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22:36:09

FIFA 클럽 월드컵 2025/4강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wiki style="margin: 0 -10px -5px;color: #C89646;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개별 문서가 있는 팀 정보
파리 생제르맹 FC (B조)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조) · FC 바이에른 뮌헨 (C조) · 첼시 FC (D조)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E조) · 울산 HD FC (F조)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조) · 맨체스터 시티 FC (G조) · 유벤투스 FC (G조) · 레알 마드리드 CF (H조)
기타
참가 구단 · 파워 랭킹 · 팀별 리뷰
}}}}}}}}} ||

1. 개요2. 대륙별 4강 진출 팀
2.1. UEFA (3/5)2.2. CONMEBOL (1/2)2.3. AFC (0/1)
3. 진행4. 대진표5. 경기 결과6. 결승 진출 팀7. 총평
7.1. 결승 진출7.2. 탈락

1. 개요

FIFA 클럽 월드컵 2025의 4강에 대한 내용이다.

2. 대륙별 4강 진출 팀

2.1. UEFA (3/5)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8강 UEFA 결과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첼시 파리 생제르맹 바이에른 뮌헨
vs 파우메이라스 1:2 승 vs 바이에른 뮌헨 2:0 승 vs 파리 생제르맹 2:0 패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vs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3:2 승 vs 레알 마드리드 3:2 패 }}}

8강 4경기 중 2경기가 UEFA간 대결이었는데 이 대결이 둘 다 분데스리가 대 비 분데스리가의 경기였으며, 여기에서 분데스리가가 모두 패하면서 분데스리가가 전멸했다. 결과적으로, 8강에 진출한 유럽팀 중 분데스리가만 탈락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4강의 진출한 유럽팀은 모두 다른 국적(첼시 - 잉글랜드, 파리 생제르맹 - 프랑스, 레알 마드리드 - 스페인)이 되면서 각자 국가대표 성향도 생기게 되었다. 나머지 팀 역시 플루미넨시가 브라질 세리A 소속이라 4강에 진출한 모든 팀이 전부 다른 국적이 되었다.

2.2. CONMEBOL (1/2)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8강 CONMEBOL 결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 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
플루미넨시 파우메이라스
vs 알 힐랄 2:1 승 vs 첼시 1:2 패 }}}

플루미넨시가 알 힐랄에 승리하고 파우메이라스가 첼시에게 패배하면서 플루미넨시는 유일하게 유럽 소속이 아닌 4강 진출팀이 되었다.

2.3. AFC (0/1)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8강 AFC 결과
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svg
알 힐랄
vs 플루미넨시 2:1 패

맨체스터 시티를 꺾는 이변을 만든 알 힐랄은 똑같이 인테르를 꺾는 이변을 만든 플루미넨시에게 패배하면서 8강에서 대회를 마감하였다.

3. 진행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결선 토너먼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 #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C89646> 일시(한국 시각) 라운드 1 결과 2 경기장 매치
리포트
비고
16강
6.29(일) 01:00 16강 1경기 파우메이라스 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
1 : 0
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 보타포구 링컨 파이낸셜 필드 파일:FIFA 로고.svg
6.29(일) 05:00 16강 2경기 벤피카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1 : 4
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6.30(월) 01:00 16강 3경기 파리 생제르맹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4 : 0
파일:인터 마이애미 CF 로고.svg 인터 마이애미 메르세데스-벤츠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6.30(월) 05:00 16강 4경기 플라멩구 파일:CR 플라멩구 로고.svg
2 : 4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바이에른 뮌헨 하드록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7.1(화) 04:00 16강 5경기 인테르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0 : 2
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 플루미넨시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7.1(화) 10:00 16강 6경기 맨체스터 시티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3 : 4
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svg 알 힐랄 캠핑 월드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7.2(수) 04:00 16강 7경기 레알 마드리드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1 : 0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유벤투스 하드록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7.2(수) 10:00 16강 8경기 도르트문트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 : 1
파일:CF 몬테레이 로고.svg 몬테레이 메르세데스-벤츠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8강
7.5(토) 04:00 8강 1경기 플루미넨시 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
2 : 1
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svg 알 힐랄 캠핑 월드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7.5(토) 10:00 8강 2경기 파우메이라스 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
1 : 2
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링컨 파이낸셜 필드 파일:FIFA 로고.svg
7.6(일) 01:00 8강 3경기 파리 생제르맹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2 : 0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바이에른 뮌헨 메르세데스-벤츠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7.6(일) 05:00 8강 4경기 레알 마드리드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3 : 2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도르트문트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4강
7.9(수) 04:00 4강 1경기 플루미넨시 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
0 : 2
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7.10(목) 04:00 4강 2경기 파리 생제르맹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4 : 0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결승
7.14(월) 04:00 결승 첼시 파일:첼시 FC 로고.svg
3 : 0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파일:FIFA 로고.svg
조별 리그 전체 경기 일정 및 결과 보기
}}}}}}}}}}}} ||

4. 대진표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4강 대진표
1경기 2경기
7월 9일 04:00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7월 10일 04:00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플루미넨시 첼시 PSG R. 마드리드
0 2 {{{+1 4}}} 0

파일:CWC(Round of 4).jpg

5. 경기 결과

5.1. 1경기 플루미넨시 FC 0 : 2 첼시 FC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4강 1경기
2025년 7월 9일 수요일 04:00 (EDT+13)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뉴저지주, 이스트 러더퍼드)
주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수아 르텍시에
관중: 70,556명
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
0 : 2
파일:첼시 FC 로고(2025-26 AWAY).svg
플루미넨시 첼시
- 파일:득점 아이콘.svg 18' 주앙 페드루
56' 주앙 페드루 (A. 엔소 페르난데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주앙 페드루

플루미넨시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첼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 <colbgcolor=#000> 스코어 2
0.95 기대 득점(xG) 1.71
46% 점유율 54%
12 슈팅 17
3 유효슈팅 5
378 패스 횟수 455
88% 패스 성공률 90%
11 파울 11
2/0 경고/퇴장 1/0
2 오프사이드 4
3 코너킥 4
}}} ||
국내 중계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파일:쿠팡플레이로고(2024).webp
캐스터

양동석
해설자

장지현

파일:플루미넨시 첼시 1.jpg

  • 경기 전 예상
8강전에서 조만간 입단할 이스테방 윌리앙을 만났던 첼시는, 이번에는 거꾸로 2시즌 전까지 첼시 소속으로 뛰었던 티아고 실바를 만나게 되었다. 이 경기에서 첼시가 이긴다면 클럽 월드컵 결승전은 유럽 팀들 간의 맞대결이 성사되며 플루미넨시가 승리하면 남미vs유럽의 구도가 된다.

플루미넨시는 거함 맨체스터 시티 FC를 꺾고 올라온 알 힐랄 SFC를 무너뜨린 만큼 기세가 상당히 올라왔기 때문에 큰 자신감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에 첼시 입장에서는 지난 조별리그에서 플라멩구에게 패배했던 기억을 교훈 삼아 경기에 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기 결과
파우메이라스와의 8강전에서 데뷔전을 가진 주앙 페드루가 친정팀 플루미넨시를 상대로 첼시에서의 선발 데뷔전을 갖게 되었다.

전반 17분, 티아고 실바가 걷어낸 세컨볼을 주앙 페드루가 엄청난 중거리 감아차기로 골망을 흔들면서 첼시의 선제골이자 본인의 첼시 소속 데뷔골을 신고하게 되었다. 이후 플루미넨시도 공세를 이어나갔으나 마르크 쿠쿠레야가 빈 골문으로 들어가는 공을 클리어링하거나, 트레보 찰로바의 핸드볼 파울로 인한 페널티킥이 VAR을 통한 번복으로 취소가 되는 등 득점을 기록하지 못했다.

후반 10분, 상대 세트피스 상황에서 콜 파머가 공을 잘 지켜낸 뒤 엔소 페르난데스가 주앙 페드루에게 연결시켜주며 역습기회가 찾아왔고, 이걸 주앙 페드루가 놓치지 않고 직접 수비 한 명을 제치면서 오른발 강력한 슈팅을 통해 추가골을 만들어냈다. 이후 추가 득점은 없었고 경기가 종료되며 첼시 소속 데뷔골 포함 멀티골을 기록한 주앙 페드루[1]의 활약에 힘입어 첼시가 클럽 월드컵 결승행 티켓을 손에 넣게 되었다.

5.2. 2경기 파리 생제르맹 FC 4 : 0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FIFA 클럽 월드컵 2025 4강 2경기
2025년 7월 10일 목요일 04:00 (UTC+9)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뉴저지주, 이스트 러더퍼드)
주심: 파일:폴란드 국기.svg 시몬 마르치니악
관중: 77,542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TAR HOME).svg
4 : 0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R. 마드리드
6' 파비안 루이스 (A. 우스만 뎀벨레)
9' 우스만 뎀벨레
24' 파비안 루이스 (A. 아슈라프 하키미)
87' 곤살루 하무스 (A. 브래들리 바르콜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파비안 루이스

파리 생제르맹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엠블럼.svg 레알 마드리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colbgcolor=#c89646> 스코어 0
2.52 xG 0.71
68% 점유율 32%
17 슈팅 11
7 유효슈팅 2
93% 패스 성공률 83%
3 코너킥 6
4 오프사이드 0
9 파울 9
1/0 경고/퇴장 2/0
}}} ||
국내 중계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파일:쿠팡플레이로고(2024).webp
캐스터

윤장현
해설자

한준희

파일:파리 레알 1.jpg

  • 경기 전 예상
사전 우승 배당 1,2위 팀간 대결이자 2023-24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과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이 맞붙는 미리 보는 결승전급 빅매치이다. 동시에 킬리안 음바페 더비이기도 하다. 한편 두 팀 모두 수비에서 퇴장 리스크를 떠안은채 경기에 임하게 되는데, PSG는 윌리안 파초뤼카 에르난데스가 퇴장 징계로 클럽 월드컵을 막을 내리게 되었고, 레알 마드리드는 딘 하위선이 퇴장 징계로 4강에 결장한다.

가장 최근 맞대결은 3년 전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인데, 당시 1차전에서는 파리 생제르맹이 킬리안 음바페의 결승골로 1-0 승리했지만 2차전에서는 레알 마드리드가 카림 벤제마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3-1로 승리해 합산스코어 3-2로 파리 생제르맹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2] 다만 당시와는 양팀 모두 스쿼드나 코치진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 전적은 큰 의미가 없다. 당장 당시 파리의 주 공격 자원이었던 음바페가 지금은 레알 마드리드 소속이니.

참고로 둘 다 분데스리가 팀을 이기고 올라왔다. 파리 생제르맹은 바이에른 뮌헨을, 레알 마드리드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각각 8강에서 이겼다. 파리 생제르맹은 8강 이후부터 생각보다 가시밭길인데 8강에서 바이에른 뮌헨, 4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연속으로 만나게 되었다.

만약 이 경기에서 파리 생제르맹이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하면 무패팀은 전멸한다.[3]
  • 경기 결과
양 팀은 이번 대회에서의 베스트 11에서의 변화가 불가피 했다.

레알 마드리드는 알론소 감독의 쓰리백 전술의 중심 축으로 분류되는 딘 하위선이 8강전에서 퇴장을 받아 이번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는 훈련 중 부상을 당해 인해 명단에 오르지 못했다.

이로 인해 레알 마드리드의 수비진은 프란-뤼디거-아센시오-발베르데로 구성되어 발베르데가 라이트백으로 출전했다. 미드필더는 벨링엄-추아메니-귈러가 위치했고 공격진에는 비니시우스-음바페-곤살로 가르시아가 나왔다.

PSG 역시 8강전에서 윌리안 파초뤼카 에르난데스가 퇴장당했고, 2경기 징계로 인해 잔여 클럽월드컵 경기에 출전이 불가해졌다. 이에 PSG는 누누 멘데스-베랄두-마르키뉴스-하키미로 수비진을 구축했고, 비티냐-파비안 루이스-주앙 네베스로 미드필더를 구성, 공격진에는 흐비차-뎀벨레-두예를 배치하며 베랄두를 제외하면 역시 주전 라인업이 나왔다

경기가 시작하고 10분도 안 되어 센터백들의 호러쇼로 골을 헌납하며 파리가 2골을 먼저 넣으면서 승기를 확실히 잡았고, 24분에 추가 골을 넣어 30분도 되기 전에 3대 0으로 사실상 경기가 끝났다.

레알 마드리드는 이 경기 극초반에 곤살로-음바페-비니시우스-벨링엄의 화려한 플레이가 2차례 정도 연출되었던 것을 제외하면 전반전은 계속해서 파리 생제르맹의 조직적이고 빠른 전개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레알 마드리드는 이번 대회 조별 리그 1차전에서 4-3-3을 주 전술로 경기를 운영했던 것 외에는 계속해서 쓰리백을 주 전술로 내세웠는데, 이번 경기에서는 팀 내 부상 및 부상 복귀한 선수들의 실전 감각 등 문제로 완전한 쓰리백을 구축하지는 못했다. 전반 5분, 이번 대회에서 조별 리그 1차전과 2차전에 선발 출전하여 각각 전반전만 소화, 퇴장이라는 좋지 않은 기억이 있는 라울 아센시오가 페널티 에어리어에서 두예의 크로스를 잡아놓고 처리하려다 퍼스트 터치가 길어져 우스만 뎀벨레에게 공을 탈취당했고, 이를 파비안 루이스가 마무리하며 파리가 선제골을 가져간다. 이어서 전반 8분 뤼디거 또한 퍼스트 터치 후 백패스를 하려다 헛발질을 했고, 이를 뎀벨레가 가로채서 왼발 슛으로 마무리하며 2:0으로 앞서 나갔다.

파리 생제르맹은 전반전 전체를 통틀어 보았을때, 뎀벨레와 두예의 빠른 스피드와 적극적인 압박을 통해 레알 마드리드의 1차 빌드업을 계속해서 방해했고, 그러한 압박이 전반 5분, 8분에 각각 라울 아센시오안토니오 뤼디거의 치명적인 실수를 유도했다.

후반전에는 파리가 비교적 템포를 늦춰 여유로운 경기를 했음에도 레알은 좀처럼 만회하지 못했고, 모드리치가 투입되어 사실상의 고별전을 치르게 되었다.

또한 완전히 승기를 잡았다고 판단한 루이스 엔리케 감독은 그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60분에 뎀벨레 등 주전들을 교체하며 체력 안배와 동시에 티배깅을 했다(...).

70분경 잠시 쿨링 브레이크를 실시한 후 경기가 재개되었고, 파리는 79분에 이강인을 마지막 교체 카드로 사용했다. 87분경 이강인이 하키미를 향해 역스핀을 걸어 찔러준 롱패스가 바운드 후 급감속해 공을 처리하러 나온 쿠르트와의 위치가 붕 떴고, 하키미의 크로스를 받은 바르콜라가 마르세유 턴으로 수비를 제치고 곤잘루 하무스에게 패스를 연결한 다음 하무스가 깔끔한 터닝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 그리고 양 팀간 경기에서 역대 최초로 4점 차가 발생하면서 경기가 끝났다.[4]

6. 결승 진출 팀

결승 진출 팀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첼시 FC 파리 생제르맹 FC

7. 총평

FIFA 월드컵 형식으로 개편된 이래 역사상 최초로 4강전 두 경기에서 승부차기가 실시되지 않은 사례[5]가 되었으며, 유일한 무패팀이던 레알 마드리드가 정규시간 이내에 패배하고 탈락하면서 이번 대회에 무패팀은 없게 되었다.

또한 2025년 상반기에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하지 못한 레알 마드리드 CF플루미넨시 FC가 탈락함에 따라 해당 대회 우승이 시즌 조기 우승이나[6] 시즌 무관을 막을 마지막 기회[7]로 이어지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결승전에 먼저 올라간 첼시 FC파리 생제르맹 FC는 각각 UEFA 컨퍼런스 리그 우승과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및 유러피언 트레블을 달성했기 때문. 특히 파리 생제르맹의 경우 이번 대회 결승 진출로 2024-25 시즌 전관왕을 노려볼 수 있게 되었다.[8]

7.1. 결승 진출

7.2. 탈락


[1] 플루미넨시에서 유스 과정과 1군 데뷔까지 모두 거쳤기에 두 골 모두 플루미넨시 팬들을 향해 세레머니를 하지 않았다.[2] 이후 레알 마드리드는 우승까지 거머쥐었다.[3] 조별리그에서 결승 상대 첼시는 플라멩구에게, 파리 생제르맹은 보타포구에게 패배하였고 현재까지 승부차기가 나오지 않았다.[4] 추가 시간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주심이 90분이 되자마자 이례적으로 경기를 칼같이 종료시켰다.[5] 앞서 16강과 8강에서도 승부차기가 실시되지 않은 상태로 승부가 결정났다.[6] 플루미넨시가 이에 해당했지만 탈락하며 실패했다.[7] 레알 마드리드가 이에 해당했지만 탈락하며 시즌 무관이 확정되었다.[8] 리그 1-쿠프 드 프랑스-트로페 데 샹피옹-UEFA 챔피언스 리그-FIFA 클럽 월드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