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민 블룸 관련 틀 | |||||||||||||||||||||||||||||||||||||||||||||||||||||||||||||||||||||||||||||
|
{{{#!wiki style="margin: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nopad> | |||
<colbgcolor=#2ad686,#1c1d1f><colcolor=#fff,#ddd> 개발 | Niantic, Inc. | 닌텐도 | ||
유통 | 닌텐도 | ||
플랫폼 | Android | iOS | ||
ESD | Google Play | App Store | ||
장르 | 실시간 증강현실 게임 | ||
출시 | |||
엔진 | 유니티 |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런칭 트레일러 |
주제는 걷기를 즐겁게 하다로, 스마트폰을 들고 산책을 하는 것이 플레이의 핵심이다. 산책을 통해 피크민을 발견하고 육성하는 것으로 피크민 대열을 성장시킬 수 있으며, 걸어온 길에는 꽃이 자라나도록 하여 산책한 정도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날이 저물 때에는 하루 동안 걸어온 길과 걸음 수를 되돌아볼 수 있고, 텍스트와 사진 등을 첨부하여 기록을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매달 커뮤니티 데이 이벤트도 개최하고 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세상 여기저기에 존재하는 피크민들을 찾아나서는 모험이라는 본작만의 배경이 있어 플레이어 아바타 디자인은 본가의 호코타테 행성 및 코파이 행성 및 카루타 행성 출신의 캐릭터같은 특유의 생김새를 가진 2등신이 아닌 Mii를 채택했다.
본가 시리즈와는 설정상에도 차이점이 있는 편인데, 대표적으로 피크민들의 생태계에 관한 특징이다. 본가에서는 오니용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오니용이 피크민들이 가져온 여러 물건들을 양분으로 흡수하면 씨앗 상태의 피크민을 분출하며 번식하는 방식이라면, 블룸에서는 길거리 곳곳에서 랜덤하게 발견할 수 있는 모종을 키워 태어난다. 본가 시리즈는 피크민들의 먹이인 정수의 색깔은 한가지로 고정되어 있으나 블룸에서는 정수의 색깔도 종류도 다양하며, 먹는 정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꽃을 피운다.
2. 출시 전 정보
2021년 3월 23일에 최초 공개되었다. 일본에서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첫 공개되었고, 북미에서는 북미닌텐도 공식 트위터에서 첫 공개되었다. 제작은 2018년 4월에 설립된 자회사 Niantic Tokyo Studio에서 담당한다고 하며, 첫 공개 당시에는 '걷기를 즐겁게 하다'라는 주제로 제작되었다는 것 말고는 게임 내용에 대해 자세히 밝히지 않았다.2021년 10월 26일[3] 티저 영상과 공식 홈페이지가 열리고, 타이틀명과 함께 게임의 기본적인 정보가 공개되었다. 싱가포르와 호주에서는 당일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나머지 국가에서는 사전 등록을 시작했다. 공개 하루 전 iOS 테스트플라이트를 통해 정식 타이틀명이 유출된 적이 있다. #
이후 2021년 10월 29일에 아메리카 대륙에서, 11월 1일에 일본에서 출시했다. 11월 1일까지는 한국 국적으로 사전 등록을 할 수 없지만, 홈페이지에서 한국어를 지원하는 것을 보면 추후 한국에서도 서비스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2021년 11월 2일 다른 수많은 국가들과 함께 한국에 출시되면서 본격적인 글로벌 출시가 일단락되었다.
3. 게임 시스템
3.1. 탐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ikmin Bloom/탐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ikmin Bloom/탐험#|]][[Pikmin Bloom/탐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모종
苗 | Seedling모종은 피크민 블룸에서 새로운 피크민을 얻는 데 사용되는 핵심 아이템으로, 일정 걸음 수를 걸어 성장시킨 뒤 뽑으면 새로운 피크민이 플레이어의 컬렉션에 추가된다.
모종은 주로 탐험을 통해 발견되며, 일정 레벨을 달성하면 게임 보상으로 지급되기도 한다. 또한, 꽃심기를 하거나 장소를 이동하면 그 경로를 따라 모종이 나타나기도 하며, ‘모종 서치’ 기능이나 ‘라이프 로그’ 기능을 통해서도 새로운 모종을 찾을 수 있다. 발견된 모종은 탐험을 통해 수집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플레이어는 최대 30개의 모종을 보관할 수 있다. 이 보관 한도는 숍에서 확장 구매를 통해 늘릴 수 있다.[4]
모종은 발견 즉시 성장하지 않으며, 화분 슬롯에 배치한 후 일정 걸음 수를 걸어야 성장한다. 다 자란 모종은 뽑는 동작을 통해 피크민으로 변하게 되며, 이 과정을 통해 플레이어는 새로운 피크민을 하나씩 확보해 나갈 수 있다.
성장 속도는 플레이어의 활동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꽃을 심으면 모종의 성장률이 기본 10% 증가하고, 꽃을 많이 심을수록 최대 30%까지 증가할 수 있다. 커뮤니티 데이와 같은 특정 이벤트 기간에는 꽃을 심지 않아도 성장률이 추가로 증가하여[5], 이벤트 기간 동안은 보다 빠른 성장이 가능하다.
간혹 탐험 중에 정상적인 위치와는 크게 벗어난 좌표에 모종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위도와 경도만 표시되거나, 실제로 지구 반대편 수준의 거리에 있는 위치로 탐험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럴 경우 해당 피크민이 데코 아이템을 가지고 돌아오기까지 몇 개월이 걸릴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총 9종류의 모종, 빨강, 노랑, 파랑, 보라, 하양, 핑크, 회색, 큰모종, 금모종이 존재한다. 금모종의 경우, 특정 색만 뽑을 수 있는 모종이 따로 존재한다. 이벤트 프리미엄 패스, 스페셜 미션 티켓, 스페셜 완료 티켓 등을 숍에서 구매하거나 특정 이벤트 참여를 통해, 희망하는 이벤트 피크민 색상의 모종을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하루의 활동을 되돌아보는 ‘하루 되돌아보기’을 확인한 뒤, 앱에 필요한 권한을 부여하고 특정 사진을 저장하면, 그 사진을 촬영한 장소로의 특별 모종 탐험이 등장할 수 있다. 이 탐험을 통해 수집된 모종은 해당 사진과 라이프로그 항목에 연동된 모종으로 분류된다.
이렇게 생성된 라이프로그 연동 모종은 해당 사진과 연결되어 있어, 모종 정보에서 언제든지 해당 사진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해당 모종을 성장시켜 피크민으로 뽑게 되면, 그 피크민 역시 해당 사진과 연동된다. 플레이어는 이 피크민의 위치 정보 화면에서 사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꽃 종류 표시 위쪽에 나타난다.
라이프로그를 이용하여 모종을 얻을 때 불편한 사진으로 연동되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이럴때는 라이프로그 탭에 들어가서 해당 사진을 삭제하면, 연동된 모종, 피크민에서도 삭제된다.
3.2.1. 종류
<rowcolor=#fff> 모종 | 종류 | 태어나는 피크민 | 요구 레벨 | 부화 걸음수 | 탐험에 필요한 무게[6] | 해금 레벨 |
| 빨강 모종 | 빨강 피크민 | 1레벨 | 1,000걸음 | 1(2마리까지 선택) | 1 |
| 노랑 모종 | 노랑 피크민 | 4레벨 | 1,000걸음 | 1(2마리까지 선택) | 2 |
| 파랑 모종 | 파랑 피크민 | 7레벨 | 1,000걸음 | 1(2마리까지 선택) | 4 |
| 보라 모종 | 보라 피크민 | 8레벨 | 3,000걸음 | 3(6마리까지 선택) | 7 |
| 하양 모종 | 하양 피크민 | 9레벨 | 3,000걸음 | 3(6마리까지 선택) | 9 |
| 핑크 모종 | 날개 피크민 | 10레벨 | 5,000걸음 | 5(10마리까지 선택) | 10 |
| 회색 모종 | 바위 피크민 | 11레벨 | 5,000걸음 | 5(10마리까지 선택) | 11 |
| 큰 모종 | 무작위(데코를 가지고 부화) | 5레벨[7] | 10,000걸음 | 5(10마리까지 선택) | 5 |
| 금 모종 | 무작위(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 금 모종(빨강) | 빨강 피크민(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 금 모종(노랑) | 노랑 피크민(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 금 모종(파랑) | 파랑 피크민(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 금 모종(보라) | 보라 피크민(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 금 모종(하양) | 하양 피크민(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 금 모종(핑크) | 날개 피크민(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 금 모종(회색) | 바위 피크민(이벤트 데코를 가지고 부화) | - | 100걸음 | -[이벤트] | - |
2022년 7월 18일, 기존의 일반 모종과는 다른 특별한 형태인 금 모종이 게임에 처음 추가되었다. 금 모종은 특정 이벤트나 스페셜 스팟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탐험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금 모종은 플레이어가 아직 정식으로 해금하지 않은 피크민 유형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피크민을 일찍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되기도 한다.
2023년 6월, 색상별 금 모종이 추가되었다. 이 모종들은 이벤트 프리미엄 패스, 스페셜 미션 티켓, 스페셜 완료 티켓 등을 숍에서 구매하거나 특정 이벤트 참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외형은 금 모종과 유사하지만 색상에 따라 다른 테마나 데코 피크민이 포함되어있다.
2023년 8월 14일, 레벨 업데이트를 통해 피크민 모종 해금 레벨도 조정되었다. 변경 전과 후 모두 해금 순서는 동일하지만, 각 모종이 해금되는 레벨이 조정된 것이다. 이전에는 1, 4, 7, 10, 13, 16, 19, 23레벨에서 순차적으로 해금되었다.
3.3. 피크민
빨강, 노랑, 파랑, 보라, 하양, 날개, 바위피크민이 있으며[16][17][18]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피크민에게 정수를 먹여 꽃잎을 얻거나 탐험으로 모종이나 과일 수집, 버섯 도전 등을 하는데 이용한다.피크민 기본 최대 수용량은 300마리로 상점을 통해 440코인 또는 3,000원을 지불해 1회당 50마리를 확장할 수 있다.
최대 업그레이드 기준 총 3000마리(54회 업그레이드)까지 수용 가능하며, 많은 양을 업그레이드 하고 싶다면 웹숍에서 판매하는 피크민 컬렉션 스페셜 팩을 3만원(피크민 최대 수용량 500마리 확장 + 추가 코인 500개 + 버섯 티켓 5장)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rowcolor=#fff> 종류 | 속성 | |
| 빨강피크민 | 불 |
| 노랑피크민 | 전기 |
| 파랑피크민 | 물 |
| 보라피크민 | 힘 |
| 하양피크민 | 독 |
| 날개피크민 | 비행[19] |
| 바위피크민 | 강성[20] |
3.3.1. 상호작용
피크민과의 상호작용 화면 |
- 정수 주기: 위 사진 하단 정중앙에 보이는 정수 모양 버튼이다. 이 버튼 위에서 긁는 조작을 취하면 정수를 떼어내어 피크민에게 먹일 수 있다. 피크민은 배가 부른 상태가 아니면 정수를 보면 빠르게 달려와서 먹는다[21]. 손가락을 슬라이드할 경우 슬라이드한 방향으로 정수를 던져줄 수 있는데, 이 던져진 정수로 피크민의 뒤통수를 맞추면 피크민이 넘어지는 개그 요소가 있다. 정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정수 문단 참조.
- 호루라기 불기: 위 사진 우측 하단에 있는 호루라기 버튼을 1회 터치하면 호루라기를 불어 모든 피크민들이 하던 행동을 잠시 멈추고 플레이어 쪽을 응시한다. 호루라기 버튼을 3회 정도 연속으로 터치하면 피크민 대열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즐겨찾기-꽃잎/잎사귀 우선-기본 대열 3가지의 옵션이 존재한다.
- 수집품 획득하기: 피크민들이 탐험을 다녀와서 획득한 아이템을 터치함으로써 수집할 수 있다. 탐험을 보내어 획득하는 아이템 외에도 피크민들은 앱 사용 중 랜덤하게 과일을 집어오는데, 이들이 들고 있는 과일을 터치해 수집하면 정수로 만들 수 있다. 피크민은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동안 다른 행동을 전혀 하지 않으므로 정수 주기 등의 다른 행동을 하기 전 미리 아이템을 획득해주자.
- 터치: 피크민을 터치하면, 해당 피크민이 울음소리를 내며 플레이어 쪽을 잠시 바라본다. 일정 확률로 플레이어에게 인사를 해주기도 한다. 다만, 연속으로 너무 많이 하면 피크민이 플레이어에게 화를 낸다.[22] 다행히 이런다고 해서 밀접도가 깎이거나 하는 페널티는 없다.
- 들어올리기: 피크민을 터치한 채로 홀드하고 있으면, 피크민을 들어올린다. 들어올려진 피크민은 당황하는 듯한 울음소리를 내며 바둥바둥거린다. 이 상태에서는 화면 하단에 돋보기 모양 UI가 생기는데, 들어올린 피크민을 이 쪽으로 가져가면 해당 피크민에 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바위피크민은 들어올렸다가 떨어뜨릴 경우 바닥에 엉덩방아를 찧는 전용 모션이 존재한다.
- 튕겨내기: 피크민을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피크민을 그 방향으로 튕겨낼 수 있다. 특정한 행동을 하고 있는 피크민을 튕겨내면 그 자세 그대로 튕겨나간다.
3.3.2. 데코
데코 피크민은 피크민 블룸에서 특별한 데코를 착용한 피크민이며, 플레이어가 현실 세계를 돌아다니는 동기부여의 핵심 수집 요소다. 다양한 테마의 장소 기반 데코를 착용하며, 외형뿐 아니라 실제 게임 플레이에도 영향을 준다.피크민이 어떤 데코를 착용하는지는 해당 피크민이 처음 발견된 장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피크민이 베이커리 근처에서 발견되었다면 빵 데코를, 공원에서 발견되었다면 클로버 데코를 착용하게 된다. 플레이어가 자주 다니는 스팟은 한정적일 수 있지만, 다양한 데코를 수집하기 위해 새로운 장소를 찾아 플레이어를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인 셈이다.
데코를 달고 있는 피크민은 버섯전투 시 작업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23] 그 외는 모두 동일하다.
특정 데코는 피크민 정보창에서 터치 시의 동작이 다르게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칫솔 데코를 가진 노란 피크민은 칫솔로 창병 포즈를 취한다던지 마리오 모자 데코는 마리오의 점프 동작을 취하는 식.
레스토랑, 물가, 베이커리, 미용실은 색이 다른 버전인 희귀 데코가 존재하며 희귀 데코를 해금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테마의 모든 데코를 모아야 한다. 이후 해당 테마의 모든 데코를 다 모은 후에도 같은 테마의 피크민을 계속 모으고 야생으로 돌려보내 경험치를 쌓아 데코 레벨을 올리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해당 테마의 데코피크민 한마리를 바로 희귀 데코로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길거리 같이 한 피크민에 여러 바리에이션이 있는 데코나 무작위의 피크민이 나오는 큰모종 및 금모종은 어떤 종류가 나올 지는 순전히 무작위라 운이 안좋으면 오직 한 종류만 나올 수 있어 어느 정도의 운이 필요했지만..
2025년 3월 업데이트된 v116 버전에서 한 피크민에 여러 바리에이션이 있는 데코에 대해서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모종, 피크민를 한번 탭했을때 볼 수 있는 정보에 대해서 위치 데코와 함께 상세 데코 정보를 명시된다. 이 업데이트에 대해서 많은 유저들이 데코 피크민을 모으는 긴장감이 없어졌다, 게임의 즐거움을 반감시켰다는 등, 부정적인 반응들이 나오지만 데코를 이제 확실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된 셈. 하지만 공원 데코의 경우, 네잎클로버는 기존의 방식처럼 렌덤으로 나오는 시스템을 유지하는지, 데코를 입기 전의 피크민, 모종에서는 세부 데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지도에서 스캐너 모양(모종 서치 아이콘)을 누르면 주변에 어떤 스팟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마음에 드는 스팟이 있다면, 스캐너를 눌러 직접 서치할 수 있다. 해당 서치는 하루에 한 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자정에 초기화된다. 이월되지 않으니 하루 한 번 주어지는 무료 서치를 꼭 활용하자. 무료 서치 횟수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100코인을 사용해 추가 서치가 가능하다. 서치를 통해 2~4개의 아이템(모종 혹은 과일)이 등장하며, 원하는 종류의 데코 모종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스팟이 많을 경우 최대 8개까지 겹쳐 보이기 때문에 특정 데코 종류를 노리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팟이 적게 중첩되었거나, 단 하나의 스팟만 등장하는 ‘단독 스팟’을 목표로 찾아 다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상시 데코 중 특별히 놀러 나갈 일이 아니면 평소에는 구경하기 힘든 동물원, 테마파크, 미술관, 해변, 공항 따위가 대표적.
다만, 단독 스팟은 개인이 노리고 찾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우연히 발견된 단독 스팟 정보를 집단지성을 통해 공유하며 활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데코 피크민이 등장하는 위치는 여기에 있는 지도에서 확인 가능하다. 하지만 해당 지도는 OSM 태그 기반으로 검색하는 것이라 실제와 잘 맞진 않는다.
후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지도 링크(바로가기)가 생겼다. 피크민 이용자라면 조금 더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정확하지 않은 편. 참고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3.2.1. 획득 방법
데코 피크민을 획득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1. 큰 모종 성장시키기
첫 번째 방법은 큰 모종을 성장시키는 것이다. 큰 모종은 레벨 5부터 해금되며, 탐험을 통해 발견하거나 레벨업 보상, 이벤트 보상으로도 획득할 수 있다. 성장시키는데는 1만 보의 걸음 수가 필요하며, 화분 슬롯에 배치해 성장시킨 뒤, 뽑는 순간 특별한 연출과 함께 피크민이 점프하여 데코를 착용한 상태로 등장한다.
큰 모종을 통해 등장하는 데코 피크민의 데코 종류는 해당 모종이 발견된 장소나 진행 중이던 이벤트의 테마에 따라 결정되며, 피크민의 색상은 무작위로 정해진다.
2. 일반 피크민의 밀접도 올리기
두 번째 방법은 일반 피크민과의 밀접도를 최고 단계인 하트 4개까지 올리는 것이다. 피크민과의 밀접도는 탐험에 파견하거나 정수를 먹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올릴 수 있다.
밀접도 4에 도달하면, 해당 피크민 전용의 선물 상자 탐험이 열린다. 이 탐험을 통해 자신이 태어난 장소(모종 발견 장소)로 돌아가 그 장소의 테마에 맞는 데코를 가져온다. 탐험을 완료하고 선물을 수집하면, 피크민은 선물 상자 속으로 뛰어들고, 데코를 착용한 상태로 다시 등장한다.
3. 금 모종 성장시키기
마지막 방법은 금 모종을 성장시키는 것이다. 골드 모종은 2022년 7월 18일 체스말 이벤트를 통해 처음 추가되었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등장하지 않고 이벤트, 친구 초대, 주간 도전, 스페셜 스팟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금 모종은 100보만 걸으면 즉시 성장하며, 큰 모종과 마찬가지로 성장 후 뽑는 순간 즉시 데코 피크민으로 나타난다. 데코의 종류는 해당 모종이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획득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기타. 색상별 금 모종 성장시키기
이외에도 색상별 금 모종이 존재한다. 이 모종들은 주로 이벤트 프리미엄 패스 보상, 스페셜 미션 티켓, 또는 특정 챌린지 완료 보상 등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색상별 금 모종은 2023년 9월 4일, 마작 패 이벤트를 통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해당 이벤트 테마에 맞는 독특한 데코 피크민을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3.3.2.2. 데코 종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ikmin Bloom/데코 종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ikmin Bloom/데코 종류#|]][[Pikmin Bloom/데코 종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정수
피크민들에게 정수를 먹이면 정수 색깔에 해당하는 꽃이 피어나며[24] 피크민의 머리에서 빛나는 꽃을 터치하면 꽃잎을 얻을 수 있다. 피크민 한 마리당 하루에 6번까지 정수를 먹고 꽃잎을 주며, 이후엔 잎이 떨어지고 정수도 더이상 먹지 않는다. 단 아직 잎이 떨어지지 않은 상태로 2시간을 기다리면 먹은 횟수가 리셋되며 설령 잎이 떨어지더라도 피크민은 하루가 지나면(새벽 4시 기준) 다시 잎이 나며 정수도 정상적으로 받아 먹는다. 한꺼번에 피크민들에게 정수를 주거나 꽃잎을 얻으려 한다면 피크민들 위를 드래그하는 것으로 여럿 선택할 수 있다.오전 4시마다 일괄 잎사귀로 리셋이 되며 이 상태에서 대열에 있는 피크민과 걷거나, 하얀 일반 정수를 먹이거나, 8시간(대열에 없는 피크민의 경우 정오)이 지나면 자동으로 다시 꽃봉오리 상태가 된다. 꽃봉오리일 때 정수를 먹이면 꽃잎 2개를 얻을 수 있어 이를 이용해 구하기 힘든 특별한 꽃을 좀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정수를 먹일 때 아주 드물게 꽃이 찬란히 빛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연타를 해서 대량의 꽃잎을 얻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걸음 수에 따라 피크민이 들고 오는 자연 정수, 탐험으로 생기는 정수, 버섯 격파를 통해 나오는 정수, 빅플라워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일반 정수 중에서는 하양 정수가 제일 흔하다.
팬지, 포인세티아 등 꽃 종류에 따라서도 정수가 존재하고 이들도 색깔 구분이 있다. 이들 정수를 먹이면 피크민 머리 위에 팬지, 포인세티아 등 해당하는 꽃이 피어나고, 이것도 마찬가지로 꽃잎 수확과 보관이 가능하다. 참고로 꽃에 따라 최대 4색에서 최소 1색까지 존재한다.
하양 특수 꽃의 경우 랜덤성이 있어서, 파란 정수류는 획득량이 적어서 일반 꽃과 달리 좀 더 희귀하다.[25] 빅플라워 개화 시 나는 과일에서 얻는 정수의 양은 하양>빨강>노랑>>>파랑 순이라고 보면 된다. 하양 정수는 랜덤인 대신 한번에 많이 주며, 파랑 정수는 다른 색 정수의 약 1/3분량만큼 주기 때문.[26] 하양 정수가 평균 34~많게는 50개 정도도 주며, 빨강 정수는 30~40개, 노랑 정수는 빨강보다는 약간 적은 23~38개 정도라고 보면 되는 반면 파랑 정수는 한번에 20개도 채 못 넘는다. 평균적으로 9~16개 사이라고 보면 된다. (좀 더 자세히는 이곳 참조.)
레벨업 보상이나 버섯 챌린지, 주간 도전을 통해서 얻는 하트 모양의 스페셜 정수는 밀접도 한 칸을 즉시 채워준다. 이것으로 먹여서 나온 꽃은 현재 피워진 꽃을 기준으로 한다.
정수 최대 소지량은 종류마다 200개로 상점에서 코인(350코인 혹은 3000원)을 사용해 확장할 수 있다. 최대 업그레이드 시 1000개까지 늘어난다.
3.5. 꽃심기
꽃잎을 사용해 걸어다니며 꽃을 심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1종류당 최대 300장까지 소지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대 1종류당 1200장까지 소지 가능하다. 250개를 심을 때마다 1코인을 받을 수 있으며, 하루 60코인(15,000 송이)까지 받을 수 있다. 새싹 근처(반경 40미터)에 300송이의 꽃을 심으면 꽃이 피어나고 만개한지 1시간 이내인 상태에서 좀 더 꽃을 심으면 과실이 꽃 바로 아래에 생성된다.(더 자세히는 아래 '빅 플라워' 참조) 꽃의 종류에 따라 피어나는 꽃도 바뀌며 절반 이상(150송이) 같은 색의 꽃을 심은 후부터는 그 색깔로 고정된다.다만 꽃은 걸으면 심어지긴 하지만 개인 구역으로 지정된 장소거나 특정 장소[27]에서는 꽃이 심어지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차도나 물가에서는 꽃이 보이지 않지만 가끔 버그로 꽃이 필 때도 있다. 예외로 특수 꽃 중 유일하게 수련만 물 위에서도 심어진다.
노랑, 빨강, 파랑 특수 꽃잎은 156송이 이상 심으면 그 꽃이 확정적으로 피어나지만(아래 '농사법' 탭에 상세설명 있음), 일반 꽃잎을 심으면 해당하는 색의 꽃이 랜덤하게 피어나고 하얀색 꽃잎을 심으면 해당하는 종의 색이 랜덤하게 피어난다.[28] 피어나는 꽃의 종류는 월 초 알림을 통해 공지한다.
꽃심기를 켜고 걷다가 방향전환을 할 때는 가급적이면 크고 넓게 천천히 하는 것이 좋다. 급작스러운 유턴 같은 방향전환을 하면 심은 꽃 개수가 일시적으로 제대로 카운트되지 않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방향 전환을 했다면 앱을 완전히 종료하고 전환한 방향으로 50미터 이내로 조금 걷다가 다시 재부팅을 하면 어느정도 해결된다.
3.5.1. 빅 플라워
등록된 일부 지역은 빅 플라워가 피어날 수 있는 곳이 되며, 꽃을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 40m의 원이 생긴다. 중심 100m 내에 접근하고 정수를 수확할 수 있다면 꽃 부분에서 작은 구형 이펙트가 빛난다.새싹 상태에서 원 안에 300송이의 꽃을 심으면 농사 규칙에 따라 빅 플라워가 피어나게 된다. 꽃심기 일반 규칙에 따라 동일인은 심은 위치에는 5분간 심어지지 않기 때문에 300송이를 한 번에는 심을 수 없고 건물이 많은 곳인지, 광장인지 등에 따라 보통 100~160송이 씩 심을 수 있다. 최소한 대기는 한 번 해야 한다.
이벤트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 빅 플라워는 피어난 지 23시간 동안 활성화가 되어 있다. 꽃이 피어나면 컨페티(꽃가루)가 1시간 동안 (남은 시간: 22시간 xx) 휘날리며, 이 때 꽃심기 상태로 접근하면 해당 꽃, 색상과 동일한 과일을 얻을 수 있다.
일반꽃만 심더라도 랜덤하게 공지한 이번 달의 꽃 목록에서 변이하여 나올 수 있다.
3.5.2. 농사법
미션이나, 혹은 원하는 꽃을 파밍하기 위해서는 그냥 막 심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뉴비를 탈출하고 어느 정도 게임의 기반이 다져지면, 정수를 더 불리기 위해 농사를 짓는 경우가 많다.xx색 특수꽃 300송이만 심어서 확정적으로 피우거나 일반꽃 300송이만 심어서 특수꽃을 운좋게 피우는 방법도 있지만, 밑에서 소개하는 농사짓는 법은 귀중한 꽃잎을 더 적게 소모하고 성공률을 더 높이면서 더 높은 수율을 추구하고자 하는 공략들이다.
빅플라워 농사 방법 정리
농사를 하는 법(하양 제외)을 순서도로 정리한 글이다.
내용이 길지만, 원하는 꽃(하양 제외)을 저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종은 156송이 이상, 원하는 색은 100송이 이상(단, 전체 300송이 중 종류불문 원하는 색이 제일 많이 심겨져 있어야한다.)임을 고려하여 농사를 지어야 한다.
하양 특수 꽃의 경우 피는 여부가 랜덤이기 때문에 밑의 규칙대로 농사를 짓더라도 다른 색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농사법의 예를 들기 위해, 파랑 특수꽃을 원하는 상태를 가정한다.
1. 나는 하양, 파랑 특수꽃이 아예 없다 = 빨강 노랑 특수꽃 각각 80~90 꽃송이 심기(합쳐서 156송이 이상), 파란 일반꽃잎 나머지(100송이 이상)
가장 실수할 확률이 높지만, 파랑 특수 꽃이 없다는 가정하의 가장 좋은 방법. 조금의 방해만 있어도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 성공 확률을 높이려면 파랑 특수꽃 1~2꽃잎 분량을 추가하면 된다. 하지만 이런 경우 3번 방식을 더 추천한다.
기본 베이스가 될 빨강, 노랑 특수꽃은 버섯을 통해 파밍한다.
예) 빨강 특수 85송이, 노랑 특수 85송이, 파랑 일반 130송이
2. 하지만 하양 특수꽃은 어느 정도 있다 = 하양 특수꽃 156~199송이 심기, 파랑 일반 꽃잎 나머지(100송이 이상)
하양 특수꽃은 농사보다는 버섯 보상으로 획득하는게 좀 더 멘탈 관리에 좋다. 하양 특수꽃은 랜덤이기 때문. 하양 특수꽃은 희귀한 편이라 많이 쓰는 것도 아쉽다. 보통 이런 농사법은 버섯 보상 등으로 하양 특수꽃만 다량으로 획득했을 때나 쓰는 방법이다.
예) 하양 특수 180송이, 파란 일반 120송이
3. 파랑 특수꽃이 아주 조금은 있다 = 빨강 혹은 노랑 특수꽃을 한 색만 골라서 '144'송이 이하로 심는다, 파랑 특수꽃을 12송이 이상 심는다. 단, 단색 특수꽃 + 파랑 특수꽃의 합은 156송이 이상 심어져야한다. 나머지는 파랑 일반꽃잎으로 마무리.
예) 빨강 특수 130송이, 파랑 특수 30송이, 파랑 일반 140송이
1번 방식보다 자주 쓰게 되는 방식이다. 월 초반만 벗어나면 파랑을 제외한 색은 넘쳐나고, 파랑 특수꽃도 지나가다 몇개 정도 주워서 농사짓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파랑 특수 부터 먼저 빠르게 1~2 꽃잎분을 심고 다른색 특수 꽃잎으로 바꾸는 방식이다.
4. 난 파랑 특수꽃이 많다, 혹은(그리고) 복잡함 없이 쉽게 파밍하고 싶다 = 파랑 특수꽃을 156송이 이상 심고, 나머지를 일반 파랑 꽃잎으로 마무리.
제일 실수가 적은 방법이지만 기본 꽃잎이 어느 정도 있어야 가능한 방법. 파랑 특수꽃을 더 많이 소모하는 방식이라 수율이 제일 좋지 않다.
예) 파랑 특수 170송이, 파랑 일반 130송이
다만, 번화가 등의 빅플라워는 지나가는 사람에 의해 방해가 있을 수 있음을 주의해야한다.
꽃심기 범위는 현재 플레이어와 같이 '대열에 있는 피크민'의 수에 따라 달라지며 10의 배수로 범위가 증가한다. 현재는 40마리 대열이 최대이므로, 40마리 대열(플레이어 레벨 55)이 가장 넓은 꽃심기 범위를 자랑한다. 다만, 꽃잎 소모속도도 빨라진다.(범위가 증가해서 생긴 이득이 더욱 크다.) 탐험 등의 이유로 십의 자리수가 바뀌면 꽃심기 범위도 실시간 연동이 되므로 주의.
꽃잎의 소모는 시간에 관련이 있으므로 달리거나, 자전거를 탈 때(시속 20km/h 미만) 꽃잎 1개로 더욱 많은 양을 심을 수 있다.
<rowcolor=#fff> 대열에 있는 피크민 수 | 최소 레벨 | 심는 지역 | 꽃잎 사용 간격(초) | 1분당 소모 꽃잎 |
1~9마리 | 1 | 2*1 (2칸) | 30 | 2 |
10~19마리 | 7 | 3*2 (6칸) | 20 | 3 |
20~29마리 | 9 | 4*3 (12칸) | 15 | 4 |
30~39마리 | 15 | 5*4 (20칸) | 12 | 5 |
40마리 | 55 | 6*5 (30칸) | 10 | 6 |
단, 단일 색상만 있는 꽃의 경우(벚꽃, 해바라기, 네모필라 등)해당 특수 꽃을 160송이 이상 심어 종류를 확정시킨 후에는 아무 일반색의 꽃을 심어 남은 송이를 채워도 해당하는 꽃이 피기에 굳이 색을 맞춰줄 필요는 없다. 즉, 네모필라 160송이 + 흰 일반꽃 140송이를 심어도 네모필라는 정상적으로 핀다는 것.
3.5.3. 꽃 종류
- 주의: 꽃의 종류에 따라 화면에서 다른 색으로 보일 수 있음[예시]
- 기본 꽃 제외 가나다 순 정렬
<rowcolor=#fff> 종류 | 색상 | 피는 달[30] |
기본 Basic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월~12월 |
국화 Chrysanthemum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1월 |
나팔꽃 Morning Glory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8월~9월 |
네모필라(베이비 블루 아이즈)[31] Baby Blue Eyes | 파랑 | 4월[32] |
달리아 Dahli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0월~11월 |
동백꽃[33] Camelli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2월~2월 |
매화꽃[34] Plum Blossom | 하양 노랑 빨강 | 1월~2월 |
모란 Peony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6월~7월 |
벚꽃 Cherry Blossom | 하양 | 2월~3월 |
백합 Lily | 하양 노랑 빨강 | 7월 |
부겐빌리아 Bougainville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9월~10월 |
석산 Spider Lily | 하양 노랑 빨강 | 8월~9월 |
설강화[35] Snowdrop | 하양 노랑 빨강 | 2월~3월 |
수국 Hydrange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6월~7월 |
수련 Water Lily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7월~8월 |
수선화 Daffodil | 하양 노랑 | 1월~2월 |
스위트피 Sweet Pe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4월 |
시클라멘 Cyclamen | 하양 빨강 파랑 | 12월, 10월~11월 |
아네모네 Windflower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3월 |
용담 Gentian | 하양 빨강 파랑 | 10월~11월 |
유채꽃 Canola flower[36] | 하양 노랑 파랑 | 4월 |
은방울꽃 Lily of the Valley | 하양 빨강 | 5월~6월 |
장미 Rose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5월 |
카네이션 Carnation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5월~6월 |
카틀레야 Cattley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월~2월 |
칼라 Calla Lily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6월~7월 |
코스모스 Cosmos | 하양 노랑 빨강 | 9월~10월 |
클레마티스 Clematis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1월 |
튤립 Tulip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4월 |
패랭이꽃 Dianthus | 하양 빨강 파랑 | 9월~10월 |
팬지 Pansy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3월 |
포인세티아[37] Poinsetti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1월~1월 |
프리지어[38] Freesia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3월~4월 |
플루메리아 Frangipani | 하양 노랑 빨강 | 6월~8월 |
해바라기 Sunflower | 노랑 | 8월 |
헬레보루스[39] Helleborus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12월~1월 |
히비스커스 Hibiscus | 하양 노랑 빨강 | 8월~9월 |
히아신스 Hyacinth | 하양 노랑 빨강 파랑 | 3월~4월 |
대부분 현실에도 존재하는 색깔이나 일부 꽃 색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3.5.4. 이달의 꽃
이달의 꽃은 게임 내에서 다양한 혜택을 주는데, 이달의 꽃과 서브 이달의 꽃(주로 전 년도 같은 달 이달의 꽃)이 그 달의 이벤트 퀘스트용으로 쓰이며 버섯전투 시 피크민에게 이달의 꽃을 피운 상태로 보내면 전투력이 가장 높게 나온다. 또한 그 달의 커뮤니티 데이에는 이 꽃만 피는 전용 이벤트가 있다.역대 이달의 꽃은 아래 커뮤니티 데이 문단 참조.
3.6. 버섯 전투
버섯을 부수고 보상으로 정수를 얻는 컨텐츠이다.버섯 전투는 하루 3번까지 무료 참여가 가능하며 이 횟수는 자정에 초기화된다. 이 무료 횟수는 5명 미만이 있는 버섯 전투에 참여할 때 차감되며, 이미 5명 이상이 있는 버섯 전투에 참여하거나 일일 무료 횟수를 소진한 경우 유료티켓을 사용해야 입장할 수 있다.
버섯의 종류로는 빨강, 노랑, 파랑, 보라, 하양, 분홍, 회색의 각 피크민의 색에 대응되는 일반 버섯과[40] 불버섯(빨강), 전기버섯(노랑), 물버섯(파랑), 독버섯(하양), 수정버섯(바위) 등 특정 종류의 피크민만 보낼 수 있는 특수버섯,[41] 그리고 이벤트 시즌에만 등장하는 이벤트 버섯이 있다.
색깔 버섯의 경우 이벤트 미션을 위한 정수를 수급하기 위해 이용하는 편. 특수 버섯의 경우에는 스페셜 정수 수급 및 정수 수급을 겸사겸사 하는 용도이다. 이벤트 버섯은 이벤트를 진행하기 위한 재화를 위해서 입장한다.
플레이어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전투에 보낼 수 있는 피크민의 수가 점점 늘어나 최대 40마리까지 확장된다. 버섯은 소형, 중형, 대형, 거대[42] 총 4개 사이즈가 있고, 색깔에 따라 클리어를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과실의 색이 바뀐다. 버섯전투를 클리어하면 정수를 보상으로 주며, 색깔은 버섯의 색과 같다.[43] 탐험보다 매우 높은 확률로 특수 꽃 정수가 나오는 편. 버섯의 색깔과 같은 피크민들을 보내서 클리어하면 더 높은 확률로 특수 정수를 받을 수 있다.
소형은 1마리, 중형은 10마리, 대형은 15마리, 거대는 최소 20마리 이상을 보내야 하는 조건이 있다. 또한 마릿수를 적게 보내면 모든 보상을 받을 수 없으며, 4성 기준으로 소형은 9마리, 중형은 19마리, 대형 및 거대는 32마리(특수 대형은 27마리) 이상을 보내야 4성 시 모든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한 버섯 전투에는 최대 20명(거대 버섯은 30명)까지 참여할 수 있다. 소형이나 대형이나 무료 횟수 및 티켓 소모량은 같으니 유료티켓은 거대 버섯 등의 고급 버섯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무도 들어가 있지 않는 버섯이라면 평일은 새벽 3시에, 주말은 자정에 버섯이 랜덤하게 다시 초기화된다. 버섯은 파괴되면 5분 뒤 다시 랜덤한 종류의 버섯으로 같은 장소에 리젠된다.
피크민의 머리 위에 핀 꽃의 종류에 따라 전투력 또한 변동되는데, 시듦(꽃 없음)<잎사귀<꽃봉오리<일반 꽃<희귀 꽃<이 달의 꽃 순으로 좋다.[44] 전투에 보내기 전 정수를 먹여 이 달의 꽃을 피운 상태로 보내는 편이 좋다.
- 버섯전투 소요시간 = (버섯점수 / 공격점수) * 4
- 예: "버섯점수"가 6300인 소형 보라색 버섯에 피크민의 "공격점수"가 700일 경우 6300에 700을 나눈 다음 4를 곱해 나온 값인 36(초)이 버섯를 공략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등급 요구 공격점수는 버섯색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
소형버섯 | |||
<rowcolor=#2ad686> 별 | 점수 | 보상 | 요구 공격점수 |
1성 | ~ 1,439 | 작은 과일 2개 | 185 이하 |
2성 | 1,440 ~ 2,159 | 작은 과일 4개 | 186 이상 |
3성 | 2,160 ~ 2,879 | 큰 과일 1개 | 326 이상 |
4성 | 2,880 ~ | 큰 과일 2개 | 567 이상 |
중형버섯 | |||
<rowcolor=#2ad686> 별 | 점수 | 보상 | 요구 공격점수 |
1성 | ~ 2,879 | 작은 과일 4개 | 296 이하 |
2성 | 2,880 ~ 4,319 | 큰 과일 1개 | 297 이상 |
3성 | 4,320 ~ 5,759 | 큰 과일 2개 | 730 이상 |
4성 | 5,760 ~ | 거대 과일 1개 | ? |
대형버섯 | |||
<rowcolor=#2ad686> 별 | 점수 | 보상 | 요구 공격점수 |
1성 | ~ 5,759 | 큰 과일 1개 | ? |
2성 | 5,760 ~ 8,639 | 큰 과일 2개 | ? |
3성 | 8,640 ~ 11,519 | 거대 과일 1개 | ? |
4성 | 11,520 ~ | 거대 과일 2개 | ? |
거대버섯 | |||
<rowcolor=#2ad686> 별 | 점수 | 보상 | 요구 공격점수 |
1성 | ~ 11,519 | 큰 과일 2개 | ? |
2성 | 11,520 ~ 17,279 | 거대 과일 1개 | ? |
3성 | 17,280 ~ 23,039 | 거대 과일 2개 | ? |
4성 | 23,040 ~ | ? | ? |
과일의 정수 색은 빨강, 노랑, 하양 등이 있고 과일도 종류가 다양하며[45] 가끔 과일 2개가 겹쳐져서 오는[46] 경우도 있다.
3.7. 주간 도전
2022년 4월 28일(버전 44)부터 도전이 개편된 시스템.5명의 친구들과 함께 목표 (10만 걸음/3만 걸음, 30000송이 심기)를 달성하는 도전이 있다.[47]
화면의 상단에 주간 도전에 대한 위젯이 나타나며, 주간 도전 그룹을 생성하거나 친구가 생성한 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도전에 성공하였을 경우 정수나 꽃잎을 얻을 수 있다.
- 10만 걸음 목표에 성공했다면 (별 3개 기준) 스페셜 정수 2개, 흰 정수 40개, 노랑 정수 40개, 빨강 정수 40개, 파랑 정수 20개를 얻는다.
- 3만 송이 심기 목표에 성공했다면 (별 3개 기준) 그 달 이벤트 꽃잎을 색깔별로 20개를 얻는다.
3.8. 엽서
엽서는 탐험이나 버섯 챌린지 그리고 빅 플라워 피우기를 통해서 모을 수 있다. 탐험에서 나오는 엽서는 동일한 지역을 탐색하더라도 랜덤하게 얻을 수 있으며, 버섯 챌린지로 얻는 엽서는 소지한도 내에서는 100%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만개하지 않은 빅플라워에 150 꽃잎을 소모하여 바로 꽃을 피우고 엽서를 얻을 수 있으며[48], 만개 해 있는 꽃에는 80 꽃잎만 소모하여 엽서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꽃잎 소모 빅플라워 엽서에는 시듦(대머리) 상태의 피크민을 바로 회복시키는 기능도 있다.
친구에게 받은 엽서와 활동을 통해 얻은 엽서의 총량으로 기본 400개까지 소지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를 통해 3200장까지 소지 할 수 있다. 엽서는 친구와 주고받는 용도로 쓸 수 있으며 그 외의 기능은 딱히 없다.
엽서는 나이언틱의 게임 위치(Ingress의 포탈, Pokémon GO의 포켓스탑)에 사진이 엽서에 표시되며, 탐험이나 버섯 공격에 참가한 피크민이 엽서에 함께 찍혀 있다. 귀여운 피크민의 사진을 얻기 위해 한 피크민만 탐험이나 버섯 챌린지로 보내기도 한다.
엽서 창에서 상단 지도에 표시된 엽서를 클릭하면 중복된 엽서를 정리하기 쉬워진다.
버전 44 (2022년 4월 28일)부터 같은 친구에게는 엽서를 하루에 1개까지만 보낼 수 있게 되었다.
친구에게 엽서를 배달중인 피크민은 배달하는 동안 대열에 추가할 수 없다.
3.9. 밀접도
피크민에게 정수를 주거나 탐험을 보내거나, 버섯전투, 대열에 넣고 꽃심기 시 피크민의 하트가 조금씩 채워지며 하트가 4칸 모두 다 채워진다면 탐험을 통해 자신의 모종이 처음으로 발견된 곳에서 데코가 들어있는 선물 상자를 가져와 데코 피크민으로 진화할 수 있다.선물 상자는 자신의 모종이 발견된 곳에서 가져온다는 점 때문에 출장이나 여행과 같은 이유로 먼 지역 모종에서 태어난 피크민은 상당한 탐험 시간이 걸린다. 그런 경우 드론을 써서 바로 가져오거나 스페셜 정수를 넉넉하게 보유해뒀다가 여행지에서 바로 먹여서 데코를 미리 가져오는 것이 좋다.[49]
하트 4칸을 모두 다 채워도 여기서 더 하트를 채울 수 있는데, 빨간 하트를 노란 하트로 채울 수 있다. 빨간 하트는 하나당 53의 경험치를, 노란 하트는 하나당 212의 경험치를 필요로 한다.
정수를 주면 정수의 종류 불문(스페셜 정수 제외) 1점을 얻는다. 정수 4/6 → 5/6이 될 때 기존 1점에 추가적으로 10점을 얻는다. 탐험 시 거리 상관없이 1점을 얻는다. 버섯 전투 시 종류 상관없이 3점을 얻는다. 꽃심기 종료 시 대열에 있는 피크민은 1일 1회 경험치를 얻는다. (경험치 ?) 각 피크민마다 자정에 초기화 되는 타이머로 알려져 있다. 스페셜 정수를 주면 53점을 얻는다.
정수 6/6이 되면 '시듦'(꽃 없음, 일명 대머리) 상태가 되어 피크민이 정수를 더 이상 먹지 않으며, 버섯 전투에서도 소소한 대미지 페널티를 입는다. 익일 새벽 4시가 지나거나, 열심히 대열에 놓고 낮 시간에 1900보 이상 걷거나[50] 빅 플라워를 피워낼 때 보내는 피크민[51] 한정으로 잎사귀를 회복할 수 있지만 수가 많아질수록 번거롭다.
5/6 상태에서 2시간[52]이 되면 다시 0/6 상태로 돌아가기에 빠르게 육성을 할 수 있다. 다만 그만큼 정수 소모가 급증하므로 엄청 많이 걷는 사람이 아닌 이상 힘들다.
3.10. 개인 구역
2022년 2월 쯤 추가된 기능. 개인 구역을 설정하여 그곳에는 꽃을 피워도 꽃이 심어지지 않는다.[53] 아마도 꽃이 심어진 장소를 보고 다른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추정된다.3.11. 배지
이 게임의 도전과제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 프로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지는 아홉 종류로 나뉘며, 각각의 배지별로 일곱 등급이 존재한다.(병아리→초보자→숙련자→베테랑→달인→교수→???)- 데코피크민 배지
데코를 얻으면 해금되는 배지. 이 배지만 유일하게 다이아몬드 등급까지 존재하나 최대 등급인 Superhuman Decor Pikmin Badge(번역 확인 필요)은 1,500종류의 데코를 요구하나 현존하는 데코는 아직 천개를 넘지 못하기에 일종의 더미데이터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최대 등급은 500개를 요구하는 랭크 6 교수 데코피크민 배지이다. - 걸음 수 배지
플레이어가 얼마나 많이 걸었는지에 따라 해금되는 배지. 최대 등급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걸음 수는 5백만 걸음이다. - 피크민 배지
피크민을 얼마나 많이 뽑았냐에 따라 해금되는 배지. 최대 등급까지 얻는데 필요한 횟수는 2,000마리이다. - 꽃심기 배지
꽃을 많이 심으면 해금되는 배지. 최대 등급까지 얻는데 필요한 꽃잎 수는 3,000,000송이이다. - 탐험 배지
피크민을 탐험을 보낸 횟수에 따라 해금되는 배지. 최대 등급까지 얻는데 필요한 횟수는 10,000회이다. - 버섯 배지
버섯 챌린지를 하여 얻게되는 배지. 최대 등급까지 얻는데 필요한 횟수는 3,000회이다. - 우정 배지
친구와 상호작용한 횟수에 따라 얻는 배지. 최대 등급까지 얻는데 필요한 상호작용 수는 3,200회이다. - 이벤트 배지
- 커뮤니티 데이 배지
매달마다 오는 커뮤니티 데이에 10,000걸음을 걸으면 얻을 수 있는 배지. - 스페셜 배지
4. 이벤트
이벤트용 재화를 통해서 매 달 이벤트 데코를 모으거나, 한정 아바타를 얻을 수 있다.1일에 초기화 되어 다음 이벤트로 넘어간다.
이벤트용 재화는 꽃심기 (100송이당 1개), 이벤트용 버섯, 미션 룰렛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4.1. 커뮤니티 데이
한 달에 하루 또는 이틀(주말)의 커뮤니티 데이가 지정되며, 해당 날짜에는 다음과 같은 보너스를 제공한다.- 화분 속의 모종이 평소보다 1.5배 빠른 속도로 자라난다. 기본 부스트 +50%의 버프 형태로 제공되며, 꽃 심기 시 부스트가 최대 95%까지 증가한다.
과일이 평소보다 2배 분량의 정수를 제공한다.(현재 폐지)- 당일 10,000걸음 이상 걷는 유저에게 "커뮤니티 데이 참가자" 배지가 제공된다. 배지는 이달의 꽃 모양이다. 주의할 점으로 커뮤니티 데이가 주말에 지정될 경우 토요일 혹은 일요일 중 하루에 몰아서 10,000걸음을 채워야 성공으로 인정된다.[54]
보너스 코인을 받기 위해 심어야 하는 꽃의 개수가 절반으로 감소한다.(현재 폐지)[55]- 모든 빅 플라워에 이달의 꽃이 핀다. 이날 빅 플라워에 일반 꽃잎을 심으면 일반 꽃이 아닌 100% 확률로 그 색에 해당하는 이달의 꽃이 핀다. 물론 상술한 농사법에 따라 다른 특수 꽃을 155송이 이상 심으면 해당 특수 꽃이 핀다. 만개는 단 3시간만 지속되며, 3시간이 지나면 바로 잎사귀 상태로 돌아가는 이점이 있어 이 날을 노리고 작정하고 지난 시즌 특수 꽃을 파밍하는 플레이어들도 볼 수 있다. 물론 주말인데다 이벤트 데이이기 때문에 번화가 등에서는 농사를 짓기 앞서 방해를 더 쉽게 받을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 [ 커뮤니티 데이 날짜와 이달의 꽃 목록 펼치기 · 접기 ]
- * 2021년 11월 13일: 팬지
- 2021년 12월 18일: 포인세티아
- 2022년 1월 22일: 동백꽃
- 2022년 2월 20일: 매화
- 2022년 3월 13일: 벚꽃
- 2022년 4월 23일: 튤립
- 2022년 5월 21일: 장미
- 2022년 6월 25일: 수국
- 2022년 7월 17일: 백합
- 2022년 8월 13일: 해바라기
- 2022년 9월 18일: 석산
- 2022년 10월 15일: 코스모스
- 2022년 11월 12일~13일: 없음[56]
- 2022년 12월 10일: 시클라멘
- 2023년 1월 21일: 수선화
- 2023년 2월 11일: 매화
- 2023년 3월 18일: 아네모네
- 2023년 4월 15일: 베이비 블루 아이즈(네모필라)
- 2023년 5월 13일~14일[57]: 카네이션
- 2023년 6월 10일~11일: 칼라
- 2023년 7월 8일~9일: 플루메리아
- 2023년 8월 12일~13일:히비스커스
- 2023년 9월 16일~17일: 패랭이꽃
- 2023년 10월 14일~15일: 용담
- 2023년 11월 18일~19일: 국화
- 2023년 12월 16일~17일: 크리스마스 로즈(헬레보루스)
- 2024년 1월 13일~14일: 카틀레야
- 2024년 2월 10일~11일: 매화
- 2024년 3월 16일~17일: 히아신스
- 2024년 4월 13일~14일: 스위트피
- 2024년 5월 11일~12일: 은방울꽃
- 2024년 6월 15일~16일: 모란
- 2024년 7월 13일~14일: 수련
- 2024년 8월 10일~11일: 나팔꽃
- 2024년 9월 14일~15일: 부겐빌레아
- 2024년 10월 12일~13일 달리아
- 2024년 11월 9일~10일: 클레마티스
- 2024년 12월 13일~14일: 포인세티아
- 2025년 1월 11일~12일: 동백꽃
- 2025년 2월 8일~9일: 설강화
- 2025년 3월 15일~16일: 프리지어
- 2025년 4월 12일~13일: 유채꽃
4.2. 시즌 데코
특정 기간에는 기간 한정 데코피크민이 등장한다. 서비스 초반 기준으로 2025년 현재는 월별 이벤트로 대체되었다.- 2021년 12월 21일 ~ 2022년 1월 11일
해당 기간에 얻은 모종에서 길거리 데코 피크민의 스티커가 크리스마스풍으로 바뀐다.
- 2022년 2월 1일 ~ 2월 10일
이벤트 기간에 지금까지 모종이나 피크민을 발견한 적 없는 장소에서 스페셜 이벤트 아이콘이 붙은 큰 모종을 키우면 설날 복주머니 데코를 가진 피크민이 등장한다. 한 번에 하나씩만 키울 수 있으며 빨강, 노랑, 파랑 중 랜덤한 색상의 피크민을 얻을 수 있다.
설날 데코피크민은 다시 제공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 2022년 3월 17일 ~ 3월 20일
해당 기간동안 스페셜 이벤트 아이콘이 붙은 큰 모종에서 네잎클로버를 얻을 수 있다.
- 2022년 4월 21일 ~ 4월 23일
4월 22일 지구의 날을 기념하여 스페셜 이벤트 아이콘이 붙은 큰 모종을 얻을 수 있다. 이 모종은 숲의 데코를 가진 모종으로 사슴벌레 또는 도토리 데코를 가진 피크민을 얻을 수 있다.
- 2022년 7월 18일 ~ 7월 30일
7월 20일 체스의 날을 기념하여 스페셜 이벤트 아이콘이 붙은 큰 모종을 키우면 체스 피스 데코를 가진 피크민이 등장한다. 한 번에 하나씩만 키울 수 있다. 또한 이벤트를 마치면 체스 피스 데코를 가지고 있는 금모종을 얻을 수 있다. 노랑, 파랑, 하양, 보라 중 랜덤한 색상의 피크민을 얻을 수 있다.
5.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기준일:
2024-11-01
2024-11-01
'''[[https://www.metacritic.com/game/pikmin-bloom/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https://www.metacritic.com/game/pikmin-bloom/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상세 내용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5f6269,#5f6269><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Google Play 로고.svg]()
||
기준일:
2024-11-01
2024-11-01
총 평점: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ianticlabs.pikmin| ★★★★★ 4.9 /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12.5만; font-size:.9em"]]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71e3,#0071e3><table bgcolor=#ffffff,#1c1d1f>
||
기준일:
2024-11-01
2024-11-01
총 평점: [[https://apps.apple.com/kr/app/pikmin-bloom/1556357398| ★★★★★ 4.9 /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1.1만; font-size:.9em"]] |
메타스코어만 따지면 시리즈 역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전반적으로 만보기 시스템을 기반으로 피크민 수집, 꽃 심기, 챌린지, 주간 퀘스트 같은 요소들을 더해 움직이는 것에 동기부여를 주는 것이 전부라 콘텐츠도 부족한 편[58]이며, 정기적으로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긴 하지만 스킵해도 게임플레이에 딱히 지장은 없어서 이벤트의 중요성도 좀 떨어지는 편이다. 똑같이 Niantic, Inc.에서 제작한 Pokémon GO와 마찬가지로 자잘한 버그가 많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많이 거론된다.
그래도 단순히 많이 걷는 것 하나만으로 여러 보상을 두둑히 챙길 수 있는 게임 구조상 간편하게 즐기기에 매우 훌륭한 게임이며, 이벤트의 낮은 중요성도 좋게 말하면 게임 플레이에 큰 부담이 없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지투런 하드투마스터 성향도 의외로 충실해서, 데코피크민 수집에 파고들기 시작하면 많이 걸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 빅플라워 농사 및 신중한 버섯 전투 참여로 원하는 정수를 수급하는 요령도 필요해진다. 게다가 원하는 피크민이 나올 때까지 많은 노가다와 운빨 역시 요구된다는 특성도 겹쳐 헤비하게 즐기기에도 충분한 게임이다.
그 외에도 걷기를 통해 모종을 성장시켜 피크민을 수집한다는 참신함과 더불어 게임의 메인이 되는 수집 요소인 데코피크민과 피크민들의 귀여운 모션으로 피크민이라는 캐릭터의 매력을 잘 살려낸 것도 자주 호평받는 요소이다. 무엇보다도 접근성이 매우 뛰어난 모바일 기종으로 출시된 덕분에 시리즈의 홍보에 큰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이 게임의 가장 큰 의의일 것이다.
5.1. 한국에서의 흥행
구글 트렌드로 분석하면 10월 10일 경부터 갑자기 곡선이 치솟는 걸 알 수 있다. 인터넷 기사에서는 X(구 트위터), 인스타그램 같은 SNS에서 피크민 블룸이 '산책하는 동물의 숲'으로 퍼진 것을 유행의 근원으로 설명하며 디시인사이드 피크민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X의 바이럴 만화와 X에서 유행한 아래 짤방이 유행의 시작이라고 본다.
때문에 오히려 일반인들이 본 게임을 역으로 홍보하고 정작 전부터 피크민 시리즈를 알고 있던 기존 게이머들과 팬덤이 어리둥절 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졌다.
이 게임은 출시한지 3년이 지나고 나서야 인기를 끌었고, 별다른 업데이트나 소식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으며, 그냥 이유 없이 번진 것에 가깝다. 위 SBS 기사에서는 친구 QR코드 기능 추가나 캐릭터가 귀여워서 인기를 끌었다고 언급했지만 피크민 시리즈는 이미 국내에서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로 어느 정도 알려진데다 2011년 1편의 Wii 이식 버전을 시작으로 한국에 소개된지 13년이 넘은 작품이고 2018년부터 2023년까지 헤이! 피크민, 피크민 3 디럭스, 피크민 1+2, 피크민 4가 전부 나란히 국내에 출시되어 꾸준히 홍보를 진행했음에도 4 정도를 제외하면 대중적으로는 큰 반향이 없었던 작품이라 그럴 확률은 낮은 편이다.
사실 시리즈 본가 자체가 전통적으로 항상 비평은 좋은데 흥행은 다소 약한, 닌텐도 게임치고는 마이너한 성향이 있었으며[59] 국내에선 그나마 3 디럭스를 기점으로 [60]마니아층에서 조금씩 인지도가 올라가고 있었으나 닌빠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닌텐도 마이너 갤러리에서조차 미야모토 시게루의 아픈 손가락 취급을 받으며 퍼스트파티 답지 않게 박한 대우를 받았을 정도였다.
이래저래 피크민 블룸의 이례적인 흥행은 전례가 거의 없었을 정도로 신기한 현상임은 확실하다. 이례적인 흥행에 한국 공식 X 계정까지 개설되었는데 한국에서의 인기를 보여주듯 개설 이틀만에 2만 팔로워를 넘겼다. 후에 인스타그램 계정도 신설되었다.
어느정도 유행이 지난 2025년 3월 기준으로도 더 현대 서울에서 팝업스토어가 열리고 예약입장 전 시간대가 빠르게 마감되며 온라인샵에선 굿즈가 품절되는 등 인기가 확실히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
이 흥행에 힘입어 2025년 5월 초에 서울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피크민 블룸 투어가 예고됐다.
다만 피크민 블룸은 본가 시리즈와 비교했을 때 게임플레이와 분위기 면에서 갭이 크다보니 본가로 역유입되었다가 장르가 RTS 테이스트가 있는 어드벤처 게임인 것, 약육강식이 전반에 깔려있는 세계관과 피크민들의 죽음, 간혹 수집요소에 달려있는 수위있는 설명문과 원주생물들의 디자인과 같은 기괴한 요소 때문에 충격을 받는 경우도 있다.
6. 기타
- 나이언틱에서 개발한 여타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오픈스트리트맵의 지도 데이터를 사용한다.
- 닌텐도 스위치에서 피크민 4 체험판을 플레이하여 1500에너지를 모으거나 제품판을 플레이할 시 '피크민 4 와치와 함께하는 인형 옷' 교환 번호를 받을 수 있다.
[1] 2022년 11월부터 피크민 4와 동일하게 'P' 안에 꽃 그림이 들어간 로고로 변경되었다.
![파일:pikminbloom-logo.webp]()
이전 로고[2] 차이점이라면 포켓몬 시리즈는 세컨드 파티라 닌텐도는 약간의 지분만 차지하지만, 피크민 시리즈는 퍼스트 파티인 만큼 개발과 유통까지 담당한다.[3] 피크민 시리즈가 20주년을 맞이하는 날이다.[4] 180코인 또는 3,000원을 지불하면 5개씩 한도를 늘릴수 있다. (최대 100개, 총 14번 업그레이드)[5] 커뮤니티 데이의 경우 꽃을 심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50%의 성장률 증가, 꽃심기 진행시 무려 최대 90%까지 증가한다. 그렇기 때문에 화분 탭에 큰 모종이 많을 경우, 커뮤니디 데이를 활용해보자.[6] 최대 피크민의 수는 일반 모종 운반 능력치의 두배이다.[7] 닌텐도 계정 연동 보상으로 받는 마리오 데코 큰모종은 레벨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다.[이벤트] 무조건 이벤트로만 획득할 수 있다.[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16] 피크민 3까지 등장한 피크민들이다.[17] 피크민 4에서 첫 등장한 얼음, 반짝피크민의 경우, 피크민 4가 Pikmin Bloom보다 늦게 출시되었기 때문에 등장할 가능성은 불명이다.[18] 루머에 따르면 게임 데이터에 얼음피크민 관련 더미 데이터가 있다고 하나,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없다. 데코피크민 콜렉션이라는 게임 시스템상 설령 진짜 실장한다 하더라도 대형 업데이트가 될 것이다. 레딧 등지에서는 4주년 업데이트를 유력한 후보로 보고 있다.[19] 유일하게 비행이 가능하여 이동속도가 빠르다. 탐험 시 제일 효율적인 피크민.[20] 단단해서 수정 장애물을 파괴한다.[21] 꽃을 4번 이상 수확한 상태에서는 배가 충분히 부른 모양인지 피크민이 정수를 보고도 잠시 멍때리며, 정수를 가지러 오는 속도도 느릿느릿해지는 디테일이 존재한다.[22] 피크민이 화를 낼 때의 음성은 본가 피크민 시리즈에서 피크민을 잡아 던지려고 할 때 내는 음성이다.[23] 특정 이벤트로 얻는 데코는 그 이벤트 기간동안 작업력이 추가로 상승하고 이벤트 버섯 상대로 작업력이 대폭 증가한다.[24] 일반 하양 정수는 다른 정수와 다르게 잎 상태에서 한 번만 먹이면 꽃봉오리로만 변하기 때문에 꽃봉오리 상태에서 한 번 더 먹여야 일반 하얀 꽃을 피운다.[25] 덤으로 일반 하양 꽃잎도 랜덤성이 있어서 빅플라워를 피울시 매달 이벤트에 해당하는 하양색 특수 꽃 뿐만 아니라 다른색의 특수 꽃이 개화할 가능성이 낮게나마 있다.[26] 현실에서 파란색이 희귀한 색이라는 걸 반영했다고 한다.[27] 대한민국에서는 청와대 등이 있다.[28] 따라서 하얀 일반 꽃잎을 심으면 랜덤한 색 + 랜덤한 종의 꽃이 핀다.[예시] 튤립의 경우, 분류는 '파란 튤립'이지만 색상은 보라색에 가깝다. 이 꽃과 비슷한 느낌.[30] 최신 업데이트(마지막으로 핀 달) 기준. 대략적인 수치를 나타낸 것이므로 년도별로 상이해 질 수 있음.(작년에는 가을 꽃이었다가 이듬해 봄 꽃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특수꽃은 각자 제철(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으며 빅 플라워에서 일반 꽃잎만으로 랜덤하게 피어나는 시기는 최대 3달간 지속된다. 대개 전 년도 같은 달 특수꽃을 이듬해에도 복각해줌으로서 다음 달 이달의 꽃과 피어날 꽃을 예측해 볼 수 있으나 25년 2월 설강화처럼 신규 꽃이 업데이트되는 등 예외는 존재한다. 역대 이달의 꽃 정리#2 예외로 5월, 11월 마지막 주에는 n.5주년 및 n주년 기념으로 "커뮤니티 위크" 기간으로, 지나간 달의 꽃들을 대폭 복각해주는 이벤트가 있다.플레이어들의 다리가 제일 분주해지는 기간[31] 업데이트로 명칭이 한번 변경되었다. 변경 이전 명칭은 베이비 블루 아이즈.[32] 예외로 2025년에는 3월에 복각을 안 하고 대신 팬지를 복각했다.[33] 하양, 빨강만 있었으나 2025년 1월 업데이트로 노랑, 파랑이 추가되었다.[34] 하양, 빨강만 있었으나 업데이트로 노랑이 추가되었다.[35] 2025년 2월 업데이트로 첫등장[36] 2025년 4월 업데이트로 첫등장. 최초로 빨강만 없는 꽃이다.[37] 하양, 빨강만 있었으나 2024년 12월 업데이트로 노랑, 파랑이 추가되었다.[38] 2025년 3월 업데이트로 첫등장[39] 2024년 12월 업데이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변경 이전 명칭은 크리스마스로즈.[40] 서비스 초창기에는 갈색 버섯도 존재했으나, 6월 독버섯 업데이트 이후 잠수함 패치로 삭제되었다.[41] 보라, 날개피크민의 경우 전용 속성이 없기 때분에 전용 특수버섯은 없다.[42] 거대 사이즈는 주말에만 나온다.[43] 특별 버섯은 색깔이 같은 피크민만 보낼 수 있고 스페셜 정수도 얻을 수 있다.[44] 설정 상 머리 위에 난 꽃으로 때린다는 설정이다. 이를 모르던 플레이어들은 '박치기' 인 줄 알았다는 사람이 많았다.[45] 사과, 풋사과, 포도, 샤인머스켓, 키위, 금귤, 딸기, 무화과, 복숭아, 오렌지 등.[46]
[47] 걸음수 목표와 꽃 심기 목표는 동시에 진행 할 수 있지만 10만 걸음 걷기와 3만 걸음 걷기를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48] 농사를 짓고 있는지 확인한 뒤 피우는 것이 좋다. 해당 기능 추가 이후 엽서테러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49] 당장 국내에서도 거리가 있다면 며칠은 걸리는데 해외로 데코를 찾으러 가야할 경우 주 단위로 걸린다. 보통 사람들이 자주 방문하는 일본은 1~2주, 동남아는 1달로 잡는다. 중국은 서비스를 하지 않는 지역이므로 논외.[50] 해가 지면 더 이상 걸어도 잎사귀를 회복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오후 6시까지, 3월부터는 오후 8시까지.[51] 새싹이나 꽃봉오리에 꽃잎을 150장 투자하여 꽃을 피우고 엽서를 가지고 오게 시킨 피크민들도 정수를 먹은 횟수가 즉시 0/6으로 리셋된다.[52] 안전을 위해 +5~10분 정도를 잡는 것을 권장한다.[53] 그래도 꽃잎의 수는 소모되며 모종 걸음 부스트도 유지된다.[54] 예를 들어 토요일 5,000걸음, 일요일 5,000걸음을 걸었다면 성공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일요일로 넘어가는 자정에 걸음수가 초기화되어 다시 채워야 한다.[55] 2022년 1월부터 추가된 보너스이다.[56] 1주년 기념[57] 2023년 5월 이후로 이틀동안 진행된다.[58] 사실 앱 자체가 게임보다는 산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Pokémon GO와 같은 방대한 콘텐츠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추구하는 방향성이 다르므로 다양한 콘텐츠나 즐길거리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사실상 "게임"이 아니라 "산책 목적의 운동용 앱"으로 보는 게 적절하다.[59] 이 때문에 닌텐도 팬덤 사이에서는 메트로이드 시리즈,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시리즈와 함께 3군 정도의 취급을 받고 있던 시리즈다.[60] 3 오리지널이 나올때만 해도 피크민은 게임큐브나 위 유 같이 정발되지 않은 기기로만 본편이 나왔고 오랫동안 본편 신작이 없어서 대중 인지도가 없다시피 했다. 심지어 2는 오리지널이 나온지 한창 지나서 합본판이 나와서야 정식 한국어화가 되었다.
이전 로고[2] 차이점이라면 포켓몬 시리즈는 세컨드 파티라 닌텐도는 약간의 지분만 차지하지만, 피크민 시리즈는 퍼스트 파티인 만큼 개발과 유통까지 담당한다.[3] 피크민 시리즈가 20주년을 맞이하는 날이다.[4] 180코인 또는 3,000원을 지불하면 5개씩 한도를 늘릴수 있다. (최대 100개, 총 14번 업그레이드)[5] 커뮤니티 데이의 경우 꽃을 심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50%의 성장률 증가, 꽃심기 진행시 무려 최대 90%까지 증가한다. 그렇기 때문에 화분 탭에 큰 모종이 많을 경우, 커뮤니디 데이를 활용해보자.[6] 최대 피크민의 수는 일반 모종 운반 능력치의 두배이다.[7] 닌텐도 계정 연동 보상으로 받는 마리오 데코 큰모종은 레벨 제한 없이 받을 수 있다.[이벤트] 무조건 이벤트로만 획득할 수 있다.[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이벤트] [16] 피크민 3까지 등장한 피크민들이다.[17] 피크민 4에서 첫 등장한 얼음, 반짝피크민의 경우, 피크민 4가 Pikmin Bloom보다 늦게 출시되었기 때문에 등장할 가능성은 불명이다.[18] 루머에 따르면 게임 데이터에 얼음피크민 관련 더미 데이터가 있다고 하나,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없다. 데코피크민 콜렉션이라는 게임 시스템상 설령 진짜 실장한다 하더라도 대형 업데이트가 될 것이다. 레딧 등지에서는 4주년 업데이트를 유력한 후보로 보고 있다.[19] 유일하게 비행이 가능하여 이동속도가 빠르다. 탐험 시 제일 효율적인 피크민.[20] 단단해서 수정 장애물을 파괴한다.[21] 꽃을 4번 이상 수확한 상태에서는 배가 충분히 부른 모양인지 피크민이 정수를 보고도 잠시 멍때리며, 정수를 가지러 오는 속도도 느릿느릿해지는 디테일이 존재한다.[22] 피크민이 화를 낼 때의 음성은 본가 피크민 시리즈에서 피크민을 잡아 던지려고 할 때 내는 음성이다.[23] 특정 이벤트로 얻는 데코는 그 이벤트 기간동안 작업력이 추가로 상승하고 이벤트 버섯 상대로 작업력이 대폭 증가한다.[24] 일반 하양 정수는 다른 정수와 다르게 잎 상태에서 한 번만 먹이면 꽃봉오리로만 변하기 때문에 꽃봉오리 상태에서 한 번 더 먹여야 일반 하얀 꽃을 피운다.[25] 덤으로 일반 하양 꽃잎도 랜덤성이 있어서 빅플라워를 피울시 매달 이벤트에 해당하는 하양색 특수 꽃 뿐만 아니라 다른색의 특수 꽃이 개화할 가능성이 낮게나마 있다.[26] 현실에서 파란색이 희귀한 색이라는 걸 반영했다고 한다.[27] 대한민국에서는 청와대 등이 있다.[28] 따라서 하얀 일반 꽃잎을 심으면 랜덤한 색 + 랜덤한 종의 꽃이 핀다.[예시] 튤립의 경우, 분류는 '파란 튤립'이지만 색상은 보라색에 가깝다. 이 꽃과 비슷한 느낌.[30] 최신 업데이트(마지막으로 핀 달) 기준. 대략적인 수치를 나타낸 것이므로 년도별로 상이해 질 수 있음.(작년에는 가을 꽃이었다가 이듬해 봄 꽃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특수꽃은 각자 제철(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으며 빅 플라워에서 일반 꽃잎만으로 랜덤하게 피어나는 시기는 최대 3달간 지속된다. 대개 전 년도 같은 달 특수꽃을 이듬해에도 복각해줌으로서 다음 달 이달의 꽃과 피어날 꽃을 예측해 볼 수 있으나 25년 2월 설강화처럼 신규 꽃이 업데이트되는 등 예외는 존재한다. 역대 이달의 꽃 정리#2 예외로 5월, 11월 마지막 주에는 n.5주년 및 n주년 기념으로 "커뮤니티 위크" 기간으로, 지나간 달의 꽃들을 대폭 복각해주는 이벤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