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유슌상 | 1984 · 1985 안드레 아몬 | 1986 라이프 타테야마 |
JRA상 | -- 1987 · 1988 없음-- | 1989 다이나 레터 | |
1990 카리브 송 | 1991 나리타 하야부사 | --1992 없음-- | 1993 메이쇼 호무라 | 1994 후지노 맛켄 오 | 1995 라이블리 마운트 | 1996 호쿠토 베가 | --1997 없음-- | 1998 윙 애로우 | --1999 없음-- | ||
2000 윙 애로우 | 2001 쿠로후네 | 2002 골드 알뤼르 | 2003 · 2004 어드마이어 돈 | 2005 카네 히키리 | 2006 아론다이트 | 2007 버밀리언 | 2008 카네 히키리 | 2009 에스포와르 시티 | ||
2010 에스포와르 시티 | 2011 트랜센드 | 2012 니혼 필로 아워즈 | 2013 벨샤자르 | 2014 홋코 타루마에 | 2015 코파노 리키 | 2016 사운드 트루 | 2017 골드 드림 | 2018 르 방 스 레브 | 2019 크리소베릴 | ||
2020 추와 위저드 | 2021 티오 케인스 | 2022 카페 파라오 | 2023 · 2024 레몬 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더트 그레이드 경주 최우수마 | |
1997 1998 1999 | ||
2000 2001 2002 2003 · 2004 2005 2006 2007 | ||
NAR 그랑프리 더트 그레이드 경주 특별상 | ||
2008 2009 | ||
2010 · 2011 2012 2013~2015 2016 · 2017 2018 2019 | ||
2020 2021 2022 2023 2024 |
이름 | クロフネ Kurofune | |
출생 | 1998년 3월 31일 | |
죽음 | 2021년 1월 17일 (23세) | |
성별 | 수컷 | |
털색 | 회색 (芦毛, 아시게) | |
아비 | 프렌치 데퓨티 | |
어미 | 블루 애비뉴(Blue Avenue) | |
외조부 | 클래식 고 고(Classic Go Go) | |
생산자 | 니콜라스 M. 로츠 | |
마주 | 카네코 마코토 홀딩스 | |
조교사 | 마츠다 쿠니히데 (릿토) | |
성적 | 10전 6승 (6-1-2-1) | |
총상금 | 3억 7023만 5000엔 | |
주요 우승 | G1 | NHK 마일 컵(2001) 재팬 컵 더트(2001) |
G3 | 마이니치배(2001) 무사시노 스테이크스(2001) | |
레이팅 | IC | M125 - I125 (2001) |
타임폼 | 130 | |
주요 수상 | 2001년 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 2001년 더트 그레이드 경주 최우수마 | |
주요 자마 | ||
상세 정보 | |
1. 개요
기록을 남겼다. 기억을 새겼다. 記録を残した。記憶を刻んだ。 | 문을 두드리는 자 扉を叩く者 |
<rowcolor=white> 히어로 열전 No.52 | 2022년 명마의 초상 |
|
일본경마에 나타난 흑선 日本競馬に現れた"黑船" |
메모리얼 히어로[1] |
문을 두드리는 자
미지의 생명과
이해를 초월한 존재에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낀다
어디서 왔는가
왜 그런 일이 가능한가
그러나 이단이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하고
고정관념을 깨뜨릴 때
경외로부터 태어난 희망이
내일로의 문을 두드릴 것이다
JRA 명마의 초상
미지의 생명과
이해를 초월한 존재에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낀다
어디서 왔는가
왜 그런 일이 가능한가
그러나 이단이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하고
고정관념을 깨뜨릴 때
경외로부터 태어난 희망이
내일로의 문을 두드릴 것이다
JRA 명마의 초상
2014 JRA CM 「The G1 story」챔피언스 컵 편 |
일본의 경주마. 미국 켄터키 주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조교받은 외국산 말이다. 카네코 마코토가 마주 활동을 시작하던 시기에 그가 경마계에 정착하는 계기가 된 말로, 카네코 마코토는 쿠로후네의 성공을 통해 딥 임팩트와 킹 카메하메하가 존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외산마에게 더비와 킷카상이 개방되는 바로 그 해에 더비를 우승하는 첫 외산마가 되라는 의미를 담아, 마주 카네코 마코토가 쿠로후네 사건에서 유래한 "쿠로후네"라는 이름을 지었다.
경주마로서는 2000년과 2001년 단 두 해만 활약하고 은퇴했으나, 생애 통산 10전 6승 중 네 경기에서 레코드를 갱신하며 우승한 뛰어난 말이었다.
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프렌치 데퓨티 French Deputy 1992 | <colbgcolor=#Ffffe4,#323300>데퓨티 미니스터 Deputy Minister 1979 | 바이스 리젠트 Vice Regent |
민트 카피 Mint Copy | ||
미테랑 Mitterand 1981 | 홀드 유어 피스 Hold Your Peace | |
러레이도 래스 Laredo Lass | ||
블루 애비뉴 Blue Avenue 1990 | 클래식 고 고 Classic Go Go 1978 | 파고 파고 Pago Pago |
클래식 퍼펙션 Classic Perfection | ||
일라이저 블루 Eliza Blue 1983 | 아이스커페이드 Icecapade | |
코렐라 Corella | ||
* 니아크틱 5×4 9.375% * 나스룰라 5×5 6.25% | ||
주요 전형제[2] | |
3. 커리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노보 트루| 트로트 스타| 티엠 오션| 고카이| 아그네스 타키온| 티엠 오페라 오 | 쿠로후네| 레이디 파스텔| 정글 포켓| 블랙 호크| 메이쇼 도토| 트로트 스타 | 티엠 오션| 맨해튼 카페| 아그네스 디지털| 투 더 빅토리| 젠노 엘 시드| 쿠로후네| 정글 포켓| 타무로 체리| 어드마이어 돈| 유 후요호| 맨해튼 카페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 |
2000년 8월부터 조교사 마츠다 쿠니히데(松田国英) 아래에서 조교를 받기 시작했으며, "역전의 고마 같다"는 평을 들은 균형잡힌 탄탄한 체구와 강한 승부근성 덕분에 기대를 받았다. 10월 14일의 첫번째 3세 신마전에서는 2착을 기록했으나 2주 후 치른 두번째 3세 신마전에서 레코드를 갱신하며 우승했고, 같은 해 말에 출주한 에리카상에서도 또 레코드를 깨며 1착을 기록했다.
2001년 NHK 마일 컵 영상 |
2000년 말의 첫 중상 도전인 G3 라디오탄파배 3세 스테이크스에서 3착으로 입착했고, 이듬해인 2001년에는 G3 마이니치배와 G1 NHK 마일 컵에서 2연승을 거둔다.
쿠로후네 진영은 천황상(가을)에 출주하려 준비하고 있었으나, 아그네스 디지털의 갑작스러운 출주로 천황상(가을)에 출주하지 못하게 된다. 천황상은 2000년도부터 외국산 말에 대해 두 필까지 출주를 허가하는 제한 규정이 있었고, 아일랜드산 말인 메이쇼 도토가 이미 출주 예정이었기 때문에 한 자리만 남아있었던 상황인데 쿠로후네의 획득 상금이 아그네스 디지털보다 낮아 밀려난 것이다.[4]
2001년 무사시노 스테이크스 영상 |
11월 24일에는 더트 G1인 재팬 컵 더트[6]에도 출주해 지난해 우승마인 윙 애로우와 7마신차를 내고 기존 레코드를 1.3초나 앞당기며 우승했는데, 당시 쿠로후네의 기수였던 타케 유타카는 "지금까지 훌륭한 말을 많이 타봤지만, 오늘 경기에 한해 말하자면 지금까지 탔던 말들 중 이렇게까지 강한 말은 없었다"는 소감을 밝혔다. 쿠로후네는 잔디 경주마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지만, 단 두 번의 더트 경주에서 세운 기록이 2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아[7][8][9] '일본 경마 역사상 최강의 더트마'라는 평가를 심심찮게 듣게 되었다. 여담으로 같은 해에 아그네스 디지털과 쿠로후네 모두 잔디와 더트에서 G1 우승을 기록했다.[10]
2002년에 더트 최고 상금 경기인 두바이 월드 컵에 출주하려 했으나, 2001년 말에 오른쪽 앞다리 굴건염이 발병해 현역에서 은퇴했다.
4. 종마 생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color=#fff><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width=15%> 연도 ||<width=20%> 교배료
(만엔) ||<width=15%> 교배
두수 ||<width=15%> 자마
두수 ||<width=10%> 종마
순위[11] || 계양처 ||
(만엔) ||<width=15%> 교배
두수 ||<width=15%> 자마
두수 ||<width=10%> 종마
순위[11] || 계양처 ||
2002 | [Private] | 152 | - | - |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
2003 | 500[A] | 201 | 86 | ||
2004 | 161 | 139 | |||
2005 | 400[B] | 179 | 112 | 60 | |
2006 | 600[B] | 246 | 114 | 20 | |
2007 | 400[B] | 159 | 161 | 11 | |
2008 | 300[B] | 211 | 102 | 4 | |
2009 | 212 | 130 | 5 | ||
2010 | 209 | 137 | 4 | ||
2011 | 200 | 135 | 5 | ||
2012 | 203 | 138 | 5 | ||
2013 | 216 | 127 | 10 | ||
2014 | 140 | 139 | 11 | ||
2015 | 200[B] | 180 | 91 | 9 | |
2016 | 200[C] | 157 | 105 | 7 | |
2017 | 66 | 101 | 7 | ||
2018 | 200[D] | 103 | 28 | 9 | |
2019 | (Private)[21] | - | 38 | 12[22] |
2002년부터는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씨수말로 전업해 카렌짱과 소다시 등 G1 레이스에서 우승한 자마를 9필이나 배출하며 활약했고, 2019년에 씨수말도 은퇴하고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이듬해인 2021년 1월 17일에 노환으로 숨을 거두었다.
쿠로후네의 자마들은 2000m 이상 레이스에서 약한 모습을 보이는데, 유일한 평지 중상 우승 기록은 2021년 삿포로 기념을 제패한 소다시가 보유하고 있다. 정작 쿠로후네는 더트 2100미터를 7마신 차로 우승하며 20년이 지나도록 깨지지 않던 레코드를 세웠다는건 아이러니. 또한 활약마들이 암말 쪽으로 상당히 편중된 필리 사이어이다. 이 덕에 직계는 아니어도 모계에서는 혈통표에 계속 이름을 비추고 있다.
4.1. GI/JpnI 우승 자마
- 굵게 표시된 것은 GI/JpnI/J·GI 경주.
- 2003년산
- 후사이치 리샤르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2005), 한신 컵(2006),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2005)
- 2004년산
- 슬립리스 나이트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2008), CBC상(2008), 키타큐슈 기념(2008)
- 2007년산
- 카렌짱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2011), 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12), 한신 암말 스테이크스(2011), 하코다테 스프린트 스테이크스(2011), 킨랜드 컵(2011)
- 2008년산
- 2010년산
- 업 투 데이트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2015), 나카야마 대장해(2015), 한신 스프링 점프(2018), 코쿠라 서머 점프(2015), 한신 점프 스테이크스(2017, 2018)
- 2012년산
- 클래러티 스카이 - NHK 마일 컵(2015), 이초 스테이크스(2014)
- 화이트 푸가 - JBC 레이디스 클래식(2015, 2016), 간토 오크스(2015), 사키타마배(2017), TCK 여왕배(2016), 스파킹 레이디 컵(2016), 마린 컵(2017)
- 2014년산
- 2018년산
- 소다시 -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2020), 오카상(2021), 빅토리아 마일(2022), 삿포로 기념(2021), 삿포로 2세 스테이크스(2020), 아르테미스 스테이크스(2020)
- 2019년산
4.2. 중상 우승 자마
- 2004년산
- 화이트 멜로디 - 간토 오크스(2007), 퀸 상(2007)
- 2005년산
- 유키짱 - 간토 오크스(2008), 퀸 상(2009), TCK 여왕배(2010)
- 브라보 데이지 - 엠프레스배(2010), 후쿠시마 암말 스테이크스(2009)
- 마루모 세라 - 판타지 스테이크스(2007)
- 2007년산
- 세이코 라이코 - 아이비스 서머 대시(2014)
- 드림 세일링 - 교토 점프 스테이크스(2016)
- 2008년산
- 마루모 세라 - 판타지 스테이크스(2010)
- 2009년산
- 어스 소닉 - 케이한배(2013)
- 2010년산
- 스토크 앤드 레이 - 하코다테 2세 스테이크스(2012)
- 쿠로후네 서프라이즈 - 튤립상(2013)
- 임펄스 히어로 - 팔콘 스테이크스(2013)
- 마이네르 크롭 - 마치 스테이크스(2015), 사가 기념(2015)
- 2012년산
- 2013년산
- 오켄 빌리브 - 클러스터 컵(2018)
- 2014년산
- 죈 에콜 - 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2016), 하코다테 스프린트 스테이크스(2017)
- 2015년산
- 팍스 아메리카나 - 교토 금배(2019)
- 2016년산
- 에메랄 파이트 - 스프링 스테이크스(2019)
- 2017년산
- 렌 블랑슈 - 간토 오크스(2020), 레이디스 프렐류드(2021)
- 2018년산
- 마리아 엘레나 - 코쿠라 기념(2022)
4.3. 주요 Broodmare Sire(BMS) 산구
- 굵게 표시된 것은 GI/JpnI/J·GI 경주.
- 2008년산
- 2009년산
- 2011년산
- 스테파노스(아비 딥 임팩트) - 후지 스테이크스(2014)
- 메돌라크(아비 타니노 김렛) - 타나바타상(2018), 한신 점프 스테이크스(2019)
- 2012년산
- 2013년산
- 2014년산
- 어드마이어 미야비(아비 하츠 크라이) - 퀸 컵(2017)
- 카와키타 엔카(아비 딥 임팩트)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2018)
- 베스트 액터(아비 딥 임팩트) - 한큐배(2020)
- 2015년산
- 놈코어(아비 하빈저) - 빅토리아 마일(2019),
홍콩 컵(2020), 삿포로 기념(2020), 시온 스테이크스(2018), 후지 스테이크스(2019)
- 류노 유키나(아비 버밀리언) - 도쿄 스프린트(2021, 2023), 클러스터 컵(2021)
- 2016년산
- 크로노 제네시스(아비 바고) - 슈카상(2019), 타카라즈카 기념(2020, 2021), 아리마 기념(2020), 교토 기념(2020), 퀸 컵(2019)
- 노바 렌다(아비 다이와 메이저) - 전일본 2세 우준(2018), 다이올라이트 기념(2022)
- 리온 리온(아비 룰러십) - 아오바상(2019), 세인트 라이트 기념(2019)
- 하야얏코(아비 킹 카메하메하) - 아르헨티나 공화국배(2024), 레퍼드 스테이크스(2019), 하코다테 기념(2022)
- 패싱 스루(아비 룰러십) - 시온 스테이크스(2019)
- 겐파치 루시퍼(아비 투 더 글로리) - 프로키온 스테이크스(2022)
- 하야부사 난데쿤(아비 골드 알뤼르) - 마치 스테이크스(2023)
- 2017년산
- 레이 파팔레(아비 딥 임팩트) - 오사카배(2021), 챌린지 컵(2020)
- 벨라 아줄(아비 에이신 플래시) - 재팬 컵(2022), 교토대상전(2022)
- 이로고토시(아비 뱅센)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2023, 2024)
- 모즈 나가레보시(아비 그랑프리 보스) - 코쿠라 기념(2021)
- 텔리오스 벨(아비 키즈나) - 퀸 상(2022), 브리더스 골드 컵(2023)
- 2018년산
- 브레이크업(아비 노벨리스트) - 아르헨티나 공화국배(2022)
- 스루 세븐 시즈(아비 드림 저니)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2023)
- 2019년산
- 스터닝 로즈(아비 킹 카메하메하) - 슈카상(2022), 엘리자베스 여왕배(2024), 플라워 컵(2022), 시온 스테이크스(2022)
- 프라다리아(아비 딥 임팩트) - 아오바상(2022), 교토대상전(2023), 교토 기념(2024)
- 가이아 포스(아비 키타산 블랙) - 세인트 라이트 기념(2022)
- 준 블로섬(아비 월드 에이스) - 후지 스테이크스(2024)
- 2020년산
- 2021년산
- 2022년산
5. 여담
- 생전엔 굉장히 친화력이 좋아 마방의 말들과 두루두루 친하게 지냈으며, 특히 다른 말들과는 거의 어울리지 않던 하츠 크라이도 쿠로후네와는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 실장되지 않았지만, 아그네스 디지털의 육성 시나리오에서 4번을 달고 NHK 마일 컵에 출전해 승리한 우마무스메로 언급된다. 하술할 극장판이 개봉되기 전 만들어진 여러 2차 창작에선 대놓고 자주 모습을 드러내는 저스터웨이와는 다르게 직접 언급되지 않고 그려진다. 예시[23]
- 우마무스메 극장판인 새로운 시대의 문에서 페리 스팀이라는 노골적인 가명을 가진 조연으로 등장한다.[24] 하지만 쿠로후네의 시대임에도 가명을 썼다는 건 실장 가능성을 기대하지 말라는 것[25]과 같기에, 우마무스메 팬덤은 그냥 체념하고 '쿠로후네 = 페리 스팀'으로 단정한 2차 창작, 팬아트들을 만들어내곤 한다.@ 주로 실제 딸 카렌짱과 외손녀 크로노 제네시스와 같이 어울리는 팬아트가 많은 편이다.
6.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fff> 2000년 (3세, 현 2세) | |||||||||
10.14 | 교토 | 3세 신마 | 잔디 1600m | 6.9 | <colcolor=#000> 3 | 2착 | 마츠나가 미키오 | 에이신 스펜서 | |
10.28 | 교토 | 3세 신마 | 잔디 2000m | 1.3 | <colbgcolor=gold> 1 | <colbgcolor=gold><colcolor=red> 1착[R1] | (마이네르 이스케이프) | ||
12.3 | 한신 | 에리카상 | 500만 | 잔디 2000m | 1.3 | 1 | 1착[R2] | (다이이치 던힐) | |
12.23 | 한신 | 라디오탄파배 3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2000m | 1.4 | 1 | 3착 | 아그네스 타키온 | |
<rowcolor=#ffffff> 2001년 (3세)[28] | |||||||||
3.24 | 한신 | 마이니치배 | GIII | 잔디 2000m | 1.3 | 1 | 1착 | 시이 히로후미 | (코인 토스) |
5.6 | 도쿄 | NHK 마일 컵 | GI | 잔디 1600m | 1.2 | 1 | 1착 | 타케 유타카 | (그래스 에이코 오) |
5.27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3.0 | 2 | 5착 | 정글 포켓 | |
9.23 | 한신 | 고베신문배 | GII | 잔디 2000m | 4.4 | 2 | 3착 | 에비나 마사요시 | 에어 에미넴 |
10.27 | 도쿄 | 무사시노 스테이크스 | GIII | 더트 1600m | 2.3 | 1 | 1착[R3] | 타케 유타카 | (이글 카페) |
11.24 | 도쿄 | 재팬 컵 더트 | GI | 더트 2100m | 1.7 | 1 | 1착[R4] | (윙 애로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중앙 GI으로 창설 | |
1996 타이키 포춘 | 1997 시킹 더 펄 | 1998 엘 콘도르 파사| 1999 심볼리 인디 | ||
2000 이글 카페 | 2001 쿠로후네 | 2002 텔레그노시스 | 2003 윈 클뤼거| 2004 킹 카메하메하| 2005 라인 크라프트 | 2006 로직 | 2007 핑크 카메오 | 2008 딥 스카이 | ||
국제 GI 지정 후 | ||
2009 조 카푸치노 | ||
2010 다논 샹티이 | 2011 그랑프리 보스 | 2012 카렌 블랙 힐| 2013 마이네르 호오 | 2014 미키 아일| 2015 클래러티 스카이 | 2016 메이저 엠블럼 | 2017 아에롤리트 | 2018 케이아이 노티크 | 2019 어드마이어 마스 | ||
2020 라우다 시온 | 2021 슈넬 마이스터 | 2022 다논 스콜피온 | 2023 샴페인 컬러 | 2024 잔타르 만타르 | 2025 판자 타워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재 팬 컵 더 트 | 중앙 GI 중상으로 창설, 도쿄 2100m |
2000 윙 애로우 | 2001 쿠로후네 | 2002 이글 카페 | 2003 2004 타임 패러독스 | 2005 카네 히키리 | 2006 아론다이트 | ||
국제 GI 지정 후 | ||
2007 버밀리언 | ||
한신 1800m | ||
2008 카네 히키리| 2009 에스포와르 시티 | 2010 · 2011 트랜센드 | 2012 니혼 필로 아워즈 | 2013 벨샤자르 | ||
챔 피 언 스 컵 | 주쿄 1800m | |
2014 홋코 타루마에 | 2015 삼비스타 | 2016 사운드 트루 | 2017 골드 드림 | 2018 르 방 스 레브 | ||
2019 크리소베릴 | 2020 추와 위저드 | 2021 티오 케인스 | 2022 준 라이트 볼트 | 2023 · 2024 레몬 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54 미네마사 | 1955 야사카 | 1956 캐슬 | 1957 신 세카이이치 | 1958 타카하루 | 1959 하츠라이 |
1960 타이곤 오 | 1961 야마사카에 | 1962 골든 스타 | 1963 패스포트 | 1964 온워드 세컨드 | 1965 타니노 라이징 | 1966 아포 온워드 | 1967 사토 히카루 | 1968 다테 호라이 | 1969 마사 파이터 | |
1970 다테 텐류 | 1971 니혼 필로 무티에 | 1972 유몬드 | 1973 호슈 에이트 | 1974 에리모 마치스 | 1975 후사토로 키노 | 1976 에리모 파더 | 1977 하드 버지 | 1978 아그네스 호프 | 1979 하시 허밋 | |
1980 레드 재규어 | 1981 히로노 와카코마 | 1982 에리모 로라 | 1983 타케노 히엔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 |
1984 마루부츠 서펜 | 1985 뉴 판판 | 1986 프레시 보이스 | 1987 다이고 알파 | 1988 오구리 캡 | 1989 스타 선샤인 | |
1990 키 미노부 | 1991 이데 사탄 | 1992 히시 마사루 | 1993 시클레논 셰리프 | 1994 메르시 스테이지 | 1995 다이타쿠 테이오 | 1996 타이키 포춘 | 1997 티엠 탑 댄 | 1998 미라클 타임 | 1999 티엠 오페라 오 | |
2000 실버 콕핏 | 2001 쿠로후네 | 2002 치어즈 슈타르크 | 2003 타카라 샤디 | 2004 킹 카메하메하 | 2005 로젠크로이츠 | 2006 어드마이어 메인 | 2007 나무라 마스 | 2008 딥 스카이 | |
국제 GIII 지정 후 | |
2009 아이언 룩 | |
2010 다논 샹티이 | 2011 레드 데이비스 | 2012 히스토리컬 | 2013 키즈나 | 2014 마이네르 프로스트 | 2015 뮈제 에일리언 | 2016 스마트 오딘 | 2017 알 아인 | 2018 블래스트 원피스 | 2019 랜스 오브 푸라나 | |
2020 사토노 임프레사 | 2021 샤흐리야르 | 2022 피스 오브 에이트 | 2023 시즌 리치 | 2024 메이쇼 타바루 | 2025 팬덤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
1996 키소지 골드 | 1997 듀크 그랑프리 | 1998 · 1999 엠아이 블랑 | |
2000 샌퍼드 시티 | 2001 쿠로후네 | |
국제 GIII 승격 후 | |
2002 더블 해피니스 | 2003 사일런트 딜 | 2004 핏 파이터 | 2005 선라이즈 바커스 | 2006 시킹 더 베스트 | 2007 에이신 롬버드 | 2008 키쿠노 살리레 | 2009 원더 어큐트 | |
2010 글로리어스 노아 | 2011 나무라 타이탄 | 2012 이지겐 | 2013 벨샤자르 | 2014 와이드 바흐 | 2015 논코노 유메 | 2016 타가노 토네르 | 2017 인캔테이션 | 2018 선라이즈 노바 | 2019 원더 리데르 | |
2020 선라이즈 노바 | 2021 솔리스트 썬더 | 2022 길디드 미러 | 2023 드라이 스타우트 | 2024 엠퍼러 와케아 | }}}}}}}}} |
7.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
1962 온슬로트 (65) | 1963 메이즈이 · 야마노 오 · 류 포렐 (63) | 1964 야마토 쿄다이 (66) | 1965 신잔 (67) | 1966 코레히데 (64) | 1967 스피드 심볼리 (64) | 1968 히카루 타카이 · 류즈키 (62) | 1969 타케시바 오 (66) | |
1970 스피드 심볼리 (65)| 1971 토메이 (64)| 1972 이시노 히카루 (63)| 1973 타케 호프 (63)| 1974 키타노 카치도키 · 타니노 치카라 (64)| 1975 카부라야 오 (63)| 1976 후지노 파시아 · 토쇼 보이 (63)| 1977 텐 포인트 (65)| 1978 사쿠라 쇼리 · 인터 구시켄 · 카네 미노부 · 에리모 조지 · 그린 그래스 (62)| 1979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 사쿠라 쇼리 · 그린 그래스 (62) | |
1980 오펙 호스 (62)| 1981 호요 보이 (63)| 1982 몬테 프린스 (64)| 1983 미스터 시비 (65)| 1984 심볼리 루돌프 (67)| 1985 심볼리 루돌프 (70)| 1986 다이나 걸리버 (64)| 1987 닛포 테이오단거리 · 사쿠라 스타 오 (64)| 1988 타마모 크로스 (68)| 1989 이나리 원 · 오구리 캡 (65) | |
1990 오구리 캡단거리 (65)| 1991 토카이 테이오 (65)| 1992 미호노 부르봉 · 토카이 테이오 (65)| 1993 토카이 테이오 (65) | |
1994 나리타 브라이언 (63)| 1995 마야노 탑건 (60.5)| 1996 사쿠라 로렐 (61.5) | |
JPN 클래시피케이션 1997년-2003년 (단위:파운드) | |
1997 버블검 펠로 (121)| 1998 엘 콘도르 파사 (126)| 1999 엘 콘도르 파사 (134) | |
2000 티엠 오페라 오 (122)| 2001 쿠로후네 (125)| 2002 심볼리 크리스 에스 (119)| 2003 심볼리 크리스 에스 (124) | |
JPN 서러브레드 랭킹 2004년-현재 (단위:파운드) | |
2004 젠노 롭 로이 (122)| 2005 딥 임팩트 (124)| 2006 딥 임팩트 (127)| 2007 어드마이어 문 (125)| 2008 스크린 히어로 (122)| 2009 드림 저니 · 컴퍼니 (122) | |
2010 나카야마 페스타 (127)| 2011 오르페브르 (123)| 2012 오르페브르 (127)| 2013 오르페브르 (129)| 2014 저스터웨이 (130)| 2015 에이신 히카리 (123)| 2016 모리스 · 에이신 히카리 (127)| 2017 키타산 블랙 (124)| 2018 아몬드 아이 (124)| 2019 리스 그라슈 (126) | |
2020 아몬드 아이 · 콘트레일 (124)| 2021 콘트레일 (126)| 2022 이퀴녹스 (126)| 2023 이퀴녹스 (135)| 2024 두 듀스 (125)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 ※ 2021년 JRA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2001년 ~ 2020년에 활약한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100두'를 선정 | ||||||||
1위 딥 임팩트 | 2위 아몬드 아이 | 3위 오르페브르 | 4위 키타산 블랙 | 5위 보드카 | |||||
6위 콘트레일 | 7위 골드 쉽 | 8위 티엠 오페라 오 | 9위 젠틸돈나 | 10위 로드 카날로아 | |||||
11위 킹 카메하메하 | 12위 다이와 스칼렛 | 13위 오쥬 쵸산 | 14위 쿠로후네 | 15위 부에나 비스타 | |||||
16위 데어링 택트 | 17위 리스 그라슈 | 18위 소다시 | 19위 키즈나 | 20위 세자리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1~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1위 하츠 크라이 | 22위 심볼리 크리스 에스 | 23위 럭키 라일락 | 24위 크로노 제네시스 | 25위 모리스 | ||||
26위 그란 알레그리아 | 27위 아그네스 타키온 | 28위 저스터웨이 | 29위 빅투아르 피사 | 30위 키세키 | |||||
31위 두라멘테 | 32위 아그네스 디지털 | 33위 아파파네 | 34위 사토노 다이아몬드 | 35위 스테이 골드 | |||||
36위 다이와 메이저 | 37위 정글 포켓 | 38위 에피파네이아 | 39위 피에르망 | 40위 드림 저니 | |||||
41위 맨해튼 카페 | 42위 사투르날리아 | 43위 메이쇼 삼손 | 44위 월드 프리미어 | 45위 카네 히키리 | |||||
46위 와그네리안 | 47위 나카야마 페스타 | 48위 네오 유니버스 | 49위 스윕 토쇼 | 50위 에이신 플래시 | |||||
51위 어드마이어 그루브 | 52위 젠노 롭 로이 | 53위 히시 미라클 | 54위 탭 댄스 시티 | 55위 마카히키 | |||||
56위 듀랜달 | 57위 레이 데 오로 | 58위 타니노 김렛 | 59위 버밀리언 | 60위 하프 스타 | |||||
61위 아에롤리트 | 62위 마츠리다 고흐 | 63위 홋코 타루마에 | 64위 논코노 유메 | 65위 페노메노 | |||||
66위 파인 모션 | 67위 인디 챔프 | 68위 메이쇼 도토 | 69위 렛츠 고 돈키 | 70위 카렌짱 | |||||
71위 살리오스 | 72위 원 앤 온리 | 73위 마리알라이트 | 74위 컴퍼니 | 75위 놈코어 | |||||
76위 레인보우 라인 | 77위 스틸 인 러브 | 78위 다논 더 키드 | 79위 러브즈 온리 유 | 80위 디어드러 | |||||
81위 코파노 리키 | 82위 블래스트 원피스 | 공동 83위 로고타입 · 스와브 리처드 |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문 | ||||||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마스 | 87위 골드 알뤼르 | 88위 미키 퀸 | 89위 업 투 데이트 | 90위 러블리 데이 | |||||
91위 에포카 도로 | 92위 스노우 드래곤 | 93위 알 아인 | 94위 스크린 히어로 | 95위 윈 브라이트 | |||||
96위 이슬라 보니타 | 97위 모즈 애스콧 | 98위 야마닌 슈크르 | 공동 99위 에스포와르 시티 · 다논 프리미엄 | }}}}}}}}} | |||||
설명 및 분류 · 드림 호스 2000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 ※ 2024년 월간 우준지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기 투표를 바탕으로 미래에 전하고 싶은 명마 베스트 100두를 선정 | ||||||||
1위 딥 임팩트 | 2위 이퀴녹스 | 3위 오구리 캡 | 4위 오르페브르 | 5위 아몬드 아이 | |||||
6위 사일런스 스즈카 | 7위 토카이 테이오 | 8위 나리타 브라이언 | 9위 보드카 | 10위 키타산 블랙 | |||||
11위 심볼리 루돌프 | 12위 골드 쉽 | 13위 티엠 오페라 오 | 14위 콘트레일 | 15위 소다시 | |||||
16위 판탈라사 | 17위 오쥬 쵸산 | 18위 두 듀스 | 19위 스테이 골드 | 20위 메지로 맥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1~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1위 라이스 샤워 | 22위 텐 포인트 | 23위 신잔 | 24위 엘 콘도르 파사 | 25위 타이틀홀더 | ||||
26위 다이와 스칼렛 | 27위 하이세이코 | 28위 젠틸돈나 | 29위 스페셜 위크 | 30위 에어 그루브 | |||||
31위 쿠로후네 | 32위 부에나 비스타 | 33위 두라멘테 | 34위 키즈나 | 35위 로드 카날로아 | |||||
36위 미스터 시비 | 37위 우슈바 테소로 | 38위 그래스 원더 | 39위 그란 알레그리아 | 40위 리버티 아일랜드 | |||||
41위 킹 카메하메하 | 42위 타이키 셔틀 | 43위 에프포리아 | 44위 데어링 택트 | 45위 미호노 부르봉 | |||||
46위 아그네스 디지털 | 47위 토쇼 보이 | 48위 호쿠토 베가 | 49위 나이스 네이처 | 50위 하츠 크라이 | |||||
51위 메이케이 옐 | 52위 마야노 탑건 | 53위 히시 아마존 | 54위 리스 그라슈 | 55위 비와 하야히데 | |||||
56위 저스터웨이 | 57위 심볼리 크리스 에스 | 58위 트윈 터보 | 59위 사쿠라 바쿠신 오 | 60위 타마모 크로스 | |||||
61위 아그네스 타키온 | 62위 메이세이 오페라 | 63위 마루젠스키 | 64위 크로노 제네시스 | 65위 세자리오 | |||||
66위 서니 브라이언 | 67위 마르슈 로렌 | 68위 딥 본드 | 69위 킹 헤일로 | 70위 사쿠라 로렐 | |||||
71위 그린 그래스 | 72위 빅투아르 피사 | 73위 멜로디 레인 | 74위 메지로 라이언 | 75위 러브즈 온리 유 | |||||
76위 테스코 가비 | 77위 나리타 탑 로드 | 78위 드림 저니 | 79위 스타즈 온 어스 | 80위 키세키 | |||||
81위공동 카부라야 오 | 81위공동 하루 우라라 | 83위 카츠라기 에이스 | 84위 슈퍼 크릭 | 85위 세이운 스카이 | |||||
86위 쿠리후지 | 87위 노스 플라이트 | 88위 메지로 파머 | 89위 메이쇼 도토 | 90위 메지로 라모누 | |||||
91위 키스톤 | 92위 위닝 티켓 | 93위 에피파네이아 | 94위 아이네스 후진 | 95위 럭키 라일락 | |||||
96위 모리스 | 97위 댄스 인 더 다크 | 98위 후지 키세키 | 99위 송라인 | 100위 메지로 도베르 | }}}}}}}}} | }}}}}}}}} |
[1] 2023년 11월 JRA 70주년 기념으로 각 G1 레이스별 대표 경주마를 팬투표로 결정 한 후 2024년 기존 명마의 초상을 대체하는 기획 프로그램이다. 중복으로 1위에 뽑힌 경주마는 가장 투표가 높았던 레이스 대표가 되고 그렇게 투표 상위가 빠진 레이스에는 차등 경주마가 대표가 된다.[2] 중상마만 서술.[3] 일본의 GI/JpnI 급 자마로 노보 잭(ノボジャック), 에이신 데퓨티, 어드마이어 주피터, 프렌드십(フレンドシップ), 핑크 카메오(ピンクカメオ), 레지네타(レジネッタ), 사운드 트루가 있다. 참고로 프렌치 데퓨티는 2024년 기준으로 아직도 생존 중이다.[4] 쿠로후네는 당시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티엠 오페라 오와 메이쇼 도토의 2강 구도를 깰 신흥 강자로 주목받았으나, 아그네스 디지털이 천황상 출주 선언을 하는 바람에 기회를 잃어버렸다. 그래서 당시 아그네스 디지털에 대한 경마 팬들의 시선은 곱지 않았으며, "한때 반짝한 더트 마일러가 유망주 앞길을 막는다"는 비난까지 받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아그네스 디지털은 티엠 오페라 오를 꺽고 천황상을 우승하며 스스로의 강함을 증명하였고, 쿠로후네는 더트로 전향하여 일본 최강의 더트마라는 평가를 받게 되었으니 둘 모두에게 좋은 선택이 되었다.[5] 혈통 자체는 더트 혈통이었으니 믿는 구석은 있었을 것이다.[6] 당시에는 도쿄 경마장 더트 2100m 대회.[7] 2020년 기준 더트 1600m 일본 레코드는 아르크토스에 의해 갱신되었지만 지방의 경주에서 갱신 되었기에 일본 레코드가 아닌 JRA의 레코드로서는 아직까지 남아있다.[8] 참고로 더트 마장의 경우 양마장 보다 약중이나 중마장에서 레이스 타임이 빨라지는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JRA 더트 레코드 중 양마장에서 기록된 레코드는 쿠로후네의 레코드뿐이다.[9] 실제로 아르크토스가 쿠로후네의 일본 레코드를 갱신한 2020년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도 비가 내려 중마장이었다.[10] 지방 G1을 포함할 경우 아그네스 디지털이 JRA 최초의 잔디와 더트 양대 G1 우승마고 쿠로후네가 두번째 달성이지만 중앙 G1으로 한정할 경우 쿠로후네가 최초 달성마가 되며 아그네스 디지털이 1년 늦은 2002년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우승으로 두번째 달성이다.[11] 중앙경마 기준[Private] [A] 불수태시 반환[B] 수태 확인 후[B] [B] [B] [B] [C] [D] 수태 확인 후, FR특약 없음,불출생시 전액 반환[21] 사실상 은퇴[22] 이후 순위 - 2020년 17위, 2021년 22위, 2022년 34위, 2023년 43위, 2024년 120위[23] 하얀색 생머리에 검은 줄이 그려진게 쿠로후네의 창작 디자인.[24] 정글 포켓의 육성 스토리 中, 단츠 플레임이 어느 모브 캐릭터를 보고 "어라? 저 아이... 머리카락은 하얀색인데 이름은 검은색이네?"라며 그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드러내었다.[25] 카네코는 사적인 친분이 있는 위닝 포스트를 제외한 타 컨텐츠에서의 소유마 등장을 강경하게 거부한다.[R1] 2:00.7[R2] 2:01.2[28] 2001년에 경주마의 나이 세는 법이 현재처럼 바뀌었다.[R3] 1:33.3[R4] 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