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3:35:16

FTTx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컴퓨터 관련 정보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광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SK브로드밴드나 LG U+ 그리고 지역 케이블 TV 사업자에서 사용하는 HFC를 뜻하는 단어에 대한 내용은 HFC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선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조어 초고속 인터넷 · 기가 인터넷 · 10기가 인터넷
기술 용어 HFC · FTTx(FTTH · FTTB) · ADSL · VDSL · ISDN · CO-LAN · DHCP · 비디오텍스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 10기가비트 이더넷 · 100기가비트 이더넷 · 테라비트 이더넷
방송 IPTV · 케이블 방송(셋톱박스)
브랜드 KT 인터넷 · B 인터넷 · U+ 인터넷
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 광 케이블 · 동축 케이블
관련 문서 케이블 인터넷 · 유사광랜 · 두루넷 · · 비대칭형 인터넷 논란 · 인터넷전화 · 인터넷 공유기 · 망 중립성 · 망 사용료 }}}}}}}}}

1. 개요2. 목록
2.1. FTTN
2.1.1. FTTdp
2.2. FTTC2.3. FTTB2.4. FTTH2.5. FTTD
3. 상용화 현황4.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fttx.png
FTTx의 구분
Fiber To The x라는 의미로, 광 케이블을 어디까지 보내느냐에 따른 여러 기술을 총칭한다.

ISP나 네트워크 장비 업체 등이 수만 가지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 중이기에 어느 게 맞는다고 딱히 정해진 게 없다. FTTH와 FTTB 정도가 공통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며, 그 외에는 같은 용어조차 서로 다르게 쓰이는 경우도 있다.

2. 목록

2.1. FTTN

Fiber To The Node
Fiber To The Neighborhood
Fiber To The End node(FTTE)
Fiber To The Enclosure(FTTE)
FIber To The Zone(FTTZ)

파일:파워콤랜선단자함.jpg

전신주나, 길가까지 광 케이블이 깔리고 이후 집안까지는 랜선이 들어오는 방식으로 과거 FTTH가 상용화 되기 전 KT의 주택 광랜이 이러한 형식을 띤다. 현재는 FTTH로 교체가 되고 있는 중이고, LG유플러스SK브로드밴드의 주택광랜 중 일부가 이 방식을 쓴다.

초창기 LG U+가 FTTH의 대안으로 야심차게 밀었었으나, 전신주가 포화 상태라[1] 몇 집 건너마다 집주인의 허락을 맡고 건물 옥상이나 뒷편에 장비를 설치해야했기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었고, 다들 KT의 FTTH의 유혹에 빠지는 바람에 사용자도 얼마 되지 않아서 현재는 신설 지역에는 DOCSIS 3.0을 이용한 유사광랜서비스를 하고 있다. 만일 자신의 집에 KT FTTH가 들어오지 않는데 LG에서 이 방식을 서비스 해준다면 만세를 외치자.

그러나 이 방법에도 단점이 있다. 이 방법은 AON 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능동소자. 즉 전기를 먹어야하는 집선장치 스위치를 전주단이나 건물옥상, 아니면 도로 인근에 페디스탈을 설치해야함으로 자리를 점용해야하며, 혹은 전신주단에 스위치 등의 시설물을 설치했다 하더라도 전기를 먹기 때문에 전기요금도 추가로 부담해야한다. 지금은 거의 꺼리는 시공방법이다.

한때 KT에서도 이러한 방법으로 서비스를 했으나 비용 문제로 포기했다. 훨씬 저렴하게 구성 가능한 PON방식으로 RN에서 바로 가정집까지 광 케이블을 전달한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2.1.1. FTTdp

Fiber To The distribution point

일반적으로 FTTN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FTTC나 FTTB를 의미하기도 한다.

2.2. FTTC

Fiber To The Curb
Fiber To The Kerb(FTTK)
Fiber To The Cabinet
Fiber To The Closet

파일:network_cabinet.jpg

외국의 한 인터넷 회사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설치한 시설물이다. FTTC는 이 시설까지 광 케이블이 들어가고, 이것으로부터 각 가정집까지는 구리선으로 연결된다. 대한민국의 KT에 설치한 인터넷용 시설물도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이것을 보통 curb 또는 cabinet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 아파트 같은 경우 건물까지 들어가는 FTTB가 일반적이지만, 외국의 주택단지 같은 거주 형태에서는 이런 캐비넷이 설치된 뒤 각 가정까지 연결된다.

전신주(혹은 빌딩)까지는 광 케이블, 전신주나 빌딩에서 집안까지는 랜선, 동축 케이블, 전화선을 이용하는 것을 뜻하지만 현재는 인터넷 접속서비스의 한 종류로 봐도 무방하다. FTTH가 대중화되기 전까지 쓰인 기술로서, 기존 ADSL이나 VDSL이 전화선의 한계로 인하여 거리의 제한을 받는 것을 탈피하고자 나온 서비스이다. 이 FTTC 방식을 이용하여 ADSL이나 VDSL을 서비스하는 경우도 있다. 초창기 SK브로드밴드의 ADSL이나, 현재 KT에서 서비스하는 IP-VDSL이 그 경우이다.

랜선을 이용한 FTTC 방식은 HFC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유사광랜과는 달리 상/하향 최대속도 100Mbps를 보장함으로써 업체 측에서는 설치비를 아낄 수 있고, 이용자는 높은 속도를 맛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류에 따라서는 FTTB와 FTTN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2.3. FTTB

아파트나 오피스 건물에는 대다수 이 방식으로 인터넷 회선이 제공된다. FTTB 문서 참조.

2.4. FTTH

모든 가정집까지 광 케이블을 보내는 것으로, FTTx의 일반적인 최종 목표이다. FTTH 문서 참조.

2.5. FTTD

Fiber To The Desktop PC
Fiber To The PC(FTTPC)
Fiber To The Workstation(FTTW)
Fiber To The Server(FTTS)
Fiber To The Network Devices(FTTND)[2]

파일:40gbps nic.png
이론적인 최종 단계로, PC에 직접 광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광랜카드를 장착하고 PC까지 광 케이블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광랜카드에는 광 케이블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 주는 트랜시버 모듈이 장착되며, 최대 지원 속도에 따라서 SFP(+), QSFP 등 방식으로 연결된다. 유무선 공유기나 스위칭허브 등의 WAN 포트에 이러한 형태로 나오는 광 트랜시버를 연결할 수 있으면 되며, 기업용 장비에서는 찾아볼 수 있으나 가정용 장비로 출시된 것은 흔하지 않다. 예시

현재는 기업용 인터넷으로만 제공되는데, 서버에는 기본적으로 광랜카드가 달려 있는 경우가 흔히 있기에 가능한 구성이다. 'FTTS'(Fiber To The Server)라는 이명이 존재하는 이유 또한 바로 그것이다. 서버까지는 광으로 그대로 들어가고, 중간에 스위치로 분기쳐서 업무용 PC는 일반 랜케이블로 연결한다.

참고로, 가정에서도 이런 기업용 인터넷(FTTS)을 신청해서 사용할 수는 있다. 다만, 한 달에 겨우 몇만 원이면 해결되는 가정용 인터넷과는 다르게, 기업용 인터넷은 회선 요금의 단위 자체 부터가 다르다(최소 10배 이상). 혹여나 회선이 들어 온다고 하더라도 필요한 장비의 가격도 장난 아니고, 그런 장비에서 소모하는 전력 및 소음, 발열 문제도 상당하다.

여담으로 기업에서 장거리 송수신 전용으로만(건물내부) 쓰는 광변환기나 광으로 직결해주는 NAT나 스위치류가 있다. 컨버터도 기가비트 미지원 기기의 단가가 재고품인데도 좀 높다(그리고 세트로 해야 한다. NAT류냐 아니냐를 떠나 기기마다 파장이 다소 다르다. 파장변환커플러라고는 있는데, 전기든 광이든 컨버터를 거칠수록 성능이 저하된다). 예전의 일반전화모뎀이나 ADSL에 있었던 내장형 모뎀과 비슷하다. 단 VDSL이나 케이블모뎀은 내장형 모뎀이 없었다.

PON 모듈이 있으면 사용은 이론상 가능하다. 설치방법
하지만, KT, LGU+, SKB 등 대한민국 ISP 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광모듈이 분리가 가능한 모뎀이 제공될 경우, 위 영상과 같이 해당 광모듈을 분리해서 광랜카드에 장착하는 시도를 해 볼 수는 있긴 하지만, 인터넷 사용은 불가능하다. 인터넷 회선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위 장비에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런 정보는 모뎀으로 부터 받아오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광모듈만 분리하여 다른 장비에 연결할 경우 회선 연결이 안된다.

인터넷 개통후 기존 모뎀의 맥주소를 복사한 후 사용시 정상 작동 합니다. 맥주소를 복사하지 않아도 KT 기준으로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처음부터 개통자체를 사제 모뎀이나 직결시 개통을 안해준다. 어느나라 통신사든 동일할 것 같다.
Epon은 가입자정보를 mac주소로 가져온다.

KT = EPON,10G EPON(10기가용과 기가용 파장이 달라 호환이 불가)
LG = EPON,10G EPON(10기가용과 기가용 파장이 달라 호환이 불가)
SKB = GPON,XGSPON

3. 상용화 현황

4. 관련 문서


[1] KT는 통신 전용 전신주를 가지고 있지만, LG는 한국전력공사 전신주를 공유한다.[2] Network Devices(네트워크 장치)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콘솔 게임기, TV, 셋톱박스 등을 통칭하여 부르는 명칭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도 네트워크 장치의 일종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