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3대 | 제4대 | 제5대 | 제6-8대 |
김지태 | 고원증 | 황용주 | 조증출 | |
제9-12대 | 제13대 | 제14·15대 | 제16대 | |
이환의 | 이진희 | 이웅희 | 황선필 | |
제17대 | 제18·19대 | 제20·21대 | 제22대 | |
김영수 | 최창봉 | 강성구 | 이득렬 | |
제23대 | 제24·25대 | 제26대 | 제27대 | |
노성대 | 김중배 | 이긍희 | 최문순 | |
제28대 | 제29·30대 | 제31대 | 제32대 | |
엄기영 | 김재철 | 김종국 | 안광한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김장겸 | 최승호 | 박성제 | 안형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34EA2><tablebgcolor=#034EA2> | 재단법인 한국기원 역대 총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사단법인 이사장 | ||||
초대 장경근 | 제2대 최하영 | 제3대 조홍제 | 제4대 이후락 | 제5대 서정귀 | |
재단법인 이사장 | |||||
초대 서정귀 | 제2대 최영근 | 제3대 이성범 | 제4대 최재형 | 제5대 황용주 | |
제6대 정수복 | 제7대 이성범 | 제8대 이홍식 | 제9대 서정각 | 제10-11대 장재식 | |
제12-13대 현재현 | 제14-17대 허창수 | ||||
재단법인 총재 | |||||
초대 이후락 | 제2-4대 김우중 | 제5대 한화갑 | 제18-19대 홍석현 | 제20-21대 임채정 |
黃龍珠
1919년 1월 3일 ~ 2001년 8월 25일 (향년 82세)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언론인.2. 생애
1919년 경상남도 밀양군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시절 대구사범학교를 다니다 불온서적 소지가 발각돼 퇴학당했다. 이후 일본으로 유학가서 와세다대학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다.와세다대학 졸업 후 일본군에 강제징집되었다가 탈출하여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였다. 8.15 광복 후 상하이시에서 약산 김원봉을 만나 그의 비서를 지냈다. 귀국 후 1946년부터 1955년까지 고향 밀양에서 세종중학교 및 세종고등학교장으로 근무하였으며, 1955년부터 1958년까지는 부산대학교 문리과대학 불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편, 1956년 국제신문 논설위원으로 스카우트돼 언론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60년 부산일보로 자리를 옮겨 주필 겸 편집국장, 사장을 지냈다.
대구사범학교 동문인 박정희와의 인연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였다. 1964년 8월 문화방송 사장에 임명되었으나 '세대'지 필화사건으로 1964년 12월 사장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정수장학회 이사, 한국기원 이사장 등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