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회 일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2d72)"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2d72" | 대회 이전 | 대회 준비 | 시범경기 | |
예선 라운드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예선 라운드#s-2| A조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예선 라운드#s-3|B조 ]] | ||
본선 1라운드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A조| A조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B조|B조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C조| C조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D조|D조 ]] | ||
[[이강철호/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경기 (B조) ]] 호주전 (1차전) · 일본전 (2차전) · 체코전 (3차전) · 중국전 (4차전) | |||
본선 2라운드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2라운드| 8강 ]] | ||
결선 토너먼트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준결승| 준결승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결승|결승 ]] | ||
대회 이후 | 팀별 리뷰 |
| |
1. 개요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결승에 대한 문서이다.2. 경기 일정[한국시간]
1경기 | 2경기 | ||
3월 20일 08:00 | 론디포 파크 | 3월 21일 08:00 | 론디포 파크 | ||
| | | |
| | | |
2 | 14 | 5 | 6 |
3. 1경기 | 쿠바 2 : 14 미국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결승 1경기 2023년 3월 19일 일요일 19:10~22:38 (3시간 28분) (미국 마이애미 시각)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08:10~11:38 (3시간 28분) (한국시각) | ||||||||||||||
론디포 파크 (미국 마이애미) | ||||||||||||||
주심: John Tumpane (미국, MLB) | ||||||||||||||
관중: 35,779명 | ||||||||||||||
| ||||||||||||||
| | |||||||||||||
<rowcolor=#00231A> 2 | 14 |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쿠바 | 로에니스 엘리아스 | 1 | 0 | 0 | 0 | 1 | 0 | 0 | 0 | 0 | 2 | 12 | 0 | 1 | |||||
미국 | 애덤 웨인라이트 | 2 | 1 | 2 | 2 | 2 | 4 | 0 | 1 | X | 14 | 14 | 1 | 10 | |||||
<colbgcolor=#00231A><colcolor=#fff> W: 애덤 웨인라이트 | L: 로에니스 엘리아스 | SV: - | |||||||||||||||||||
경기 MVP: 폴 골드슈미트 | |||||||||||||||||||
HR | 쿠바 | - | |||||||||||||||||
미국 | 폴 골드슈미트(1회 2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트레이 터너(2회 1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 6회 3점, 엘리안 레이바), 세드릭 멀린스(8회 1점, 호세 로드리게스) | ||||||||||||||||||
양 팀 선발 라인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 타순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 ||||||||||||||||
포지션 | 선수명 | 선수명 | 포지션 | ||||||||||||||||
LF | 로엘 산토스 | 1 | 무키 베츠 | RF | |||||||||||||||
3B | 요안 몬카다 | 2 | 마이크 트라웃 | CF | |||||||||||||||
CF | 루이스 로버트 | 3 | 폴 골드슈미트 | 1B | |||||||||||||||
DH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 4 | 놀란 아레나도 | 3B | |||||||||||||||
SS |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 | 5 | 카일 슈와버 | LF | |||||||||||||||
2B | 앤디 이바녜즈 | 6 | 윌 스미스 | C | |||||||||||||||
C | 아리엘 마르티네스 | 7 | 피트 알론소 | DH | |||||||||||||||
1B | 야디르 드레이크 | 8 | 팀 앤더슨 | 2B | |||||||||||||||
RF | 요엘키스 기베르트 | 9 | 트레이 터너 | SS |
| ||||
LF | CF | R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 ||
| ||||
LF | CF | R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 ||
}}}}}}}}}}}} ||
양팀 주요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31A><colcolor=#ffffff> 결승타 | 폴 골드슈미트(1회 1사 2루서 좌월 홈런) | ||||||||||||||
홈런 | 폴 골드슈미트(1회 2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트레이 터너(2회 1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 6회 3점, 엘리안 레이바), 세드릭 멀린스(8회 1점, 호세 로드리게스) | |||||||||||||||
3루타 | 놀란 아레나도(4회) | |||||||||||||||
2루타 | 무키 베츠(1회), 요안 몬카다(5회), 윌 스미스(6회), 마이크 트라웃(6회) | |||||||||||||||
도루 | - | |||||||||||||||
병살타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9회) | |||||||||||||||
보크 | - | |||||||||||||||
심판 | 주심: John Tumpane, 1루심: Quinn Wolcott, 2루심: Lance Barksdale, 3루심: Jong-Chui Park, 좌선심: Ramiro Alfaro, 우선심: Edward Pinales |
양팀 투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로에니스 엘리아스 | 2.0 | 4 | 3 | 3 | 1 | 1 | 2 | 38 | 패 | |||||||||||||||||
미겔 로메로 | 0.1 | 2 | 2 | 2 | 2 | 1 | 0 | 23 | ||||||||||||||||||
카를로스 비에라 | 1.1 | 1 | 2 | 2 | 2 | 1 | 0 | 23 | ||||||||||||||||||
로날드 볼라뇨스 | 0.1 | 1 | 2 | 2 | 2 | 0 | 0 | 15 | ||||||||||||||||||
엘리안 레이바 | 1.1 | 3 | 3 | 3 | 2 | 1 | 1 | 27 | ||||||||||||||||||
프랑크 알바레스 | 0.2 | 2 | 1 | 1 | 1 | 0 | 0 | 20 | ||||||||||||||||||
호세 로드리게스 | 2 | 1 | 1 | 1 | 0 | 1 | 1 | 24 | ||||||||||||||||||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애덤 웨인라이트 | 4.0 | 5 | 1 | 1 | 1 | 1 | 0 | 64 | 승 | |||||||||||||||||
마일스 마이콜라스 | 4.0 | 6 | 1 | 1 | 0 | 3 | 0 | 77 | 홀 | |||||||||||||||||
애런 루프 | 1.0 | 1 | 0 | 0 | 0 | 0 | 0 | 6 |
득점 루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이닝 | 득점 루트 | 스코어 | ||||||||||||||
1회초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득점 | CUB 1 : 0 USA | |||||||||||||||
1회말 | 폴 골드슈미트의 좌월 홈런으로 2득점 | CUB 1 : 2 USA | |||||||||||||||
2회말 | 트레이 터너의 좌월 홈런으로 1득점 | CUB 1 : 3 USA | |||||||||||||||
3회말 | 피트 알론소의 좌익수 앞 안타로 1득점 | CUB 1 : 4 USA | |||||||||||||||
팀 앤더슨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득점 | CUB 1 : 5 USA | ||||||||||||||||
4회말 | 놀란 아레나도의 우익수 오른쪽 3루타로 1득점 | CUB 1 : 6 USA | |||||||||||||||
카일 슈와버의 타석에 폭투로 1득점 | CUB 1 : 7 USA | ||||||||||||||||
5회초 | 앤디 이바녜즈의 중견수 앞 안타로 1득점 | CUB 2 : 7 USA | |||||||||||||||
5회말 | 폴 골드슈미트의 우익수 앞 안타로 2득점 | CUB 2 : 9 USA | |||||||||||||||
6회말 | 트레이 터너의 좌월 홈런으로 3득점 | CUB 2 : 12 USA | |||||||||||||||
마이크 트라웃의 우익수 오른쪽 2루타로 1득점 | CUB 2 : 13 USA | ||||||||||||||||
8회말 | 세드릭 멀린스의 우월 홈런으로 1득점 | CUB 2 : 14 USA |
국내 중계 | |||
| 이호근 | 장성호 | 풀영상 |
| 이준혁 | 이종열, 대니얼 킴 | 풀영상 |
| 손우주 | 송재우 | 풀영상 |
3.1. 경기 전망
두 팀의 WBC 첫 맞대결이 드디어 이뤄졌다. 일단 전체적인 전력만을 놓고 보면 미국의 압도적인 우위가 예상되고, 미국이 8강전에서 보여준 초호화 타선의 화력을 쿠바 투수진이 막아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은 휴식일 없이 바로 경기를 치러 불펜투수들이 연투를 해야 하는 반면, 쿠바는 이동일을 포함해서 3일의 휴식기간이 주어졌다 보니 단기전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는 상황이다. 또한 미국의 이번 대회 경기력이 퐁당퐁당인 점을 감안하면 쿠바에게 기회가 갈 가능성도 있다.쿠바는 로에니스 엘리아스, 미국은 애덤 웨인라이트가 선발 등판할 예정이다.
미국은 카일 터커가 베네수엘라전에서 발목이 살짝 비틀리는 부상을 입으면서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었고, 카일 슈와버가 대신 좌익수로 나선다. 지명타자 자리에는 피트 알론소가 선발로 나선다.
3.2. 실황
SBS 하이라이트 영상 | KBS 공식 하이라이트 영상 | MLB 공식 하이라이트 영상 |
1회 초, 선두타자 로엘 산토스가 2루수 방면 내야안타로 출루했고, 요안 몬카다도 내야안타로 출루, 루이스 로버트도 내야안타로 출루하며, 내야안타 3개로 무사 만루 찬스를 잡았다. 이어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가 밀어내기 볼넷으로 출루하며 선취점을 쿠바가 먼저 뽑았다. 그러나 5번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는 5구째를 받아쳤으나 3루 주자가 포스 아웃되며 1사 만루가 만들어졌고, 앤디 이바녜즈와 아리엘 마르티네스가 각각 초구와 2구째를 받아쳐 인필드프라이 아웃과 땅볼 아웃으로 물러나며 절호의 기회를 더 이상 살리지 못했다. 쿠바 1-0 미국
1회 말, 선두타자 무키 베츠가 2루타로 출루했고, 마이크 트라웃은 아웃되었으나 폴 골드슈미트가 좌익수 방면 투런포를 때려내며 순식간에 역전을 만들었다. 이번 대회 골드슈미트의 첫 홈런포. 이후 2사 후 카일 슈와버가 볼넷으로 출루했으나, 윌 스미스가 땅볼로 물러나며 추가점은 뽑아내지 못했다. 쿠바 1-2 미국
2회 초, 선두타자 야디르 드레이크가 우익수 방면 안타를 치면서 출루했다. 그러나 후속타자들이 삼진-땅볼-땅볼로 물러나면서 득점에 실패했다.
2회 말, 피트 알론소와 팀 앤더슨이 중견수 플라이와 2루수 땅볼로 물러나며 2사 주자없는 상황에서 전날 영웅이 된 트레이 터너가 좌월 솔로 홈런으로 이틀 연속 홈런을 터뜨렸다. 이후 무키 베츠가 안타로 출루했으나, 마이크 트라웃은 중견수 플라이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쿠바 1-3 미국
3회 초, 1사 후 애덤 웨인라이트의 송구 실책으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가 2루까지 출루했으나 후속타자들의 불발로 득점에 실패했다.
3회 말, 선두타자 폴 골드슈미트는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놀란 아레나도가 안타, 카일 슈와버와 윌 스미스가 사사구로 출루하며 1사 만루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피트 알론소가 초구를 받아쳐 1타점 적시타를 기록했고, 1사 만루 찬스는 이어졌다. 이어서 팀 앤더슨이 중견수 희생플라이 타점까지 뽑아내며 추가점을 올렸다. 쿠바 1-5 미국
4회, 미국은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폴 골드슈미트가 볼넷으로 출루한데 이어 놀란 아레나도의 1타점 적시 3루타가 터지면서 6-1의 스코어를 만들어냈다. 곧이어 카일 슈와버의 볼넷때 볼이 뒤로 빠지면서 아레나도가 홈까지 파고들며 7-1이 되었다. 쿠바 1-7 미국
5회 초, 쿠바는 선두타자 요안 몬카다가 미국의 바뀐 투수 마일스 마이콜라스를 상대로 2루타를 치고 출루했으나 후속타자들의 연속 삼진으로 무득점으로 끝나는 듯했다. 다행히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와 앤디 이바녜즈의 연속 안타로 1점을 만회하는 데 성공하며 스코어는 7-2가 되었다. 쿠바 2-7 미국
5회 말, 미국은 선두타자 피트 알론소의 몸에 맞는 볼과 대타 제프 맥닐의 볼넷, 그리고 트레이 터너의 우전 안타로 무사 만루를 만들었다. 쿠바는 투수를 엘리안 레이바로 교체했고 레이바가 무키 베츠와 마이크 트라웃을 잡아내며 무실점으로 이닝을 막아내는 듯했으나 폴 골드슈미트가 2타점 적시타를 쳐내며 9-2의 스코어가 되었다. 다음 타자 놀란 아레나도는 오른손을 맞는 몸에 맞는 볼로 출루하면서 통증을 호소해 보호 차원으로 바비 위트 주니어로 교체됐다. 경기후 엑스레이 촬영 결과 다행히 아무 이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바 2-9 미국
6회에도 미국의 화력은 여전했다. 윌 스미스의 2루타와 제프 맥닐의 볼넷으로 1사 1, 2루의 기회에서 트레이 터너가 또 다시 왼쪽 담장을 넘기는 쓰리런포를 터뜨리면서 12-2의 스코어를 만들었다. 이어서 무키 베츠가 다시 안타를 치고 출루한 뒤, 트라웃이 베츠를 불러들이는 1타점 적시 2루타를 쳐내며 13-2라는 엄청난 점수차이를 만들어냈다. 점수차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다 보니 미국 벤치에서는 출루에 성공한 트라웃을 체력 안배 차원에서 대주자로 세드릭 멀린스와 교체했다. 쿠바 2-13 미국
7회 초, 쿠바는 2사 후 안타로 출루에 성공했으나 후속타자가 범타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7회 말, 미국은 윌 스미스-피트 알론소-제프 맥닐이 삼자범퇴로 물러나며 이번 경기 처음이자 유일하게 득점에 실패한 이닝이 되었다.
8회, 미국은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세드릭 멀린스의 솔로포가 터지며 스코어는 14-2가 됐다. 쿠바 2-14 미국
9회 초, 쿠바의 정규이닝 마지막 공격에서 미국은 4이닝 6피안타 1실점 호투를 펼치던 마이콜라스를 내리고 애런 루프를 등판시켰다. 이후 1사 1루 상황에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를 병살로 처리해 경기를 마무리하며 미국은 두 대회 연속 결승 진출을 확정했다.
3.3. 경기 평가
|
전날 베네수엘라전에서 환상적인 역전승을 따내며 분위기가 매우 올라온 미국이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투수진 역시 2번째 투수로 등판한 마이콜라스가 4이닝을 책임진 덕분에 단 3명만으로 경기를 끝내면서 결승전에 다 쏟아 부을 수 있게 되었다. 트레이 터너는 이틀 동안 3홈런을 뽑아내며 WBC 역대 최초로 2경기 연속 4타점 기록도 세웠다.
쿠바는 전력이 예전같지 않음에도 당초 예상보다 훨씬 좋은 성적을 거두며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미국과의 경기에서 전력차를 여실히 드러내며 대패를 당해 4위[2]로 대회를 마치게 됐다. 투수진은 대회 동안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미국 상대로는 버틸 수 없었고, 타선은 웨인라이트의 커브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3.4. 여담
- 6회초 경기 도중에 관중이 난입해서 잠시 경기가 중단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 대회 창설 이래 최초로 준결승전에서 10점차 이상의 점수차가 나온 경기가 되었다.
- 쿠바의 불펜포수 이반 프리에토가 출국 예정 시간이 되었음에도 나타나지 않고 잠적했다고 한다. 결국 쿠바 선수단은 그대로 떠났고, 현지 언론은 프리에토가 미국 망명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
4. 2경기 | 멕시코 5 : 6 일본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결승 2경기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19:09~22:45 (3시간 36분) (미국 마이애미 시각)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08:09~11:45 (3시간 36분) (한국시각) | ||||||||||||||
론디포 파크 (미국 마이애미) | ||||||||||||||
주심: Quinn Wolcott (미국, MLB) | ||||||||||||||
관중: 35,933명 | ||||||||||||||
| | |||||||||||||
| | |||||||||||||
<rowcolor=#00231A> 5 | 6 |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멕시코 | 패트릭 산도발 | 0 | 0 | 0 | 3 | 0 | 0 | 0 | 2 | 0 | 5 | 9 | 0 | 3 | |||||
일본 | 사사키 로키 | 0 | 0 | 0 | 0 | 0 | 0 | 3 | 1 | 2X | 6 | 10 | 0 | 8 | |||||
<colbgcolor=#00231A><colcolor=#fff> W: 오타 타이세이 | L: 지오바니 가예고스 | |||||||||||||||||||
경기 MVP: 요시다 마사타카 | |||||||||||||||||||
HR | 멕시코 | 루이스 유리아스(4회 3점, 사사키 로키) | |||||||||||||||||
일본 | 요시다 마사타카(7회 3점, 조조 로메로) | ||||||||||||||||||
양 팀 선발 라인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 타순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
포지션 | 선수명 | 선수명 | 포지션 | ||||||||||||||||
LF | 랜디 아로자레나 | 1 | 라스 눗바 | CF | |||||||||||||||
RF | 알렉스 버두고 | 2 | 콘도 켄스케 | RF | |||||||||||||||
1B | 조이 메네시스 | 3 | 오타니 쇼헤이 | DH | |||||||||||||||
DH | 로우디 텔레즈 | 4 | 요시다 마사타카 | LF | |||||||||||||||
3B | 이사크 파레데스 | 5 | 무라카미 무네타카 | 3B | |||||||||||||||
2B | 루이스 유리아스 | 6 | 오카모토 카즈마 | 1B | |||||||||||||||
SS | 앨런 트레호 | 7 | 야마다 테츠토 | 2B | |||||||||||||||
CF | 알렉 토마스 | 8 | 겐다 소스케 | SS | |||||||||||||||
C | 오스틴 반스 | 9 | 나카무라 유헤이 | C |
| ||||
LF | CF | R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 ||
| ||||
LF | CF | R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일본| | ||
}}}}}}}}}}}} ||
양팀 주요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31A><colcolor=#ffffff> 결승타 | 무라카미 무네타카(9회 무사 1, 2루에서 중월 2루타) | ||||||||||||||
홈런 | 루이스 유리아스(4회 3점, 사사키 로키) | |||||||||||||||
3루타 | - | |||||||||||||||
2루타 | 랜디 아로자레나(8회), 알렉스 버두고(8회), 오타니 쇼헤이(9회), 무라카미 무네타카(9회) | |||||||||||||||
도루 | 조이 메네시스(8회) | |||||||||||||||
병살타 | 앨런 트레호(2회), 오카모토 카즈마(2회) | |||||||||||||||
보크 | - | |||||||||||||||
심판 | 주심: Quinn Wolcott, 1루심: Ramiro Alfaro, 2루심: Jong-Chui Park, 3루심: Lance Barksdale, 좌선심: Edward Pinales, 우선심: John Tumpane |
양팀 투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패트릭 산도발 | 4.1 | 4 | 0 | 0 | 1 | 6 | 0 | 66 | ||||||||||||||||||
호세 우르퀴디 | 2.1 | 2 | 1 | 1 | 3 | 2 | 0 | 47 | 홀 | |||||||||||||||||
조조 로메로 | 0.1 | 1 | 2 | 2 | 1 | 0 | 1 | 16 | BS | |||||||||||||||||
헤수스 크루즈 | 0.2 | 1 | 1 | 1 | 0 | 0 | 0 | 11 | 홀 | |||||||||||||||||
헤라르도 레예스 | 0.1 | 0 | 0 | 0 | 1 | 1 | 0 | 9 | 홀 | |||||||||||||||||
지오바니 가예고스 | 0.0 | 2 | 2 | 2 | 1 | 0 | 0 | 9 | 패, BS | |||||||||||||||||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사사키 로키 | 4.0 | 5 | 3 | 3 | 0 | 3 | 1 | 64 | ||||||||||||||||||
야마모토 요시노부 | 3.1 | 3 | 2 | 2 | 2 | 4 | 0 | 52 | ||||||||||||||||||
유아사 아츠키 | 0.2 | 1 | 0 | 0 | 0 | 1 | 0 | 8 | ||||||||||||||||||
오타 타이세이 | 1.0 | 0 | 0 | 0 | 0 | 1 | 0 | 12 | 승 |
득점 루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이닝 | 득점 루트 | 스코어 | ||||||||||||||
4회초 | 루이스 유리아스의 좌월 홈런으로 3득점 | MEX 3 : 0 JPN | |||||||||||||||
7회말 | 요시다 마사타카의 우월 홈런으로 3득점 | MEX 3 : 3 JPN | |||||||||||||||
8회초 | 알렉스 버두고의 좌중간 2루타로 1득점 | MEX 4 : 3 JPN | |||||||||||||||
이사크 파레데스의 1득점 | MEX 5 : 3 JPN | ||||||||||||||||
8회말 | 야마카와 호타카의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1득점 | MEX 5 : 4 JPN | |||||||||||||||
9회말 | 무라카미 무네타카의 중견수 뒤 2루타로 2득점 | MEX 5 : 6 JPN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준결승 2경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준결승 2경기#|]][[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준결승 2경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총평
| |
결승 진출국: |
결과적으로 두 대진 모두 이변이 발생하지 않고 예상대로 미국과 일본이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1라운드와 2라운드에서는 업셋이 자주 발생하며 이변이 연출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준결승에서는 그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미국은 압도적인 선수단을 바탕으로 엄청난 타격 화력과 투수진의 호투로 10점 차 이상으로 승리를 따냈으며, 1라운드였으면 콜드 게임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일본은 경기 초반에 3점을 내주고 중반까지 점수를 뽑지 못하면서 결승 진출에 먹구름이 끼는 듯했으나 후반부 7~9회에만 6점을 뽑아내는 엄청난 집중력을 보여주며 2009년 이후 오랜만에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쿠바는 다소 좋은 대진과 끈끈한 모습을 바탕으로 2006년 이후 오랜만에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예전에 비해 약해진 라인업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준결승에서 짐을 싸야 했다. 멕시코는 1라운드에서 미국을 꺾고, 2라운드에서는 푸에르토리코를 꺾는 저력을 보이면서 처음으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일본 상대로 전혀 밀리지 않는 경기력을 보이면서 결승까지 노려볼 수 있었으나 후반부 불펜진의 방화로 인해 아쉽게 여정을 마무리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