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역대 Pointercrate 포럼 순위 1위
클래식 / 플랫포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ICE Carbon Diablo X[H] | |||||||||||||||
Future demoness | ||||||||||||||||
Cataclysm[V] | ||||||||||||||||
Bloodbath | ||||||||||||||||
Sakupen Hell[V] | ||||||||||||||||
Athanatos[V] | ||||||||||||||||
Artificial Ascent | ||||||||||||||||
Yatagarasu | ||||||||||||||||
Digital Descent | ||||||||||||||||
Stalemate Redux | ||||||||||||||||
Erebus | ||||||||||||||||
Sonic Wave[V] | ||||||||||||||||
Plasma Pulse Finale | ||||||||||||||||
Bloodlust | ||||||||||||||||
Crimson Planet | ||||||||||||||||
Zodiac[H] | ||||||||||||||||
The Golden | ||||||||||||||||
Tartarus | ||||||||||||||||
Sakupen Circles[V] | ||||||||||||||||
Abyss of Darkness[V] | ||||||||||||||||
Slaughterhouse[V] | ||||||||||||||||
Acheron | ||||||||||||||||
Avernus | ||||||||||||||||
Tidal Wave[1] | ||||||||||||||||
{{{#!wiki style="color: #FFF;" {{{#!folding 정확한 순서 열기·닫기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ICE Carbon Diablo X → Cataclysm → Future Demoness → Cataclysm → Bloodbath → Sakupen Hell → Bloodbath → Sakupen Hell → Athanatos → Sonic Wave → Artificial Ascent → Sonic Wave → Yatagarasu → Sonic Wave → Erebus → Digital Descent → Erebus → Sonic Wave → Erebus → Stalemate Redux → Erebus → Sonic Wave → Plasma Pulse Finale → Bloodlust → Zodiac → Crimson Planet → Zodiac → Tartarus → The Golden → Tartarus → Slaughterhouse → Sakupen Circles → Slaughterhouse → Abyss of Darkness → Slaughterhouse → Acheron → Avernus → Tidal Wave |
}}}}}}}}} |
역대 포럼 순위 1위
<rowcolor=#fff> ICE Carbon Diablo X by Roadbose (Hacked) | ||
| ||
Demon an incredibly difficult! Demon Please!!!!! Robtop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651D29> 레벨 정보 | |
레벨 ID | 814678 | |
레벨 비밀번호 | 없음(복사 불가) | |
레벨 길이 | 1분 26초 | |
오브젝트 수 | 7,816 | |
업로드 버전 | 1.6 |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color=#fff><bgcolor=#1F0A0B><width=50%> 보상 ||
|| 10 500 | |
리스트 기록 | |
<colcolor=#fff><colbgcolor=#651D29> GDDLadder 티어 | 20티어 |
Pointercrate 최고 순위 | #1 |
<rowcolor=#fff> 사용된 사운드트랙 | ||
dj-Nate - Clubstep |
1.6 때 한국인 유저 Roadbose가[1] 핵을 사용해 만든 맵. Geometry dash 최초의 Extreme Demon 난이도의 맵으로,[2] 현재는 인세인 데몬 상위~최상위권 정도의 평가이지만 2020년대 익스트림 데몬의 하한선이 Cataclysm 정도로 떡상하기 전까지는 이 맵이 익데의 하한선을 맡았다. 그에 걸맞게 1칸 비행은 기본이며 길이 좁은 45도 비행과 비행이 아니더라도 중후반 볼 구간까지 칼타이밍이 밥먹듯이 나오는 매우 어려운 맵이다. 특히 95% 소형화 중력반전 1칸비행은 정신을 못 차릴 정도.
현 시점에서도 인세인 데몬 최상위권으로 여겨지는 맵인데, Clubstep도 매우 어렵다는 얘기를 듣던 시절인 1.6 때[3] 이 맵이 나왔으니 그 당시 얼마나 충격적이었을지 대략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출시 당시부터 1.9 때까지 Silent Clubstep 등과 함께 불가능 맵의 상징 중 하나[4]였으며, 결국 최초로 Riot이 깬 후 고수들이 줄줄이 깨기 시작했다. 2.0 리메이크 버전도 존재한다.
익스트림 데몬 중에서 The Hell 시리즈를 제외하고 가장 먼저 만들어진 데몬이었고, 클리어 후 정식 업데이트는 Cataclysm 이후에 되었다. SEA1997의 영상을 보면 ICDX 또한 포럼 1위 자리에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5]
Doomsday가 극악 업데이트로 인해 포럼으로 올라오면서 역대 1위 데몬 최초로 Extended로 추락했다. 이후 재평가를 받아서 십여 단계 하락했다. 그 후 Ziroikabi가 포럼 20위를 찍으면서 2019년 7월 5일, 무려 4단계 이상 하락하며 역대 1위 데몬중 처음으로 Legacy로 떨어졌다. 이후에도 계속 추락을 반복, 결국 2020년 10월 초 기준으로 포럼 순위 1위에서 250위까지 내려간 상태이다. 극도의 상향평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이자 최대 피해자가 된 셈.
결국 2021년 4월 11일, Insane Demon으로 추락했다. 이는 역대 1위 데몬 중 최초의 사건[6]이다. 그 후 몇 개월 동안 Insane Demon과 Extreme Demon 사이를 오가다가 결국 인세인 데몬에 눌러앉았다. 2023년 11월 26일, 약 2년 반만에 Extreme Demon으로 재승격했지만 2024년 1월 23일 약 2달만에 다시 Insane Demon으로 하락했다.
한 때 지오메트리 대시 유저들 사이에서 이 맵을 기준으로, Extreme 데몬과 Insane 데몬으로 나뉘었었다. 암묵적인 룰이었던 셈. 현재는 ICDX 본인이 Insane 데몬으로 떨어진 지라 반대로 이 경계 위치가 Retention이다.
2. 구간
1구간 |
맵의 초반을 다지는 구간, 2~3%의 굴곡 비행을 제외하면 딱히 어려운건 없는 구간이다. 뒷부분에는 기존의 Clubstep과 비슷하게 중력반전 포탈이 3개 나오고 2구간으로 진입한다.
2구간 |
극악 비행의 시작
여기서부터 갑자기 1칸 비행이 나온다. 1칸비행에 중력 반전도 있고 굴곡도 있기 때문에 꽤나 어려운 구간. 이 파트가 드롭 파트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3구간 |
큐브가 중심인 구간, 40% 굴곡 비행[7]을 제외하면 딱히 어려운 부분은 없다.
4구간 |
볼 모드가 나오는데, 훼이크와 타이밍이 약간 까다로운 편이다. 그 다음은 UFO가 나오는데, 역시 타이밍이 까다롭다.
5구간 |
굴곡 비행이 나오고, 큐브가 나오는데 훼이크, 중간 중간 타이밍에 주의할것.
6구간 |
볼 모드 연타+칼타를 한 다음, 바로 기울어진 1칸 비행, 1칸 비행이 나오는데, 어려운 구간에 속한다. 그 다음 큐브가 나오는데, 컨트롤적 요소는 별로 없지만 훼이크를 주의할것.
7구간 |
1칸으로 틈을 들어가야 하는 비행이 나오고, 그 다음 소형 굴곡 비행이 나온다.
그 후에 큐브위주 모드가 나오고, 93%부터 소형 비행이 나오는데, 맵 중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손꼽힌다.[8]
그 다음 투명 가시 사이를 통과하면 GG.
3. 여담
제목이 길어서 ICE Carbon Diablo X을 줄여 ICDX이라고 부른다. 또한 이 문서는 ICDX로도 들어올수 있다. 또 한국 유저들에게는 "아카디엑"으로도 불린다.하필 마지막 비행기가 맵 최고난이도이며, 그래서 그런지 95, 96%, 98%에서 죽은 사람이 정말 많다.
현재 클리어자는 350명 이상으로 매우 많다.[9] 그중 한국인 유저는 LIFE, Rainstorm, Kainite, Seturan, Sungsu kim 등이다. 한국인 유저 중 최초 클리어자인 SuperSNSD가 69%에서 플루크했다.
그리고 모바일 유저 중 실력 Top1으로 꼽히는 이탈리아 유저 Pacosky18이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1.6 버전에서 가장 마지막에 나온 데몬레벨이다. 이 맵이 나오고나서 고작 2일 후에 1.7이 업데이트되었다. 참고로 1.7에서 가장 먼저 나온 데몬이 NepTune의 Electrodynamix v2
또한 Ice carbon diablo X와 Electrodynamix v2는 버전이 갈려버린 데몬맵들의 쌍 중 가장 날짜 차이가 적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0]
[1] 지금은 계정이 초기화되어 -로 나온다. 최초의 인세인 데몬인 Ice carbon just의 제작자인 TheRealJust와 동일인물로, 약 2년 전 포스트를 통해 근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015년에 Deadly silent club이라는 스피드핵 없이는 물리적으로 진행이 불가능한 초막장 핵맵을 만들었다.이것도 잘만 수정하면 FPS 핵만 사용해서 깰 듯 하다 해당 맵은 TPLL에 등재되어 있다.[2] Silent club 등 ICDX 이전에 어려운 맵도 꽤 있었으나, 당시에는 익스트림 데몬이라는 난이도 표기가 없었고 맵들이 대부분 별이 박탈되거나 삭제되어 최초의 익데가 맞다.[3] 1.6이기는 하지만 NePtunE의 1.7 맵인 Electrodynamix v2가 아주 근소하게 나중에 나왔다. 이 맵의 아이디는 814678이며 Electrodynamix v2의 아이디는 839175로 날짜 차이가 아주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7이 업데이트 되기 하루이틀 전에 업로드 된 것으로 추정[4] 다만 현재의 시각으로는 Silent Clubstep과 이 맵은 난이도 차가 비교 불가 수준이다. 이 맵은 현재 인세인 데몬이고, Silent Clubstep은 꽤나 너프를 먹었음에도 현재 top 5안에 들어가고 언너프 버전은 현재도 깬 사람이 없다. 최대 프로그레스가 sobot의 26%, 24-100%이다.[5] 다만 이 때 포럼에 있었던 ICDX나 Cataclysm은 '극악의 데몬'이 아닌 '불가능한 데몬'으로 레이팅 되어 있었고, 여기서 ICDX는 1위, Cataclysm은 현재 인세인 데몬 하위권으로 평가받는 Alphabet X에도 밀려 3위에 있었다. 후에 Cataclysm이 재평가를 받아 ICDX를 앞지르게 된 것.[6] Future demoness는 너프로 인해 인세인 데몬이 된 것이고, Bloodbath와 Bloodlust도 버그때문에 잠시 인세인 데몬이었던 적은 있었으나, 정말 순수하게 난이도 때문에 인세인 데몬으로 추락한 것은 처음이다.[7] 많은 유저들이 이 부분을 극악 구간이라 한다.[8] 1칸을 중력반전 포탈이 2개 있는 상태로 지나가야 한다.[9] 익스트림 데몬 중에서 Bloodbath,Cataclysm 다음으로 클리어자가 많다.[10] Ice carbon diablo X는 2014년 5월 20일에, Electrodynamix v2는 2014년 5월 23일에 나왔으며, 1.7 업데이트가 2014년 5월 22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