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17:31:46

파블로 마페오


<keepall> 1 레오 로만 · 2 마테우 · 3 라토 · 4 쿰불라 · 5 마스카렐 · 6 산체스 · 7 무리치 · 8 모를라네스
9 아브돈 · 10 다르데르 · 11 아사노 · 12 S. 코스타 · 13 쿠에야르 · 14 D. 로드리게스 ·
17 얀 비르질리 · 18 조셉 · 20 파블로 토레 · 21 A. 라이요
C
· 22 모히카 · 23 마페오 · 24 발렌트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고바 아라사테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토르 알키사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p170154_t181_2025_1_001_000.png
<colbgcolor=#eb1b24><colcolor=#fff704> RCD 마요르카 No. 23
파블로 마페오
Pablo Maffeo
본명 파블로 카르미네 마페오 베세라
Pablo Carmine Maffeo Becerra
출생 1997년 7월 12일 ([age(1997-07-12)]세)
스페인 카탈루냐 주 산 조안 데스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신체 172cm / 체중 66kg
포지션 라이트백, 우측 측면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eb1b24><colcolor=#fff704> 유스 레반테 라스 플라나스 (2002~2003)
RCD 에스파뇰 (2003~2012)
선수 RCD 에스파뇰 B (2012~2013)
맨체스터 시티 FC U18 (2013~2015)
맨체스터 시티 FC U21(2015~2016)
지로나 FC (2016 / 임대)
맨체스터 시티 FC (2016~2018)
지로나 FC (2017~2018 / 임대)
VfB 슈투트가르트 (2018~2022)
지로나 FC (2019~2020 / 임대)
SD 우에스카 (2020~2021 / 임대)
RCD 마요르카 (2021~2022 / 임대)
RCD 마요르카 (2022~ )
국가대표 0경기 (아르헨티나 / 2023~ )

1. 개요2. 클럽 경력
2.1. 맨체스터 시티 FC2.2. VfB 슈투트가르트2.3. RCD 마요르카
2.3.1. 2022-2023 시즌2.3.2. 2023-24 시즌2.3.3. 2024-25시즌2.3.4. 2025-26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아르헨티나 국적의 RCD 마요르카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라이트백.

2. 클럽 경력

카탈루냐 지방의 산 조안 데스피에서 태어나 지역 클럽인 레반테 라스 플라나스를 시작으로, RCD 에스파뇰의 유스팀에 입단해 10년간 뛰었다. 2013년에는 B팀에서 한 경기 뛰기도 했다.

2.1. 맨체스터 시티 FC

2013년 7월 3일, 마누 가르시아와 함께 맨체스터 시티 FC로 이적했다. 이후 U-21팀인 EDS에서 뛰다가, 2015-16시즌 들어 서서히 1군팀 훈련에 참여하거나 벤치에 앉는 등 기회를 부여받기 시작하다가, 2016년 1월 위성구단인 지로나 FC로 반시즌동안 임대되었다. 지로나에서는 총 13경기에 출전했다.

2016-17시즌을 앞두고서는 주전 라이트 백인 바카리 사냐파블로 사발레타의 노쇠화로 기회를 어느 정도 부여받을것이란 예측이 많았고, 실제로 프리시즌에서 꾸준히 출전했다. 이후 2016년 8월 24일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의 UEFA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선발 출전하며 맨시티에서의 첫 프로 출전을 기록했고, 이후 EFL컵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전에서도 선발 라이트백으로 출전,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줬다.

현재 사냐와 사발레타 모두 노쇠화로 인해서 확실히 지난시즌보다 못한 기량을 보여주고 있기에, 팬들은 마페오를 중용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런던의 한 팀은 2년 전 주전 라이트백들이 전부 박살나서 19살짜리 유스 멤버 올렸더니 대박낸 사례가 있다.[2]

2.1.1. 지로나 FC (임대)

그러나 결국 2016/17시즌 후반기부터 다시한번 지로나 FC로 임대가게되었다. 한달만에 돌아온 앙헬리뇨와는 다르게 꾸준한 출전 기회를 받고 있고, 다음 시즌에 사발레타와 사냐 둘 중 하나가 떠나게 되면 라이트백 옵션이 될 수 있어 보인다.

하지만 2017년 여름 맨시티가 카일 워커와 다닐루로 라이트백 세대교체를 진행했기 때문에 마페오는 지로나 FC로 또 임대를 떠날듯. 7월 말 기준으로 오피셜 발표는 없지만 지로나의 프리시즌 트레이닝에 참여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이 맨시티의 신의 한 수가 되었다.

시즌 초 시점에서는 지로나 임대생들 중 유일하게 주전 자리를 잡았고, 시티와의 친선전에서 시티 왼쪽 측면을 털어버리며 MOM을 받는 등 활약하며 기대를 받고 있다.

그리고 FC 바르셀로나 와의 경기에서 메시를 끈질기게 맨마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얼마나 메시만을 마크했는지, 경기 사진을 보면 메시 옆엔 꼭 마페오가 보일 정도고, 지로나의 패스맵에선 메시만 맨마크 하느라 패스로 받은 볼터치가 거의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하지만 팀은 3:0으로 졌다

파일:Girona_passmap.jpg

경기 도중, 메시는 마페오에게 맨시티에서 왔냐는 것과 그의 나이를 물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마페오는, "메시는 정말 훌륭한 선수였다. 90분 동안 따라다녔는데 나쁜 표현이나 행동을 보여주지 않았다. 언제나 그를 목표로 삼을 것" 라는 자신의 경험담을 말했다. 하지만 경기가 끝나고, 마페오가 유니폼을 교환한 선수는 메시가 아닌 마르크안드레 테어슈테겐 이었는데, 그 이유는 마페오의 친구 중 테어 슈테겐의 팬이 있었고, 친구가 마페오에게 그의 셔츠를 요청해서였다.

임대 종료 후 2018년 5월 14일 VfB 슈투트가르트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이적료는 10m 유로이며, 이적료 두배 정도의 바이백 조항이 들어있다. 임대 종료가 가까워지면서 맨시티 팬 커뮤니티 안에선 마페오가 맨시티에 복귀하고 다닐루를 내보낼지, 혹은 다닐루를 잔류시키고 마페오를 이적시키거나 다시 임대보낼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는데 결과적으로 맨시티는 후자를 선택했다. 마페오는 펩 과르디올라와의 상담 뒤에 분데스리가 이적을 결정했다고 하는데, 때마침 마페오의 에이전시 회사도 펩의 형제인 페레 과르디올라가 운영하는 회사라서 이적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2.2. VfB 슈투트가르트

13R 진행중인 지금 시점에서 슈투트가르트의 역적 노릇을 하고 있다. 불안한 수비력에 잦은 턴오버[3]만 보여주며 팀이 강등권 싸움을 하게 만들었다. 결국 시즌이 끝나고 팀은 강등되었다.

결국 다시 지로나 FC로의 임대가 결정되었다. 이후 우에스카와 마요르카로 임대를 갔고, 마요르카에서 수준급 활약을 해서 완전이적을 한다.

2.3. RCD 마요르카

2022년 5월 24일 마요르카로 완전이적했다. 이적료는 €3.5M. 계약기간은 2026년까지.

2.3.1. 2022-2023 시즌

5라운드 레알 마드리드전 프리킥을 얻어냈는데 이 과정에서 골이 나오면서 선제골에 기여했다.

6라운드 알메리아전 전반 24분 자우메 코스타의 스로인을 추미가 머리로 클리어링하다가 크게 뒤로 떴는데 이것을 달려가서 헤더로 왼쪽 구석에 꽂아 결승골을 기록했다. 추미가 클리어링한 공이 뒤로 뜬 것 , 세르히오 아키에메가 옆에서 달려와 마페오를 앞질러 마페오가 오프사이드를 피한 것 , 마페오의 위치선정과 깨끗한 러닝 헤더 , 두번의 행운과 마페오의 개인능력이 맞아떨어져 나온 멋진 골이었다.

2.3.2. 2023-24 시즌

2023년 7월, FC 바르셀로나세비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22경기 총 1,455분을 소화했다. 7라운드 FC 바르셀로나와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8분에 레드카드를 받아 2경기 결장 페널티를 받았다. 굳이 끝나기 직전에....?

13라운드 카디스 CF와의 경기에서 우측 측면 미드필더로 선발 출장해 전반 추가시간 1분 아브돈 프라츠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팀은 1-1로 비겼다.

18라운드 CA 오사수나와의 경기에서도 우측 측면 미드필더로 선발 출장해 후반 8분 다니 로드리게스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팀은 3-2로 이겼다.

38라운드 헤타페 CF와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3분 결승골을 넣으며 팀의 2-1 승리를 이끌었다.

2.3.3. 2024-25시즌

30경기 총 2,375분을 소화했다. 19라운드 FC 바르셀로나와의 경기에서 라이트백으로 선발 출장해 전반 43분 베다트 무리치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그러나 팀은 1-5로 대패했다.

35라운드 레알 바야돌리드 CF의 경기에서도 라이트백으로 선발 출장해 전반 29분 오마르 마스카렐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팀은 2-1로 승리했다.

2.3.4. 2025-26 시즌

3. 국가대표 경력

스페인에서 태어나고 이탈리아와 아르헨티나의 혈통을 모두 가진 삼중국적자이지만 아직 성인 대표팀 경력이 없다. 2022년 10월 마르카는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스칼로니가 마페오를 주시하고 있다고 한다.

2023년 11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A매치 명단에 발탁되면서 아르헨티나로 국적 변경을 완료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유스 무대와 데뷔 초에는 본연의 임무인 수비에 있어 각광을 받는 풀백이었다. 하지만, 임대로 오랜 기간 활약했던 지로나 FC에서 급격한 성장을 보이며 플레이스타일이 공격적으로 변화했다. 자신이 직접 공을 몰고 드리블로 돌파 및 운반을 하거나 돌파 후 크로스를 올리는 능력이 매우 향상되었다. 풀백에게 요구되는 빠른 발과 많은 활동량도 보유하고 있다.

다만, 지능적인 플레이가 떨어진다. 시야가 좁아서 패스를 해야하는 상황에서도 무리한 돌파를 시도하다가 턴오버를 범하는 모습이 잦고 공수 양면으로 판단을 내리는 데 있어서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거칠고 신경질적인 플레이로 잦은 마찰을 일으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21-22 시즌, 레반테의 파코 로페스 감독과 언쟁을 벌이다가 패드립을 동반한 욕설과 '경질이 이틀 남은 놈'이라는 폭언을 남기기도 했다. 22-23 시즌, 레알 마드리드와의 경기에서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에게 도를 넘는 폭력적인 행동과 도발이 논란이 되기도 하였으며 25년 수페르코파 준결승전에서도 비니시우스를 상대로 비신사적 행위와 할리우드 액션을 거듭하여 다시 한 번 화제가 되었다. 이외에도 주드 벨링엄라울 아센시오와도 크고 작은 충돌을 일으켰다.

5. 여담

  • 상술한 17-18 시즌 라리가 경기에서 리오넬 메시를 대인마크하며 꽁꽁 묶은 경기를 통해 일약 알려지게 되었는데, 실제로 메시도 인상이 깊었는지 한참 뒤 한 인터뷰에서 가장 인상 깊은 수비수로 마페오를 뽑았다. 당시 10대의 나이에 맨시티 이적과 메시에게 훗날까지 강렬한 인상을 남긴 것 치고는 빅리그에서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음에도 기대만큼 성장을 못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2-23 시즌 RCD 마요르카에서 좋은 활약을 하며 메시가 있는 아르헨티나 국가대표에 처음으로 승선했다.
  • 2025년 1월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4강전 직전 인터뷰에서 본인이 비니시우스 주니오르를 복싱 매치에서 10초 안에 KO시킬 수 있다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 레알 마드리드를 매우 싫어한다. 논란이 될만한 인터뷰와 경기안에서의 행동들이 다 레알 마드리드와 관련되어 있고 특히 비니시우스 주니오르를 상대로 예민한 모습을 많이 보인다. 발렌시아 CF와 함께 비니시우스 흑화의 두 주범들 중 하나이다.

6. 같이 보기

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
RCD 마요르카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CD 마요르카 2025-26 시즌 스쿼드 [주의]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조건 비고
1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레오 로만 Leo Román 2000.07.06 ([age(2000-07-06)]세) 189cm
2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마테우 모레이 Mateu Jaume Morey 2000.03.02 ([age(2000-03-02)]세) 173cm, 67k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토니 라토 Toni Lato 1997.11.21 ([age(1997-11-21)]세) 171cm, 64kg
4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DF 마라쉬 쿰불라 Marash Kumbulla 2000.02.08 ([age(2000-02-08)]세) 191cm, 78kg [2]
5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MF 오마르 마스카렐 Omar Mascarell 1993.02.02 ([age(1993-02-02)]세) 181cm, 76kg
6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안토니오 산체스 Antonio Sánchez 1997.04.22 ([age(1997-04-22)]세) 179cm
7 파일:코소보 국기.svg FW 베다트 무리치 Vedat Muriqi 1994.04.24 ([age(1994-04-25)]세) 194cm, 92kg
8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마누 모를라네스 Manuel Morlanes 1999.01.12 ([age(1999-01-12)]세) 178cm, 75kg
9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아브돈 프라츠 Abdón Prats 1992.12.17 ([age(1992-12-17)]세) 181cm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세르지 다르데르 Sergi Darder 1993.12.22 ([age(1993-12-22)]세) 180cm, 71kg
11 파일:일본 국기.svg FW 아사노 타쿠마 Takuma Asano 1994.11.10 ([age(1994-11-10)]세) 173cm, 68kg
1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사무 코스타 Samú Costa 2000.11.27 ([age(2000-11-27)]세) 183cm, 75kg
13 파일:핀란드 국기.svg GK 루카스 베리스트룀 Lucas Bergström 2002.09.05 ([age(2002-09-05)]세) 205cm, 82kg
14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다니 로드리게스 Dani Rodríguez 1988.06.06 ([age(1988-06-06)]세) 177cm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얀 비르질리 Jan Virgili 2006.07.26 ([age(2006-07-26)]세) 177cm
18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마테오 조셉 Mateo Joseph 2003.10.19 ([age(2003-10-19)]세) cm, kg [3]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하비 야브레스 Javi Llabrés 2002.09.11 ([age(2002-09-11)]세) 174cm, kg
2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파블로 토레 Pablo Torre 2003.04.03 ([age(2003-04-03)]세) 173cm, 63kg
21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안토니오 라이요 Antonio Raíllo 1991.01.08 ([age(1991-01-08)]세) 186cm, 77kg 주장
2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DF 요한 모히카 Johan Mojica 1992.08.21 ([age(1992-08-21)]세) 185cm, kg
2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파블로 마페오 Pablo Maffeo 1997.07.12 ([age(1997-07-12)]세) 172cm
24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DF 마르틴 발리옌트 Martin Valjent 1995.12.11 ([age(1995-12-11)]세) 187cm
25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이반 쿠에야르 Iván Cuéllar 1984.05.27 ([age(1984-05-27)]세) 187cm, 76kg
29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얀 비르질리 Jan Virgili 2006.07.26 ([age(2006-07-26)]세) cm, kg
구단 정보
회장: 로버트 사버 / 감독: 하고바 아라사테 / 홈 구장: 비지트 마요르카 에스타디
출처 :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8월 28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AS 로마에서 임대[3] 리즈 유나이티드에서 임대

}}}}}}}}} ||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000>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왈테르 베니테스
Walter Benítez
1993년 3월 19일 ([age(1993-03-19)]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12 헤로니모 룰리
Gerónimo Rulli
1992년 5월 20일 ([age(1992-05-20)]세) 6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3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Emiliano Martínez
1992년 9월 2일 ([age(1992-09-02)]세) 5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톤 빌라 FC
DF 2 나우엘 몰리나
Nahuel Molina
1998년 4월 6일 ([age(1998-04-06)]세) 53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3 니콜라스 탈리아피코
Nicolás Tagliafico
1992년 8월 31일 ([age(1992-08-31)]세) 71 1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4 곤살로 몬티엘
Gonzalo Montiel
1997년 1월 1일 ([age(1997-01-01)]세) 36 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
6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Leonardo Balerdi
1999년 1월 26일 ([age(1999-01-26)]세) 6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8 마르코스 아쿠냐
Marcos Acuña
1991년 10월 28일 ([age(1991-10-28)]세) 61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
13 크리스티안 로메로
Cristian Romero
1998년 4월 27일 ([age(1998-04-27)]세) 42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19 니콜라스 오타멘디
Nicolás Otamendi
1988년 2월 12일 ([age(1988-02-12)]세) 125 7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 후안 포이스
Juan Foyth
1998년 1월 12일 ([age(1998-01-12)]세) 20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야레알 CF
- 훌리오 솔레르
Julio Soler
2005년 2월 16일 ([age(2005-02-16)]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MF 5 레안드로 파레데스
Leandro Paredes
1994년 6월 29일 ([age(1994-06-29)]세) 74 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
7 로드리고 데 파울
Rodrigo De Paul
1994년 5월 24일 ([age(1994-05-24)]세) 79 2 파일:미국 국기.svg 인터 마이애미 CF
8 엔소 페르난데스
Enzo Fernández
2001년 1월 17일 ([age(2001-01-17)]세) 37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4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Exequiel Palacios
1998년 10월 5일 ([age(1998-10-05)]세) 37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18 니코 파스
Nico Paz
2004년 9월 8일 ([age(2004-09-08)]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모 1907
20 알렉시스 맥 알리스터
Alexis Mac Allister
1998년 12월 24일 ([age(1998-12-24)]세) 38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21 프랑코 마스탄투오노
Franco Mastantuono
2007년 8월 14일 ([age(2007-08-14)]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 클라우디오 에체베리
Claudio Echeverri
2006년 1월 2일 ([age(2006-01-02)]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 알란 바렐라
Alan Varela
2001년 7월 4일 ([age(2001-07-04)]세) 0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FW 9 훌리안 알바레스
Julián Álvarez
2000년 1월 31일 ([age(2000-01-31)]세) 44 12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0 리오넬 메시파일:주장 아이콘.svg
Lionel Messi
1987년 6월 24일 ([age(1987-06-24)]세) 194 114 파일:미국 국기.svg 인터 마이애미 CF
15 니콜라스 곤살레스
Nicolás González
1998년 4월 6일 ([age(1998-04-06)]세) 44 6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6 티아고 알마다
Thiago Almada
2001년 4월 26일 ([age(2001-04-26)]세) 11 4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7 줄리아노 시메오네
Giuliano Simeone
2002년 12월 18일 ([age(2002-12-18)]세) 6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발렌틴 카르보니
Valentín Carboni
2005년 3월 5일 ([age(2005-03-05)]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노아 CFC
- 호세 마누엘 로페스
José Manuel López
2000년 12월 6일 ([age(2000-12-06)]세) 0 0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일정 2026 FIFA 월드컵 남미 지역예선 2025년 9월 5일(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2025년 9월 10일(화)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7일
}}}}}}}}}}}}}}} ||



[1] 삼중국적이다. 아버지가 이탈리아 국적, 어머니는 아르헨티나 국적이지만 출생지는 스페인이다.[2] 실제로 당시 베예린은 아스널 팬들 아니면 거의 알지 못하던, 유스중에서도 인지도가 낮은편에 속하던 선수였다. 마페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아니, 오히려 프리시즌이나 EFL컵 등 성인 무대에서 보여준건 당시 베예린보다 지금의 마페오가 더 많다![3] 마페오의 포지션은 수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