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3 01:45:03

철권 시리즈/조작 체계


[[철권 시리즈|
파일:tekken8_logo_nonum.png
철권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19%; min-height:2em"
{{{#!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0 -15px"
<colbgcolor=#000><colcolor=#fff>메인 시리즈
태그 시리즈철권 태그 토너먼트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외전철권 어드밴스 · 철권 니나: 데스 바이 디그리스 · 철권 3D 프라임 에디션 · 철권 카드 챌린지 · 철권 하이브리드 · 철권 레볼루션 · 철권 모바일
미디어 믹스철권: The Motion Picture · 철권(영화) · 철만 · 철권: Blood Vengeance · 철권: 블러드라인
콜라보레이션폿권: POKKÉN TOURNAMENT · 폿권: POKKÉN TOURNAMENT DX
크로스오버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19%;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0 -15px"
<colbgcolor=#000><colcolor=#fff>게임 시스템조작 체계 · 조작법 · 레이지
계급 계급 전반 · 5의 계급 · 6의 계급 · 태그 2의 계급 · 7의 계급 · 8의 계급
관련 문서시리즈 스토리 · 철권 7 스토리 · 철권 8 스토리 · 유명한 플레이어 · 철권 e스포츠
}}}}}}}}}
⠀[ 태그2 캐릭터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version=29,
title2=틀:철권 7 FR, version2=143,
title3=틀:철권 8, version3=29,)]
1. 개요2. 버튼식(땡땡이 표기법)3. 왼쪽/오른쪽 표기법, 동양식 표기법
3.1. 동양식 표기법 기타 용어들
4. 서양식 표기법(Tekken Zaibatsu)식 표기법)
4.1. 서양식 표기법 기타 용어들

[clearfix]

1. 개요

철권 조작 체계의 활자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땡땡이로 불리는 보기 편한 방법과, 방향키 대신 숫자키를 쓰고 왼손/오른손으로 구분하는 쓰기 편한 방법. 후자는 다시 동양식 표기법과 서양식 표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2. 버튼식(땡땡이 표기법)

파일:tekken_lp.png: 왼손파일:tekken_rp.png: 오른손
기타 입력 조합들
파일:tekken_ap.gif 파일:tekken_ak.gif 파일:tekken_al.gif 파일:tekken_ar.gif 파일:tekken_lp+rk.gif 파일:tekken_rp+lk.gif
파일:tekken_ap+lk.gif 파일:tekken_ap+rk.gif 파일:tekken_lp+ak.gif 파일:tekken_rp+ak.gif
파일:tekken_ab.gif
파일:tekken_lk.png: 왼발 파일:tekken_rk.png: 오른발
파일:external/www.tekken-net.kr/w6.png
레버를 짧게 입력
파일:b_arrow.gif파일:d_arrow.gif파일:db_arrow.gif파일:df_arrow.gif파일:u_arrow.gif파일:ub_arrow.gif파일:uf_arrow.gif
파일:external/www.tekken-net.kr/b6.png
레버를 길게 입력
파일:b_arrow_b.gif파일:d_arrow_b.gif파일:db_arrow_b.gif파일:df_arrow_b.gif파일:u_arrow_b.gif파일:ub_arrow_b.gif파일:uf_arrow_b.gif
파일:external/www.tekken-net.kr/n.png레버 중립

레버 방향과 버튼 입력을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한눈에 보기에 쉽지만, 작성에 매우 노가다가 심한 단점이 있다. 철권 게임내의 트레이닝 모드의 기술표나 게임잡지 등의 상업적 목적을 지닌 매체에서 사용한다.[1]

3. 왼쪽/오른쪽 표기법, 동양식 표기법

위 방법의 작성 난이도 때문에 간략화하여 인터넷 철권 커뮤니티에서 가장 흔히 쓰는 입력법.

LP RP TAG
LK RK
로 버튼을 정의하고( L=Left(왼쪽), R=Right(오른쪽), P=Punch(손), K=Kick(발)) (태그 버튼은 태그1, 태그2에서 만 사용)
7 8 9
4 n/N 6
1 2 3
으로 방향을 정의한다. 외우려고 하기 보단 컴퓨터 키보드의 숫자 패드를 떠올려 보자. n은 뉴트럴(중립)의 약자인데 일반적으로는 대문자인 버튼과 헷갈리지 않게 소문자로 표기하나, 경우에 따라 N, ☆[2], 5 등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방향 표기는 조금 더 격식을 차려서 표기해야 할 때는 ㅁ+한자 키를 눌러서 입력할 수 있는 화살표 문자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러개 누를 경우의 특수 표기로는
AP(All Punch)
AK(All Kick)
AL(All Left)
AR(All Right)
가 있으며, 인접하지 않은 2개 버튼(LP+RK, RP+LK)이나 3개 이상 버튼의 특수표기는 없다. 굳이 써야 한다면 3개는 AL+RP나 AP+LK 같이 두 개와 한 개의 조합을 사용하며, 4개는 AB(All Button)으로 표기하거나 그냥 그때그때 달리 표기한다. (기모으기, 다 누르기, AK+AP 등...)

일본에서의 양손 밑 양발 입력은 WP 혹은 WK로 지칭하기도 하는데, 일본에서의 W(더블 유)가 "더블" 을 의미하기 때문에 WP(WK)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라 LP+RP(LK+RK)로도 표기하기도 하고, 기본 잡기는 AL(AR)이라고 하지 않고 LP+LK(RP+RK)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

3.1. 동양식 표기법 기타 용어들

  • 원, 투, 쓰리, 포: 아래의 서양식 표기법의 버튼 표기와 같이, 각각 LP, RP, LK, RK에 대응한다. 유래는 아마도 원투펀치가 보통 LP RP인 것에서 착안한 듯. 한국에서는 기술 커맨드 표기보다는 버튼 입력만으로 속행되는 콤보기에 섬광열권[3] 같은 임팩트 있는 별칭이 없으면 대신 약칭으로 사용한다. 좋은 예시로는 카자마 진의 정권-상단 뒤돌려 차기 콤보(RP RK)를 달리 부르는 "투포" 등이 있다.
  • [LP RP](공식 표기), LP~RP(일부 통용 표기): 반박자 입력, 소위 말하는 '따락' 입력 내지 '피아노 입력'이라고 보면 된다. 정식명칭은 '슬라이드 입력'. 보통 철권에서 커맨드를 입력할 때 버튼을 일정한 박자로 딱딱딱 하며 누른다면 버튼 두개를 빠르게 '따락' 눌러주라는 얘기. 예시로 로우의 촌경[RP LP], 화랑의 에어팡[LK RK] 등이 이 입력이다.
  • LP - RP: 공중콤보 등에서 주로 쓰는 방법. LP RP가 한 몸인 기술이 아니라 LP와 RP가 서로 다른 기술이어서 연이어 넣는다는 이야기이다. LP LP와 같이 이미 기술이 있는데 굳이 LP - LP로 되어 있다면 (예를 들어 3RP - LP - LP인 어퍼 후 잽-잽) LP LP가 되지 않도록 딜레이를 줄 필요가 있다.
  • 6AP: 앞으로 밀면서 동시에 AP를 누르란 얘기.
  • 6_AP: 2가지 의미가 있다. 원래는 6으로 톡 치면서 AP를 누르란 얘기였는데, 착각인지 몰라도 6으로 밀고있다가 좀 있다가 AP를 누르란 얘기로도 쓰인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는 중립 입력의 표시(N)로 6NAP 같이 표기 하는게 더많고 후자가 더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앉은상태에서 커맨드를 입력하여 나가는 기술표기에 사용되는데, 2_3rp : 의 해머러쉬R 1타. 2입력 후 , 조금 있다가 3으로 레버를 밀며 rp를 누르라는 것.
  • 기상RK/일어나면서: 앉아 있는 상태에서 일어서는 상태로 돌아가면서 버튼을 누른다. 앉게 만드는 기술 후 버튼 연타하면 자연스럽게 이게 된다. 기상킥 문서에서 보다시피 커맨드 리스트에서는 드물지만 간혹 '기상LK/기상RK'의 경우 다운 시 기상하면서 쓰는 발차기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으니 유의.
  • 누운 상태: 누워 있다가 입력하는 것. 보통 '정자세'는 상대에게 발을 향하고 하늘을 보는 것이며 엎드린 자세는 말 그대로 머리를 땅으로 하고 엎어져 있는 것. 총 4가지 자세가 있다.
  • 소점프: 9N(↗n) 입력으로 앞으로 살짝 점프하는것을 뜻한다. 보통 정식 기술에는 백두산(트릭버터플라이킥: 9 N LK), 고우키[4] 같이 소수의 경우를 빼면 없고 대부분 9 N RK 입력으로 소점프 컷킥이라는 데미지 높은 띄우기를 쓰는데 사용한다.[5]
  • 6~: 계속해서 6(→)을 유지해야 나간다는 의미. 대표적으로 미겔의 필살기 6ak 6~, 데빌 진뇌신권-헤븐즈 도어 6n23LP 9~가 있다. 이는 숫자로 방향키의 입력시간을 나타내기 어려움에 기인하는데, 커맨드리스트에서는 화살표의 색으로 구분하지만 숫자는 그렇지 않기 때문.
  • 횡신: 짧은 8n/2n 입력으로 옆으로 스윽- 하고 피하는 것. (살짝 튕기듯 조종), 시계횡과 반시계횡으로 나뉜다. 1p 기준 화면 안쪽, 2p 기준 화면 바깥쪽이 시계, 반시계는 그 반대쪽이다. 즉 다른 식으로 설명하자면 시계횡=좌횡, 반시계횡=우횡 이다. 간혹 횡신이라고 하면 8n8n이나 2n2n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할 것.
  • 횡보: 횡신 중 긴 8n8~/2n2~ 입력으로 계속 옆으로 걸어가는것. (튕긴 후 쭉 그 방향으로 입력), 마찬가지로 시계/반시계로 나뉜다.
  • (B): 콤보 도중 바운드가 발생하였다는 의미. 당연히 바운드 시스템이 존재하는 철권 6 시리즈 및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 한정된 표기이다. 예를 들면 카즈야의 국민콤보 초풍-신삼단(관란열광)-사자참포청(바운드 기술)-나락선풍을 커맨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6n23rp - lk lp rk - 1rp (B) - 6n23rk lp
  • (S): 콤보 도중 스크류 발생. 철권 7에서 바운드가 스크류로 바뀌면서 (B) 대신 (S)로 표기한다. 같은 카즈야의 철권 7 FR 국콤 초풍-신삼단-육부섬열각 (or 육부발)-육부섬열각을 커맨드로 표현하면 6n23RP - LK LP RK - 3LP RK (S) - 3LP RK.
  • (T)
    • 태그 시리즈
      철권 태그 토너먼트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서는 콤보 도중의 바운드기나 특정한 기술 (대부분 콤보 시동기)을 히트한 후 태그가 가능한 상황이 있는데 이 때 Tag 키를 누르면 파트너가 튀어나와 더 강력한 콤보를 때릴 수 있다. TT2의 경우 콤보에 따라서 바운드기이면 자신의 리커버리 게이지(빨간 체력)가 소진되는 대신 태그 도중에도 파트너가 전장에 남아 있는 태그 어설트[6]와 콤보 시동기이면 태그 딜레이만 줄어들 뿐 평범한 태그인 태그 콤보[7]로 구분되지만, 태그 어설트는 바운드 상황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B, T) 등으로 태그 어설트임을 쉽게 구분할 수 있어 따로 태그 어설트와 태그 콤보의 구분은 하지 않는다.
    • 철권 8
      8편에서 스크류를 계승하는 시스템인 토네이도도 약자가 T이다. 다만 7편 후반기부터 서양식으로 \[T!\] 같이 표기하는 경우가 늘면서 이렇게 표기하는 용례는 찾기 힘들어졌다.

4. 서양식 표기법(Tekken Zaibatsu)식 표기법)

서양에서는 반대로 방향을 문자로 표기하고 버튼을 숫자로 표기한다. 기본적으로 앞=forward, 뒤=backward, 위=upward, 아래=downward로 정의한 뒤 대각선 방향은 두 방향의 조합으로 나타낸다. 즉, 각 방향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8]
u/b u u/f
b n f
d/b d d/f
만약 이 방향 표기를 대문자로 할 경우는 그 방향으로 레버를 유지한다는 뜻이다. F는 한국식 표기의 6~에 대응하는 셈. 각 버튼은 위의 원투쓰리포와 같이 LP=1, RP=2, LK=3, RK=4로 표기한다. 마이너하지만 Tag=5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최종적으로 기술이나 콤보를 나타낼 때는 각 입력 사이에 쉼표를 넣어서 구분한다. 즉 한국에서 6n23RP로 표기하는 풍신권/블랙 스매시의 경우 f, n, d, d/f+2로 표기되는 식.

4.1. 서양식 표기법 기타 용어들

  • qcf, qcb: quarter circle forward, quarter circle backward. 각각 ↓↘→, ↓↙←를 축약하는 말. 흔치 않아 보이지만 의외로 그 붕권의 커맨드에 들어가기 때문에 실전에서 보기 쉬운 커맨드이다.
  • hcf, hcb: half circle forward (앞으로 반바퀴), half circle backward (뒤로 반바퀴). 각각 ←↙↓↘→, →↘↓↙← 를 축약하는 말. 철권에서는 패왕상후권 커맨드를 가진 데빌 진의 레잡(f, hcf+1+2, 동양식은 →←↙↓↘→AP 혹은 약식으로 641236AP)이나 아예 2D 커맨드를 때려박은 고우키(작열파동권 등), 기스(막고 던지기, 데들리 레이브 등) 정도가 아니면 보기 힘들다.
  • FC: 완전히 앉은 상태(full crouch). 짠손이나 앉은 자세 기술 등의 발동 조건이다. Full circle이 아니니 주의.
  • WS: 기상 중(while standing up). 기상킥이나 기상어퍼 등의 발동 조건이다. 참고로 iWS라는 표기가 있는데, 칼기상 입력의 의미로 instant WS라는 의미로 통한다.
  • WR: 달리는 중(while running).
  • SS: 횡신(side step). 횡보는 SW(Side Walk)라고 한다
    • SSR, SSL: 각각 반시계 횡신(우횡신, side step right), 시계 횡신(좌횡신, side step left).
  • d/f+2: 동양식의 3RP처럼 d/f(↘)와 2(RP)를 동시에 입력해야 한다는 뜻.
  • 3~4: 3, 4를 반박자로 연타. 동양식 표기법의 [LK RK] (혹은 LK~RK)와 유사하다.
  • CD : 풍신스텝인 Crouch(ing) Dash의 약자이다. 동양에서의 →n↓↘(6n23) 서양측에서는 "f n d d/f"를 간략하게 줄여서 말한다.
  • "d4:2:1+2" : 저스트 입력 커맨드로 ":"를 사용한다. 예시로 든 기술은 벽력장 저스트 버전. 단순히 마지막 방향과 버튼을 동시에 입력하기만 하면 되는 초풍류가 아니라 커맨드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특정 타이밍 저스트 입력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는 리 차오랑의 애시드 레인 킥 콤비네이션 (1,3:3:3). 이 장의 다른 표기와 달리 동양식에서 저스트 입력에 대한 표기는 마땅히 통일된 게 없다보니 동양식에서도 축약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등 종종 차용된다.
  • W!, S!, B!, F!, T!: 각각 벽스턴(벽꽝), 스크류, 바운드, 바닥붕괴(플로어 브레이크), 토네이도이다. 간혹 월 브레이크, 발코니 브레이크도 W!로 사용하니 외국영상을 볼 경우 관찰하자. 동양식과는 달리 태그를 T로 줄이지는 않는다.

[1] 예전 게임라인의 후기에 따르면, 철권 담당 기자는 꿈속에서 땡땡이에 파묻혀 죽을 정도로 땡땡이의 압박을 받는다고 한다.[2] 공식 기술표에서 중립을 표기할 때 실제로 별 문자로 표기하는 것을 따온 것.[3] 실제로 다른 캐릭터와의 통일성을 위해 원원투로 부르기도 한다. 같은 풍신류 기술 중 지명도가 한참 후달리는 귀곡련권 (LP RP RP)의 경우, 귀곡련권보다는 원투투로 불리는 빈도가 압도적이다.[4] 이 쪽은 아예 지상 7, 8, 9 기술이 없으며, 대신 모든 점프 기본기가 정식으로 기술표에 등재되어 있다. 다만 딱히 소점프여야 할 필요는 없다.[5] 흔히 '나락류'라고 부르는 카즈야, 데빌진, 헤이하치나락쓸기, 파고들어 하단 돌려차기, 커팅 코파, 레오전소뢰왕권 등등의 기술들은 보통 막히고 나서 다리가 부러지는 듯한 모션이 나오면서 20프레임 이상의 매우 큰 후딜이 발생하는데 이 기술을 막고 나서 가장 높은 데미지로 응징하는 방법으로 흔히 대두되는 것이 이 소점프 컷킥이다. 일반적인 컷킥이나 기상어퍼보다 훨씬 큰 대미지를 단타로 때려넣기 때문에 퍼니쉬 대미지가 5~10정도 높게 나오게 된다. 또한 나름 점프 모션이기 때문에 하단을 피할 수 있어서 상대의 큰 하단기를 예측하고 이것으로 여유롭게 띄워버리는 고수의 플레이도 있다.[6] 태그 어설트가 발동되는 동안에는 상대의 리커버리 게이지가 줄어들지 않는다. 바운드 기술이 타격하기 전에 태그 버튼을 눌러야 한다.[7] 상대의 리커버리 게이지를 더 많이 소모 시킬수 있는 콤보이다.[8] 아래 표의 대각 입력의 경우, 슬래시를 생략하기도 한다.