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 <tablewidth=100%> 쿠모하타 | 세인트 라이트 | 쿠리후지 | 토키츠카제 | 토사 미도리 |
토키노 미노루 | 메이지 히카리 | 하쿠치카라 | 세이유 | 코다마 | |
신잔 | 스피드 심볼리 | 타케시바 오 | 그랜드 마치스 | 하이세이코 | |
토쇼 보이 | 텐 포인트 | 마루젠스키 | 미스터 시비 | 심볼리 루돌프 | |
메지로 라모누 | 오구리 캡 | 메지로 맥퀸 | 토카이 테이오 | 나리타 브라이언 | |
타이키 셔틀 | 엘 콘도르 파사 | 티엠 오페라 오 | 킹 카메하메하 | 딥 임팩트 | |
보드카 | 오르페브르 | 로드 카날로아 | 젠틸돈나 | 키타산 블랙 | |
아몬드 아이 | 콘트레일 | 이퀴녹스 | |||
현창자 목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 <tablewidth=100%> 클래식 | 1941 세인트 라이트 | 1964 신잔 | 1983 미스터 시비 | 1984 심볼리 루돌프# | 1994 나리타 브라이언 | 2005 딥 임팩트# | 2011 오르페브르 | 2020 콘트레일# |
암말 | 1986 메지로 라모누 | 2003 스틸 인 러브 | 2010 아파파네 | 2012 젠틸돈나 | 2018 아몬드 아이 | 2020 데어링 택트# | 2023 리버티 아일랜드 | |
변칙 | 1943 쿠리후지# | |
# 무패 삼관마 삼관기수 목록 | }}}}}}}}} |
1986년 일본 중앙 경마 트리플 티아라 | ||
이름 | メジロラモーヌ Mejiro Ramonu | |
출생 | 1983년 4월 9일 | |
죽음 | 2005년 9월 22일 (22세) | |
성별 | 암컷 | |
털색 | 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 |
아비 | 모가미 (Mogami) | |
어미 | 메지로 히류 (メジロヒリュウ) | |
외조부 | 네버 비트 | |
생산자 | 메지로 목장 | |
마주 | ||
조교사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
성적 | 12전 9승 (9-0-0-3) | |
총상금 | 3억 1192만 100엔 | |
주요 우승 | G1 | |
G2 | 4세 암말 특별(서)(1986) 4세 암말 특별(동)(1986) 로즈 스테이크스(1986) | |
G3 | 테레비도쿄상 3세 암말 스테이크스(1985) | |
주요 수상 | 1985년 유슌상 최우수 3세(현 2세) 암말 1986년 유슌상 최우수 4세(현 3세) 암말 | |
레이팅 | 프리 핸디 | 62 (1986) |
상세 정보 | |
1. 개요
Queen of 1986 | 완전무결 完全無欠 |
<rowcolor=white> 히어로 열전 No.20 | 2019년 명마의 초상 |
1986년을 떠올릴 때, 우리는 반드시 너를 기억할 것이다.
역사상 최초의 삼관(三冠) 암말.
그 위대한 발자취는 찰나와 같이 사라졌지만,
선명하게 우리 마음속에 남아 있다.
그 화려한 질주와 아름다운 달리기는
마치 바늘처럼 선명하게 떠오른다.
1986년, 너는 여기에 있었다.
JRA 히어로 열전
역사상 최초의 삼관(三冠) 암말.
그 위대한 발자취는 찰나와 같이 사라졌지만,
선명하게 우리 마음속에 남아 있다.
그 화려한 질주와 아름다운 달리기는
마치 바늘처럼 선명하게 떠오른다.
1986년, 너는 여기에 있었다.
JRA 히어로 열전
완전무결
시간도 장소도
상대가 누구라도
그런 건 관계 없다.
주어진 일을
완벽하게 해내고
그 하나하나를
강한 인상으로 남긴다.
그래 나의 이름은
미스 퍼펙트.
어떤 일도 실패하지 않는 여자.
JRA 명마의 초상
시간도 장소도
상대가 누구라도
그런 건 관계 없다.
주어진 일을
완벽하게 해내고
그 하나하나를
강한 인상으로 남긴다.
그래 나의 이름은
미스 퍼펙트.
어떤 일도 실패하지 않는 여자.
JRA 명마의 초상
86년, 오카상.
그 아름다운 검은 유선형.
질투조차 따라잡지 못한다.
동경조차 닿지 못한다.
그 말이 사상 첫 삼관 암말이 되는 것을,
아직 아무도 알지 못했다.
"마성의 청록모"
그 말의 이름은...
메지로 라모누.
다음 전설을 보아라.
2012년 오카상 CM
그 아름다운 검은 유선형.
질투조차 따라잡지 못한다.
동경조차 닿지 못한다.
그 말이 사상 첫 삼관 암말이 되는 것을,
아직 아무도 알지 못했다.
"마성의 청록모"
그 말의 이름은...
메지로 라모누.
다음 전설을 보아라.
2012년 오카상 CM
일본의 경주마. JRA 최초의 암말 삼관마이자 JRA 현창마. 말 이름은 관명 '메지로'에 알프스산맥의 봉우리 중 하나인 라몬(l'Amone)을 조합했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영문 표기는 l'Amone이 아닌 Ramonu로 등록되었고, 한국에서는 원어 발음에서 유래한 라몬느와 일본어 발음에서 유래한 라모누가 혼용되고 있다. 일본 경마 역사상 첫번째 트리플 티아라로 암말 삼관마 중 엘리자베스 여왕배를 제패하여 삼관마가 된 유일한 암말이다.[1]
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모가미 Mogami 1976 | <colbgcolor=#ffffe4,#323300>리파르 Lyphard 1969 |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
구프트 Goofed | ||
노 럭 No Luck 1968 | 럭키 데버네어 Lucky Debonair | |
노 티징 No Teasing | ||
메지로 히류 メジロヒリュウ 1972 | 네버 비트 Never Beat 1960 | 네버 세이 다이 Never Say Die |
브라이드 이펙트 Bride Elect | ||
아마존 워리어 Amazon Warrior 1960 | 칼리드 Khaled | |
워 벳시 War Betsy | ||
* 네아르코 5×5×5 9.375% | ||
주요 반형제[2] | 메지로 아르당(父 아스완)(1985) |
아비인 모가미는 특이하게도 메지로 목장과 심볼리 목장이 공동소유했던 말로, 라모누 외의 대표산구로는 시리우스 심볼리, 레거시 월드 등이 있다.
외조모 아마존 워리어는 미국산 비출주 말로 1965년에 일본에 수입되어 메지로 목장의 기초 번식 암말이 되었다. 아마존 워리어의 대표 자마 메지로 이글은 메지로 파머의 부마다.
3. 생애
소개글3.1. 데뷔 전
1983년 홋카이도 다테시의 메지로 목장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케이오(俊飛). 출생 당시 뒷다리의 관절 두 곳 모두가 문제가 있었으며 때문에 출생한 년도에는 받아줄 목장이 정해지지 않았고 이듬해 7월에 들어서야 관리할 조교사가 정해졌는데, 이것도 조교사가 메지로 상사 사장 키타노 토시오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어서 가능했다. 하지만 메지로 목장에서 육성 중, 3세에 접어들면서 관절 문제가 해결되고 점차 균형 잡힌 마체로 변모해 갔다. 같은 해 7월 메지로 라모누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후 하코다테 경마장으로 이동, 하코다테에서 조교를 하다 가을 들어 미호 트레이닝 센터에 입사했다.3.2. 1985년
1985년 10월 13일, 도쿄 경마장 3세(현 2세) 신마전에서 데뷔했는데 몸의 문제는 완전히 사라진 상태였다. 직전 조교에서는 1000m 60초의 기록을 냈고, 훈련 파트너를 4,5마신 차로 따돌리는 압도적인 기록을 냈다.[3] 이러한 정보가 전해져 초반부터 단승 1.4배의 압도적 인기를 받았다. 경기에선 초반부터 선두로 치고 나갔고, 마지막 코너에서는 후속을 한참 떼어놓았다. 결과는 2착과 약 20마신 차, 3초1 차이의 압승.이어진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에서는 라이벌로 예상되었던 다이나 액트리스가 부상으로 회피했고 메지로 라모누는 스타트에서 다른 말과 부딪히고 흥분해 페이스 배분에 실패, 5마리 중 4착을 기록한다. 다음 조건전 경기에서 승리 후 다시 도전한 중상 경주인 테레비 도쿄상 3세 암말 스테이크스에서 1분 34초 9라는 기록으로 승리했는데 당시 3세마가 1600m 경주에서 1분 35초 이내로 들어온 것은 커넬 랜서[4], 마루젠스키에 이어 3번째였다. 이 해 4전 3승으로 최우수 3세 암말로 선정되었다.
3.3. 1986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메지로 라모누 | 다이나 코스모스 | 쿠시로 킹 | 갤럽 다이나 | 메지로 라모누 | 다이나 걸리버 | 페르시안 보이 | 사쿠라 유타카 오 | 메지로 라모누 | 메지로 듀렌 | 타카라 스틸 | 주피터 아일랜드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 |
1986년 1월 중반부터는 같은 조교사의 4살 위 수말 토쇼 페가수스[5]와 병주(併走) 조교를 하며 클래식 경주를 준비했다. 그러나 첫 경주였던 퀸 컵에서 경주 전 흥분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4착을 기록했다. 경기 다음 주에 간사이로 이동해 원래 예정되었던 카와치 히로시를 기수로 정하고 이후 전경기에 기승하게 된다. 오카상 트라이얼 경주에서는 3코너에서 실속해 뒤로 처졌지만 직선 주로에서 뛰어난 스퍼트를 보이며 승리해 이 때부터 테스코 가비와 비교되기도 했다.
1986년 오카상 영상 |
오카상에서도 경주 전 초조해 보이긴 했지만 경기에서는 3코너부터 앞 쪽으로 진출해 자리 잡고 2착 마야노 조오에 1 3/4 마신 차 승리를 거두며 클래식 첫 경기를 잡았다. 미호로 돌아온 후 지금까지 2패는 모두 도쿄경마장 경주였기 때문에 도쿄에서 열리는 오크스 트라이얼 경주 4세 암말 특별(동)에 나가 여기서 처음 만난 다이나 액트리스를 1.5마신 차로 꺾고 승리한다.
1986년 오크스 영상 |
이어진 오크스에서는 스타트에서 늦어 중단 후방 쪽에 자리 잡았지만 서서히 앞으로 진출, 직선 주로에서 넓게 퍼진 경주마들의 중간에 자리잡고 후반 가속으로 힘을 보여주며 2착 유 미로쿠[6]에 2.5마신 차 승리를 거두었다. 다이나 액트리스는 3착을 기록했다. 승리 후 카와치 히로시는 테스코 가비를 넘었다고 생각한다는 인터뷰를 했다.
메지로 목장에서 여름 휴양 후 8월에 하코다테 경마장으로 이동해 사사침 치료를 받았다. 하코다테에서 조교 중 무언가를 잘 못 밟은 것으로 예상되는 보행 이상으로 복귀가 늦어졌고 반신반의 상태에서 나간 로즈 스테이크스에서 팟 테스코 레이디에 머리 차로 승리했다.
1986년 엘리자베스 여왕배 영상 |
3관이 걸린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는 나중에 오쿠히라 조교사의 회고에 따르면 70% 정도의 컨디션이었지만 단승 1.3배의 압도적인 인기를 받고 출주, 선행으로 레이스를 진행하다 3코너 부터 일찍 앞으로 나와 선두로 질주해 후속의 추격을 버티고 승리하며 암말 3관을 달성했다. 클래식 3경기와 각각의 트라이얼 경주에서 모두 승리했기에 완전 3관이라 평가되기도 했으며 암말 최초로 상금 3억엔을 돌파했고 중상 6연승으로 당시 중상 연승 신기록까지 세웠다.
메지로 목장 창업주의 미망인으로 마주를 이어받은 키타노 미야는 메지로 라모누가 아리마 기념을 끝으로 은퇴하고 메지로 목장에 번식 암말로 돌아온다고 발표했다. 아리마 기념에서는 팬투표 3위, 단승 인기 2위로 출주했지만 직선 주로를 앞두고 진로를 도모하다 실속해 결국 9착으로 패배했다.[7]이 해 최우수 4세 암말로 선정되었고 프리핸디에서는 기존 암말 최고였던 테스코 가비, 인터 글로리아[8], 하기노 탑 레이디의 60kg을 넘어선 62kg을 받았다. 이듬해 2월 8일 도쿄경마장에서 은퇴식을 가졌고 그 해 심볼리 루돌프와 함께 현창마로 선정되었다.
4. 번식마 생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color=#fff><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 순서 || 생년 || 말 이름 || 성별 || 모색 || 아버지 || 마주 || 조교사 || 전적 ||
1 | 1989 | 메지로 류몬 (メジロリュウモン) | 수컷 | 갈색 (鹿毛, 카게) | 메지로 티탄 | 메지로 목장 | 오쿠히라 신지 (미호)[9] | 9전 0승[10] |
2 | 1990 | 메지로 리베라 (メジロリベーラ) | 암컷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심볼리 루돌프 | 1전 0승 번식마 | ||
3 | 1992 | 메지로 텐오 (メジロテンオー) | 거세 | 갈색 (鹿毛, 카게) | 리얼 샤다이 | 29전 3승[11] | ||
4 | 1994 | 메지로 디자이어 (メジロディザイヤー) | 수컷 | 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 선데이 사일런스 | 16전 2승[12] 종마 | ||
- | 1995 | (산구 없음) | 크리미널 타입 (Criminal Type) | - | ||||
5 | 1996 | 메지로 몬주 (メジロモンジュ) | 수컷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린도 셰이버 (リンドシェーバー) | 메지로 목장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10전 0승[13] |
6 | 1997 | 메지로 브렛 (メジロブレット) | 수컷 | 갈색 (鹿毛, 카게) | 팀버 컨트리 (Timber Country) | 21전 2승[14] | ||
7 | 1998 | 메지로 플랙스 (メジロフラックス) | 암컷 | 갈색 (鹿毛, 카게) | 람타라 | 17전 1승[15] 번식마 | ||
8 | 1999 | 메지로 그린 (メジログリーン) | 수컷 | 갈색 (鹿毛, 카게) | 메지로 라이언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오쿠히라 마사시[16] (미호) | 66전 4승[17] | |
9 | 2000 | 메지로 베컴 (メジロベッカム) | 수컷 | 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 브라이언스 타임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호리 카츠히로 (타카사키)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27전 1승[18] | |
- | 2001 | (산구 없음) | 에어 지하드 | - | ||||
10 | 2002 | 메지로 스노우 슈 (メジロスノーシュー) | 암컷 | 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 엘 콘도르 파사 | - | 불출주 번식마 | |
11 | 2003 | 메지로 루바토 (メジロルバート)[19] | 암컷 | 갈색 (鹿毛, 카게) | 메지로 라이언 | 메지로 목장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12전 0승[20] 번식마 |
12 | 2004 | 메지로 라스터밴 (メジロラスタバン) | 수컷 | 갈색 (鹿毛, 카게) | 타니노 김렛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타카기 노보루 (미호) | 37전 2승[21] |
은퇴 후엔 번식마로 전향했으나 자마 실적이 좋지 않았다. 현역 당시의 명성을 이어갈 자마를 생산하지 못했으며 수태율이 매우 나빴고, 1년에 2번 이상 교배를 할 때도 많았으며 쌍둥이를 임신하는 경우도 많았다.[22]
특기할 만한 자마로는 심볼리 루돌프와 교배해 태어난 일명 10관[23] 베이비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암말 메지로 리베라가 있다. 이런 조합으로 나온 자마들이 대부분 그렇듯, 1전만에 부상으로 은퇴하며 기대에 미치진 못했다. 그럼에도 리베라의 외손자인 필드 루주가 지방 교류 GI인 카와사키 기념을 우승하기도 하는 성과가 나오기도 했다.
2005년 9월 22일, 메지로 목장에서 22세의 나이로 죽었다.[24]
5. 평가
JRA 사상 최초의 암말 삼관(트리플 티아라), 그것도 트라이얼(삼관경기 출전자격을 얻기위한 전초전 경기)의 3경기까지 완전제패로 따낸 업적이 있지만, 정작 수말들과 붙어본 중상경주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아리마 기념에서 성적이 저조해 후대로 갈 수록 점점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설상가상으로 클래식 시즌 아리마에서 9착이라는 참패를 기록한 채로 4세(현 3세)에 일찍 은퇴해버려서 고마전선을 전혀 뛰지 못한 것도 저평가의 큰 이유 중 하나. 만약 고마전선에서도 활약을 하며 수말과 경쟁해볼 기회가 더 있었더라면 평가가 달라졌을 수도 있다.[25]물론, 메지로 라모누에 패했던 다이나 액트리스는 현역 당시 마일 레코드 갱신 및 여러 중상 경주들에서 수말들을 때려 눕히는 활약을 보여줬으며,[26] 라모누의 주전 기수였던 카와치 히로시 역시 자신이 기승했던 암말들 중 라모누가 가장 강했다고 평가했다지만, 어쨋든 결과론적으로 아리마 기념에서 9착이라는 참패와 더불어서 고마전선 회피등의 이유로, 후대에 들어설 수록 초대 트리플 티아라+티아라 노선 완전 제패라는 업적 이외에는 JRA 암말 최강 후보군에는 오르지 못하고 있다.
자마를 빨리 보기위해서라는 이유로 메지로 목장에서 라모누를 빨리 은퇴시킨 것이 정설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만약 라모누의 자마실적이라도 좋았다면 평가를 반전시킬 수 있었지만, 자마 실적도 매우 좋지 않아 그대로 묻히고 말았다.[27]
6. 기타
- 현역 당시 구무원의 말에 따르면 살이 금방 찌는 체질이었다고 하는데, 평범하게 방목해도 다른 말들에 비해 금세 살이올라오는게 보이고, 적정 체중 초과로 경기에 참가하지 못할 뻔 했던 일화가 있을 정도다. 이는 라모누의 극단적으로 변하는 식성 때문인데 원정이나 싫어하는 훈련 등으로 스트레스가 쌓이면 소식을 할 정도로 입이 짧아지지만, 작정하고 먹으면 1일 8식, 다른 암말들이 먹는 양의 몇배를 더 먹었다고 한다.[28] 때문에 오크스 출전이후 체중이 500킬로를 넘는 바람에 방목하는 동안에도 운동과 식단조절을 할 정도였다고 한다. #
- 경주마로 데뷔하기 전에 오른쪽 눈에 부상이 발생해 출주를 못할 뻔한 적이 있는데 이는 JRA에서 데뷔 전에 한쪽 눈이나 양 눈을 실명할 경우 출주를 할수 없도록 규정해 놓았기 때문이다. 다행히 그리 깊은 부상이 아니었던지, 출주전에 완치되었다고 한다.
- 은퇴후 번식마로 활동 했을땐 사람들에겐 고분고분하고 자마들을 비롯한 어린 망아지들을 잘 돌보았으나, 다른 말들에겐 굉장히 까칠하고 엄격하게 굴었고 특히나 싫어하는 말이 보일 경우에는 노려보고 때때로 물어 버리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 메지로 목장의 후계인 레이크 빌라 팜의 메지로 라모누 혈통을 가진 암말은 글로리 베이즈를 낳은 메지로 츠보네[29] 혼자 번식 암말로 활동 중이다. 참고로 츠보네의 딸은 총 두 마리인데 장녀인 오하기(父 모리스는 체구가 작아 번식을 포기하고 고향에서 리드 호스로 지내고 있으며 차녀인 라르가멘테(父 두라멘테)는 2024년 하반기 데뷔로 준비 중이다.
6.1.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 같은 메지로 일가의 스토리에서 직접적으로 이름이 언급되어 우마무스메에 실장될 가능성이 열렸다.[30] 만약 실장될 경우 우마무스메에 두번째로 암말 삼관마(트리플 티아라)가 실장되는 셈이며[31] 맥퀸, 라이언, 도베르, 파머, 아르당, 브라이트에 이은 7번째 메지로 가문 출신 우마무스메가 된다.극중에선 평소 도베르가 동경하고 있는 선배이자 메지로 아르당의 언니로 사상 최초의 트리플 티아라 소유자라고 언급된다. 이후 동생 아르당을 통해 도베르에게 나중에 잔디에서 만나자는 전언을 남긴다.
메지로 아르당의 개인 스토리에서도 하야카와 타즈나에 의해 언급되는데, '사상 최초의 트리플 티아라', '메지로의 지보' 등으로 불리며 메지로 가문의 우마무스메들 중에서도 격이 다른 특별한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메지로 브라이트의 개인 스토리에서도 잠시 언급되는데, 스토리 진행 시점에선 잠시 해외에서 휴식중이라고 한다.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에서도 아르당의 언니로 종종 언급된다. 하지만 만화내내 일러스트는 커녕 실루엣없이 이름만 언급되는 정도. 이와중에 까마득한 후배 암말 삼관마가 먼저 공개되었다.
데어링 텍트가 공개된 지 3달이 넘은 2022년 11월 5일, 공식 홈페이지의 업데이트를 통해 정식 실장이 확정되었다. 실장 내용은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로.
7.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fff> 1985년 (3세, 현 2세) | |||||||||
10.13 | 도쿄 | 3세 신마 | 더트 1400m | 1.8 | <colbgcolor=gold> 1 | 1착 | 코지마 후토시 | (다이나 본더) | |
11.3 | 도쿄 |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400m | 2.2 | 1 | 4착 | 다이신 후부키 | |
11.30 | 나카야마 | 칸기쿠(寒菊)상 | 400만 | 잔디 1600m | 2.1 | 1 | 1착 | 카시와자키 마사츠구 | (후지노 센고쿠) |
12.14 | 나카야마 | 테레비도쿄상 3세 암말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600m | 4.9 | 2 | 1착 | (다이나 페어리) | |
<rowcolor=#ffffff> 1986년 (4세, 현 3세) | |||||||||
1.26 | 도쿄 | 퀸 컵 | GIII | 잔디 1600m | 1.2 | 1 | 4착 | 카시와자키 마사츠구 | 슈퍼 샷 |
3.16 | 한신 | 4세 암말 특별(서) | GII | 잔디 1400m | 2.0 | 1 | 1착 | 카와치 히로시 | (추오 샐리) |
4.6 | 한신 | 오카상 | GI | 잔디 1600m | 1.6 | 1 | 1착 | (마야노 조오) | |
4.27 | 도쿄 | 4세 암말 특별(동) | GII | 잔디 1800m | 1.9 | 1 | 1착 | (다이나 액트리스) | |
5.18 | 도쿄 | 우준 빈마 (오크스) | GI | 잔디 2400m | 1.8 | 1 | 1착 | (유 미로쿠) | |
10.12 | 교토 | 로즈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2000m | 1.8 | 1 | 1착 | (팟 테스코 레이디) | |
11.2 | 교토 | 엘리자베스 여왕배 | GI | 잔디 2400m | 1.3 | 1 | 1착 | (슈퍼 샷) | |
12.21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6.3 | 2 | 9착 | 다이나 걸리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39 소울 레이디 |
1940 타이레이 | 1941 브랜드 솔 | 1942 배너 골 | 1943 미스 세프트 | 1944 야마이와이 | ~~1945 · 1946 없음~~ | 1947 브라우니 | 1948 하마카제 | 1949 야시마 도터 | |
1950 토사 미츠루 | 1951 츠키카와 | 1952 스위 수 | 1953 칸세이 | 1954 야마이치 | 1955 야시마 벨 | 1956 미스 릴라 | 1957 미스 온워드 | 1958 호슈 퀸 | 1959 키요 타케 | |
1960 토키노 키로쿠 | 1961 스기 히메 | 1962 켄호 | 1963 미스 마사코 | 1964 카네 케야키 | 1965 하츠유키 | 1966 와카쿠모 | 1967 시 에이스 | 1968 코유 | 1969 히데 코토부키 | |
1970 타마미 | 1971 나스노 카오리 | 1972 어치브 스타 | 1973 닛토 치도리 | 1974 타카에노 카오리 | 1975 테스코 가비 | 1976 티타니아 | 1977 인터 글로리아 | 1978 오야마 테스코 | 1979 호스멘 테스코 | |
1980 하기노 탑 레이디 | 1981 브로케이드 | 1982 리젠그로스 | 1983 샤다이 소피아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1 지정 후 | |
1984 다이애나 솔론 | 1985 에레부스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맥스 뷰티 | 1988 아라 호토쿠 | 1989 샤다이 카구라 | |
1990 아그네스 플로라 | 1991 시스터 토쇼 | 1992 니시노 플라워 | 1993 베가 | 1994 오구리 로망 | 1995 원더 퍼퓸 | 1996 파이트 걸리버 | 1997 쿄에이 마치 | 1998 팔레놉시스 | 1999 프리모디네 | |
2000 치어스 그레이스 | 2001 티엠 오션 | 2002 애로우 캐리 | 2003 스틸 인 러브 | 2004 댄스 인 더 무드 | 2005 라인 크라프트 | 2006 키스 투 헤븐 | 2007 다이와 스칼렛 | 2008 레지네타 | 2009 부에나 비스타 | |
국제 G1 지정 후 | |
2010 아파파네 | 2011 마르셀리나 | 2012 젠틸돈나 | 2013 아유산 | 2014 하프 스타 | 2015 렛츠 고 돈키 | 2016 주얼러 | 2017 렌 미노루 | 2018 아몬드 아이 | 2019 그란 알레그리아 | |
2020 데어링 택트 | 2021 소다시 | 2022 스타즈 온 어스 | 2023 리버티 아일랜드 | 2024 스텔렌보스 | 2025 엠브로이더리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38 아스테리 모어 | 1939 호시 호마레 |
1940 루넬라 | 1941 테츠 반자이 | 1942 록 스테이츠 | 1943 쿠리후지 | ~~1944 · 1945 없음~~ | 1946 미츠마사 | 1947 토키츠카제 | 1948 야시마 히메 | 1949 킹 나이트 | |
1950 코마 미노루 | 1951 키요 후지 | 1952 스위 수 | 1953 지츠 호마레 | 1954 야마이치 | 1955 히로이치 | 1956 페어 만나 | 1957 미스 온워드 | 1958 미스 마루사 | 1959 오칸 | |
1960 스타 로치 | 1961 치토세 호프 | 1962 오 하야부사 | 1963 아이티오 | 1964 카네 케야키 | 1965 베로나 | 1966 히로요시 | 1967 야마핏 | 1968 루피너스 | 1969 샤다이 타킨 | |
1970 주피크 | 1971 카네 히무로 | 1972 타케 후부키 | 1973 나스노 치구사 | 1974 토코 엘자 | 1975 테스코 가비 | 1976 티타니아 | 1977 리니어 퀸 | 1978 파이브 호프 | 1979 아그네스 레이디 | |
1980 케이 키로쿠 | 1981 텐몬 | 1982 샤다이 아이버 | 1983 다이나 칼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 |
1984 토카이 로망 | 1985 노아노 하코부네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맥스 뷰티 | 1988 코스모 드림 | 1989 라이트 컬러 | |
1990 에이신 서니 | 1991 이소노 루블 | 1992 아도라블 | 1993 베가 | 1994 초카이 캐럴 | 1995 댄스 파트너 | 1996 에어 그루브 | 1997 메지로 도베르 | 1998 에리모 엑셀 | 1999 우메노 파이버 | |
2000 실크 프리마 돈나 | 2001 레이디 파스텔 | 2002 스마일 투모로우 | 2003 스틸 인 러브 | 2004 다이와 엘 시엘로 | 2005 세자리오 | 2006 카와카미 프린세스 | 2007 로브 데콜테 | 2008 톨 포피 | 2009 부에나 비스타 | |
국제 GI 지정 후 | |
2010 아파파네 · 생테밀리옹동착 | 2011 에린 코트 | 2012 젠틸돈나 | 2013 메이쇼 맘보 | 2014 누오보 레코르트 | 2015 미키 퀸 | 2016 신할라이트 | 2017 소울 스터링 | 2018 아몬드 아이 | 2019 러브즈 온리 유 | |
2020 데어링 택트 | 2021 위버레번 | 2022 스타즈 온 어스 | 2023 리버티 아일랜드 | 2024 체르비니아 | 2025 카무냑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3세 암말, 2400m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
1976 디아만테 | 1977 인터 글로리아 | 1978 리드 스왈로 | 1979 미스 카부라야 | |
1980 하기노 탑 레이디 | 1981 아그네스 테스코 | 1982 빅토리아 크라운 | 1983 롱 그레이스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 |
1984 쿄와 썬더 | 1985 리워드 윙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탤런티드 걸 | 1988 미야마 포피 | 1989 샌드 피어리스 | |
1990 쿄에이 탭 | 1991 린덴 릴리 | 1992 타케노 벨벳 | 1993 호쿠토 베가 | 1994 히시 아마존 | 1995 사쿠라 캔들 | |
3세 이상 암말, 2200m | |
1996 댄스 파트너 | 1997 에리모 시크 | 1998 · 1999 메지로 도베르 | |
2000 팔레놉시스 | 2001 투 더 빅토리 | 2002 파인 모션 | 2003 · 2004 어드마이어 그루브 | 2005 스윕 토쇼 | 2006 후사이치 판도라 | |
국제 GI 지정 후 | |
2007 다이와 스칼렛 | 2008 리틀 아마폴라 | 2009 퀸 스푸만테 | |
2010 · 2011 2012 레인보우 달리아 | 2013 메이쇼 맘보 | 2014 라키시스 | 2015 마리알라이트 | 2016 퀸즈 링 | 2017 모즈 캇짱 | 2018 리스 그라슈 | 2019 · 2020 럭키 라일락 | |
2021 아카이 이토 | 2022 제랄디나 | 2023 브레이디 베그 | 2024 스터닝 로즈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67 야마핏 | 1968 파인 로즈 | 1969 히데 코토부키 |
1970 타마미 | 1971 에리모 제니 | 1972 신모에다케 | 1973 닛토 치도리 | 1974 에비스 올 | 1975 테스코 가비 | 1976 스카시 솔론 | 1977 다이와 테스코 | 1978 산엠 조오 | 1979 시 버드 파크 | |
1980 샤다이 댄서 | 1981 브로케이드 | 1982 츠키마리 | 1983 다스 게니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 |
1984 다이와 슈가 | 1985 에레부스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코세이 | 1988 스칼렛 리본 | 1989 코쿠사이 리베 | |
1990 에이신 서니 | 1991 이소노 루블 | 1992 디스코 홀 | 1993 야마히사 로렐 | 1994 골든 잭 | 1995 1996 리틀 오드리 | 1997 쿄에이 마치 | 1998 맥스 캔 두 | 1999 후사이치 에어데일 | |
2000 사이코 키라라 | 2001 로즈버드 | 2002 석세스 뷰티 | 2003 야마카츠 릴리 | 2004 무브 오브 선데이 | 2005 라인 크라프트 | 2006 다이와 패션 | 2007 애스턴 마짱 | 2008 마이네 레첼 | 2009 원 캐럿 | |
국제 GII 지정 후 | |
2010 사운드 배리어 | 2011 프렌치 캑터스 | 2012 아임 유어스 | 2013 메이쇼 맘보 | 2014 벨 칸토 | 2015 퀸즈 링 | 2016 솔베이그 | 2017 카라쿠레나이 | 2018 리버티 하이츠 | 2019 노 원 · 푸르빌동착 | |
2020 에포스 | 2021 시게루 핑크 루비 | 2022 서블라임 앤섬 | 2023 싱 댓 송 | 2024 에트 부 프레 | 2025 쇼난 재너두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66 메지로 보사츠 | 1967 키쿠노 후도 | 1968 하드 웨이 | 1969 샹들리 |
1970 프리즈 터프 | 1971 나스노 카오리 | 1972 타카이 호마 | 1973 레이디 스포트 | 1974 캐시 보어 | 1975 토호 펄 | 1976 시비 퀸 | 1977 메이와 록 | 1978 히로노스키 | 1979 실크스키 | |
1980 코마 사츠키 | 1981 카바리 엘리 에이스 | 1982 리젠그로스 | 1983 다스 게니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2 지정 후 | |
1984 레이크 빅토리아 | 1985 유키노 로즈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맥스 뷰티 | 1988 아라 호토쿠 | 1989 파운드리 포포 | |
1990 쿄에이 탑 | 1991 야마닌 마린 | 1992 쿄와 호세키 | 1993 야마히사 로렐 | 1994 골든 잭 | 1995 사일런트 해피니스 | 1996 산타 라이징 | 1997 오렌지 필 | 1998 맥스 캔 두 | 1999 스팅어 | |
2000 매닉 선데이 | 2001 오이와케 히카리 | 2002 니시노 하나구루마 | 2003 신코 루비 | 2004 메이쇼 오스칼 | 2005 디아 데 라 노비아 | 2006 야마토 마리온 | 2007 벨라 레이아 | 2008 레드 어게이트 | 2009 디어 지나 | |
국제 G2 지정 후 | |
2010 생테밀리옹 | 2011 바운시 튠 | 2012 미드서머 페어 | 2013 데님 앤 루비 | 2014 상 리얼 | 2015 싱 윗 조이 | 2016 체키노 | 2017 모즈 캇짱 | 2018 사토노 발퀴레 | 2019 빅토리아 | |
2020 윈 마릴린 | 2021 쿨 캣 | 2022 에리카 비타 | 2023 골든 하인드 | 2024 어드마이어 벨 | 2025 카무냑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83 롱 그레이스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 |
1984 롱 레저 | 1985 타케노 하나미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맥스 뷰티 | 1988 시요노 로망 | 1989 샤다이 카구라 | |
1990 카츠노 조오 | 1991 린덴 릴리 | 1992 엘 카사 리버 | 1993 스타 발레리나 | 1994 히시 아마존 | 1995 사일런트 해피니스 | 1996 히시 나탈리 | 1997 쿄에이 마치 | 1998 팔레놉시스 | 1999 히시 피너클 | |
2000 니혼 필로 스완 | 2001 다이아몬드 비코 | 2002 파인 모션 | 2003 어드마이어 그루브 | 2004 레 클레 도르 | 2005 에어 메사이어 | 2006 어드마이어 키스 | 2007 다이와 스칼렛 | 2008 마이네 래첼 | |
국제 GII 지정 후 | |
2009 브로드 스트리트 | |
2010 애니메이트 바이오 | 2011 웨일 캡처 | 2012 젠틸돈나 | 2013 데님 앤 루비 | 2014 누오보 레코르트 | 2015 터칭 스피치 | 2016 신할라이트 | 2017 래빗 런 | 2018 칸타빌레 | 2019 다논 판타지 | |
2020 리아 아멜리아 | 2021 안드바라나우트 | 2022 아트 하우스 | 2023 마스크트 디바 | 2024 퀸즈 워크 | 2025 카무냑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테레비 도쿄상 3세 암말S | <tablewidth=100%>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2세 암말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
1984 에레부스 | 1985 메지로 라모누 | 1986 코세이 | 1987 시노 크로스 | 1988 커팅 에지 | 1989 야마타케 샐리 | ||
1990 블루 베이 브리지 | 1991 디스코 홀 | 1992 마더 토쇼 | 1993 나가라 플래시 | ||
페어리 스테이 크스 | 1994 프라임 스테이지 | 1995 맥스 로제 | 1996 히시 나일 | 1997 레이디 스텔라 | 1998 타야스 블룸 | 1999 베르그 티켓 | |
2000 텐시노 키세키 | 2001 사가 노벨 | 2002 화이트 카니발 | 2003 말티즈 히트 | 2004 펠리시아 | 2005 다이와 패션 | 2006 아폴로 티아라 | 2007 르뤼팽 블뢰 | ||
국제 GIII 지정 후, 3세 암말 | ||
2009 제르미날 | ||
2010 코스모 네모 신 | 2011 댄스 판타지아 | 2012 토센 베니자쿠라 | 2013 크라운 로제 | 2014 오메가 하트 락 | 2015 낫 포멀 | 2016 비비 배럴 | 2017 라이징 리즌 | 2018 프리모 신 | 2019 필리아 푸라 | ||
2020 스마일 카나 | 2021 파인 루주 | 2022 라일락 | 2023 키타 윙 | 2024 이페이온 | 2025 에리카 익스프레스 | }}}}}}}}} |
8.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케이슈샤상 | 최우수 3세 이상 암말 |
1954 켄호 | 1955 토사 모어 | 1956 미스 온워드 | 1957 하쿠후지 | 1958 키요 타케 | 1959 치도리 | ||
1960 토키 퀸 | 1961 군신 | 1962 스탠더드 | 1963 프리마 돈나 | 1964 에이트 크라운 | 1965 메지로 보사츠 | 1966 야마핏 | 1967 야마토 다케 | 1968 쇼겟코 | 1969 타니노 소브린 | ||
1970 스즈란 패스 | 1971 토쿠 자쿠라 | ||
유슌상 | 1972 키슈 로렐 | 1973 잇토 | 1974 테스코 가비 | 1975 티타니아 | 1976 센 스포트 · 후지 비젠 | 1977 러블리 토쇼 | 1978 실크스키 | 1979 라 퐁테스 | |
1980 텐몬 | 1981 빅토리아 크라운 | 1982 다이나 칼 | 1983 마사 레드 | 1984 니혼 필로 비키 | 1985 메지로 라모누 | 1986 코세이 · 도칸조 | ||
JRA상 | 1987 시노 크로스 | 1988 아이돌 마리 | 1989 사쿠라 사에즈리 | |
1990 노던 드라이버 | 1991 니시노 플라워 | 1992 스에히로 조오 | 1993 히시 아마존 | 1994 야마닌 패러다이스 | 1995 비와 하이디 | 1996 메지로 도베르 | 1997 아인 브라이드 | 1998 스팅어 | 1999 야마카츠 스즈란 | ||
2000 티엠 오션 | ||
최우수 2세 이상 암말 | ||
2001 타무로 체리 | 2002 피스 오브 월드 | 2003 야마닌 슈크르 | 2004 쇼난 팽트르 | 2005 티엠 프리큐어 | 2006 보드카 | 2007 톨 포피 | 2008 부에나 비스타 | 2009 아파파네 | ||
2010 레브 디소르 | 2011 주아 드 비브르 | 2012 로브 티사주 | 2013 레드 레뵈르 | 2014 쇼난 아델라 | 2015 메이저 엠블럼 | 2016 소울 스터링 | 2017 럭키 라일락 | 2018 다논 판타지 | 2019 레시스텐시아 | ||
2020 소다시 | 2021 서클 오브 라이프 | 2022 리버티 아일랜드 | 2023 아스콜리 피체노 | 2024 아르마 벨로체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케이슈샤상 | 최우수 4세 암말 |
~~ 1954 없음 ~~ | 1955 사스케 하나# | 1956 페어 만나 | 1957 미스 온워드 | 1958 미스 마루사 | 1959 오칸 | ||
1960 스타 로치 | 1961 치토세 호프 | 1962 켄호 | 1963 패스포트'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1964 카네 케야키 | 1965 베로나 | 1966 하드 잇 | 1967 야마핏 | 1968 루피너스 | 1969 메이지 애스터# | ||
1970 하버 게임'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1971 나스노 카오리 | ||
유슌상 | 1972 어치브 스타 · 토쿠 자쿠라 | 1973 닛토 치도리 | 1974 토코 엘자 | 1975 테스코 가비 | 1976 티타니아 | 1977 인터 글로리아 | 1978 모델 스포트# | 1979 아그네스 레이디 | |
1980 하기노 탑 레이디 | 1981 아그네스 테스코 · 텐몬 | 1982 빅토리아 크라운 | 1983 다이나 칼 | 1984 다이애나 솔론 | 1985 에레부스 | 1986 메지로 라모누 | ||
JRA상 | 1987 맥스 뷰티 | 1988 아라 호토쿠 | 1989 샤다이 카구라 | |
1990 아그네스 플로라 | 1991 시스터 토쇼 | 1992 니시노 플라워 | 1993 베가 | 1994 히시 아마존 | 1995 댄스 파트너 | 1996 패뷸러스 라 푸인 | 1997 메지로 도베르 | 1998 팔레놉시스 | 1999 우메노 파이버 | ||
2000 치어스 그레이스 | ||
최우수 3세 암말 | ||
2001 티엠 오션 | 2002 파인 모션 | 2003 스틸 인 러브 | 2004 댄스 인 더 무드 | 2005 세자리오 | 2006 카와카미 프린세스 | 2007 다이와 스칼렛 | 2008 리틀 아마폴라'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2009 부에나 비스타 | ||
2010 아파파네 | 2011 아벤투라 | 2012 젠틸돈나 | 2013 메이쇼 맘보 | 2014 하프 스타 | 2015 미키 퀸 | 2016 신할라이트 | 2017 소울 스터링 | 2018 아몬드 아이 | 2019 그란 알레그리아 | ||
2020 데어링 택트 | 2021 소다시 | 2022 스타즈 온 어스 | 2023 리버티 아일랜드 | 2024 체르비니아 | ||
# 클래식 출전 불가, 3세 암말 GI급 무관 클래식 출전 가능, 3세 암말 GI급 무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 ※ 2000년 JRA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20세기 최고의 명마 100두'를 선정 | ||||||||
1위 나리타 브라이언 | 2위 스페셜 위크 | 3위 오구리 캡 | 4위 사일런스 스즈카 | 5위 토카이 테이오 | |||||
6위 심볼리 루돌프 | 7위 신잔 | 8위 하이세이코 | 9위 에어 그루브 | 10위 엘 콘도르 파사 | |||||
11위 라이스 샤워 | 12위 메지로 맥퀸 | 13위 그래스 원더 | 14위 텐 포인트 | 15위 마야노 탑건 | |||||
16위 타이키 셔틀 | 17위 미호노 부르봉 | 18위 미스터 시비 | 19위 메지로 도베르 | 20위 비와 하야히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1~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1위 히시 아마존 | 22위 토쇼 보이 | 23위 사쿠라 로렐 | 24위 타마모 크로스 | 25위 호쿠토 베가 | ||||
26위 그린 그래스 | 27위 티엠 오페라 오 | 28위 서니 브라이언 | 29위 타케 호프 | 30위 세이운 스카이 | |||||
31위 댄스 인 더 다크 | 32위 마루젠스키 | 33위 스피드 심볼리 | 34위 스테이 골드 | 35위 노스 플라이트 | |||||
36위 카부라야 오 | 37위 메지로 파머 | 38위 베가 | 39위 타케시바 오 | 40위 어드마이어 베가 | |||||
41위 토메이 | 42위 메지로 브라이트 | 43위 나리타 탑 로드 | 44위 토키노 미노루 | 45위 위닝 티켓 | |||||
46위 슈퍼 크릭 | 47위 버블검 펠로 | 48위 이나리 원 | 49위 후사이치 콩코르드 | 50위 실크 저스티스 | |||||
51위 메지로 라이언 | 52위 후지 키세키 | 53위 메지로 라모누 | 54위 메이세이 오페라 | 55위 제뉴인 | |||||
56위 타니노 무티에 | 57위 에리모 조지 | 58위 댄스 파트너 | 59위 패뷸러스 라 푸인 | 60위 쿄에이 마치 | |||||
61위 트로트 썬더 | 62위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 63위 히카루 이마이 | 64위 테스코 가비 | 65위 사쿠라 스타 오 | |||||
66위 카츠라기 에이스 | 67위 야마닌 제퍼 | 68위 아이네스 후진 | 69위 키스톤 | 70위 사커 보이 | |||||
71위 나이스 네이처 | 72위 에어 지하드 | 73위 다이타쿠 헬리오스 | 74위 사쿠라 바쿠신 오 | 75위 타이키 블리자드 | |||||
76위 사쿠라 치토세 오 | 77위 마블러스 선데이 | 78위 키타노 카치도키 | 79위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 80위 타니노 치카라 | |||||
81위 야에노 무테키 | 82위 코다마 | 83위 아카네 텐류 | 84위 쿠리후지 | 85위 팔레놉시스 | |||||
86위 다이유우사쿠 | 87위 미호 신잔 | 88위 오프사이드 트랩 | 89위 나리타 타이신 | 90위 레거시 월드 | |||||
91위 트윈 터보 | 92위 카부토 시로 | 93위 우메노 파이버 | 94위 마사 럭키 | 95위 니혼 필로 위너 | |||||
96위 플라워 파크 | 97위 세인트 라이트 | 98위 네하이 시저 | 99위 메이즈이 | 100위 니시노 플라워 | }}}}}}}}} | ||||
설명 및 분류 ·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 ※ 2024년 월간 우준지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기 투표를 바탕으로 미래에 전하고 싶은 명마 베스트 100두를 선정 | ||||||||
1위 딥 임팩트 | 2위 이퀴녹스 | 3위 오구리 캡 | 4위 오르페브르 | 5위 아몬드 아이 | |||||
6위 사일런스 스즈카 | 7위 토카이 테이오 | 8위 나리타 브라이언 | 9위 보드카 | 10위 키타산 블랙 | |||||
11위 심볼리 루돌프 | 12위 골드 쉽 | 13위 티엠 오페라 오 | 14위 콘트레일 | 15위 소다시 | |||||
16위 판탈라사 | 17위 오쥬 쵸산 | 18위 두 듀스 | 19위 스테이 골드 | 20위 메지로 맥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1~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1위 라이스 샤워 | 22위 텐 포인트 | 23위 신잔 | 24위 엘 콘도르 파사 | 25위 타이틀홀더 | ||||
26위 다이와 스칼렛 | 27위 하이세이코 | 28위 젠틸돈나 | 29위 스페셜 위크 | 30위 에어 그루브 | |||||
31위 쿠로후네 | 32위 부에나 비스타 | 33위 두라멘테 | 34위 키즈나 | 35위 로드 카날로아 | |||||
36위 미스터 시비 | 37위 우슈바 테소로 | 38위 그래스 원더 | 39위 그란 알레그리아 | 40위 리버티 아일랜드 | |||||
41위 킹 카메하메하 | 42위 타이키 셔틀 | 43위 에프포리아 | 44위 데어링 택트 | 45위 미호노 부르봉 | |||||
46위 아그네스 디지털 | 47위 토쇼 보이 | 48위 호쿠토 베가 | 49위 나이스 네이처 | 50위 하츠 크라이 | |||||
51위 메이케이 옐 | 52위 마야노 탑건 | 53위 히시 아마존 | 54위 리스 그라슈 | 55위 비와 하야히데 | |||||
56위 저스터웨이 | 57위 심볼리 크리스 에스 | 58위 트윈 터보 | 59위 사쿠라 바쿠신 오 | 60위 타마모 크로스 | |||||
61위 아그네스 타키온 | 62위 메이세이 오페라 | 63위 마루젠스키 | 64위 크로노 제네시스 | 65위 세자리오 | |||||
66위 서니 브라이언 | 67위 마르슈 로렌 | 68위 딥 본드 | 69위 킹 헤일로 | 70위 사쿠라 로렐 | |||||
71위 그린 그래스 | 72위 빅투아르 피사 | 73위 멜로디 레인 | 74위 메지로 라이언 | 75위 러브즈 온리 유 | |||||
76위 테스코 가비 | 77위 나리타 탑 로드 | 78위 드림 저니 | 79위 스타즈 온 어스 | 80위 키세키 | |||||
81위공동 카부라야 오 | 81위공동 하루 우라라 | 83위 카츠라기 에이스 | 84위 슈퍼 크릭 | 85위 세이운 스카이 | |||||
86위 쿠리후지 | 87위 노스 플라이트 | 88위 메지로 파머 | 89위 메이쇼 도토 | 90위 메지로 라모누 | |||||
91위 키스톤 | 92위 위닝 티켓 | 93위 에피파네이아 | 94위 아이네스 후진 | 95위 럭키 라일락 | |||||
96위 모리스 | 97위 댄스 인 더 다크 | 98위 후지 키세키 | 99위 송라인 | 100위 메지로 도베르 | }}}}}}}}} | }}}}}}}}} |
[1] 1996년부턴 암말 삼관 경기가 슈카상으로 옮겨졌다.[2] 중상마만 서술.[3] '유슌' 2003년 9월호, p.62[4] 11전 4승, 1974년 일본 더비 우승마.[5] 30전 8승,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1984), 나카야마 기념(1985) 우승마.[6] 42전 3승, 1987년 카부토야마 기념(GIII) 우승마.[7] 이 과정에서 라모누가 수말들에게 둘러쌓인 채, 마군을 뚫지 못해서 달리려는 의욕을 상실헸기때문에 패배한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8] 21전 9승(중상 5승), 1977년 오카상, 엘리자베스 여왕배 우승, 1978년 아리마 기념 2착.[9] 메지로 텐오는 지방의 타카사키 경마장으로 이적한 후 호리 카츠히로 조교사가 담당했다.[10] 장애물 2전 0승[11] 장애물 2전 1승, 지방 9전 0승[12] 장애물 4전 1승, 지방 1전 0승[13] 지방 2전 0승[14] 장애물 6전 1승[15] 지방 1전 0승[16] 오쿠히라 신지 조교사의 양자. 메지로 목장의 전 회장인 "메지로 할머니" 키타노 미야의 조카손자이기도 하다.[17] 장애물 6전 0승,지방 3전 1승[18] 지방 8전 1승[19] 이후 스웹트 오버보드 사이에서 태어난 메지로 츠보네와 딥 임팩트 사이에서 일본 G2 2번 및 홍콩 바즈 2승을 달성한 글로리 베이즈가 배출되었다.[20] 지방 1전 0승[21] 장애물 22전 2승, 지방 2전 0승[22] 말은 내장에 여유 공간이 별로 없기 때문에 쌍둥이를 임신하면 한 쪽이 눌려서 죽거나 양쪽 모두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일찍 낙태하지 않으면 산모의 목숨마저 위험해진다. 쌍둥이 둘이 무사히 태어나는 것은 상서로운 징조로 여겨질 정도로 희귀한 경사이다. 무사히 태어나도 영양을 나눠쓴 영향으로 체구가 작아져 양쪽 다 경주마로 활동하기엔 부실한 몸을 타고 나게 된다.[23] 루돌프의 7관 + 라모누의 3관[24] 일례로 이미 심폐기능도 악화되었고 서있을 기력도 없어 링거에만 의존하던 라모누는 평생 자신을 헌신적으로 보살핀 구무원 코지마가 달려오는 소리에 한순간이나마 몸을 일으켰고 코지마가 건낸 여물통에 입을 대고 나서야 눈을 감았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사실 해당 비화는 야마사키 히로미의 만화인 신·준마들의 발굽자국의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이야기이며 만화 집필 당시 구무원 코지마 히로미의 발언과 작가의 창작에 의존하여 그려진 내용이기 때문에 해당 내용의 사실 유무는 확인하기 어렵다. 일례로 신·준마들의 발굽자국 다이유우사쿠 편에서 작가인 야마사키 히로미는 해당 말을 "사람들의 말을 듣지 않는 말"로 묘사했으나 실제로는 당시 신참 구무원인 히라타 오사무를 경계했을 뿐 나이토 시게하루 조교사 및 다른 마방 관계자들에겐 온순하고 착하게 행동해 덕망을 얻었고 이런 성격 때문에 마방에서 포기하지 않고 현역생활을 지속하게 했을 정도로 온순했던 말이었다. 즉, 신·준마들의 발굽자국 만화는 전체적으로 말에 대한 묘사는 잘 되어있으나 상기의 이유로 모든 내용이 사실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25] 요즘에와서는 메지로 라모누가 수말들과 겨뤘던 아리마 기념에서 9착을 하는 바람에, 고마전선에서 수말들하고 겨뤘다가 패전을 기록하게되면 메지로 라모누의 가치가 계속 떨어질 것이라고 판단해서 메지로 목장이 라모누를 일부러 더 빨리 은퇴시킨거 아니냐는 농담도 있다.[26] 다만, 이때 다이나 액트리스의 성장세가 만만치 않았기 때문에, 단순히 클래식에서 라모누가 액트리스보다 우위였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라모누가 고마전선에 나갔다면 무조건 액트리스보다 우세였다거나 성적이 잘 나왔을거라곤 장담하기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메지로 라모누 다음으로 티아라 3관을 달성한 스틸 인 러브만해도, 티아라 3관을 달성한 이후의 클래식 레이스와 고마전선에서는 단, 1승도 못하고 은퇴를 해야만 했었던 사례가 있었다.[27] 요절한 스틸 인 러브와 은퇴한지 얼마 안된 아몬드 아이, 그리고 2023년 부상으로 은퇴하게 된 최초의 무패 삼관 암말 데어링 택트를 제외하고 다른 트리플 티아라끼리 번식 성적을 비교해보면 슈카상 우승마 아카이토리노 무스메를 낳은 아파파네, 엘리자베스 여왕배 우승마를 제랄디나를 낳은 젠틸돈나 그리고 변칙 삼관[32]이기는 하지만 쿠리후지도 암말 2관마 야마이치를 낳아 일본 최초 오크스 모녀 제패 기록을 세웠다.[28] 참고로 마야노 탑건이 1일 6식, 사쿠라 로렐이 1일 7식을 먹었는데 둘이 숫말이라는 것 감안해 양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라모누는 이보다 더 많이 먹은 것이다.[29] 해당 말은 메지로 라이언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메지로 루바토가 스웹트 오버보드와 교배해서 낳은 딸이다.[30] 이전에도 쿠로후네나 부에나 비스타 등 우마무스메에 등장하지 않는 말들에 대한 언급은 몇번 있었지만 이들은 라이센스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이름은 나오지 않고 간접적으로만 언급될 뿐이었고, 등장 예정이었지만 강판되어 원안이 남아있던 부에나 비스타의 뒷모습으로 추정되는 일러스트가 등장한 것이 최대 수위였다. 우마무스메에 등장하지 않은 말들중 직접적으로 이름이 언급된건 이번이 최초다.[31] 원래는 최초의 암말 삼관마로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데어링 택트가 먼저 우마무스메에 정식 등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