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1:21:37

100기가비트 이더넷

유선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조어 초고속 인터넷 · 기가 인터넷 · 10기가 인터넷
기술 용어 HFC · FTTx(FTTH · FTTB) · ADSL · VDSL · ISDN · CO-LAN · DHCP · 비디오텍스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 10기가비트 이더넷 · 100기가비트 이더넷 · 테라비트 이더넷
방송 IPTV · 케이블 방송(셋톱박스)
브랜드 KT 인터넷 · B 인터넷 · U+ 인터넷
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 광 케이블 · 동축 케이블
관련 문서 케이블 인터넷 · 유사광랜 · 두루넷 · · 비대칭형 인터넷 논란 · 인터넷전화 · 인터넷 공유기 · 망 중립성 · 망 사용료 }}}}}}}}}


1. 개요2. 세부 스펙3. 단자4. 여담5. 개인 사용자 관점
5.1. 2020년대 이전5.2. 2020년대 이후

1. 개요

100기가비트 이더넷은 10기가비트 이더넷의 10배의 속도를 내는 기술이다.

이 속도는 광 케이블을 필요로 하며[1], 구리선을 이용한 기술 표준은 아직 나와 있진 않다. 구리선으로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고 Direct Attach Cable (DAC) 라고 해서 초단거리(5m 이내)를 지원하는 케이블이 팔리고는 있다.

2. 세부 스펙

기가비트 이더넷에서 10기가비트 이더넷로 넘어갈 때 한번에 넘어가지 못하고, 2.5기가비트 이더넷, 5기가비트 이더넷을 중간단계로 만든것과 마찬가지로, 100GbE 또한, 25GbE, 40GbE, 50GbE 등의 중간 단계가 존재한다.

10GbE 의 2.5배 성능이 나오는 25GbE 가 있으며, 5배 성능을 내는 50GbE 가 있다.

이와 별개로 10GbE를 4채널로 묶은 40GbE 스펙이 존재한다.

100GbE 는 구현 기술에 따라서 10GbE 10채널로 구성되거나, 25GbE 4채널[2]로 구성된다.

참고로, 10배 더 빠른 이 다음 단계의 기술은 '테라비트 이더넷'이라고 부른다.

3. 단자

파일:100G modules.png
* CFP: 100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는 거대한 크기의 모듈
* CFP2: CFP보다 크기가 작아짐.
* CFP4: CFP2보다 크기가 작아짐.
* CXP: 10G를 10채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100G를 구현한 전용 모듈 방식.
* QSFP28: SFP28의 4배 대역폭으로 일반적으로 100G를 지원한다. 모델에 따라서는 최대 128Gbps를 지원하기도 한다.

4. 여담

백본급 장비에서나 쓰이는 스펙이며, 일반 사용자용으로 내려오기엔 비용 문제가 크게 걸린다. 10기가 인터넷 조차 제대로 성능을 내려면 제반 장비의 가격이 만만치 않은데[3], 100기가급으로 올라가면 장비의 가격 단위가 달라진다. 현 시점에서는 데이터 센터에서나 볼 수 있는 실정.

대응 무선통신Li-Fi가 많이 거론된다.

5. 개인 사용자 관점

5.1. 2020년대 이전

혹여나 개인 PC 에서 쓰려해도 구성 자체가 만만치 않다. 10GbE가 NVMe 스토리지를 필요로 했다면, 100GbE는 여기에 더해서 PCI Express의 버전과 레인 구성까지 따져야 한다. 개인 사용자 차원에서 100GbE의 대역폭을 지원하는 PCI-E 구성은 PCI-E 3.0 x16[4] 이나 PCI-E 4.0 x8 이상이 있다.

100GbE 지원 랜카드 가운데 PCI-E 3.0 x16을 사용하는 제품이 있다. 제품 예시 #1, 제품 예시 #2

2010년대에 이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는 단일 스토리지는 램 디스크 정도밖에 없다. 플래시 메모리/옵테인 메모리 기반 SSD는 PCI-E 4.0 4x를 2020년에야 지원하는 등 2020년대가 되기 전까지 개인사용자는 사실상 사용하기 힘들었다. 데이터센터에서는 아래처럼 NVMe SSD를 RAID로 묶어서 100GbE에 대응한다.
파일:external/www.tomshw.it/hp-z-turbo-drive-quad-pro-open-heat-sync-removed-showing-samsung-ssd-nvme-m-2-ssd-modules-1cb5710e43c7df48cd5851e09efe322db.jpg

결과적으로 그래픽카드, 랜카드, SSD를 모두 장착하기 위해서는 PCI-E 3.0 x16 을 최소 3개 이상 지원하는 최상급 메인보드가 필요해진다.

5.2. 2020년대 이후

2022년 부터 M.2 단자에 PCI-E 5.0 x4 를 지원하는 SSD나 메인보드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실질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100Gb 네트워크 카드도 비싸지만 상용 제품도 많고, 1:1 연결이라면 DAC 케이블을 써서 비교적 저렴하게 연결이 가능해서 속도를 체감해 볼 수는 있다.

다만 아직 이러한 데이터 대역폭을 개인사용자에게 지원하는 ISP는 사실상 없으며, 혹여나 있더라도 이를 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스위치 등 관련 네트워크 장비도 매우 비싸기 때문에, 개인이 이 속도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으며, 내부망에서 테스트 용도로 극소수만 사용하는 것이 고작이다.


[1] 이마저도 광케이블이라고 다 되는 것은 아니고, 멀티모드 광케이블은 OM3부터, 싱글모드 G.652 광케이블 기준으로는 OS2가 지원한다.[2] 이 규격의 명칭이 QSFP28이다.[3] NVMe 스토리지는 그나마 현실적인 가격으로 내려왔지만, 10GbE 네트워크 카드, 10GbE 서비스 이용 가격이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마무시하다.[4] 다른 것도 아닌 그래픽 카드 꽂을 때 쓰는 단자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