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증기기관차 견인 열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063190> 현행 | SL 겨울의습원호 | SL 반에츠 모노가타리 | SL 군마 미나카미 | SL 군마 요코가와 | SL 타이쥬 | SL 모오카 |
SL 팔레오 익스프레스 | 카와네지호 | 기관차 토마스호 | 기관차 제임스호 | SL 무라카미 히나카이도호 | SL 야마구치호 | ||
폐지 | C62 니세코호 | SL 니세코호 | SL 하코다테 오누마호 | SL 스즈란호 | SL 아이즈타다미호 | SL 키타비와코호 | |
아소BOY | SL 긴가 | SL 히토요시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2cb43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cb431> | }}} | |||||
{{{#!wiki style="color: #2cb431;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colbgcolor=#2cb431><colcolor=#fff> 신칸센 | 하야부사 | 하야테 | ||||
[[삿포로 근교 통근열차 시스템|{{{#!wiki style="margin: -0px -10px"]] | [[에어포트(열차)| 쾌속 ]] 에어포트 A / B | [[니세코라이너| 쾌속 ]] 니세코라이너 C | [[홈 라이너(홋카이도)| 쾌속 ]] 홈 라이너 | ||||
특급 | 오조라 | 토카치 | 카무이 | 라일락 | |||
오호츠크 | 타이세츠 | 소야 | 사로베츠 | ||||
스즈란 | 호쿠토 | ||||||
쾌속 | 키타미 | 나요로 | 하나사키 | 노삿푸 | |||
하코다테 라이너 | |||||||
보통 | 시레토코마슈호 | ||||||
임시(관광) | [[SL 겨울의습원호| SL 겨울의습원호 ]] | [[쿠시로습원 노롯코호| 쿠시로습원 노롯코호 ]] | |||||
[[후라노・비에이 노롯코호| 후라노・비에이 노롯코호 ]] | [[유빙이야기호| 유빙이야기호 ]] | ||||||
하나타비 소야 | 후라노 라벤더 익스프레스 |
{{{#!wiki style="color: #2cb431;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폐지된 열차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2cb431><colcolor=#fff> 침대특급 | 카시오페이아 |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 | ||
호쿠토세이 | 니혼카이 | ||||
침대급행 | 하마나스 | ||||
특급 | 오오토리 | 하츠카리 | 리시리 | 마리모 | |
아사히야마 도부츠엔호 | 슈퍼 하쿠쵸 | ||||
급행 | 타이세츠 | 레분 | 텐포쿠 | 니세코 | |
쾌속 | 카이쿄 | 긴가 | [[미드나이트(열차)| 미드나이트 ]] | 아바시리 | |
루모이 | 누사마이 | 아이리스 | 카리카치 | ||
이시카리라이너 |
SL冬の湿原号 SL Fuyu-no-Shitsugen / SL 겨울의습원호 | |
C11형 증기 기관차 | |
열차 정보 | |
운행 지역 | 홋카이도 |
열차 종류 | 보통열차, 임시열차, 관광열차 |
기점 | 쿠시로역 |
종점 | 카와유온센역 |
정차역 수 | 8역 (필수정차 6역, 부분정차 2역) |
운행개시일 | 2000년 1월 8일 |
운영기관 | JR 홋카이도 |
사용 차량 | C11형 증기 기관차, 스하 44형 객차 , 14계 객차 (아사히카와 운전소) |
노선 제원 | |
운행거리 | 89.3km |
궤간 | 1067mm |
전력 공급 | 비전철화 |
최고 속도 | 80km/h |
실측 지도상 노선도 |
쿠시로→시베차 간 주행 측면 영상 |
[clearfix]
1. 개요
JR 홋카이도의 임시 관광열차로, 네무로 본선[1] 쿠시로역과 센모 본선 카와유온센역을 잇는다. 1월부터 3월까지 운행하며, 운행 개시/종료 일자는 해마다 다르다.쿠시로 습원을 종단하며 두루미나 사슴과 같은 야생동물을 많이 볼 수 있다. 차내 안내방송으로 가이드 해설도 이루어지며 기념품도 판다. 시베차역에서는 '트윙클 버스 시레토코호(ツインクルバス知床号)'를 타고 시레토코샤리역에서 다른 관광열차인 유빙이야기호를 탈 수도 있었으나, 2024년 기준으로는 운영하지 않아 짤없이 3시간을 기다려 센모 본선을 타고 시레토코샤리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2014년에 자금난과 ATS 탑재가 어려운 점을 이유로 SL 하코다테오누마호, SL 하코다테 크리스마스 판타지호, SL 니세코호 등 다른 증기 기관차 견인 관광열차가 폐지되는 와중에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쿠시로역을 출발해서 종착역에 다다른 뒤 되돌아 갈 때는 기관차 방향을 돌리지 않은 채로 반대쪽에 연결해서 운행한다. 따라서 쿠시로역으로 돌아갈 때는 기관차의 뒷부분이 전방을 향하는, 이상한 모양새가 된다. 종착역인 시베차역이나 카와유온센역에는 기관차의 방향을 돌릴 수 있는 전차대가 없기 때문이다. 출발할때 맨 뒷칸이였던 객차에서는 되돌아 갈 때 관통문을 따라 기관차 화통 정면이 보이게 되는 것도 묘미.
견인을 담당하는 증기기관차가 한 대밖에 없기 때문에 고장 등의 이유로 운행할 수 없을 때는 DE10형 디젤기관차가 대신 견인한다.
겨울이 아닐 때는 쿠시로습원 노롯코호가 동일 구간을 운행한다. 정차역은 좀 더 많은 편이고, 골든위크, 여름, 가을에 운행한다. 보통 4월 말에 운행을 시작하고 10월 초에 종료하므로 비는 날짜가 많다.
홋카이도 레일 패스로는 좌석지정이 불가능해서 지정석권(1,680엔)을 따로 구매해야 한다. JR패스로는 가능.
2. 운행 형태
시베차역까지 가는 편성과 카와유온센역까지 가는 편성이 있다.3. 정차역
JR 홋카이도 임시관광열차 SL 겨울의습원호 | ||||
노선 | 역번호 | 역명 | 영업 거리 | 비고 |
네・본 | K53 | 쿠시로 釧路 | 0.0 | |
B54 | 히가시쿠시로 東釧路 | 2.9 | ||
센 모 본 선 | ||||
B56 | 쿠시로시츠겐 釧路湿原 | 17.6 | ||
B58 | 토로 塘路 | 27.2 | ||
B59 | 카야누마 茅沼 | 34.2 | ||
B61 | 시베차 標茶 | 48.1 | ||
B64 | 마슈 摩周 | 73.4 | 카와유온센 착발열차만 운행 | |
B66 | 카와유온센 川湯温泉 | 89.3 |
4. 차량
북쪽(시베차역) 방향부터 남쪽(쿠시로역) 방향으로 1, 2, 3, 4, 5호차가 편성된다.호차 | 형식 | 시설 | 정원 | 비고 |
<colbgcolor=#aabfdd,#465b79> 1 | 스하후(スハフ) 14-505 | 전망객차 '단초카' (たんちょうカー) | 36명 | 전망은 서쪽을 바라보도록 편성 발전설비 보유 |
2 | 스하시(スハシ) 44-1 | 레트로 카페객차 | 40명 | 판매 카운터 다루마스토브(ダルマストーブ) 보유 |
3 | 오하(オハ) 14-526 | 일반객차 | 64명 | 다루마스토브 보유 |
4 | 오하(オハ) 14-519 | 64명 | ||
5 | 스하후(スハフ) 14-507 | 전망객차 '단초카' (たんちょうカー) | 36명 | 전망은 서쪽을 바라보도록 편성 발전설비 보유 |
- 전망 객차 (1·5호차)
노선 진행방향 기준 서쪽으로는 창측을 향한 카운터 시트가, 동쪽으로는 크로스시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크로스시트 구역은 데크가 한스텝 더 높게 설치되어 서쪽 전망을 바라보는데 지장이 없도록 되어있다. 차량 한쪽 끝부분에는 발전설비가 있는 기계실이 동쪽으로 쏠려 배치되어 있으며 서쪽 관통 통로에는 관람창을 아랫부분까지 넓게 뚫어놨다.
- 레트로 카페 객차 (2호차)
1950년대에 나온 스하 44형 객차를 리뉴얼 한 차량으로, 객차 전장의 1/3은 차내 판매 카운터가 차지하고 있다. 대각선 반대편에는 다루마스토브가 있어 떡이나 오징어를 자유롭게 구워먹을 수 있다.
- 일반 객차 (3·4호차)
평범한 크로스시트 객차. 한쪽 끝에 다루마스토브가 있다.
5. 기타
[1] 노선 소속은 네무로 본선이지만 센모 본선 보통열차도 여기까지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