치노마카미가 더 낮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상위호환은 아닌 것이 눈눈 열매는 다채로운 방식으로 눈을 광범위하고 활용 할 수 있고 자연계 열매 능력자 특유의 메리트도 있기 때문이다.
- 부활부활 열매
온도의 비교는 정확히 알기 힘들다. 하지만 오오쿠치노마카미는 부활부활 열매보다 냉기와 얼음을 조작하는 능력이 더욱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동물계 열매 능력자의 특성상 강력한 신체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부활부활 열매 역시 주 능력이 부활이기 때문에 장단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기술
- 무시빙아(無侍氷牙 / Namuji Glacier Fang)
인수형 상태에서 입에서 극저온의 냉기를 내뿜는 기술. 오니가시마에서 '백수' 카이도에게 사용했는데 카이도의 보로 브레스와 동급의 위력을 선보였다.[5]
- 거울산(鏡山 / Mirror Mountain)
온몸을 얇지만 견고한 얼음막으로 감싸 피해를 경감하는 기술. 카이도의 뇌명팔괘를 부분적으로 막아낼 수 있을 정도이다. 오니가시마에서 '백수' 카이도를 상대로 사용하였다.
- 마호로바(馬幻刃)
냉기를 머금은 금쇄봉으로 후려치는 기술. 오니가시마에서 카젠보에게 사용하였다.[6]
4. 여담
모델인 늑대신 오오쿠치노마카미는 일본늑대가 신격화된 신령으로, 현실의 일본에서도 화재와 도난을 막아 주는 농작물의 수호신이다.[7] 와노쿠니의 수호신으로서 냉기를 조종한다는 것은 화재를 막아 준다는 전승을 오다 에이이치로가 재해석한 것이지만, 실제로도 서브컬쳐에서 등장할 때 바람 속성으로 자주 등장한다[8]'오오쿠치'는 '큰 입', '노'는 '~의', '마카미'는 '늑대'를 뜻하는 고어이므로 이름을 번역하면 '큰 입 늑대'란 뜻이 된다.
감처럼 생긴 외형, 복용자한테는 냉기를 다루게 하는 힘을 주는 걸 보면 묘하게 현실의 간식인 아이스홍시를 의식한 듯한 설정으로 보인다.
몽키 D. 루피의 사람사람 열매 모델 니카와 닮은 점이 상당히 많다. 우선 계열상으로 둘 다 동물계 환수종 열매다. 변신하면 온몸이 하얗게 변하고, 선녀의 날개옷 같은 구름띠가 능력자의 어깨를 감싼다.[9] 또한 루피의 열매 모델은 태양의 신이고, 야마토의 열매 모델은 냉기를 조종하는 수호신으로 서로 대조된다. 열매 외적으로는 열매를 먹게 된 이유도 배고파서 먹었다는 점이 유사하다. 오오쿠치노마카미 역시 현실의 전승을 오다가 재해석한 것이니 엄밀히 따지면 이 열매의 모델도 니카처럼 원피스 오리지널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로브 루치의 고양고양 열매 모델 표범과 카쿠의 소소 열매 모델 기린 각성폼에서 어깨 위의 구름띠가 묘사되면서 야마토도 각성을 한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110권 sbs에서 8살 정도때 야마토의 인수형과 동물형 모습이 공개됐는데 그 때도 구름띠가 있다. 8살부터(...) 사실상 야마토도 각성 능력자인게 확정.
딸인 야마토는 늑대 모습에 냉기와 얼음의 힘을 사용하지만 아버지 카이도는 용 모습에 열기와 불의 힘을 사용한다. 부녀가 속성이 서로 반대이다.
해적무쌍 4에서 추가 에피소드 팩 DLC에서 기어 5루피, 인수형 카이도와 같이 추가되며 인수형 모습도 등장이 확정되었다. 동시에 '야마토 만유기' 라는 스토리가 추가되었다.
[1] 출처 : 원작 1019화.[2] 야마토는 이 '무시빙아'라고 부르는 기술로 카이도의 보로 브레스를 상쇄했다.[3] 상대방을 직접 얼려 버리기도 하고, 주변에 있는 대상을 얼리거나 공기 중에서 얼음을 만들어 날려 공격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4] 패기를 두르거나 상성을 찌르는 물리 공격은 그대로 받는다.[5] 해적무쌍 4에서 인수형 야마토 기술로 등장 확정되었고 상대를 얼리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6] 해적무쌍 4에서도 나오는 데 이기술 사용하면 얼어붙은 상대를 금쇄봉으로 후려 치는 기술로 등장.[7] 피터팬 증후군인 야마토에게 딱 알맞는 기원이 좋은 열매다.[8] 대표적인 케이스가 여신전생 시리즈의 마카미나 유희왕 OCG의 기교아-온카미코토노마카미. 둘 다 바람 속성이다.[9] 형태는 둘 다 동양 설화에 흔히 등장하는 그 구름의 무늬를 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