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토탈 워: 파라오 왕조에 등장하는 세력들을 다룬 문서.캠페인 시작기준 총 162개의 세력이 등장한다. 멀티플레이 전투에서는 14개의 주요 세력(람세스, 미케네, 바빌론, 베이, 세티, 셰르덴, 아멘메세스, 이르수, 타르훈타사, 타우스레트, 트로이, 펠레세트, 하니갈바트, 하티)만 선택할 수 있다.
소규모 세력의 군주들도 나름 역사상 네임드지만 세트나크테나 멤논, 트로이의 영웅들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클론 무장급 외모와 능력치를 갖고 있다.
2. 문화권
플레이가 가능한 소규모 세력은 볼드체로 처리한다.2.1. 이집트
- 플레이 가능한 소규모 세력
- 메르넵타
캠페인 시작기준 나이는 56세로, 실제 나이보다 20세 가량 젊다. 이집트의 파라오로 시작하며 자식 4명이 있지만 카엠와세트만이 세력 후계자이며 세티, 타우스레트, 아멘메세스는 별개의 팩션으로 독립해있는 상태다. 또한 세티가 파라오 후계자다. 이집트의 수도인 메네페르에서 시작하며 바다 민족 루카와 전쟁 상태다. 세력 유닛은 이집트 전역의 각종 유닛들을 섞어서 생산할 수 있다. - 세트나크테
캠페인 시작기준 나이는 53세. 이집트 서부 사막지역에서 시작하며, 람세스 3세와 동맹 상태다. 람세스가 아들이지만 별개 팩션이라 다른 자식 1명이 후계자다. 처음부터 이집트 대장군이라 왕실 전차를 갖고 시작한다. 서쪽의 리부 팩션과 전쟁중인 상태이다. 현지유닛으로 리부 유닛을 쓰며 세력 유닛으로 상이집트와 메자이를 섞어 생산한다. - 나파타
토탈 워 사가: 트로이에 등장했던 멤논이 세력 지도자로 등장한다. 문화권은 쿠쉬인으로 분류된다. 나파타는 기원전 15세기 투트모스 3세가 누비아를 정복하고 세운 거점 도시였다. 누비아/쿠쉬 세력의 대표격인 흑인 문명이다.
트로이에선 파라오 람세스 3세의 신하로 나왔지만 본작에선 이집트와는 중립적인 상태다. 25세이지만 결혼하지 않은 상태라 빠르게 결혼해주자. 남쪽 지역에서 세력을 키운 후에 내전이나 외교로 이집트 파라오를 노려야 한다. 유닛으로 누비아와 쿠쉬 유닛들을 섞어 생산한다. - 던걸
이집트 남서쪽 사막에 위치한 둔쿨 오아시스(Dunqul Oasis)의 이름을 따왔다. 리부 계열 진영이다. 이집트와 혐오가 붙어있고 정작 다른 리부 부족들과도 사이가 좋지 않다. 그나마 남쪽 부헨과 불가침 상태다.
리더인 제예데페는 23세에 결혼하지 않은 상태다.
대부분 리부 유닛을 사용하나 쿠쉬 궁병을 일부 사용 가능하다. - 메시웨시
세력 지도자인 메르예위는 실제 역사에서 기원전 1208년 이집트를 침공했다가 메르넵타에게 패해 사망한 리부의 대추장 메르예위의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원래 세력명은 바하리야가 될 예정이었으나 고증 문제 때문인지 메시웨시로 변경된 걸로 보인다. 지도자 메르예이는 25세에 미혼이다. 주변 모든 세력과 혐오가 붙어 있어 주의해야 한다.
유닛들은 대부분 리부이나 일부 이집트식 보병이나 전차도 뽑을 수 있다.
- 플레이 불가능 소규모 세력
2.2. 가나안
- 플레이 가능 소규모 세력
가나안의 도시국가들이다. - 다마스쿠스(Damascus)
내륙의 도시국가. 튼튼한 모루 유닛이 없어서 해안가로 진출해서 현지병을 생산해야 한다. 외교적으로 대부분 가나안들과 사이가 나쁘지 않으나 이르수와 전쟁 상태라 초반에 유닛을 뽑아 이르수를 멸망시키는데 집중해야 한다. 지도자 하리유는 34세 미혼이다. - 아슈켈론(Ashkelon)
가나안 남부의 도시국가. 바다민족 펠레세트가 코앞에 있고 이집트도 별로 우호적이지 않다. 지도자 야빈은 45세 미혼이라 빨리 결혼해야 한다. - 예마르(Emar)
다마스쿠스보다 약간 북동쪽에 있는 내륙 도시국가. 일반적인 가나안+이르수 유닛들을 사용하며 외교적으로도 중립적이다. 히타이트나 메소포타미아 중 원하는 쪽으로 진출할 수 있다.지도자인 아르할바는 20세 미혼이다. - 우가리트(Ugarit)
가나안 계열의 북부 도시국가. 알라시야를 속국화하기도 했으나 바다민족에게 망한 나라이다. 각종 가나안 유닛들과 이르수 전용 유닛, 후반엔 일부 바다민족 유닛도 사용할 수 있다. 지도자 암무라피는 45세에 미혼이라 빨리 결혼해서 애를 낳아야 한다. 우가리트는 매우 좋은 교단 중심도시이다. 가나안들과는 외교적으로 중립적이나 히타이트들은 적대적이다. 또한 바다민족에게 침략당하기 쉬운 위치다. - 비블로스(Byblos)
가나안 중앙부의 도시국가. 특이하게 바다 민족 유닛들을 다양하게 뽑을 수 있다. 하지만 바다 민족들과 우호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다른 가나안들보다 약간 바다 민족 혐오도가 낮은 수준. 아래쪽에 펠레세트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지도자 압도시르는 38세 미혼이다.
- 플레이 불가능 소규모 세력: 세부 분류에 따라 정주 가나안, 유목 가나안 2가지로 구분된다.
- 마리온(Marion)
- 메기도(Megiddo)
- 사카(Sakka)
- 셰켐(Shechem)
- 수코트(Sukkot)
- 아무루(Amurru)
- 우루샬림(Urushalim)
- 베르셰바(Beersheba)
- 팀나(Timna)
- 하비루(Habiru)
- 하조르(Hazor)
- 할랍(Halab)
- 헤치(Hetch)
2.3. 하티
- 플레이 가능 소규모 세력
- 말리디야(Malidiya)
히타이트 계열 도시국가. 원래 미탄니의 요새도시였지만 히타이트에게 정복당했다. 지도자 헬라리지는 24세에 미혼이다. 처음에 도시를 4개나 갖고 있고 주변 히타이트 제후국들과는 사이가 크게 나쁘지 않으나 메소포타미아는 적대적이다. - 상가리안 프리기아(Sangarian Phrygia)
히타이트 서쪽의 이민족인 프리기아 족. 카스카[1]와 프리기아 유닛들을 섞어서 사용한다. 전용유닛들이 대부분 돌격적이나 현지병으로 튼튼한 방패창병 모루도 뽑을 수 있다. 지도자인 주왈라는 29세에 미혼이다. 외교는 상당히 안 좋은데 북서쪽의 소수민족들과만 친하고 그리스/트로이/히타이트계 모두와 적대적이다. - 알라쉬야(Alashiya)
키프로스의 가나안 계열 도시국가. 청동이 매우 많은 키프로스섬 영토 덕분에 청동 고급 병종을 뽑기 좋고 거래로 주변국에 팔아서 다른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가나안과 히타이트 유닛을 섞어서 생산할 수 있다. 대신 바다 민족의 코앞이라 요새화를 철저히 해야 한다. 지도자인 이비라누는 24세 미혼이다. - 카르케미쉬(Carchemish)
히타이트 계열 도시국가. 역사상 히타이트가 멸망한 후에 신히타이트 정통성을 자체하던 왕족의 국가다. 지도자 탈미 테슈브는 41세인데 미혼이다. 히타이트 쪽과는 중립적이나 메소포타미아나 가나안과 혐오가 붙어있어서 전쟁을 주의해야 한다. - 킴메르인(Cimmerians)
북방 기마 유목민족이다. 세력 문양은 토탈 워 사가: 트로이의 히폴리테 문양과 동일하다. 실제 역사에서는 파탈워 시기(기원전 13세기)보다 500여년 뒤인 기원전 8세기 후반 ~ 7세기 초반 서남아시아 지역으로 남하했다.
세력 전용 모집건물에서 지역 관계없이 기병을 뽑을 수 있다. 북방민족이지만 히타이트와의 외교는 크게 나쁘지 않다. 대신 프리기아와 사이가 안 좋다. 어차피 히타이트와 붙어있기 때문에 히타이트를 정복하는 것이 낫다. 지도자인 훌리야는 23세에 미혼이다.
- 플레이 불가능 소규모 세력
- 라라완다(Larawanda)
- 마이타(Maita)
- 사피누와(Sapinuwa)
- 안키라(Ancyra)
- 카네쉬(Kanesh)
- 카스카 침략자(Kaska Invaders)
- 쿰만니(Kummanni)
- 쿠이하(Quiha)
- 키비라(Cibyra)
- 키라타(Kirata)
- 키즈와트나(Kizzuwatna)
- 투와나(Tuwna)
- 테이셰바(Teisheba)
- 파르하(Parha)
- 팔라(Pala)
- 푸루샨다(PuruShanda)
- 후루(Hurru)
- 후비스나( Hubishna)
2.4. 바다 민족
왕조 캠페인부터 이올라오스 제외 다들 정착을 적극적으로 노린다. 소규모 세력들은 침략자 세력들처럼 자원을 많이 갖고 있어서 거래로 이득을 보기 좋다.- 소규모 세력(플레이 불가능)
- 데니엔(Denyen)
- 루카(Lukka)
- 세켈레시(Shekelesh)
- 에퀘시(Ekwesh)
- 웨셰시(Wesesh)
- 테레쉬(Teresh)
- 테케르(Tjeker)
2.5. 프리기아
아나톨리아 서부에 위치하며, 플레이 불가능 소규모 세력으로 등장한다. 플레이어블 프리기아는 하티 탭에 있다.- 만얀 프리기아(Manyan Phrygia)
- 아스카니아 프리기아(Ascanian Phrygia)
2.6. 쿠쉬
누비아 지역에 위치하며, 플레이 불가능한 소규모 세력으로 등장한다.- 부헨(Buhen)
- 카와(Kawa)
- 케르마(Kerma)
2.7. 리부(리비아)
이집트 서부 사막지역에 배치된 소규모 세력들. 플레이 가능한 이집트 소규모 세력인 둔쿨, 메시웨시가 리부 문화권에 속한다.- 가라만테스(Garamantes)
- 다클라(Dakhla)
- 리부 침략자(Libu)
- 카르가(Kharga)
- 테헤누(Tehenou)
- 파라프라(Farafra)
2.8.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위치한 세력들이다.- 플레이 가능 소규모 세력
- 아시리아(Assyria)
아시리아의 중앙정부. 지도자는 투굴티-닌우르타 1세의 아들 아슈르 나딘 아플리. 역사상 하니갈바트의 니누르타에게 전복당한다. 왕은 처음부터 아시리아의 만물왕이며 30세 미혼이다. 외교적으로 바빌론이나 히타이트와 나쁘지 않지만 북방 우라르투 민족들은 적대적이다. 하니갈바트와 비슷하게 기병 포함 다양한 유닛들을 사용한다. - 슈트루키드(Shutrukid)
엘람의 왕조이다. 세력 지도자는 슈트룩나흐훈테 1세의 아버지 할루투쉬 인슈쉬나크가 등장한다. 명칭상 슈트룩/슈트루크 왕조로 번역해야하나 영어발음 그대로 음역해버렸다. - 룰루비(Lullubi)
메소포타미아 바빌론과 기원전 2천년 전부터 대립하던 우라르투 계열의 고원지대 왕국이다. - 슈투(Sutu)
아모리인, 셈족 계열의 유목민 집단이다. - 슈브루(Shubru)
아시리아에게 격파된 미탄니의 잔당인 후르리인 계열 세력이다.
- 플레이 불가능 소규모 세력
2.9. 에게
이전작인 토탈 워 사가: 트로이의 다나오스, 트로이인 세력이 합쳐졌다. 문화권은 아카이아, 펠라스기, 트라키아로 나뉘어져 있다.- 주요 세력
- 플레이 가능 소규모 세력
트사가의 미케네. 지도자도 아가멤논으로 동일하고 유닛도 같다. 동생 메넬라오스도 장군으로 모집 가능.
트사가의 트로이. 지도자는 프리아모스로 구현되었다. 헥토르, 파리스, 아이네이아스를 장군으로 모집할 수 있다.
- 플레이 불가능 소규모 세력: 문화상 아카이아, 펠라스기, 트라키아로 나뉘어진다.
- 돌로피아(Dolopia)
- 디오니시아스(Dionysias)
- 렐레기아 미노아(Lelegia Minoa)
- 로데스(Rhodes)
- 마그네테스(Magnetes)
- 마에오니아(Maeonians)
- 마카리아(Makaria)
- 밀레투스(Miletus)
- 베힌다(Vehinda)
- 스키로스(Skyros)
- 시코네스(Cicones)
- 아네모에사(Anemoessa)
- 아르카디아
- 아반테스(Abantes)
- 아이탈레이아(Aethaleia)
- 아이톨리아(Aetolians)
- 아티나(Athina)
- 아파에소스(Apaesos)
- 안트르다(Antheada)
- 에페소스(Ephesos)
- 카소파에이(Cassopaei)
- 카임(Kyme)
- 쿠레테스(Curetes)
- 코린티아인(Corinthians)
- 크노소스(Knossos) - 이도메네우스가 지도자로 등장한다.
- 테레이아(Tereia)
- 텔레보아(Teleboans)
- 트라케스(Thrakes)
- 트리오피온(Triopion)
- 틀라와(Tlawa)
- 티니(Thyni)
- 파에오니아(Paeonians)
- 플레그라(Phlegra)
- 필로스(Pylos) - 네스토르가 지도자이며 아가멤논과 불가침 상태다.
2.10. 우라르투
플레이는 불가능하며, 이슈와와 자그로스 지역에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 가능한 소규모 민족 중 킴메르인, 룰루비가 분류상 우라르투계 세력으로 분류된다.- 구티움(Gutium)
- 나마르(Namar)
- 니드르(Nidr)
- 니브루(Nirbu)
- 우루무(Urumu)
3. 관련 문서
토탈 워: 파라오/세력4. 출처
팬덤위키 토탈 워: 파라오[1] 히타이트의 북서쪽에 있던 이민족[2] 하니갈바트는 아카드어로 미탄니 제국을 지칭한 용어로, 전차병을 의미한다. 미탄니 제국이 아시리아에게 멸망한 후 아시리아의 왕족이 다스리는 번왕국으로 바뀌었다.[3] 슈트루키드(슈트룩 왕조, 슈트루크 왕조)와 함께 이기 할키(Igi-halki) 왕조로 번역해야 옳으나 파탈워 번역은 영문명을 음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