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8:50:44

현대백화점 천호점

현대 천호점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현대백화점/점포
,
,
,
,
,

파일:현대백화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백화점
천호점
신촌점 미아점 목동점
중동점 판교점 킨텍스점 부산점
울산점 충청점
유플렉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3%> 판교점 ||<width=33.3%> 신촌점 ||<width=33.3%> 중동점 ||
충청점 디큐브시티
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 송도점 대전점
시티아울렛
동대문점 가산점 대구점
* 공식 웹 사이트 기재순
}}}}}}}}} ||

<colbgcolor=#48665a><colcolor=#fff> 천호점 (1997)
파일:천호점(현대백화점).jpg
연계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천호역
개점일 1997년 8월 22일
휴무일 1월 1일. 설 당일, 추석 당일
영업 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공휴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소유 현대백화점
지점장 장경수 상무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05 (천호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문화][공연]

1. 개요2. 역사3. 층별 안내4. 매장 구성5. 매출6. 사건사고7. 여담8. 경쟁 점포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05 (천호동)에 위치한 현대백화점 지점.

2. 역사

파일:천호점(현대백화점)_증축 이전.jpg
증축 이전의 현대백화점 천호점[3]

원래 이 자리는 1990년, 영동백화점이 분점을 개점하기 위해 삼성생명으로부터 매입한 부지였다. 본래 1996년쯤 개점할 예정이었으나 영동백화점이 도산하고 나산백화점에 인수당하면서 부지 주인이 바뀌었다. 이후 1995년 7월 나산백화점에서 현대백화점에 부지를 매각하여 1997년 8월에 현대백화점 천호점으로 정식 개점했다.[4]
파일:천호점(현대백화점)_리모델링 초기 조감도.jpg
현대백화점 천호점 리모델링 초기 조감도[5]

2010년대부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증축 및 리모델링이 추진되었다. 본래 계획은 본관 왼쪽 지상 주차장을 허물고 그 자리에 건물을 세우는 방식으로 수평 증축을 하고, 원래 건물을 1층 더 위로 올리는 수직 증축을 하면서, 건물 외관도 베이지색 대리석으로 변경해 지금의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과 같은 모습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그런데 2014년, 수평증축을 위한 공사 도중 백화점 1층 천장 마감재 일부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행했다. 공사 현장에서 붕괴된 것은 아니고, 영업 중이던 1층 천장 석고보드와 마감재가 붕괴되면서, 이에 딸려 환풍용 덕트가 아래로 늘어졌다. 이 사고로 찰과상 정도이긴 했지만 직원과 고객 6명이 다쳐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았다. 다행히 대형 사고는 아니었지만 한국은 백화점 관련 사고에 무척이나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국가라 뉴스에 대서득필되다시피 했고, 당시 여러 안전 사고들로 안전불감증 논란이 심하던 차라 인근 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졌다. 결국 현대백화점 측에선 수직 증축은 포기하고 수평 증축만 진행하게 되었다. 외관도 다른 신축 현대백화점 건물들처럼 황색톤의 대리석으로 리모델링하려던 초기 계획을 포기하고 과거와 별 차이없이 간판만 교체한 상태가 되었다.기사

이후 천호점은 2019년 1월 2일 증축을 완료했다. 증축을 통해 영업면적이 16,000평(5만2893㎡) 규모로 커졌다.

증축 이후 현대백화점은 리뉴얼을 진행하면서 점포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지하 2층의 식품관, 8층의 아동관, 9층부터 10층의 리빙관을 리뉴얼했다. 이후 롱샴, 페라가모, 토즈, 골든구스, 몽블랑, 태그호이어, 슈페이스, 막스 마라, 엠포리오 아르마니 등을 입점시키며 해외 패션 브랜드 보강에 나섰다.[6]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최초의 이케아 플래닝 스튜디오 매장을 입점시켰다. 2022년에는 지하 1층의 아트박스 매장을 철수시키고, 뉴발란스 메가 스토어 매장이 오픈할 예정이다. 2023년에는 현대백화점이 사업권을 획득한 디즈니 스토어가 입점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층별 안내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48665a><table bgcolor=#ffffff,#1f2023><colbgcolor=#48665a><colcolor=#fff> 13F || 문화홀·하늘정원 ||
12F 식당가
11F 고객서비스라운지·문화센터·뷰티케어·아웃백
10F 리빙(가전/식기/침구)
9F 리빙(가구)
8F 아동·유아·디즈니스토어·패밀리가든
7F 아웃도어·스포츠·골프
6F 남성패션
5F 여성캐주얼
4F 여성패션·란제리
3F 여성캐릭터·구두·핸드백
2F 수입명품
1F 화장품·패션잡화·해외패션
B1 영스트리트·진캐주얼·대행사장
B2 식품
B3~B5 주차장

4. 매장 구성

현대백화점 그룹에서 디즈니 스토어에 대한 국내 사업권을 획득하고 현대백화점과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을 중심으로 매장을 확장하겠다고 하였는데, 여기에 현대백화점 판교점이나 더현대서울, 현대프리미엄 아울렛 김포점과 함께 천호점도 포함되어 있었을 정도로 현대에서 꾸준한 신경을 쓰는 점포다. 디즈니 스토어는 천호점 8층에 입점했다.

본래는 명품 라인업이 빈약했는데 리모델링을 통해 롱샴, 페라가모, 토즈, 골든구스, 몽블랑, 태그호이어, 슈페이스, 막스 마라, 엠포리오 아르마니 등을 입점시켰다. 과거에는 멀버리도 입점했으나 인기 부진으로 퇴점했다.

5. 매출

<colbgcolor=#46665a><colcolor=white><rowcolor=white> 연도 순위 연 매출 신장률
2016년 25위 4,199억 원 -1.2%
2017년 29위 3,808억 원 -7.6%
2018년 29위 3,900억 원 2.4%
2019년 29위 3,976억 원 2%
2020년 29위 3,520억 원 -11.5%
2021년 27위 3,838억 원 9%
2022년 30위 4,025억 원 4.9%
2023년 30위 3,924억 원 -2.6%

매출은 3,000억 원대 후반에서 4,000억 원대 초반이다. 상대적으로 서울의 외곽 상권인 천호동에 입지한 만큼 예전부터 존재감이 강한 점포는 아니었다. 그리고 별다른 명품 브랜드와 테넌트 매장도 없는 등 현대백화점이 구축한 고급 백화점의 이미지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강동구 일대를 비롯하여 이렇다 할 백화점 시설이 없는 수도권 동부 지역을 독점하는 입지 조건으로 한때 5,000억 원 수준의 연 매출을 기록했던 알짜배기 지점이었다.

2010년대 들어 인근에 스타필드 하남, 롯데월드몰 같은 경쟁 점포들이 개점하면서 매출이 하락하기 시작해 한때 3000억 중반대까지 매출이 떨어졌었다. 그러나 현대백화점에서 경쟁력 유지를 위한 리뉴얼과 매장 확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덕분에 매출 4천억대 선을 유지하면서 현대백화점의 허리를 담당하는 주요 점포로서 기능하고 있다. 일대 지역의 대규모 재건축이 예정되어 인구 유입이 예상되는 만큼 현대 측에서도 꾸준히 관심을 두고 있다. 비슷하게 허리를 담당하는 점포였으나 리뉴얼과 매장 확장 시기를 놓치면서 경쟁력이 눈에띄게 하락하고 있는 현대백화점 신촌점과는 대조되는 부분.

6. 사건사고

  • 2014년 6월 29일, 수평증축을 위한 공사 도중 백화점 1층 천장 마감재 일부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행했다. 공사 현장에서 붕괴된 것은 아니고, 영업 중이던 1층 천장 석고보드와 마감재가 붕괴되면서, 이에 딸려 환풍용 덕트가 아래로 늘어졌다. 이 사고로 찰과상 정도이긴 했지만 직원과 고객 6명이 다쳐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았다. 다행히 대형 사고는 아니었지만, 한국은 백화점 관련 사고에 무척이나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국가인 만큼 뉴스에 대서득필되었다.[7]# 또한 사고 다음날도 별 다른 안전조치 없이 영업을 계속했다가 언론으로부터 안전불감증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7. 여담

8. 경쟁 점포

9. 둘러보기

||<-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백화점 ||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롯데백화점 강남점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갤러리아 명품관
신세계백화점 수서역점
현대백화점 천호점 롯데백화점 미아점 롯데백화점 김포공항점
NC백화점 강서점
롯데백화점 관악점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롯데백화점 건대스타시티점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NC백화점 신구로점
- 롯데백화점 노원점 -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 - 현대백화점 신촌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 현대백화점 미아점 롯데백화점 잠실점
NC백화점 송파점
현대백화점 목동점
행복한백화점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더현대 서울
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점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중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 NC백화점 불광점 - 롯데백화점 본점
신세계백화점 본점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화] 문화 센터[공연] 문화홀 현대백화점의 문화 공연장[3] 현재는 맨 좌측 유리기둥 옆으로 수평 증축했다.[4] 나신백화점은 IMF 사태를 견디지 못하고 도산했다.[5] 천호점 공사현장 외벽에 붙어있던 조감도이다.[6] 이때 입점한 멀버리는 매출 부진으로 퇴점후, 다른 브랜드로 대체되었다.[7] 공교롭게도 사고일인 6월 29일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발생한 바로 그날이다. 그래서 사고 규모에 비해 언론에서 더욱 크게 보도한 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