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4 14:37:02

타키

1. 폭포를 뜻하는 일본어 단어2. 일본 미에현의 행정구역
2.1. 타키초2.2. 타키군
3. 인명
3.1. 실존 인물3.2. 가공 인물
4. 몽골야생말(Takhi)의 영문표기 중 하나5. 기타

1. 폭포를 뜻하는 일본어 단어

たき. 한자로는 (신자체) 또는 (구자체)로 표기한다.

2. 일본 미에현의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9843>
파일:미에현 문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츠시 문장.png
현청
츠시
파일:욧카이치시 시장.svg
특례

욧카이치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abari_Mie_chapter.jpg
나바리시
파일:마츠사카시 시장.png
마츠사카시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20%> 파일:스즈카시 시장.png
스즈카시
||<width=20%> 파일:시마시 시장.png
시마시 ||<width=20%> 파일:오와세 시장.png
오와세시
||<width=20%> 파일:이가시 시장.png
이가시 ||<width=20%> 파일:이나베시 시장.png
이나베시
||
파일:이세시 시장.png
이세시
파일:카메야마시 시장.png
파일:쿠마노시 시장.png
파일:쿠와나시 시장.png
파일:토바시 시장.png
토바시
미에군
파일:미에 미하마초 문장.png
파일:키호초 문장.png
키호초
파일:미에현 아사히초.png
파일:미에현 카와고에초.png
파일:코모노초 문장.png
와타라이군
파일:미나미이세초 문장.png
파일:와타라이초 문장.png
파일:타마키초 문장.png
파일:타이키초 문장.png
파일:토인초 문장.png
토인초
타키군
파일:키소사키초 문장.png
파일:키호쿠초 문장.png
파일:메이와초 문장.png
파일:오다이초 문장.png
파일:타키초 문장.png
타키초
}}}}}}}}} ||


2.1. 타키초

타키초 (미에현)

2.2. 타키군

타키군 (미에현)

3. 인명

일본의 성씨 또는 이름. 성씨 표기는 滝, 瀧, 多岐, 多木, 田木 등, 이름 표기는 滝, 瀧, 多紀, 多喜 등.

3.1. 실존 인물

3.2. 가공 인물

4. 몽골야생말(Takhi)의 영문표기 중 하나

Takhi.

몽골야생말을 지칭하는 몽골어 'Тахь(태흐)'를 영문으로 표기한 단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몽골야생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몽골야생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몽골야생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1] 1879–1903. 도쿄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라이프치히 음악원에 다니다가 폐결핵으로 인해 귀국하여 향년 23세로 요절했으며, "荒城の月(황폐한 성 위에 뜬 달)"과, 사망 4개월 전 작곡한 "憾(유감)"으로 유명하다.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지구 교향곡에 등장하는 '타키렌'의 모티브가 되었다.[2] 더빙명은 포포[3] 2주차 3번째 곡부터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