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함수 Special Functio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83B3D><colcolor=#fff> 적분 | 오차함수(error function)(가우스 함수 · 가우스 적분 함수) · 베타 함수(불완전 베타 함수) · 감마 함수(불완전 감마 함수 · 로그 감마 함수) · 타원 적분 · 야코비 타원 함수 · 지수 적분 함수 · 로그 적분 함수 · 삼각 적분 함수 · 쌍곡선 적분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미분방정식 | 르장드르 함수[math(^\ast)] (구면 조화 함수) · 베셀 함수 · 에르미트 함수 · 라게르 함수 · 에어리 함수 | |
역함수 | 브링 근호 · 람베르트 W 함수 · 역삼각함수 | |
급수 | 제타 함수 · 후르비츠 제타 함수 · 세타 함수 · 초기하함수 · 폴리로그함수 · 폴리감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 |
정수론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뫼비우스 함수 ·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피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바쁜 비버 함수 | |
기타 | 헤비사이드 계단함수 · 부호 함수 · 테트레이션(무한 지수 탑 함수) · 지시함수 · 바닥함수 / 천장함수 · 허수지수함수 · 혹 함수 | |
[math(^\ast)] 특수함수가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이지만, 편의상 이곳에 기술했다. |
1. 개요
gamma function감마 함수는 계승(factorial) 함수의 해석적 연속(analytic continuation)이다.
원래 계승(factorial) 함수는 오로지 음이 아닌 정수만을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다. [math((-0.5)!)]이나 [math(\sqrt2!)] 따위는 정의되지 않는다. 다만, 감마 함수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팩토리얼을 써서 표기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그 이후 수학자들이 계승 함수의 정의역을 복소수 범위로 확장한 걸 감마 함수라고 부른다. 후술하겠지만, 감마 함수는 [math(0)] 이하의 정수에 대해서는 정의되지 않는다.
2. 정의
불완전 감마 함수에서 [math(b=0)]인 경우에 해당한다.감마 함수와 같이 특수 함수로 묶이는 함수들은 정의가 접근 방향에 따라 여러 가지인데, 역시 제일 중요한 발원적 정의는 '계승 함수의 성질을 그대로 가지면서 [math(0)]보다 큰 영역에서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한 꼴인 함수'이다. 만족하는 함수꼴은 다음과 같다.
적분꼴[1] | [math(\displaystyle \Gamma(z)=\int_0^\infty e^{-t}t^{z-1}\,{\rm d}t)] |
오일러 무한곱꼴 | [math(\displaystyle \Gamma(z)=\frac 1z \prod_{n=1}^\infty \frac{\left(1+\dfrac 1n \right)^{\!z}}{1+\dfrac zn})] |
단순항꼴[2] | [math(\displaystyle \Gamma(z)=\lim_{n\to\infty}\frac{n!\cdot n^z}{\displaystyle \prod_{i=0}^n (z+i)})] |
바이어슈트라스꼴 | [math(\displaystyle \Gamma(z)=\frac 1z e^{-\gamma z}\prod_{n=1}^\infty\frac{e^{\frac zn}}{1+\dfrac zn})] |
3. 역사
오늘날에는 적분 꼴의 정의식이 가장 널리 알려져있지만, 역사적으로는 오일러 무한곱꼴이 먼저 발견되었다. 정의역이 [math(0)] 이상의 정수로 한정되어있던 팩토리얼을 실수로 확장하고자 하는 논의가 1720년대에 다니엘 베르누이[4]와 크리스티안 골드바흐[5]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십년도 채 되지 않아 이 문제는 오일러에 의해 해결되었고[6], 1729년 10월 13일 오일러가 골드바흐에게 보낸 편지에 그 기록이 남아있다. 실제로 오일러 무한곱꼴은 적분과는 무관하게 극한에 대한 고등학교 수준의 지식만 있으면 쉽게 유도할 수 있다.먼저 [math(\dfrac{\left(k+1\right)^n}{\displaystyle \prod_{i=1}^n (k+i)})]에 대해 [math(k\to\infty)]일 때의 극한값을 구해보자. 해당 식은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으며
[math(\dfrac{\left(k+1\right)^n}{\displaystyle \prod_{i=1}^n (k+i)}=\dfrac{\left(k+1\right)^n}{\displaystyle \prod_{i=1}^n \left\{k\left(1+\frac ik \right)\right\}}=\dfrac{\left(k+1\right)^n}{\displaystyle k^n \prod_{i=1}^n \left(1+\frac ik \right)}=\dfrac{\left(1+\dfrac 1k \right)^n}{\displaystyle \prod_{i=1}^n \left(1+\frac ik \right)})] |
[math(\displaystyle \lim_{k\to\infty}\frac{n!\left(k+1\right)^n}{\displaystyle \prod_{i=1}^n (k+i)} = n!\lim_{k\to\infty}\frac{\left(k+1\right)^n}{\displaystyle \prod_{i=1}^n (k+i)} = n!)] |
[math(\displaystyle n! = \lim_{k\to\infty}\frac{n!\left(k+1\right)^n}{\displaystyle \prod_{i=1}^n (k+i)} = \lim_{k\to\infty}\frac{k!\,n!\left(k+1\right)^n}{(k+n)!} = \lim_{k\to\infty}\frac{k!\left(k+1\right)^n}{\dfrac{(k+n)!}{n!}})] |
[math(\displaystyle n!=\lim_{k\to\infty}\frac{k!\left(k+1\right)^n}{\dfrac{(k+n)!}{n!}} = \lim_{k \to \infty} \frac{\displaystyle \cancel{k!} \prod_{i=1}^k \left( 1+\frac 1i \right)^n}{\displaystyle \cancel{k!} \prod_{i=1}^k \left(1+\frac ni \right)} = \lim_{k \to \infty} \prod_{i=1}^k \frac{\left(1+\dfrac 1i \right)^n}{1+\dfrac ni} = \prod_{k=1}^\infty \frac{\left(1+\dfrac 1k \right)^n}{1+\dfrac nk})] |
이후 반년도 채 되지 않은 1730년 1월 8일에 오일러는 골드바흐에게 다시 편지를 보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것이 적분으로 정의된 팩토리얼의 최초 형태이며 부분적분을 이용하면 우변으로부터 좌변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7]
[math(\displaystyle n!=\int_0^1 \left(-\ln t\right)^n \mathrm{d}t)]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n! &= \int_0^1 (-\ln t)^n \,{\rm d}t = -\int_\infty^0 x^n e^{-x} \,{\rm d}x = \int_0^\infty x^n e^{-x} \,{\rm d}x = \Gamma(n+1) \\ \therefore \Gamma(n) &= \int_0^\infty x^{n-1} e^{-x} \,{\rm d}x = (n-1)! \end{aligned} )] |
19세기에 들어서, 가우스는 오일러 무한곱꼴을 다음과 같이 고쳐썼다. [math(n)]에 [math(z)]를, [math(k)]에 [math(n)]을 대입해보면 알 수 있듯이, 아래 식은 감마 함수의 단순항꼴 정의이다.
[math(\displaystyle (n-1)! = \lim_{k \to \infty} \frac{k!\,k^n}{\displaystyle \prod_{i=0}^k (n+i)})] |
[math(\displaystyle (n-1)! = \lim_{k \to \infty} \frac{k! \left(n-1\right)!\,k^n}{(n+k)!})] |
[math(\displaystyle \lim_{k\to\infty}\frac{\left(k+1\right)^n}{\displaystyle \prod_{i=1}^n (k+i)}=\lim_{k\to\infty}\frac{\left(k+1\right)^n}{\dfrac{(k+n)!}{k!}}=\lim_{k\to\infty}\frac{k!\left(k+1\right)^n}{(k+n)!})] |
바이어슈트라스는 복소수로 확장된 단순항꼴에서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를 묶어내어 또 다른 무한곱꼴을 유도했는데, 사실 그는 양이 아닌 정수에서 극점을 갖는 감마 함수를 꺼려 감마 함수의 역수 [math(\dfrac 1{\Gamma(z)})]에 대한 무한곱꼴을 유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굳이 역수를 취하지 않아도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이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그는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를 증명하는 데에 이른다. 단순항꼴
[math(\displaystyle \Gamma(z)=\lim_{n\to\infty}\frac{n!\,n^z}{\displaystyle \prod_{i=0}^n (z+i)})] |
[math(\begin{aligned}\displaystyle \Gamma(z) &= \lim_{n\to\infty}\frac{n!\,e^{z\ln n}}{z\displaystyle \prod_{i=1}^n (z+i)} = \lim_{n \to \infty} \frac 1z \frac{n!\,e^{z\ln n}}{\displaystyle \prod_{i=1}^n \left\{ i \left(1+\dfrac zi \right) \right\}} \\ &= \lim_{n \to \infty} \frac 1z \frac{\cancel{n!}\,e^{z \ln n}}{\displaystyle \cancel{n!} \prod_{i=1}^n \left(1+\dfrac zi \right)} = \lim_{n \to \infty} \frac 1z \frac{e^{z \ln n}}{\displaystyle \prod_{i=1}^n \left(1+\dfrac zi \right)}\end{aligned})] |
[math(\begin{aligned} \Gamma(z) &= \displaystyle \lim_{n \to \infty} \frac 1z \frac{e^{z \ln n}}{e^{z \sum\limits_{i=1}^n \frac 1i}} \frac{\displaystyle \prod_{i=1}^n e^{\frac zi}}{\displaystyle \prod_{i=1}^n \left(1+\dfrac zi \right)} \\ &= \lim_{n \to \infty} \frac 1z e^{z \left( \ln n - \sum\limits_{i=1}^n \frac 1i \right)} \prod_{i=1}^n \frac{e^{\frac zi}}{1+\dfrac zi} \\ &= \frac 1z e^{-\gamma z} \prod_{n=1}^\infty \frac{e^{\frac zn}}{1+\dfrac zn}\end{aligned})] |
[math(\displaystyle \dfrac1{\Gamma(z)}=e^{\gamma z}z \prod_{n=1}^\infty\left(1+\dfrac zn\right)e^{-z/n})] |
4. 성질
감마 함수는 팩토리얼의 상위호환격 함수이기 때문에, 팩토리얼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다만 [math(0)]과 [math(1)] 사이의 계산에는 감마 함수의 정의에 있는 적분을 계산해야 하며, 음수로 가면 더욱 골치 아파진다.[9] 아래 그래프에도 나와 있겠지만 양이 아닌 정수에서는 감마 함수가 정의되지 않는데, 이는 [math(0!=\Gamma(0+1)=0\Gamma(0)=0\Gamma(-1+1)=0\times(-1)!)]을 만족하는 [math(\Gamma(0))], [math((-1)!)]의 값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좌변 둘은 [math(1)], 우변 셋은 [math(0)]이므로 얄짤없이 모순이다. [math(\Gamma(0))], [math((-1)!)]이 없으므로, 당연히 그보다 작은 정수의 계승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양의 정수를 넣었을 때는 모두 양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math(3!)]과 [math(5!)]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3! &= \Gamma(3+1) = 3\Gamma(2+1) = 3\times2\Gamma(1+1) = 3\times2\times1\Gamma(1) = 3\times2\times1\times1 = 6 \\ 5! &= \Gamma(5+1) = 5\Gamma(4+1) = 5\times4\Gamma(3+1) = 5\times4\times6 = 120 \end{aligned} )]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1.5! = \Gamma \biggl( \dfrac32 +1 \biggr) \!= \dfrac32 \Gamma \!\left(\dfrac12 +1 \right) \!= \dfrac34 \Gamma \!\left( \dfrac12 \right) \!= \dfrac34 \sqrt\pi \approx 1.3293403882 \end{aligned} )] |
[math(\begin{aligned}
감마 함수는 정규분포나 제타 함수, 초구의 측도와도 관련이 있다. 변수를 치환하거나 특정 연산을 취하면 결과로 튀어나온다.
4.1. 반사 공식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z)\Gamma(1-z) = \dfrac\pi{\sin(\pi z)} \qquad (z\notin\Z) \end{aligned} )] |
4.2. 르장드르의 2배 공식
말 그대로 2배 공식이다. 마치 삼각함수의 배각 공식과 비슷한 맥락이라 생각하면 된다.[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2z) = \dfrac{2^{2z-1}}{\sqrt\pi} \Gamma(z) \Gamma \biggl( z+\frac12 \biggr) \end{aligned} )] |
|
4.3. 스털링 근사
감마 함수 자체는 기본적인 초등함수로 나타낼 수 없지만, 만일 [math(z)]의 값이 커질 경우 다음과 같은 형태로 근사시킬 수 있다.[math(\Gamma(z+1)\sim\sqrt{2\pi z}\left(\dfrac ze\right)^{\!z})] |
인도의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위 식에 로그를 씌워서 나오는 공식을 자신만의 독자적인 방법으로 재발견하였다.
[math(\ln N!=N\ln N-N+\mathcal{O}(\ln N))] |
5. 폴리감마 함수
5.1. 정의
로그 감마 함수 [math(\ln\Gamma(z))]의 [math(n)]계 도함수들을 폴리감마 함수(polygamma functions)라고 정의하며, 많은 서적들에서는 보통 [math(\psi_n(z))] 또는 [math(\psi^{(n)}(z))]로 표기한다.[10][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n(z) = \dfrac{{\rm d}^n}{ {{\rm d}z}^n } \,\psi(z) = \dfrac{{\rm d}^{n+1}}{ {{\rm d}z}^{n+1} } \ln \Gamma(z) \end{aligned} )]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z) \equiv \psi_0(z) &= \dfrac{\rm d}{{\rm d}z} \ln\Gamma(z) = \frac{\Gamma'(z)}{\Gamma(z)} \\ \psi_1(z) &= \dfrac{\rm d}{{\rm d}z} \,\psi(z) = \dfrac{{\rm d}^2}{ {{\rm d}z}^2 } \ln\Gamma(z) \end{aligned} )]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z) &= -\frac1z -\gamma +\sum_{k=1}^\infty \biggl( \frac1k -\frac1{k+z} \biggr) \\ &= -\gamma +\sum_{k=0}^\infty \biggl( \frac1{k+1} -\frac1{k+z} \biggr) \\ \psi_1(z) &= \sum_{k=0}^\infty \frac1{(k+z)^2} \\ \psi_n(z) &= (-1)^{n+1} n! \sum_{k=0}^\infty \frac1{(k+z)^{n+1}} \\ &= (-1)^{n+1} n! \,\zeta(n+1,z) \end{aligned} )] |
|
디감마 함수 및 폴리감마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적분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단, [math(n)]은 자연수)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z+1) &= -\gamma +\int_0^1 \frac{1-t^z}{1-t} \,{\rm d}t \\ \psi_n(z+1) &= \int_0^1 \frac{t^z \ln^nt}{t-1} \,{\rm d}t \\ \psi(z) &= \int_0^\infty \!\left( \frac{e^{-t}}t -\frac{e^{-zt}}{1-e^{-t}} \right) \!{\rm d}t \\ \psi_n(z) &= \int_0^\infty \frac{-(-t)^ne^{-zt}}{1-e^{-t}} \,{\rm d}t \end{aligned} )] |
|
5.2. 성질
- [math(n\ge0)]인 정수 [math(n)]에 대해 다음의 점화 관계가 성립한다.
\psi(z+1) &= \psi(z) +\frac1z \\
\psi_1(z+1) &= \psi_1(z) -\frac1{z^2} \\
\psi_n(z+1) &= \psi_n(z) +(-1)^n \frac{n!}{z^{n+1}}
\end{aligned} )]}}}||
감마 함수의 점화 관계로부터 폴리감마 함수의 점화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z+1) = z\Gamma(z)
\end{aligned} )]
양 변을 미분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z+1) &= \Gamma(z) + z\Gamma'(z)
\end{aligned} )]
양 변을 [math(\Gamma(z+1) = z\Gamma(z))]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Gamma'(z+1)}{\Gamma(z+1)} &= \frac1z +\frac{\Gamma'(z)}{\Gamma(z)} \\
\therefore \psi(z+1) &= \psi(z) +\frac1z
\end{aligned} )]
위 식을 [math(n)]번 미분하면 다음과 같이 [math(\psi_n(z))]의 점화 관계를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n(z+1) &= \psi_n(z) +(-1)^n \frac{n!}{z^{n+1}}
\end{aligned} )]
}}}||
- 디감마 함수는 조화수 [math(H_k)]와 깊은 관계가 있다. (단, [math(k)]는 [math(k\ge0)]인 정수)
\psi(k+1) = H_k -\gamma
\end{aligned} )]}}}||
아래와 같이 디감마 함수의 급수 표현에 [math(z=k+1)]을 대입하여 유도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z) &= -\gamma +\sum_{i=0}^\infty \biggl( \frac1{i+1} -\frac1{i+z} \biggr) \\
\Rightarrow \quad \psi(k+1) &= -\gamma +\sum_{i=0}^\infty \biggl( \frac1{i+1} -\frac1{i+k+1} \biggr) \\
&= -\gamma +\sum_{i=1}^\infty \biggl( \frac1i -\frac1{i+k} \biggr) \\
&= \sum_{i=1}^k \frac1i -\gamma \\
&= H_k -\gamma
\end{aligned} )]
}}}||
- [math(z\notin\Z)]인 복소수 [math(z)]와 [math(n\ge0)]인 정수 [math(n)]에 대해 다음의 반사 공식이 성립힌다.
\psi(z) -\psi(1-z) &= -\pi \cot \pi z \\
\psi_1(z) +\psi_1(1-z) &= \pi^2 \csc^2\pi z = \frac{\pi^2}{\sin^2\pi z} \\
\psi_n(z) +(-1)^{n+1} \psi_n(1-z) &= -\pi \,\frac{{\rm d}^n}{ {{\rm d}z}^n} \cot{\pi z}
\end{aligned} )]}}}||
감마 함수의 반사 공식을 [math(n)]번 미분하여 폴리감마 함수의 반사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z) \Gamma(1-z) &= \frac\pi{\sin\pi z} \\
\Rightarrow \Gamma'(z) \Gamma(1-z) -\Gamma(z) \Gamma'(1-z) &= \pi \cdot \!\left( -\frac{\pi\cos\pi z}{\sin^2\pi z} \right) \\
&= -\frac{\pi^2\cos\pi z}{\sin^2\pi z}
\end{aligned} )]
양 변을 [math(\Gamma(z)\Gamma(1-z) = \dfrac\pi{\sin\pi z})]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Gamma'(z)}{\Gamma(z)} -\frac{\Gamma'(1-z)}{\Gamma(1-z)} &= -\frac{\pi^2\cos\pi z}{\sin^2\pi z} \cdot \frac{\sin\pi z}\pi \\
&= -\frac{\pi\cos\pi z}{\sin\pi z} \\
\Rightarrow \psi(z) -\psi(1-z) &= -\pi\cot\pi z \\
\end{aligned} )]
양 변을 [math(n)]번(단, [math(n)]은 [math(0)] 이상의 정수) 미분하면 공식을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rm d}^n}{ {{\rm d}z}^n } ( \psi(z) -\psi(1-z) ) &= \frac{{\rm d}^n}{ {{\rm d}z}^n } ( -\pi\cot\pi z ) \\
\Rightarrow \psi_n(z) +(-1)^{n+1} \psi_n(1-z) &= -\pi \,\frac{{\rm d}^n}{ {{\rm d}z}^n} \cot{\pi z}
\end{aligned} )]
예시로, [math(n=1)]을 대입하여 트리감마 함수의 반사 공식을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1(z) +\psi_1(1-z) &= -\pi \cdot (-\csc^2\pi z \cdot \pi) \\
&= \pi^2 \csc^2\pi z \\
&= \frac{\pi^2}{\sin^2\pi z}
\end{aligned} )]
}}}||
5.3. 감마 함수의 도함수 표현
디감마 함수의 미분 관계식으로부터 감마 함수의 도함수를 도출할 수 있다.[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z) &= \dfrac{\rm d}{{\rm d}z} \ln\Gamma(z) = \frac{\Gamma'(z)}{\Gamma(z)} \\ \Rightarrow \Gamma'(z) &= \Gamma(z) \psi(z) \end{aligned} )] |
곱의 미분법을 계속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규칙을 볼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z) &= \Gamma'(z) \psi_0(z) + \Gamma(z) \psi_1(z) \\ \Gamma'(z) &= \Gamma(z) \psi_0(z) + 2\Gamma'(z) \psi_1(z) + \Gamma(z) \psi_2(z) \\ \Gamma^{(4)}(z) &= \Gamma'(z) \psi_0(z) + 3\Gamma(z) \psi_1(z) + 3\Gamma'(z) \psi_2(z) + \Gamma(z) \psi_3(z) \\ &~~\vdots \end{aligned} )]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n+1)}(z) = \sum_{k=0}^n \!\binom nk \Gamma^{(k)}(z) \psi_{n-k}(z) \end{aligned} )] |
6. 함숫값
- [math(\Gamma \biggl( \dfrac12 \biggr) \!= \sqrt\pi \approx 1.7724538509)]
감마 함수의 적분꼴 정의에 [math(z=\dfrac12)]를 대입하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z) &= \int_0^\infty \!e^{-t} t^{z-1} \,{\rm d}t \\
\Rightarrow \quad \Gamma \biggl( \frac12 \biggr) \!&= \int_0^\infty \!e^{-t} t^{-1/2} \,{\rm d}t \\
\end{aligned} )]
[math(t = x^2)]으로 치환하면 [math({\rm d}t = 2x\,{\rm d}x)]이고 [math(x = \sqrt t)]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 \biggl( \frac12 \biggr) \!&= \int_0^\infty \!e^{-x^2} x^{-1} \cdot 2x\,{\rm d}x = 2\int_0^\infty \!e^{-x^2} \,{\rm d}x
\end{aligned} )]
[math(e^{-x^2})]는 짝함수이므로 짝함수에 대한 정적분의 성질에 의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 \biggl( \frac12 \biggr) \!&= 2\int_0^\infty \!e^{-x^2} \,{\rm d}x = \int_{-\infty}^\infty e^{-x^2} \,{\rm d}x \\
&= \sqrt\pi
\end{aligned} )]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e^{-x^2} \,{\rm d}x = \sqrt\pi)]에 대한 증명은 가우스 적분 문서 참고.
}}}||
감마 함수의 반사 공식에 [math(\dfrac12)]을 대입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Gamma(z) \Gamma(1-z) &= \frac\pi{\sin(\pi z)} \\
\Rightarrow \quad \Gamma \biggl( \frac12 \biggr) \!\cdot \Gamma \biggl( \frac12 \biggr) \!&= \pi \\
\therefore \Gamma \biggl( \frac12 \biggr) \!&= \sqrt\pi
\end{aligned} )]
}}}||
디감마 함수의 급수 표현식에 [math(z=1)]을 대입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z) &= -\gamma +\sum_{k=0}^\infty \biggl( \frac1{k+1} -\frac1{k+z} \biggr) \\
\Rightarrow \quad \psi(1) &= -\gamma +\sum_{k=0}^\infty \biggl( \frac1{k+1} -\frac1{k+1} \biggr) \\
&= -\gamma
\end{aligned} )]
}}}||
[math(\psi_n(1) = (-1)^{n+1} n! \,\zeta(n+1) \qquad)] (단, [math(n\in\N)]이고 [math(\zeta(s))]는 제타 함수)
폴리감마 함수의 급수 표현식에 [math(z=1)]을 대입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n(z) &= (-1)^{n+1} n! \sum_{k=0}^\infty \frac1{(k+z)^{n+1}} \\
\Rightarrow \quad \psi_n(1) &= (-1)^{n+1} n! \,\sum_{k=0}^\infty \frac1{(k+1)^{n+1}} \\
&= (-1)^{n+!} n! \,\zeta(n+1)
\end{aligned} )]
}}}||
[math(\psi_1(1) = \zeta(2) = \dfrac{\pi^2}6 \approx 1.6449340668)]
[math(\psi_2(1) = -2\zeta(3) \approx -2.4041138063)]
[math(\psi_3(1) = 6\zeta(4) = \dfrac{\pi^4}{15} \approx 6.4939394023)]
* [math(\psi \biggl( \dfrac12 \biggr) \!= -\gamma -2\ln2 \approx -1.963510026)]
[math(\psi_2(1) = -2\zeta(3) \approx -2.4041138063)]
[math(\psi_3(1) = 6\zeta(4) = \dfrac{\pi^4}{15} \approx 6.4939394023)]
* [math(\psi \biggl( \dfrac12 \biggr) \!= -\gamma -2\ln2 \approx -1.963510026)]
디감마 함수의 급수 표현식에 [math(z=\dfrac12)]을 대입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z) &= -\gamma +\sum_{k=0}^\infty \biggl( \frac1{k+1} -\frac1{k+z} \biggr) \\
\Rightarrow \quad \psi \biggl( \dfrac12 \biggr) \!&= -\gamma +\sum_{k=0}^\infty \biggl( \frac1{k+1} -\frac1{k+1/2} \biggr) \\
&= -\gamma +\sum_{k=0}^\infty \biggl( \frac2{2k+2} -\frac2{2k+1} \biggr) \\
&= -\gamma +2\sum_{k=1}^\infty \frac{(-1)^k}k \\
\end{aligned} )]
마지막 급수의 값은 로그함수의 테일러 급수 [math(displaystyle ln(1+x) = sum_{n=1}^infty frac{(-1)^{n+1} x^n}n)]에 [math(x=1)]을 대입해서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therefore \psi \biggl( \dfrac12 \biggr) &= -\gamma -2\sum_{k=1}^\infty \frac{(-1)^{k+1}}k \\
&= -\gamma -2\ln2
\end{aligned} )]
}}}||
[math(\psi_n \biggl( \dfrac12 \biggr) \!= (-1)^{n+1} n! \,(2^{n+1}-1) \zeta(n+1) \qquad)] (단, [math(n\in\N)])
폴리감마 함수의 급수 표현식에 [math(z=\dfrac12)]을 대입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n(z) &= (-1)^{n+1} n! \sum_{k=0}^\infty \frac1{(k+z)^{n+1}} \\
\Rightarrow \quad \psi_n \biggl( \dfrac12 \biggr) &= (-1)^{n+1} n! \sum_{k=0}^\infty \frac1{(k+1/2)^{n+1}} \\
&= (-1)^{n+1} n! \sum_{k=0}^\infty \frac{2^{n+1}}{(2k+1)^{n+1}} \\
&= (-1)^{n+1} n! \cdot 2^{n+1} \sum_{k=1}^\infty \frac1{(2k-1)^{n+1}}
\end{aligned} )]
제타 함수의 성질에 의하면 [math(\displaystyle \sum_{k=1}^\infty \frac1{(2k-1)^s} = (1-2^{-s}) \zeta(s))]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n \biggl( \dfrac12 \biggr) &= (-1)^{n+1} n! \cdot 2^{n+1} \sum_{k=1}^\infty \frac1{(2k-1)^{n+1}} \\
&= (-1)^{n+1} n! \cdot 2^{n+1} (1-2^{-(n+1)}) \zeta(n+1) \\
&= (-1)^{n+1} n! \,(2^{n+1}-1) \zeta(n+1)
\end{aligned} )]
}}}||
[math(\psi_1 \biggl( \dfrac12 \biggr) \!= 3\zeta(2) = \dfrac{\pi^2}2 \approx 4.9348022005)]
트리감마 함수의 반사 공식에 [math(z=\dfrac12)]을 대입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1(z) +\psi_1(1-z) &= \frac{\pi^2}{\sin^2\pi z} \\
\Rightarrow \quad 2\psi_1 \biggl( \frac12 \biggr)\! &= \frac{\pi^2}{1^2} = \pi^2 \\
\therefore \psi_1 \biggl( \dfrac12 \biggr)\! &= \frac{\pi^2}2
\end{aligned} )]
}}}||
[math(\psi_2 \biggl( \dfrac12 \biggr) \!= -14\zeta(3) \approx -16.8287966442)]
[math(\psi_3 \biggl( \dfrac12 \biggr) \!= 90\zeta(4) = \pi^4 \approx 97.409091034)]
[math(\psi_3 \biggl( \dfrac12 \biggr) \!= 90\zeta(4) = \pi^4 \approx 97.409091034)]
폴리감마 함수의 반사 공식에 [math(n=3)]과 [math(z=\dfrac12)]을 대입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n(z) +(-1)^{n+1} \psi_n(1-z) &= -\pi \,\frac{{\rm d}^n}{{\rm d}z^n} \cot\pi z \\
\Rightarrow \quad \psi_3(z) +\psi_3(1-z) &= -\pi \,\frac{{\rm d}^3}{{\rm d}z^3} \cot\pi z \\
&= -\pi \,\frac{{\rm d}^2}{{\rm d}z^2} (-\csc^2\pi z \cdot \pi) \\
&= \pi^2 \,\frac{{\rm d}^2}{{\rm d}z^2} \csc^2\pi z \\
&= \pi^2 \,\frac{\rm d}{{\rm d}z} \,2\csc\pi z \cdot (-\csc\pi z\cot\pi z \cdot \pi) \\
&= -2\pi^3 \,\frac{\rm d}{{\rm d}z} \csc^2\pi z\cot\pi z \\
&= -2\pi^3 (-2\pi\csc^2\pi z\cot\pi z \cdot \cot\pi z +\csc^2\pi z \cdot (-\pi\csc^2\pi z)) \\
&= 2\pi^4 \cdot (2\csc^2\pi z\cot^2\pi z +\csc^4\pi z) \\
&= 2\pi^4 \biggl( \frac{2\cos^2\pi z +1}{\sin^4\pi z} \biggr) \\
\Rightarrow \quad 2\psi_3 \biggl( \dfrac12 \biggr) \!&= 2\pi^4 \\
\therefore \psi_3 \biggl( \dfrac12 \biggr) \!&= \pi^4
\end{aligned} )]
}}}||
* [math(\psi_1 \biggl( \dfrac14 \biggr) \!= \pi^2 +8G \approx 17.1973291545)]
[math(\psi_1 \biggl( \dfrac34 \biggr) \!= \pi^2 -8G \approx 2.5418796477 \qquad)] ([math(G)]는 카탈랑 상수)
우선 다음 정적분의 값을 먼저 구해놓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1 \frac{\ln x}{1-x^2} \,{\rm d}x &= \int_0^1 \sum_{n=0}^\infty x^{2n} \ln x \,{\rm d}x = \sum_{n=0}^\infty \int_0^1 x^{2n} \ln x \,{\rm d}x \\
&= \sum_{n=0}^\infty \biggl( \biggl[ \frac{x^{2n+1}}{2n+1} \ln x \biggr]_0^1 -\int_0^1 \frac{x^{2n}}{2n+1} \,{\rm d}x \biggr) \\
&= \sum_{n=0}^\infty \biggl( 0 -\biggl[ \frac{x^{2n+1}}{(2n+1)^2} \biggr]_0^1 \biggr) \!= \sum_{n=0}^\infty \biggl( -\frac1{(2n+1)^2} \biggr) \\
&= -\sum_{n=1}^\infty \frac1{(2n-1)^2} = -\Biggl( \sum_{n=1}^\infty \frac1{n^2} -\sum_{n=1}^\infty \frac1{(2n)^2} \Biggr) \\
&= -\left( \zeta(2) -\frac14\zeta(2) \right) = -\frac34\zeta(2) \\
&= -\frac{\pi^2}8
\end{aligned} )]
이제 [math(\psi_1 \biggl( \dfrac14 \biggr))]의 값을 구하자. 폴리감마 함수의 적분꼴 [math(\displaystyle \psi_n(z+1) = \int_0^1 \frac{t^z \ln^nt}{t-1} \,{\rm d}t)]와 치환 [math(t=x^4)]을 사용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1 \!\left( \frac14 \right) &= \int_0^1 \frac{t^{-3/4} \ln t}{t-1} \,{\rm d}t \\
&= \int_0^1 \frac{x^{-3} \ln x^4}{x^4-1} \cdot 4x^3 \,{\rm d}x \\
&= 8\int_0^1 \frac{2\ln x}{x^4-1} \,{\rm d}x \\
&= 8\int_0^1 \!\left( {\color{DeepSkyBlue} \frac{\ln x}{x^2-1} } -{\color{limegreen} \frac{\ln x}{x^2+1} } \right) \!{\rm d}x \\
\end{aligned} )]
여기서 파란색 항의 적분은 앞서 미리 구해놓은 결과를 사용하면 되고, 초록색 항의 적분은 카탈랑 상수 문서에서 증명된 항등식을 사용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1 \!\left( \frac14 \right) &= 8\!\left( {\color{DeepSkyBlue} \frac{\pi^2}8 } -({\color{limegreen} -G }) \right) \\
&= \pi^2 +8G \qquad \blacksquare
\end{aligned} )]
[math(\psi_1 \biggl( \dfrac34 \biggr))]의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_1 \!\left( \frac34 \right) &= \int_0^1 \frac{t^{-1/4} \ln t}{t-1} \,{\rm d}t \qquad {\sf Let}: t=x^4 \\
&= \int_0^1 \frac{x^{-1} \ln x^4}{x^4-1} \cdot 4x^3 \,{\rm d}x \\
&= 8\int_0^1 \frac{2x^2 \ln x}{x^4-1} \,{\rm d}x \\
&= 8\int_0^1 \!\left( {\color{DeepSkyBlue} \frac{\ln x}{x^2-1} } +{\color{limegreen} \frac{\ln x}{x^2+1} } \right) \!{\rm d}x \\
&= 8\!\left( {\color{DeepSkyBlue} \frac{\pi^2}8 } +({\color{limegreen} -G }) \right) \\
&= \pi^2 -8G \qquad \blacksquare
\end{aligned} )]
}}}||
7. 관련 공식
- [math(\displaystyle \lim_{x\to0+} \dfrac{x\Gamma(x)-1}x = -\gamma \approx 0.5772156649 \quad)] ([math(\gamma)]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증명은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문서의 항등식 문단 참고.
- [math(\displaystyle \Gamma(s)\,\zeta(s) = \int_0^\infty \frac{t^{s-1}}{e^t-1} \,{\rm d}t \quad)] ([math(\zeta(s))]는 제타 함수)
증명은 제타 함수 문서의 성질 문단 참고.
- [math(\displaystyle \int_0^{1/2} \Gamma(1+x)\Gamma(1-x) \,{\rm d}x = \frac{2G}\pi \approx 0.5831218081 \quad)] ([math(G)]는 카탈랑 상수)
증명은 카탈랑 상수 문서의 항등식 문단 참고. - [math(\displaystyle \int_0^\infty e^{-x^m} \ln^n x \,{\rm d}x = \frac1{m^{n+1}} \Gamma^{(n)} \biggl( \frac1m \biggr) \quad)] (단, [math(m)]과 [math(n)]은 자연수)
증명은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문서의 항등식 문단 참고.
[1] 적분꼴은 [math(z)]의 실수부가 양수일 때만 수렴하는 이상적분이지만, 밑의 세 식은 [math(z)]가 [math(0)] 이하의 정수가 아니면 무조건 수렴한다.[2] 아래에 있는 바이어슈트라스꼴 감마함수는 이 단순항꼴로부터 유도되었다.[3] 간단히 말하면 [math(\dfrac 1x)] 함수 아래의 넓이와 직사각형들 넓이의 합의 차(식으로 쓰면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 \!\left( \sum_{k=1}^n \frac1k - \int_1^n \frac{{\rm d}k}k \right) \\)])다. 참고로 이 상수가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는 아직도 밝혀내지 못했다.[4] 베르누이 정리의 그 베르누이 맞다. 베르누이 수열을 발견한 야콥 베르누이의 조카이다.[5] 역시 골드바흐 추측의 그 골드바흐이다. 오일러와 친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이 문제에 1년 가까이 매달렸다고 한다.[7] 물론 당시 오일러는 편지에서 지수함수의 적분에 대한 특징과 극한, 로피탈의 정리를 통해 유도하는 방식으로 증명했다.[8] 상술한 극한값 증명 과정에서 분자를 [math(k^n)]으로 바꿔보면 바로 알 수 있다.[9] 음수의 감마 함수 그래프는 [math(1)] 간격으로 종유석과 석순을 교대로 그린다고 생각하면 된다.[10] 후술할 디감마 함수를 염두에 둔다면 [math(digamma)](digamma)로 표기할 수도 있겠으나, 라틴 문자 [math(F)]와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채택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