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4 21:57:25

십진수
Deci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colbgcolor=#d3d3d3,#000> /분()
(10-1)
<colbgcolor=#d3d3d3,#000> ()
(10-2)
<colbgcolor=#d3d3d3,#000> ()/()
(10-3)
<colbgcolor=#d3d3d3,#000>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열반적정
(10-24)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math(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
갑자기 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コツ
일본어 훈독
たちま-ち, ゆるが-せ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忽은 '갑자기 홀'이라는 한자로, '갑자기' 또는 '소홀(疏忽)하다'를 뜻한다. 십진수 10-5을 뜻하기도 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FF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心竹心(PHP)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마음 심)과 음을 나타내는 (말 물)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소홀(忽)
  • 홀대(忽)
  • 홀연(忽)
  • 홀(忽): 10-5, 곧 0.00001

3.2. 인명

3.3. 지명


4. 유의자

  • (갑자기 돌)
  • (갑자기 숙)
  • (갑자기 졸)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돼지 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