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트어 Остыганна ӄа’ | Кетский язык Ket language | ||
1600년경 각 예니세이어계 언어들의 분포도. | ||
<colcolor=#ffffff,#1f2023><colbgcolor=#293eff> 유형 | 포합어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서자방향 |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
문자 | 키릴 문자 | |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 |
원어민 | 153명(2020)[1] | |
계통 | 예니세이어족 북부 예니세이어파 | |
언어 코드 | <colcolor=#ffffff,#1f2023><colbgcolor=#293eff> ISO 639-3 | ket |
글로톨로그 | kett1243 |
[clearfix]
1. 개요
케트어는 케트족들이 쓰는 언어이다. Kettskii 또는 예니세이오스탸크어(Yenisey Ostyak languages)라고 하기도 한다. 러시아의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에 케트어 화자들이 존재한다.2. 특징
에드워드 J. 바이다[2]가 설명하는 케트어 구조 |
케트어는 예니세이어족 중 최북단에서 쓰이는 언어로 데네예니세이어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나바호어도 케트어와 관계가 있는 편이다.[3]
케트어는 화자수가 매우 적은 관계로 소멸위기언어에 속해 있다.[4] 예니세이어족에 속한 언어들은 케트어를 제외하고 소멸했다. 케트어도 사용자수가 줄어들고 있다.
방언은 북부, 중부, 남부로 나뉘며, 보통 쓰는 사람의 수가 가장 많은 남부 방언을 중심으로 한다. 링크
갈족들이 쓰던 언어가 케트어와 관계가 있다는 주장이 있다. 그 근거 중 하나로 갈어 단어 '구독당'(劬禿當)의 재구 발음 "kot-o-kt-aŋ"이 케트어 문장 "d-kas-a-qos-n"(그들이 잡을 것이다)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다만 "kot-o-kt-aŋ"의 /t/ 발음이 케트어 발음 /s/에 해당되는 품포콜어 발음 /t/의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갈어는 품포콜어에 더 가까운 것으로 추측된다.
하티어와 서로 비슷한 단어가 있다. 이 유사점 때문에 하티어가 아나톨리아에서 캅카스, 더 간다면 예니세이강에 이르는 언어동조대에 속한다는 설이 있다.
오늘날 케트어는 러시아 연방 크라스노야르스크에 속한 투루한스크 지구(Туруханский район)와 에벤키 자치 지역(Эвенки́й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의 바이키츠키 지구(Байкитский район)에서 보호 언어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러시아어, 우랄어족, 튀르크어족, 몽골어 등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링크
3. 현황
인구 조사에서 고정적으로 케트어를 모국어라고 주장하는 비율이 1970년 74.9%, 1979년 60.2%, 1989년 48.8%로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 게다가 1970-1980년대 이후에 세대간의 고유어 전달이 중단되어 1992~1993년 조사에선 35%라는 더 낮은 비율을 보였다. 케트어가 모국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대다수는 일부 문장만 케트어로 말할 수 있거나 아예 아무 말도 못하는 수준이다. Surgutikha, Baklanikha, Verthere, Kellog 마을의 기성세대는 케트어, 러시아어, 셀쿠프어를 사용하며, 북부 케트족 중에는 어웡키어를 사용하기도 한다.1990년대 초에는 일부 지역 학교에서 케트어를 열성적으로 가르쳐서 언어 보존에 대한 희망이 있었으나 점점 시간이 흐르면서 케트어 교사들의 무능함과 지식 부재, 의욕 상실로 인하여 일부 마을에서의 케트어 교육이 부분적으로 중단되었다. 무엇보다 해당 교육은 언어 활동에 있어서 실용성이 없다는 비판이 있어 전망이 밝지 않은 편이다.
더 큰 문제는 케트어를 쓴다는 것 자체가 케트족 커뮤니티에서 부자연스러운 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5] 일부 가정에서는 부모 또는 조부모에서 자녀나 손자들에게 케트어를 가르치려고 시도하나 이는 한계가 있다. 또한 케트족들이 모여사는 마을들은 대부분 가난한 탓에 이들은 미래에 대한 전망이 없는 마을을 떠나 지역 중심지에 정착하려고 하여 언어보존에 크나큰 위협이 된다.
4. 음소
4.1. 자음
양순 | 순치 | 치 | 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성문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colbgcolor=white,#1f2023> 비 | m | n | ŋ | |||||||||||||||
파열 | b | t | d | k | ɡ | q | ɢ | ʔ | ||||||||||
마찰 | s | ç | ʝ | (x) | ɣ | (χ) | ʁ | h | ||||||||||
접근 | j | |||||||||||||||||
[ruby(접근, ruby=설측)] | ɮ | |||||||||||||||||
탄음 | ɾ | |||||||||||||||||
전동 | r |
4.2. 모음
전설 | 중설 | 후설 | ||||
U | R | U | R | U | R | |
<colbgcolor=white,#1f2023> 고 | i | ɨ | u | |||
중 | ə | |||||
중저 | ɛ | ɔ | ||||
저 | a |
5. 문자
현대에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키릴 문자의 경우, 특수문자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1920년대에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케트어 문자가 개발되었고, 1934년 N.K. Karger가 중부 케트어 방언의 케트 알파벳 입문서를 편찬하여 발표하였으나, 당시 실제로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1980년대 말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또다른 알파벳이 개발되고 G.K. Verner와 G.H. Nikolayeva에 의해 문자 지침서 FPR 남부 케트어 방언이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처음 편찬 및 출판되었고, 그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출판되었다.
이후 케트어는 지역 초등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이후 2~4학년 교과서와 케트어-러시아어 및 러시아어-케트어 학교 사전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활발히 쓰이는 영역은 교육 분야에 한정되어 있다.
6. 단어
북부, 중부, 남부 방언 포함.- sēˑs\[남\]\[북\]/šēˑš\[중\]: 강
- taˀp: 개
- kɤ̄ˑt\[남\]/kɤ̄ˑti\[북\]/kɤ̄ˑte\[중\]: 겨울
- qòj: 곰
- өксь(ōkś): 나무
- sɛˀs\[남\]\[북\]/šɛˀš\[중\]: 낙엽송
- súùl\[남\]\[북\]/šúùl\[중\]: 눈썰매
- қыт(qɯ̄ˑt, qɨt)\[남\]/qɯ̄ˑti\[북\]/qɯ̄ˑtə\[중\]: 늑대
- ӄа’(qaˀ): 단어, 언어, 연설
- qīp: 달
- tʌˀs\[남\]\[북\]/tʌˀš\[중\]: 돌
- аӄӄут(aqqut): 무지개
- ул'(ūˑl, ul’): 물
- мора(ˈmɔra, 모라): 바다
- бо’к(boˀk): 불
- kʌˀn: 빛
- kɛˀd/кеʼт(kɛˀt), Кето(ketó), Остыган[6]: 사람
- сенаң(senaŋ): 샤먼(무당, 주술사)
- tʌˀq: 손가락
- dīˑk: 송진
- сель(sel’, 셀): 순록
- qàj: 엘크(붉은사슴 또는 와피티사슴)
- ду’(du’, 두): 연기
- қө(qö, qø): 입
- ùs\[남\]/ùːse\[북\]/ùːsə\[중\]: 자작나무
- иңӷусь(iŋɢus̻ʲ): 집
6.1. 숫자
남부 방언 기준.- qūˑs: 1
- ɯ̄ˑn: 2[7]
- dɔˀŋ: 3
- sīˑk: 4
- qāˑk: 5
- aˀ ~ à: 6
- ɔˀŋ: 7
- qɔ̄: 10
- ɛˀk: 20
- kiˀ: 100
7. 들어보기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 케트어 테스트 위키백과가 존재한다.
- 케트족 노인들의 케트어 음성과 텍스트 자료는 이쪽에서 확인할 수 있다.[8]
- 케트어 텍스트와 음성 샘플
[1] 링크. 후술하듯이 실제로는 화자수가 10~20명 정도이고 나머지는 부풀려졌다는 말이 있다.[2] 북부 유라시아 언어들을 연구하는 미국의 역사언어학자로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을 처음으로 제시한 학자이기도 하다.[3] 나바호어는 케트어가 쓰이는 러시아의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서 15,000km나 떨어져있는 미국의 애리조나 주에서 쓰이는 언어다.[4] 10~20명의 화자만이 남아있다. 선술한 2020년 기준 153명이 남아있다고 하지만 부풀려졌다는 말이 있다.[5] 조사에 따르면 약 30%의 케트인들이 케트어는 전혀 쓸모없다고 주장했다. 나머지 70%는 케트어에 대해 긍정적이나 고향에 살 때 필요하다에서 벗어나질 못한다.[6] 복수형은 денг(뎅그).[7] 둘도 포함.[8] 전설, 노래, 인생이야기 등이 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