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평야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9d537><colcolor=#569a49> 수도권 | 안성평야 | 여주평야 | 김포평야 | |
파주평야 | 부평평야 | ||||
강원도 | 철원평야 | 소야평야 | |||
충청도 | 예당평야 | 장남평야 | |||
전라도 | 호남평야 김제평야 | 만경평야 | 논산평야 | 나주평야 | |||
경상도 | 김해평야 | 상주평야 | 금호평야 | 진영평야 | |
황해도 | 재령평야 | 연백평야 | 취야평야 | ||
평안도 | 평양평야 낙랑평야 | 강동평야 | 안주평야(열두삼천리벌) 평원평야 | |||
용천평야 | 박천평야 | 정주평야 | |||
함경도 | 함흥평야 정평평야 | 영흥평야 | 안변평야 | ||
수성평야 | 길주평야 | }}}}}}}}} |
호남평야 湖南平野 | ||
<colbgcolor=#f9d537><colcolor=#569a49>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서부 충청남도 논산시, 부여군 일부, 서천군 일부 | |
규모 | 총 면적 | 3,500㎢(동서 50㎞, 남북 80㎞)[출처1] |
경지 면적 | 1,992㎢ |
[clearfix]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서부에 있는 한반도 최대의 평야로, 하천의 하류에 토사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충적평야에 해당한다. 전라북도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전주시, 완주군, 부안군, 정읍시, 고창군, 충청남도 논산시 일부, 부여군 일부, 서천군 일부가 포함된다. 면적은 약 3,500㎢, 동서 50㎞, 남북 80㎞에 달한다.2. 상세
호남평야 안에서도 동진강 하류는 김제평야, 만경강 하류는 만경평야, 논산천 합류부 일대는 논산평야라고 따로 부르기도 하고, 김제평야와 만경평야를 합쳐서 금만평야(金萬平野)라고 하기도 한다. 현재 호남평야의 서쪽에 지어지고 있는 새만금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면적은 3,500㎢에 달하며, 전북 안에서만 봐도 호남평야가 전북의 1/3을 차지한다. 기타 용지를 제외하고 경지 면적만 봤을 때, 호남평야의 경지 면적은 1,992㎢이고, 한반도에서 3번째로 큰데다 북한 최대의 평야인 재령평야의 면적이 1,350㎢라고 하므로 호남평야가 압도적으로 큰 것이다. 큰 면적만큼 전국 최대의 곡창지대이며 벼를 주로 재배하여 경지중 논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국내 최대의 미곡 생산지이다.
3. 지리
북쪽은 남한 기준 4대강이라 일컫는 금강이 흐르며, 호남평야의 북쪽 일부는 충청남도에 걸쳐 있기도 하다. 그리고 만경강과 동진강처럼 큰 강들이 호남평야를 적시며 호남평야의 서쪽에 있는 황해로 나아간다. 남쪽에는 노령산맥 너머로 또한 큰 평야인 나주평야가 나온다.기본적으로 평야에서 바다로 이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황해는 수심이 그리 깊지 않고, 조수간만의 차가 크다. 또한 큰 강들이 꾸준히 토사를 운반하는지라 호남평야의 서쪽 해안 지형에는 갯벌이 발달하였다.
금강, 만경강, 동진강 등의 하천이 흐르지만 이 넓은 평야를 관개하기에는 부족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벽골제, 눌제, 황등제 등의 저수지가 축조되어 물을 공급했다.[출처1]
호남평야에 위치한 김제시는 전국에서 지평선을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이다. 사실상 지평선을 지역 명물로 내세우는 곳은 국내에서 김제가 유일하다.
4. 역사
빙하기 때에는 해수면이 낮아서 황해가 육지였기 때문에 한반도와 중국은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호남평야는 현재 바다로 인해 중국과는 구분되어 있긴 하지만, 지질적으로만 본다면 중국 동해안의 대평원과 이어져 있는 셈이다.호남평야 간척농경지 변천사[출처2] |
현재 해안선은 과거에 비해 굉장히 전진한 상태이다. 지도에서 갈색 부분은 연대 미상의 간척지이며, 유사 이래부터 삼국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자연적 퇴적·침식과 인위적 간척으로 형성된 토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20-30년대에는 산미증식계획의 일부로 회현면과 광활면 등이 간척된다. 1970-80년대에는 군산국가산업단지, 계화도지구 등의 지역이 간척된다. 2000년대 이후에는 새만금 간척으로 호남평야가 더 넓어질 예정이다.
자연적으로 퇴적·침식된 지형은 하천에 의해 퇴적된 지형과 바다에 의해 퇴적된 지형으로 또 나뉜다. 내륙부에서는 퇴적과 침식이 복함적으로 나타나는데, 하천에 의해 퇴적되고 또 침식되는 과정을 거쳐 평야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또, 호남평야 곳곳에 있는 낮은 구릉지들은 원래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지역였는데, 계속해서 침식되어 낮아진 결과 평야를 이루게 되었다. 즉, 호남평야가 다 그냥 평평한 땅이더라도 지대마다 지질이 화강암이냐, 퇴적토냐 하는 것이 다 다르다.
해안에서는 바다에 의해 퇴적된 갯벌 위로 농지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인위적, 혹은 자연적 작용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