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04:57:36

피바를 흔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26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キン
일본어 훈독
きざ-し, きず, すきま, ちぬ-る, ぬ-る
표준 중국어
xì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釁은 '피바를 흔'이다. '피칠(漆)할 흔'[1]이라고도 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피바르다
중국어 표준어 xìn
광동어 jan3, jan6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hiêng3 / hiang3
오어
일본어 음독 キン
훈독 きざ-し, きず, すきま, ちぬ-る, ぬ-る
베트남어 hấn, hắn

⿳⿱⿴𦥑同冖酉分 식으로 조합된 글자이다. 의미상 ''와 연관되나 이 들어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약자이자 중국 간체자인 衅에는 血이 들어간다.

갑골문을 보면 (부뚜막 찬) 자와 제기의 형상인 豆 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후에 豆자는 단순화 과정에서 分자가 되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 글자를 釁을 爨 자를 뜻으로 삼고 分 자를 음으로 삼는 형성자라고 보았으나, 갑골문이나 일부 금문에서 명확하게 제기의 모습(豆)이 확인 되므로 이는 오류이다. 일반적으로 이 글자는 오사(五祀)중 하나로 조왕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인 제조(祭竈)의례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2]

유니코드에는 U+91C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月一金竹(HBMCH)으로 입력한다.

벽자 중 하나이지만 ''이라고 읽는 글자도 한국에 몇 안 되기 때문에 '흔'으로 변환하면 2페이지 첫째줄로 금방 찾을 수 있다.

3. 용례

사전에는 '피를 바르다'라고 풀이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제물의 피를 제기에 발라 공양지내는 혈제(血祭)를 뜻한다. 제물로 바치는 희생[3]의 피를 제기에 바르는 것을 흔(釁)한다고 한다. 북에 바르면 흔고(釁鼓), 종에 바르면 흔종(釁鐘) 등으로 사용된다.[4]
또한, 부정한 것에 흔례를 지내서 상서롭게 한다는 점에서 허물, 죄를 뜻하기도 하며[5] 갑골에 흔(釁)하고 점을 치는 것에서 '징조'(兆)나 '틈'이란 뜻이 파생되었으며(흔극 釁隙) 여기서 갈등이나 분쟁, 불화의 뜻이 파생되어 틈이 생기다, 다투다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3.1. 단어

  • 계흔지심()
  • 구흔(釁)
  • 도흔(釁): '도발'(挑發)을 의미한다. 중국어로는 이 의미로 挑衅(tiǎoxìn)이라는 말을 꽤 쓰는 편이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서문에도 이 표현이 들어간다.[원문]
  • 변흔(釁)
  • 병흔(釁)
  • 사흔(釁)
  • 사흔(釁)
  • 생흔(釁)
  • 시흔(釁)
  • 야흔(釁)
  • 영흔(釁)
  • 인흔(釁)
  • 적흔(釁)
  • 집흔(釁)
  • 행흔(釁)
  • 흉흔(釁)
  • 흔극(釁)
  • 흔단(釁): '사달'을 뜻한다. 사서에서 종종 나오는 표현이다. 금토패문과 그에 대한 이순신의 답문에도 이 단어가 꽤 자주 나온다. 제3차 요동정벌 관련 조선왕조실록의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변방의 흔단이 자주 일어나는데..."(王氏怠政而亡, 李氏新興, 數生邊)#에서처럼 원문은 釁만 쓰였는데 번역을 '흔단'이라고 한 것도 몇 개 있다. 비교적 근대 용례로는 표준국어대사전홍명희의 소설 임꺽정의 "일부러 흔단을 내려고 하는 사람들이 곱게 오지 않는 말을 곱게 받을 리가 만무하다."가 있다.
  • 흔루(釁)
  • 흔얼(釁)

3.2. 지명

3.3. 사건

  • 이회지흔(尼懷之釁): 조선시대, 서인(西人)의 송시열(宋時烈)과 그의 제자 윤증(尹拯)의 사이가 불화한 사건. 송시열은 회덕(懷德)에 살았고 윤증은 이성(尼城)에 살았으므로 이르던 말이다.

4. 유의자

  • (일 흥): '피바르다' 라는 훈도 있다.
  • 𥃘[⿳⿱⿴𦥑同冖火皿](피칠할 흔): 동자
  • 𧖵[⿰血免](피칠할 만)
  • 𧗏[⿰血貴](피바를 회)

釁에 '틈'이라는 훈도 있다.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피칠갑 (-漆甲) 온몸에 피를 칠한 것처럼 피가 많이 묻어 있는 것[2] 설문해자 등. 참고로 원래 제조는 여름에 지내는 의식이었으나 현대에는 음력 12월 23일에 지낸다.[3] 여기서 희생이란 제사를 위해 사냥한 제물을 말한다. 여기서 남을 위한 제물이 된다는 뜻인 "희생하다"라는 단어가 나왔다.[4] 예기 악기편에 등장하는 차갑흔(車甲釁), 춘추좌씨전 초 공왕의 대화에서 나오는 흔고(釁鼓), 맹자 양혜왕편의 제선왕과 맹자의 문답에서 소로 흔종하는 것을 폐하고 양으로 대신한 이야기가 나온다.[5] 춘추좌씨전 노장공 14년, 人無釁焉妖不自作釁罪也[원문] "中国人民和中国人民解放军战胜了帝国主义、霸权主义的侵略、破坏和武装挑衅"(중국 인민과 중국인민해방군제국주의패권주의의 침략 · 파괴 · 무력 도발에 맞서 싸워 승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