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0:07:52

최진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최진우(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동명이인:
최진우(동명이인)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前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509270255774070_5606dded96888.jpg
이름 최진우(Choi Jin Woo)
출생 1980년 3월 23일 ([age(1980-03-23)]세)
경기도 안양시 관양동
(現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부림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3cm, 67kg, O형
종족 저그, 테란
現 소속 무소속
ID FreeMura
Ace)Diamond
소속 기록
무소속 1999-01-01 ~ 2001-03-17
KTF 매직엔스 2003-05-28 ~ 2004-03-15
1. 소개2. 수상 경력3. 전적4. 활동5. 기타

[clearfix]

1. 소개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선수 시절 종족은 테란저그였고, 그 중에서도 저그를 주 종족으로 활동했다.

2. 수상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스타리그 로고.png 파일:온게임넷_구로고__.png 스타리그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or: #000"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Freemura
최진우

Grrr....
기욤 패트리

GARIMTO
김동수

BoxeR
임요환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BoxeR
임요환

★★
GARIMTO
김동수

★★
Sync
변길섭

Reach
박정석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NaDa
이윤열

XellOs
서지훈

Kingdom
박용욱

Nal_rA
강민

Gillette 스타리그
2004
EVER 스타리그
2004
IOPS 스타리그
04~05
EVER 스타리그
2005
July
박성준

iloveoov
최연성

NaDa
이윤열

★★
July
박성준

★★
So1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AnyTime
오영종

iloveoov
최연성

★★
Casy
한동욱

NaDa
이윤열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Daum 스타리그
2007
EVER 스타리그
2007
박카스 스타리그
2008
기록 말소[1] GGplay
김준영

Jaedong
이제동

FlaSh
이영호

EVER 스타리그
2008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
July
박성준

★★★
Stork
송병구

Jaedong
이제동

★★
Jaedong
이제동

★★★
EVER 스타리그
2009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박카스 스타리그
2010
FlaSh
이영호

★★
EffOrt
김정우

FlaSh
이영호

★★★
FanTaSy
정명훈

진에어 스타리그
2011
tving 스타리그
201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JangBi
허영무

JangBi
허영무

★★
Rain
정윤종
[2]
Maru
조성주
[3]
OSL 폐지
[1] 마재윤(sAviOr)의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 가담으로 인해 영구 제명으로 인한 기록 말소.
[2] 스타크래프트 2로 전환한 후 최초의 온게임넷 스타리그이자, 자유의 날개 시리즈로 개최된 유일한 온게임넷 스타리그.
[3] 역사상 마지막 온게임넷 스타리그이자, 군단의 심장 시리즈로 개최된 유일한 온게임넷 스타리그.
}}}}}}}}} ||
연도 경력 비고
1999년 삼성 싱크마스터즈 대회 우승
스포츠 투데이컵 단체전 우승
제1회 GPL 대회 단체전 2관왕
제1회 외환은행배 단체전 준우승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우승 (vs. 국기봉 3:2) 우승 상금 : 1,000만원
2000년 크레지오 코넷배 스타 8인전 4강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8강[1]
온게임넷 2000 파이널 왕중왕전 풀리그 진출[2]
2004년 LG IBM MBC GAME 팀리그 준우승 KTF 매직엔스 소속 당시

3. 전적

최진우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방송사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vs 테란 5전 3승 2패 (60.0%) 전적없음 5전 3승 2패 (60.0%)
vs 저그 9전 4승 5패 (44.4%) 전적없음 9전 4승 5패 (44.4%)
vs 프로토스 10전 8승 2패 (80.0%) 전적없음 10전 8승 2패 (80.0%)
총 전적 24전 15승 9패 (62.5%) 전적없음 24전 15승 9패 (62.5%)

4. 활동

프로게이머 데뷔 이전 김태형[3]과 함께 PC방에서 숙식하며 배틀넷 고수, 팀플 강자로도 이름을 날렸고, 이 당시 김태형과 함께 KBS 현장르포 제3지대[4]출연했다.[5][6]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에 참가해 16강에서 김성기[7], 김태훈에 각각 1승, 봉준구에 1패, 총 2승 1패, 8강에서 김창선과 박상규에 각각 1승, 국기봉에 1패, 총 2승 1패로 4강에 진출하였고, 3, 4위 결정전에서 김태목에 2승을 기록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플레이오프에서 이기석에 3승 2패를 기록해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국기봉에 3승 2패를 기록하면서 우승하였다. 이 대회는 곧 제1회 온게임넷 스타리그로 인정받기에 온게임넷 스타리그 최초 우승자이자 양대리그 최초의 우승자로 기록되었다.[8] 저그 중심의 게이머였지만 국기봉과의 결승에서도 맵에 따라 테란을 선택하는 등[9], KeSPA 공인으로는 랜덤 유저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각각 테란2001년임요환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저그2004년박성준Gillette 스타리그 2004에서 우승하기까지 양대리그 우승을 하지 못한 종족이었다.

하지만 그 뒤로는 이렇다 할 족적을 남기지 못했다.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에서는 16강에서 임정호과 김동구를 잡고 변성철에 패하면서 2승 1패로 8강에 진출, 8강에서 이기석을 잡았으나 기욤 패트리최인규에게 패하면서 1승 2패로 탈락하였다. 2000년 12월 초대 우승자 자격으로 참가한 온게임넷 2000 Final 왕중왕전에서는 6인 풀리그에서 봉준구, 김동수, 강도경, 국기봉, 기욤 패트리에 내리 패하면서 5전 전패로 탈락했고, 2001년 9월 군 복무를 위해 육군훈련소로 입소하면서 스타계를 떠났다.

2003년 KTF 매직엔스로 복귀했다. 그러나 MSL 2차 마이너리그 예선 2조 4강에서 오상봉에 2패, 2003 3rd 챌린지리그 예선 J조 4강에서 조병호에 2패, iTV 랭킹전 7th E조 128강에서 박신영에 2패를 기록했으며,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에서 박신영팀플레이로 1경기 참가했으나 한빛 스타즈강도경&박정석]에게 패했다.[10] 참가 기록이다.] 2004년 1st 챌린지리그 G조 12강에서는 박민현에게 1승 2패를 기록하면서 탈락하였다.

2004년 4월 MSL 3차 마이너리그 예선 31조 결승에서 김영미를 잡고 마이너결정전에까지 갔으나, 서지수에게 1승 2패를 기록하면서 탈락하였다. 이렇듯 2년 가까운 공백을 메우기는 무리[11]였고, 결국 이 경기를 끝으로 은퇴했다.

최근 인터뷰에서 게임그래픽 관련 회사에서 일을 하고 있다고 근황을 밝혔다.

무한확장식 물량 저그로 유명했다. 해처리 100개 이상을 만들어 본적도 있다고 한다.

로스트 템플에서 테란으로, 프로토스 김창선을 물량으로 밀어버렸던 경기는 명경기로 회자되곤 한다. 물론 현재 기준으로 보면 아무 것도 아니지만 꾸역꾸역 밀려오는 최진우의 시즈 탱크에 속수 무책으로 당하는 김창선의 모습이 당시에는 꽤나 화제가 되었다. 영상 보기

2005년에 역대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자들을 모은 단체 사진을 촬영할 당시, 초대 우승자 자격으로 초청됐다고 한다. 2015년 기사지만 내용에 2005년도 사진이라고 나온다.

2015년 9월에, e스포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이야기하였다. [e세상人] 레전드 최진우가 말하는 e스포츠의 '과거와 미래'

2016년 현재 판교의 한 IT 업체에서 근무 중이라고 한다.

5. 기타

원래 미국 시민권을 가지고 있어서 군대에 안 갈수도 있었지만, 직업군인 집안이었던 집안의 가풍 때문에 시민권을 포기하고 군대를 갔다고 한다.

과거 어느 게임 잡지에 스타크래프트 가이드를 집필한 적이 있는데 여기서 유닛을 지칭하는 명칭이 보편적으로 부르는 것과 다소 다르다. 예) 마린 - 머린, 질럿 - 젤럿,[12] 히드라리스크 - 하이드랄리스크, 울트라리스크 - 울트랄리스크 등. 다만, 저렇게 부르는 것이 원 영어발음에 더 가깝기는 하다.

2000년 초, itv 열전 게임챔프에 출연하여 국기봉과 팀을 먹고 일반인 고등학생들에게 2:2 팀플레이 이벤트 경기에서 패한 적이 있다.

2015년 근황에 나온 이야기이지만 이혼 경력이 있으며 딸은 어머니쪽이 키웠다고 한다.

2021년 현재 강민tv에 자주 댓글을 달아주며 코인으로 120억을 벌었다는 본인 피셜을 내버렸다.

그러나 코인시장이 어려워서인지 2022년 부동산 분양쪽 일에 손을 대게 되었으며 거기서 알게 된 사람에게 30만원을 빌려 갚지 못하는 등 상황이 굉장히 어려운 것으로 전해진다.
[1] 1승 2패로 탈락[2] 5전 전패 기록[3] 당시에는 김도형.[4] 1999년 2월 4일 방영.[5] 이 다큐에서는 신주영, 게임 개발자 송재경도 나온다.[6] 과거에 가출을 일삼았으나 게임을 시작하고 생활이 안정되었다고 한다. 부모님과도 연락을 이어가고.[7] 김성기와 동명이인이다.[8] 실제로 현재 서울 OGN e스타디움에 있는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현재는 폐쇄되면서 철거)에서도 그의 이름부터 올라와 있다.[9] 정작 테란을 고른 경기는 모두 졌고, 저저전에서만 승리를 거두고 우승했다. 여담으로,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이 경기에서 관객은 단 3명. 2명은 최진우의 부모님, 1명은 국기봉의 여자친구였다.[10] 이것이 유일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11] 당연한 것이 그가 떠나있을 때가 각 종족별의 게임 빌드 등이 한창 정립되던 시기였다. 손이 빠른 신인들도 계속 치고 올라오기도 했고.[12] 같은 1세대 프로게이머였던 신주영도 이렇게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