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2:47

무선통신

파일:wireless-icons-satellite-thing.jpg
1. 개요2. 상세3. 관련 항목

1. 개요

/ Wireless

통신과 방송을 전자기파음파 등을 통해 전선 없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대부분의 무선시스템에는 무선주파수를 의미하는 RF, 적외선을 의미하는 IR 등이 사용된다.

무선 가전제품에 쓰이는 단어는 똑같은 한자이나, cordless라고 부르니 알아둘 것. 다만 cordless라는 단어는 무선 전동드릴이나 무선 청소기 같이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전원 케이블이 필요 없는 가전제품을 지칭할 때에도 사용한다.

컴퓨터를 유선과 무선을 동시에 쓰는 경우가 있다.

2. 상세

1909년에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무선통신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을 정도로 사실상 현대 IT 분야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막대한 규모의 데이터 송수신을 감당해야 하는 해저 케이블이나 해저 케이블 정도는 아니지만 상당한 규모의 트래픽을 감당해야 하는 유선 인터넷 회선들을 제외하면 우리 주변의 인터넷 환경 대다수가 무선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Wi-Fi, 그리고 LTE, 5G. 이전 세대까지 포함하면 그리고 그 외에도 개인 간의 자잘한 데이터 통신도 사실상 전부 무선통신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Bluetooth. 또한 피처폰 시절 휴대전화 요금폭탄의 원흉으로 유명했던 WAP도 무선통신에 속한다. 그 외에 주변기기와의 연결도 무선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해당하는 가장 보편적인 예로는 무선 마우스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는 데이터 송수신뿐만이 아닌 전력공급도 무선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무선충전 항목으로.

더 넓게 보자면 민간 영역의 IT기기를 제외하고도 광범위한 분야에서 무선기술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하나가 바로 인공위성, 그리고 위성 통신 시스템이다. 이러한 거대 규모의 무선통신체제가 가지는 장점이 바로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해저 케이블은 케이블이 매설된 공간에 이상현상이 발생할 경우 통신에 문제가 생기고 보수 또한 적잖은 추가비용이 들어가지만 무선통신의 경우에는 통신을 송수신하는 두 송수신자의 송수신기기에만 문제가 없고 통신에 영향을 주는 변수만 없다면 통신에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상생활의 기준에서 예를 들자면 유선통신의 경우에는 케이블 자체도 걸리적거리고 공간도 차지하고 외부의 물리적 자극이 통신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데 비해 무선통신은 전파만 교란시키지 않는다면 공간을 덜 차지하고 공간 배치를 바꾸기에도 용이하고 거리를 벌려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역으로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바로 전파 방해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유선의 경우 외부의 EMI에 비교적 강한 반면 무선통신의 경우에는 강한 전파 환경에 들어간다면 통신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전파 환경이 열악한 지하철에서 무선 이어폰이 자주 끊어지는 것이 바로 그 예다. 또한 일부 폐쇄적인 국가에서는 국민들이 외국의 라디오와 TV를 접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방해 전파를 틀어놓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무선통신이 가지는 장점 중 하나가 바로 공간적 제약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른 편리함이기 때문에, 민간영역에서는 큰 규모의 송수신을 필요로 하는 통신이 아닌 이상 무선통신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고 전원공급 또한 점차 무선충전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무선통신으로 인터넷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시도가 진행중이기도 하다. 만약 이것이 성공적으로 완성된다면, 진정한 의미의 무선 인터넷 개념이 완성되는 셈.

3. 관련 항목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인증 이동통신 기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navy><colcolor=#fff> 0세대
(0G)
MTS (1946)
IMTS (1964)
1세대
(1G)
AMPS (1983)
3GPP 계열 3GPP2 계열 IEEE 계열
2세대
(2G)
GSM (1991) cdmaOne (1996)
2.5세대
(2.5G)
GPRS (2000)
EDGE(E-GPRS) (2003)
CDMA2000 1x (2000)
3세대
(3G)
WCDMA (2001)
UMTS(2001)
TD-SCDMA
EV-DO (2002)
3.5세대
(3.5G)
HSDPA (2006)
HSUPA (2006)
HSPA+ (2007)
TD-HSDPA
TD-HSUPA
EV-DO rev. A.B (2007)
(UMB)
EV-DO rev. C
(UMB)
4세대
(4G)
LTE/TDD (2009)
LTE Advanced (2013)
(Carrier Aggregation)
LTE-U(2015)
WiBro (2006)
Mobile WiMAX (2007)
WiBro Evolution (2013)
4.5세대
(4.5G)
5세대
(5G)
NR
(FR2)(2019)
}}}}}}}}} ||

||<tablebordercolor=#00a49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a495><width=1000><-2>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 (GNSS) ||
GPS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나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갈릴레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베이더우
파일:중국 국기.svg
||<tablebordercolor=#99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999><width=1000><-2> 지역 한정 위성 항법 시스템 (RNSS) ||
IRNSS
파일:인도 국기.svg
QZSS
파일:일본 국기.svg
KPS개발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